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국의 외교문서 공개 및 출판 사례 연구-대륙과 대만의 사례를 포괄하여-
이동욱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0 사총 Vol.100 No.-
This study set out to summarize the history of managing diplomatic documents and publishing collections of diplomatic documents in China since late Qing and examine the current practice of opening diplomatic documents to the public and publishing collections of diplomatic documents in current mainland China and Taiwan along with the legal groun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al management. The Chinese dynasties placed importance on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records based on the concept of regarding the records of the past as the mirror for the present and future and the tradition of expansive document administration that began in ancient times. This tradition has impacts on the current Chinese system of managing and preserving archives(Dang'an). China began to publish collections of its diplomatic documents or open its diplomatic archives to the public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when it made full-blown contacts with the West. These practices have changes in the interactions of foreign invasion and political confusion during the Late Qing and Republican Era, the establishment of party-state system by KMT and CCP, domestic political situations including the control of press and information, the vogue of publishing collections of diplomatic documents after World War I, declassified diplomatic documents and their disclosure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global trends such as digitization. In China, the movement of declassifying and publishing diplomatic records according to the global standards led to the achievements of opening the Archive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o the public and publishing diplomatic documents in the early 2000s despite the strong influence of the conservative tradition that has put importance on the block and control of sensitive information for the stabilization of the system or "national interest." This policy is, however, still under the powerful influence of domestic politics. In Taiwan, only limited use of diplomatic archives was allowed under the authoritarian rule of the KMT regime for many years. Since democratization, however, it has been active to declassify the archives, promote their digitization, and open them to the general public online in the social atmosphere of associating information disclosure with "democratization" and "Taiwanization." 이 글에서는 청말부터 현대에 이르는 중국의 외교기록물 공개 및 외교문서집 출판의 역사를 고찰하고, 현대 중국의 외교기록물 공개 제도와관련 규정, 외교문서집 출판 사례를 전반적인 당안 관리 시스템의 변화와 연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근대 이래의 세계에서 외교문서의 공개와 외교문서집의 출판은 국가의 대외관계 업무 수행을 위한 참고자료와학술적 연구자료의 제공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자국의 외교정책을 홍보하고, 그 정당성과 합리성을 주장하여 국내외의 지지를 획득하는 수단이자, 정부행정의 투명성과 민주화의 진전을 가늠하는 척도로 작용하기도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중국의 외교문서의 공개와 외교문서집 발간의 역사는 서세동점의 동아시아 근현대사의 흐름의 일부로서 이해할수 있다. 중국은 기록물의 체계적인 보존과 관리를 중시하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나, 근대 이전까지 외교문서 공개와 외교문서집 간행의전통은 없었다. 서양 열강과의 폭력적인 조우를 계기로 그들과의 교섭문서를 모아서 편찬한 청말의 외교문서집 『籌辦夷務始末』은 서양식의 외교문서집이라기보다는 후세의 통치자들을 위한 참고자료를 남겨둔다는전통적인 성격이 더욱 강했다. 그러나 중화민국 시기에 들어서면, 영국, 독일 등의 열강이 자국의 외교를 정당화하기 위해 외교문서를 출판하던1차 세계대전 이후의 국제적인 흐름에 궤를 맞추어 1919년부터 정치적격동기 속에서도 간간이 파리강화회의나 워싱턴회의 등 당대의 외교문서를 출판하여 자국의 외교를 변호하고, 중일전쟁 발발 전 10년 동안에는열강이 중국을 침탈해오던 시기의 외교문서집을 정리하여 출판하면서 중국측 사료에 기반한 외교사 연구의 발전과 함께 민족주의적 역사인식의고취를 자극하기도 하였다. 20세기 전반부터 중후반까지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사회주의 또는 권위주의적 당국체제가 장기간 지속된역사는 정부행정의 투명성이나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차원의 외교문서 공개나 외교문서집 출판이 중국에서 정착되는데 부정적인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대륙에서 개혁개방이 심화되고 대만의 민주화가진전되면서 21세기 중국의 외교문서 관리제도는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고있다. 대만은 당안의 기밀해제와 공개가 민주화의 척도로 인식되면서 당안의 활발한 공개와 국가 규모의 디지털화 사업을 통해 모범적인 수준의당안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가고 있으며, 당안을 역사기록물로서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정부 행정 기관과 역사연구기관이 협력하여 훌륭한 온라인 문서검색 및 열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우, 중국공산당과 국가 수뇌부에서 생산된 외교문서가 소장된 중앙당안관은 개방되지 않고 있으며, 외교부당안관의 경우, 국가와 대중에 함께 복무한다는 명분으로 2000년대 초반 적극적으로 신중국 성립 이후의외교당안 공개와 외교문서집 출판을 추진하였지만, 2008년 이후 더 이상적극적인 정보공개의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급진적인 개방의반작용으로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수준의 정보 공개 제도를 실시하여세계적인 추세를 따르려는 움직임과 당과 국가의 이익을 우선시하여 민감한 정보의 차단과 통제를 중시하는 보수적인 당안 행정 사이의 과도기에 놓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훈(Lee Hoon)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1 No.-
