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교 전통 속의 공공성: 그 특징과 현재적 함의 ; 조선 지식인의 왕정론(王政論)과 정치적 공공성(公共性): 기자조선(箕子朝鮮) 및 중화주의(中華主義) 문제와 관련하여

        백민정 ( Min Jeong Baek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3 동방학지 Vol.164 No.-

        이 논문은 조선의 유교 지식인이 주장한 정치철학적 관점을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우리에게도 유의미한 정치적 공공성의 맥락이 존재했는지 분석한 글이다. 조선시대 유교 정치의 가장 중요한 문제의식이 ‘公’ 개념에 있다고 보면서, 公道, 公論, 公義, 公私論爭 등 조선 초기부터 중국 주자학과의 연관 속에서 공적인 정치질서를 추구했던 조선 지식인들의 철학적 입장을 분석 했다. 정치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시대를 불문하고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王道政治[王政]’ 혹은 ‘仁政’을 구현하고자 했던 조선 지식인의 보편적인 정치적 욕망이다. 잘 알려진 것처럼 왕도정치 혹은 왕정이란, 그 연원을 『서경』 「홍범」에 등장하는 ‘無偏無黨’한 王道 및 皇極 개념에서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洪範九疇’라는 정치운영의 대원칙을 전수한 사람이 은나라 말기의 箕子라고 보았기에 ‘箕子洪範說’이 왕도정치론에서 중요하게 거론되었다. 조선 지식인들이 가장 고급하고 발달한 유교문명으로 간주했던 ‘中華’ 혹은 ‘中國’의 의미 역시 洪範說을 통해 조선에 전수된 人倫과 禮樂의 원리를 가리켰다. 결과적으로 볼 때, 箕子朝鮮(古朝鮮)에서 수천 년 간 내려온 유교 사회의 도덕원리를 구현하여 가장 公的이고 公平한 정치질서[王道]를 실현하는 것을 王政이라고 이해했고, 王政이 구현된 곳을 곧 中原, 中國이라고 불렀던 것이다. 조선의 지식인들의 中華論은 17세기 이후 다양한 의미로 전개되었지만, 하나의 일관된 관점을 찾으면 王政論으로 귀결된다. 왕정을 조선 땅에서 직접 실현하려고 했던 18세기 이후 유교 지식인들에게도 유사한 문제의식이 나타난다. 이 글에서는 箕子朝鮮과 中華主義에 대한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논쟁이, 理想的 정치체제와 운영방법을 논한 그들의 王政論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피고, 이것을 통해 조선 정치의 公共性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This article is to find whether there is any meaningful implication for today in Choson Confucian intellectuals` political philosophy with regard to political publicness. I think that the core question of Choson Dynasty`s Confucian politics lies in the concept of Kong(公/gong, public and fairness), and analyzes kongdo (公道, justice), kongnon(公論, common opinion), kongui(公義, commonly recognized propriety) and the debates on publicness and privateness, etc, namely, the philosophical position of Choson intellectuals who pursued public and fair political order connected with China`s Neo-Confucianism ever since the early Chos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philosophy, there exists some common phenomenon irrelevant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that is, Choson intellectuals` common political aspiration for implementing Wangdo chongch`i(王道政治=Wangjong王政, the ideal politics) or Injong(仁政, benevolent politics). As it is well known, Wangdo chongch`i or Wangjong finds its origins from the two concepts of just and impartial Wangdo(王道) and Royal Perfection (皇極) in the Hongbom section of Sokyong(the Book of History). And since it is usually regarded that it is Kicha who historically handed down the fundamental principles for political operation, namely, Hongbom Kuchu(洪範九疇, the Great Plan composed of Nine Divisions), the story of Kicha`s Hongbom has been often put up for discussion in the discourse on Wangdo chongch`i. Chunghwa(中華) or Chungguk(中國, China), which was considered by Choson intellectuals as the most advanced and highest-level Confucian civilization, also refers to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human relations and rituals and music which were introduced into Choson through Kicha Hongbom. Therefore, to Choson intellectuals, Wangjong means the implementation of the most impartial and just political order and the realization of Confucian social moral principles passed down thousands of years ago from Kicha Choson(the ancient Choson), and the place where Wangjong is materialized could be called as Chunghwa or Chungguk. Although Choson Confucian intellectuals` discourse on Chunghwa was developed with multiple meanings, there is one common point for them, namely, the discourse on Wangjong. Confucian intellectuals in late Choson, who intended to materialize Wangjong in Korean peninsular, also shares some similar political perceptions. This article investigates what influences Choson intellectuals` debate on Kicha Choson and Sinocentrism has exerted on those intellectuals` discourse on Wangjong, namely, the ideal political system and operation principles, and then on the basis of the investigation inspects how the publicness of Choson politics could be evaluated.

      • 조선 정법서(政法書)의 전통과 『경세유표』

        김태영(Kim, Tae-yeong)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3 다산과현대 Vol.6 No.-

        『경세유표』에 드러난 다산의 변법적 왕정론은 조선후기 현실에서 극단으로 난무하는 온갖 비리와 인습을 극복하고 왕정(王政)을 구현하고자 한 고차원의 국가개혁론이다. 다산이 『경세유표』와 같은 변법적 경세론을 구상하고 서술하는 데에는 무엇보다도 조선후기의 현실에 대한 구조적 인식이 그 바탕을 이루고 있었다. 다산의 정전제론을 비롯한 부공제론 등의 여러 산업론은 한 마디로, 일체의 중간 농단을 배제하고, 모든 생산자가 전업적으로 자영하면서 국가를 직접 상대하는 생산 주체로 정립되도록 한다는 구상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자기 가정을 기초로 하는 모든 주민들이 각자의 실질을 살려 사회적 국가적으로 성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길들을 모색해 두었다. 그것은 곧 가장 이상적인 생산자 상(像)을 정립해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런 면에서도 그것은 새로운 국가론으로서의 더할 수 없이 큰 역사적 의의를 지닌다 할 것이다. Dasan Jeong Yak-yong(茶山 丁若鏞, 1762~1836)’s Gyeongseyupyo(經世遺表) is the writing that inherited the concept of kingly government(王政, Wang-Zheng), which is continued from 17th century to 18th century by Bangye Yu Hyeong-won(磻溪 柳馨遠, 1622~1673) and S?ngho Yi Ik(星湖李瀷, 1681~1763). The concept of kingly government began with the critical thinking that the reign of ancient china was the most ideal form of government and there had been nothing better than that, and the present government system continued from the founding of Joseon Dynasty had been became so fossilized that expressed many irrationalities and it was only functioning for exploitations. Dasan demonstrated his reforming thought based on the structural recognition of late Joseon Dynasty in Gyeongseyupyo to overcome the whole irrationalities and old customs through the society and to body out the true kingly government into reality. His idea on national industry is to exclude the brokers committing plunder between the primary producer and the government, and to make the primary producer working on their specialized occupations based on the division of labor in all parts of administrations and economies, making possible to be born again as self-supporting subject. This thought established the ideal form of primary producers, which is so meaningful as the new theory of the state.

      • KCI등재

        일반논문 : 경세론에서 본 실학

        ( Seong Yun Kim ) 한국실학학회 2013 한국실학연구 Vol.0 No.26

        이 논문은 조선후기 실학의 경세론을 정치의 개념과 방법, 군주론, 왕정론, 윤리론으로 나누어 그 추이를 정리한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가 새롭게 제기한 주요 논점은 다음의 몇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조선후