본 논문은 국교 재개(1607년) 이후 조선 국왕과 도쿠가와 막부(德川幕府)의 쇼군(將軍)이 주고받은 외교문서(國書)의 형식과 전달방법을 중심으로 조일 양국간 ‘통신사외교’가 서로 대등한 입장에서 이루어진 정상외교에 가까운 것이었음을 밝힌 것으로, 사대문서(事大文書)인 대중국 외교문서와 비교・검토해 본 것이다. 검토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서의 문서형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A>라는 발신자(조선국왕)가 <B>라는 수신자(막부 쇼군) 앞으로 문서를 보내면, 다시 그 수신자<B>가 자신의 명의로 <A>에게 회답문서를 발급하는 왕복문서의 형식을 취했다는 것이다. 또 일본측 사정에 따라 17세기 중반 도쿠가와 막부 쇼군의 외교 호칭이 ‘일본국왕’에서 ‘日本國大君’으로 변경되기는 했지만, 문서의 머리부분에 <A>와 <B>를 나란히 ‘평행’(平行)으로 기재했다는 것은, 본질적으로는 외교호칭의 문제와 상관없이 발신자와 수신자가 서로를 대등한 외교상대로 여겨 중간에 다른 누군가를 거치치 않고 직접 주고받는 ‘왕복문서’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조선국왕이 청(淸) 황제에게 보내는 주문(奏文)의 경우, 발신자로 ‘조선국왕’을 명기하되 조선국왕이 ‘臣’의 입장에서 화자(話者)가 되어 청 황제에게 보고하는 문서형식이었기 때문에, 사실상의 수신자가 청 황제라 하더라도 중국의 보고절차에 따라 조선국왕의 의사가 황제에게 ‘상달’(上達)되는 형식이었다. 이는 臣子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대중국 사대관계에서 외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국제관계를 반영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조일 양국간 ‘국서’에 보이는 발신자 및 수신자의 대등성은 당시 동아시아 국제관계에서 교린국간에 주고받던 ‘교린문서’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둘째는, 국서란 이렇듯 조선 국왕과 막부 쇼군이 직접 주고받는 왕복문서였기 때문에 이의 전달을 위해 통신사가 일본에 파견되었던 것이며, 에도성(江戶城)의 ‘전명의’(傳命儀)에서 통신사가 막부 쇼군에게 국서를 직접 전달하였다. 사대문서의 경우, 조선국왕의 주문(奏文)은 청의 예부(禮部)를 통해 황제에게 보고되었다. 예부의 문서양식에 따라 조선측 주문의 내용을 다시 작성하는 제본(題本)이라는 보고절차를 거쳤기 때문에, 조선국왕의 주문은 첨부문서로 제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명의’처럼 문서 전달만을 위한 외교의례도 필요없었다. 셋째는, 통신사의 국서 전달을 통해 이루어지는 조일 양국의 교린관계란 조선 국왕과 막부의 쇼군이 서로 면대(面對)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서로를 대등한 외교상대로 여겨 직접 소통하는 외교시스템이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사 일행이 막부로부터 회답문서를 받아올 때, 쇼군의 ‘외교 칭호’ 등 기재 내용에 의혹을 가질 경우, 통신사 일행은 일본 체류 중에 바로 막부측에 문제제기가 가능하였다. 따라서 ‘통신사외교’를 의사전달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효율성이 높은 ‘직접 통교 루트’였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박준영 한국고문서학회 2025 고문서연구 Vol.66 No.-
본 연구는 개항기 조선에서 사용된 외교문서인 조회(照會)의 고문서학적 분석을 통해 그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조선은 강화도조약 체결 이후 조회를 외교 실무자 간의 소통과 증빙의 수단으로 광범위하게 사용하였다. 조회는 개항 초기에는 상대국에 따라 문서식을 적용하였다. 1883년 이후 수교하는 국가가 증가하자 민영목에 의해 청의 문서식을 수용하여 통일된 문서 형식을 갖추었다. 따라서 개항 직후 1883년부터 1896년까지조회의 문서식은 과거 사대문서의 관성과 청의 영향에 따라 확립되었다. 1896년 이후 조회는 외교문서이자 국내 공문서로 분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외교문서로서 조회는 이전에사용한 문서식을 바탕으로 문서번호 부여와 기안문을 작성한 뒤 발급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반면 국내공문서인 조회는 외교문서인 조회와 달리 국한문으로 작성하고 관인과 관장을 동시에 사용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일본 공문서식의 영향에 의한 것이었으며, 외교문서로서 조회는 청과 일본의 영향에 따른 혼합된 문서식을 사용하였다. 조회의 번역 과정에서 원문과 번역문 간의 서식 및 의미의 일치를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한반도 내에서 통용된 조회는 영미권 국가에서 ‘despatch’라는 용어로 사용하였고, 레터헤드(Letterhead)에 문서명을기록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조회를 구별하기 위한 요소로 문서를 주고받는 국가끼리 정한 규칙이었다. 이를통해 개항기 외교문서인 조회는 당시의 정세를 반영한 문서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formation of the diplomatic document known as “dispatch” (照會) used in Joseon during the Open Port Period through a historical document analysis. Following the signing of the Treaty of Ganghwa, Joseon extensively utilized dispatch as a means of communication and evidence among diplomatic practitioners. Initially, the format of dispatch was adapted based on the counterpart country. However, after 1883,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untries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a unified document format was adopted, influenced by Qing’s document style through Min Yeong-mok(閔泳穆). Therefore, from 1883 to 1896, the format of dispatch was estab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tributary documents and Qing’s practices. After 1896, dispatch began to differentiate into diplomatic documents and domestic public documents. As a diplomatic document, dispatch evolved to include the assignment of document numbers and the preparation of drafts based on previously used formats. In contrast, domestic public documents labeled as dispatch were written in a mixed script of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and used both the official seal and the official title. This difference was influenced by the Japanese public document style, while the diplomatic dispatch employed a mixed format shaped by the influences of both Qing and Japan. In the translation process of dispatch, there was a tendency to seek consistency in format and meaning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the translated document. Notably, the term “dispatch” was used for dispatch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document titles were recorded on letterheads. These characteristics served as distinguishing factors as rules were established among countries exchanging such documents. Thus, dispatch, as a diplomatic document during the Open Port Period, reflected the political circumstances of its time.
송병우(Song, Byung-wo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0 No.-
본고는 고려사 소재 외교문서를 개괄한 것이다. 아울러 형식적 양상과 수사학적 분석의 틀을 제시하려는 시론이다. 고려왕조에서 발송한 외교문서는 모두 204건이고, 고려왕조에서 받은 것은 289건이다. 고려왕조에서 대부분 중국의 여러 왕조로 외교문서를 발송했다. 그러나 일본국에 보낸 문서가 3건 나타난다. 고려왕조에서 받은 문서도 대부분은 중국 왕조들의 것이지만, 일본과 태국에서 보낸 것도 있었다. 고려왕조에서 발송한 문서는 ‘표(表)’, ‘서(書)’, ‘주(奏)’, ‘첩(牒)’, ‘자(咨)’, ‘기타’, ‘전(箋)’, ‘신(申)’, ‘장(狀)’의 형식을 띤다. 고려왕조에서 받은 문서는 ‘조(詔)’, ‘첩(牒)’, ‘칙(勅)’, ‘책(冊)’, ‘서(書)’, ‘자(咨)’, ‘문(文)’, ‘록(錄)’, ‘명(命)’, ‘관고(官告)’, ‘제(制)’, ‘책(策)’, ‘관자(關子)’, ‘고신(告身)’, ‘주(奏)’, ‘표(表)’의 형식을 띤다. 외교문서를 분석할 수 있는 수사학적 틀로 제시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교문서의 유형이다. 그것은 ‘칭찬’, ‘권유’, ‘변호’로 대별할 수 있는데, 외교문서에서 사용되는 논거를 보여준다. 둘째 외교문서에서 설득에 영향을 미치는 문채적 특징이 있다. 이는 문서에 나타난 표현의 방법과 관련되는데 외교에서 설득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이성적 의사소통과 감성적 의사소통이다. 이성적 의사소통에서는 논거와 논증 형식이 중요하고, 감성적 의사소통에서는 ‘호감’의 획득이 중요하다. 물론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이 두 방식의 조화로움이다. 넷째, 외교문서의 구조, 즉 문장 구성방식이다. 문서의 구성 형식은 문학적인 아름다움과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득의 효율성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This paper is to survey the diplomatic documents in the Koryo History and to suggest a frame for a rhetorical analysis of those documents. The number of diplomatic documents that Koryo dynasty had sent to neighboring countries are 204 items and Koryo had been recieved 289 items from them. The Koryo dynasty sent mostly documents to Chinese dynasties, but there were three items to send to Japan. Also the documents that Koryo dynasty was received are mainly those of Chinese dynasties, but there were three items of other countries: two of Japan and one of Thailand. There are the genres of ‘表’, ‘書’, ‘奏’, ‘牒’, ‘咨’, ‘箋’, ‘申’, ‘狀’ and ‘the rest’ in the diplomatic documents that Koryo dynasty send to. There are the genres of ‘詔’, ‘牒’, ‘勅’, ‘冊’, ‘書’, ‘咨’, ‘文’, ‘錄’, ‘命’, ‘官告’, ‘制’, ‘策’, ‘關子’, ‘告身’, ‘奏’, and ‘表’ in what Koryo dynasty was received from. The rhetorical frameworks to be able to analyze documents are as follows. Frist, it is a types of the documents. This types are categorized as three kinds: praise, invitation, and defense. This three types show an argument in documents. Second, it is expressive means contributing to persuasion shown in documents. Third, it is a method of rational and sensitive communications. In the former, argument and argumentation are very important and in the latter it is very important to get a favorable impression. Undoubtedly, a harmony of the two factors of rational and sensitive communications is the most important things for good documents. Finally, it is a structure of document contributing to persuasion. A structure of the documents is related not only to beauty of a literature but also to effective persuasion.
1231~1232년 외교 문서를 통해 본 고려의 대몽對蒙 교섭 상의 특징
이미지 한국국학진흥원 2015 국학연구 Vol.0 No.27
A war between the Koryo dynasty and the Mongols had begun in the eighth month of 1231 with a first strike by the Mongols. To pacify this war, the Koryo court dispatched nineteen diplomatic letters altogether in thirteen months to the Mongols with whom the Koryo people had not quite accepted an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Thus, this very period, 1231-1232, when the Koryo court started to communicate with the new-rising Mongols in a form of diplomatic letters should be noted as one of the important moments of the history of the Koryo's diplomatic exchanges. Below is the list of the nineteen documents and the titles of the source according to an estimated chronological order which is argued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paper. Word choices, structure of contents, and routes of delivery of the nineteen Koryo letters are also discussed in the following chapter. It appears that the Koryo court had not reached to a full understanding on the changing phase of Northeast Asia; so that it saw the Mongols as one of the short-lived polities in the northern border area and did not fully engaged in the communication with the higher Mongol authority. Consequently the Koryo court failed to conciliate the Mongols and the war continued on. Summing up, the nineteen letters are a window showing the very first moment when the Koryo encountered the new diplomatic order in which the Mongols take priority. Also those letters are the evidences of the last practice of the diplomatic policy that the Koryo had been accustomed to since its establishment in the 10th century. 1231년 8월 시작된 몽고의 공격으로 고려와 몽고 간에 전쟁이 일어났다. 고려 조정은 그 해 12월부터 1232년 12월까지 19건에 달하는 외교 문서를 몽고에 보내며 종전을 위해 노력하였다. 따라서 외교적 교섭의 측면에서 볼 때 1231년은 고려가 그들과 외교 문서를 통해 소통을 시작한 해라는 의미가 있다. 본고는 이 시기 양국 관계의 진행 과정 속에서 대몽 외교 문서의 발송 순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보았다. 아울러, 상기 19건의 외교 문서에 사용된 어휘와 내용 구조, 문서가 전달된 경로 등을 함께 분석하여 당시 고려 조정이 몽고와의 외교 교섭에 임하는 자세와 여몽 관계를 바라보는 입장 등을 파악해 보았다. 고려는 표면적으로는 몽고를 우위로 하는 외교 질서를 상정하고 이에 충실한 소국의 지위를 자처하는 듯한 자세를 취하였고, 대체로 그에 부합하는 지칭 표현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외교 문서에 사용된 표현을 면밀히 살펴보면, 대국과 소국의 지위 설정에 다소 걸맞지 않는 어휘들도 사용되었다. 또한 종전을 위해 많은 외교 문서를 발송하면서도 몽고의 최고 정책결정권자인 황제 대신 전쟁 사령관을 주요 대화 상대로 설정하고, 그들에 의해 조성된 담화 상황에 수동적으로 응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즉 고려는 몽고와의 관계를 장기적 안목에서 계획하거나 전망하기보다는 현재 직면한 갈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한시적 교섭의 대상으로만 이해하였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볼 때 본고에서 다룬 1231~1232년의 대몽 외교 문서들은 고려가 몽고 우위의 외교 질서에 직면하게 되는 첫 번째 교섭 상황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며, 이 시기는 건국 이래 고려가 수행해 왔던 전기적前期的 외교 질서와 그에 기반한 교섭 관행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깨닫게 되는 기점으로, 고려 왕조의 대외 교섭사적 측면에서 작지 않은 의미를 갖는다.
조범환(Bum-hwan Cho) 북악사학회 2023 북악사론 Vol.17 No.-
본고는 최치원이 당의 황제 및 관리에게 보내는 외교문서에서 발해에 관해언급한 사실을 주목하고 왜 그와 같은 내용을 외교문서에 기술하였을까 하는것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 것이다. 최치원이 작성한 외교문서에 발해에 관하여 언급한 내용에는 각각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그가 외교문서를 작성하였을 때 받는 사람이 누구인가에 따라 발해에 관한 내용이 달리기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치원이 작성한 외교문서를 통해 발해에 관한 인식의 변화를 추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각각의 외교문서에서 발해를 언급한 것은 그 당시의 사정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배찬에게는 빈공진사 시험과 지공거에관심을 가져줄 것을 요청한 것이고, 태사 시중 이극용에게는 발해에서 새로운왕이 등극한 것과 관련하여 사행에 대한 편의를 제공하지 말 것을 요청한 것이었다. 또한 고상에게 보낸 외교문서에서 발해를 언급한 것은 당시 신라와발해의 사행에 대한 비교를 위한 것이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황제에게 보낸 것은 국제 관계를 염두에 둔 것으로 신라의 사정을 호도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렇게 볼 때 각각의 외교문서에서 언급한 발해는 서로 같은 내용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바뀌었다. 최치원이 외교문서에서 발해에 관해서 언급한 이유는 신라의 문화적 자존감을 드러냈다기보다는 신라의 인재가 당에서 제대로대접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아울러 신라의 국제적인 위상을 높이려는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결국 최치원이 장문이나 표문을통해서 발해를 언급한 궁극적인 목적이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Balhae was mentioned in Choi Chi-won's diplomatic letter to Tang's emperor and bureaucrat. It shows that Choi Chi-won was very interested in Balhae.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documents Choi Chi-won mentioned about Balhae. He described Balhae completely differently from the people who are receiving the diplomatic document. Despite the fact that diplomatic documents can show how perceptions of Balhae have changed, Choi Chi-won mentioned about Balhae because it was closely connected to the current world situation at that time. As an example, he mentioned Balhae for sending an envoy after a new king was crowned there, and comparing the affairs between Silla and Balhae at that time. As a conclusion, Choi Chi-won mentioned Balhae differently in all diplomatic documents to ensure Silla’s international position and suitable treatment in Tang.
헝가리 헝가리 외교기밀문서 중 북한 문학 관련 자료 연구
김보국(Kim Bo gook) 중동유럽한국학회 2014 중동유럽한국학회지 Vol.15 No.-
한국학 연구 자료로서 아직 연구자들에게 생소한 헝가리 문서보관소 소장 헝가리 외교기밀문서 중 일반행정기밀문서를 소개하는 글이다. 헝가리 외교기밀문서는 소위 '뛰끄(TÜK)'로 일컬어지는 정치, 외교 관련 기밀문서와 문화, 교육, 경제 관련 내용을 담고 있는 일반행정기밀문서로 분류된다. 지금까지 '뛰끄' 자료는 국내외에서 일부 공개되어 연구자들에게 제공된 적은 있지만 일반행정기밀문서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알려진 바가 극히 드물다. 본고에서는 헝가리 외교기밀문서에 대한 개관과 아울러 1955년 평양에서 생성된 북한문학을 개관한 보고서 전문을 소개한다. 한국전쟁 기간 중 발생한 북한의 전쟁고아 200명이 1951년 11월 23일 처음으로 헝가리에 도착한 이후 그들 대부분이 출국하게 되는 1956년 12월까지 헝가리는 1,000명 내외의 북한 전쟁고아 및 유학생들의 교육을 '이데올로기적 형제 국가'로서 책임지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 및 예술관련 정보 보고들이 상당수 존재하며, 당시 북한 문예계의 생생한 보고들 또한 관련 전공자들에게는 흥미로운 자료일 것이다. 본고에서 소개하는 자료는 비록 헝가리의 외교관이 보고한 북한 문학의 개요이지만, 그 내용으로 봐서는 1955년 말, 북한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고 회자되는 내용들의 요약이므로, 당시 북한 문학 관련 종사자들, 혹은 일반인들 사이에서 인식하고 있는 일상적 문학관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The Korean Peninsula came to be divided into two different Koreas that had their own regime and ideology after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Similarly, Hungary had a socialist regime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Soviet Union. Hungary signed a treaty of amity with North Korea in 1948, because they shared the same ideology. As for the archive, the treaty meant that both countries began to communicate regularly and periodically exchange official documents, and these documents would be kept in the archive. These documents were kept and managed in one corner of the archive. However, South Korea prohibited communications with socialist countries because of the Korean War and the Cold War, so it was impossible to access the documents in the archive at that time. But the exsocialist countries experienced regime change, and as the countries changed, the public demand, on political grounds, for documents of the past regime became quite profound. Accordingly, the archive made it possible to examine a large number of documents as a proper follow-up measure, in accordance with Hungarian domestic laws concerning the storage and management of the documents. The documents presently available in the archive can be divided into two general types: 1) official documents o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regarding general foreign affairs and administrations; and 2) documents regarding overseas Hungarian officials, especially the contents of reports from diplomats who dealt with pieces of information in the Hungarian embassies located in Seoul and Pyongyang. In particular, the documents of the latter are treated as confidential documents (titkos ügykezelés as abbreviated as TÜK, and translated as "confidenti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the materials from between 1949 and 1989 amount to more than 50,000 pages. This does not mean that the former, official documents o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regarding general foreign affairs and administration, are less valuable than the latter. These two sections are closely connected and provide us with another paradigm on the modern history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the history of diplomacy.
헝가리 헝가리 외교기밀문서 중 북한 문학 관련 자료 연구 : 1955년 12월 21일, 평양에서 보고한 북한 문학 개관 자료를 중심으로
김보국 중동유럽한국학회 2014 중동유럽한국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한국학 연구 자료로서 아직 연구자들에게 생소한 헝가리 문서보관소 소장 헝가리 외교기밀문서 중 일반행정기밀문서를 소개하는 글이다. 헝가리 외교기밀문서는 소위 '뛰끄(TÜK)'로 일컬어지는 정치, 외교 관련 기밀문서와 문화, 교육, 경제 관련 내용을 담고 있는 일반행정기밀문서로 분류된다. 지금까지 '뛰끄' 자료는 국내외에서 일부 공개되어 연구자들에게 제공된 적은 있지만 일반행정기밀문서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알려진 바가 극히 드물다. 본고에서는 헝가리 외교기밀문서에 대한 개관과 아울러 1955년 평양에서 생성된 북한문학을 개관한 보고서 전문을 소개한다. 한국전쟁 기간 중 발생한 북한의 전쟁고아 200명이 1951년 11월 23일 처음으로 헝가리에 도착한 이후 그들 대부분이 출국하게 되는 1956년 12월까지 헝가리는 1,000명 내외의 북한 전쟁고아 및 유학생들의 교육을 '이데올로기적 형제 국가'로서 책임지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 및 예술관련 정보 보고들이 상당수 존재하며, 당시 북한 문예계의 생생한 보고들 또한 관련 전공자들에게는 흥미로운 자료일 것이다. 본고에서 소개하는 자료는 비록 헝가리의 외교관이 보고한 북한 문학의 개요이지만, 그 내용으로 봐서는 1955년 말, 북한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고 회자되는 내용들의 요약이므로, 당시 북한 문학 관련 종사자들, 혹은 일반인들 사이에서 인식하고 있는 일상적 문학관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The Korean Peninsula came to be divided into two different Koreas that had their own regime and ideology after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Similarly, Hungary had a socialist regime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Soviet Union. Hungary signed a treaty of amity with North Korea in 1948, because they shared the same ideology. As for the archive, the treaty meant that both countries began to communicate regularly and periodically exchange official documents, and these documents would be kept in the archive. These documents were kept and managed in one corner of the archive. However, South Korea prohibited communications with socialist countries because of the Korean War and the Cold War, so it was impossible to access the documents in the archive at that time. But the ex-socialist countries experienced regime change, and as the countries changed, the public demand, on political grounds, for documents of the past regime became quite profound. Accordingly, the archive made it possible to examine a large number of documents as a proper follow-up measure, in accordance with Hungarian domestic laws concerning the storage and management of the documents. The documents presently available in the archive can be divided into two general types: 1) official documents o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regarding general foreign affairs and administrations; and 2) documents regarding overseas Hungarian officials, especially the contents of reports from diplomats who dealt with pieces of information in the Hungarian embassies located in Seoul and Pyongyang. In particular, the documents of the latter are treated as confidential documents (titkos ügykezelés as abbreviated as TÜK, and translated as “confidenti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the materials from between 1949 and 1989 amount to more than 50,000 pages. This does not mean that the former, official documents o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regarding general foreign affairs and administration, are less valuable than the latter. These two sections are closely connected and provide us with another paradigm on the modern history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the history of diplomacy.
<기획논문>: 조선시대 사행(使行)과 사행 문화 : 조선시대 대중국 사행의 정치,외교적 의미 -인평대군(麟坪大君)의 사행(使行)을 중심으로-
김경록 ( Kyeong Lok Kim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2
방대한 연구성과가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행이 무엇을 의미하지는 정확하게 인식하는 연구자는 매우 드물고, 그래서 그들은 사행의 정치적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다. 그 결과 많은 연구자들은 아직도 사행의 근본적인 명칭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조선시대대중국 사행의 정치·외교적 의미를 밝히고 향후 연구방향을 모색함에 목적이 있다. 조선은 명, 청 중심의 국제질서에 속해 있어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라 국내 정치와 형식에 영향을 받았다. 조선시대 국제질서는 현대적 의미의 국제질서와 달리 도덕적 개념과 이상적 개념이 중요했다. 동아시아의 국제관계는 사행이라는 외교형식에 의해 정형화됐다. 외교상 외교문제가 발생하면, 조선은 외교목적을 설정하고 이에 합당한 사행명칭을 부여했으며, 발행시기, 사행의 규모 등을 정했다. 조선은 명청과의 국제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행에 대해 주목했다. 이를 통해 조선의 국가안위를 확보하고 왕실의 권위를 강화했다. 그러므로 조선시대대중국사행의 핵심은 사행의 정치·외교적 의미라고 할 것이다. 특히, 중국의 중앙집권적 통치체제가 공문에 기반하여 확립된 명대이후 사행의 기본 임무는 조선의 국가이익을 표현한 외교문서의 전달이었다. 반면에 사행원의 개인적인 활동은 상대적으로 제한되었다. 사행의 중요한 임무가 외교문서의 전달이었으며, 이를 통해 설정된 외교목적을 달성하고 의례적인 공식행사에 참여했다. 사행의 외교역할이 확대되면서 사신과 다른 사행원들은 사행기간 동안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고, 이를 사행기록으로 남겼다. 외교에 관련한 문서는 외교문서, 사행문서, 사행기록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사행기록은 공적 사행기록과 사적 사행기록으로 세분할 수 있다. 사행의 정치외교적 의미는 인평대군의 대중국사행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인평대군이 활동했던 시대는 조선중기에 해당되며, 국내적으로 국제적으로 변혁기였다. 17세기는 중국에서 명·청교체의 시기로 조선은 새로운 외교관계를 정립했다. 인평대군은 왕자의 신분으로 대청사신으로 파견되었으며, 왕실의 일원이란 신분은 조청관계에서 발생하는 많은 외교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향후 조선시대 사행관련 학술연구는 다음의 참조하여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사행연구는 학제간 연구가 필수적이다. 둘째, 사행의 정치적 성격에 대한 전제가 있어야 한다. 셋째, 학술용어로서 사행명, 사행기록, 사신명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사행기록의 작성과정에 대한 검토가 전제된 뒤 여러 학문 분야별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사행연구에 사적 사행기록 뿐만 아니라 사적 사행기록의 기초가 되는 공적 사행기록, 외교문서, 사행문서 등이 함께 연구대상으로 확대되어야 제반 학문분야별 높은 사행연구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In spite of a great reservoir of very much a work, very few researchers know what a Sahaeng(使行) means, so there are not understand that Sahaeng``s political meaning. As a result, there are many researchers who do not concerned about yet what a fundamental name of Sahaeng.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what the Korean history academic circles don``t have interest in its politic-diplomatic meaning, in the face of which Joseon had dispatched envoys to the Chinese.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East-Asia international situation``s of Joseon period and to find out its politic-diplomatic historical meaning. And I relieve the concluding remarks through simple arrangement and opinion about the Sahaeng. Joseon belonged to an international order of Ming(明), Ching(淸) center and it was a time to propel a domestic politics reform because of the change of international situation. The international order during the Joseon acted unlike modern meaning so that a moral concept and an idea concept was important.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in traditional East Asia was performed through a diplomatic form of Sahaeng. The development of an issue, setting diplomatic goals, granting a name of sahaeng, and deciding the right time and size comprised the procedures of Sahaeng. So Joseon reserved international safety and for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Joseon attention Sahaeng to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Ming(明)·Ching(淸). The key point of Sahaeng toward China in the Joseon period was politic-diplomatic meaning. Especially, as the governing system of China, after the Ming, was strictly based on documentation, the justification of Sahaeng for delivering documents of the Joseon Dynasty King was emphasized, while individual diplomatic activities of Sahaeng``s members were restricted. Sahaeng``s importance mission was the transmit of the diplomacy document and was the achievement of an involvement diplomacy purpose, of the formality courtesy at the except. While the diplomatic role of Sahaeng increased, messengers and other staffs had to experience various cultures during the period of Sahaeng, and kept these accounts for the Sahaeng``s record(使行記錄). The document about the diplomacy was the diplomacy document(外交文書), Sahaeng``s document(使行 文書), Sahaeng``s record. The Sahaeng``s record can distinguish detailly to an official Sahaeng``s record(公的 使行記錄) and an unofficial Sahaeng``s record(私的 使行記錄). In this regard are found throughout studying Inpyeong infante(麟坪大君)``s Sahaeng toward Ching. This era falls on the middle of the Joseon period, which is regarded as a turning point both in the domestic and the international affairs. In the 17th century, it is happened the change of dynasty from Ming Dynasty to Ching Dynasty in china. The change of Joseon is accompanied by the change of diplomatic relations. He have had many dispatched Sahaeng toward Ching was accounted for he was infante. The identity of royal family was help in solving many diplomatic issues in Joseon-Ching relations. Future studies need to refer to the following matters. First, Sahaeng research is interdisciplinary research is essential. Second, There shall be a premise about the Sahaeng``s political character. Third, As a academic term, a review is needed of Sahaeng``s name, Sahaeng``s record, envoy``s name, etc. Fourth, There need to examine the creation of a process for the record in many fields. Fifth, Sahaeng research should extend not only the study of an unofficial Sahaeng``s record but the study of an official Sahaeng``s record, diplomacy document, Sahaeng``s document that will be successful in many fields.
한중관계 초기발전과 기업의 외교적 역할: 1979-1986년 외교문서 분석을 중심으로
차정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9 중소연구 Vol.42 No.4
Nixon Doctrin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US and China, China and Japan had initiated the rapid change of East Asian Order in the 1970s. South Korea also had a fundamental shift in China Policy. In 1973, South Korea declared diplomacy to open the door to the Communist States with the special statement “6.23 Declaration”, and pursued diplomacy to improve relations with China. However, China has not responded to the opening diplomacy of South Korea due to North Korea relations. Under the constraints of political and official exchang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China’s reform and opening declaration in 1978, creating a new opportunity to improve South Korea-China relations. This paper focuses on the diplomatic role of entrepreneurs who led the early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1992. In analyzing South Korea's diplomacy toward China in 1970-80, This paper focusing on the diplomatic documents of South Korea examines how economic diplomacy and state diplomacy played a key role in improving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during the absence of official political exchanges between the twos. This paper focuses on the diplomatic role of entrepreneurs who led the early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1992. In analyzing South Korea's diplomacy toward China in 1970-80, This paper focusing on the diplomatic documents of South Korea examines how economic diplomacy and state diplomacy played a key role in improving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during the absence of official political exchanges between the twos. 닉슨독트린, 미중관계개선, 중일국교정상화 등 1970년대에 전개된 동아시아 정세의 급격한 변화는 중국을 적성국으로 인식하고 단절하였던 한국의 대중국외교에도 근본적 전환을 촉진하였다. 한국은 1973년 ‘평화통일외교정책 7개항 특별성명(6.23 선언)’으로 대공산권 문호개방외교를 선언하면서 중국과의 관계개선외교를 추진하였다. 그러나, 중국은 1970년대초 대서구관계 개선의 흐름 속에서도 북중관계로 인해 한국의 문호개방외교에 화답하지 않았고, 1978년 중국의 개혁개방 선언 이후에야 한중 양국간 정치적 공식적 교류의 제약 속에서 기업교류를 중심으로 비공식적 비정치적 교류가 태동하면서 한중관계 개선의 계기가 만들어졌다. 본 논문은 한중수교 이전 한중관계 시작과 발전에 주요한 역할을 하였던 기업에 주목하면서, 1978년 중국 개혁개방 직후 한중관계 태동기 그리고 1980년대 중반 한중 비공식관계 확대기에 주요한 채널이었던 기업인들의 외교적 역할을 외교문서를 바탕으로 분석한다. 1970년대 말부터 80년대까지 전개된 △미중관계개선 등 대외환경의 본 논문은 한중수교 이전 한중관계 시작과 발전에 주요한 역할을 하였던 기업에 주목하면서, 1978년 중국 개혁개방 직후 한중관계 태동기 그리고 1980년대 중반 한중 비공식관계 확대기에 주요한 채널이었던 기업인들의 외교적 역할을 외교문서를 바탕으로 분석한다. 1970년대 말부터 80년대까지 전개된 △미중관계개선 등 대외환경의 변화 △중국의 개혁개방정책, △한국의 공산권문호개방외교라는 정부 정책의 변화, 그리고 한국의 대중국 외교에 주요한 자원이 되었던 경제교류, 기업교류의 양상을 복합적으로 분석하면서 한중간 공식적 정치적 교류가 부재하던 시기 기업외교, 경제외교가 어떻게 양국관계개선의 주요한 조력자로, 그리고 핵심자원으로 역할 하였는지를 고찰한다. 1978년 12월 중국공산당 11기 3중전회에서 개혁개방 노선이 공식 채택된 직후인 1979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국 외교문서를 토대로 경제교류와 기업인들의 활동이 한국정부의 대중국 외교전략에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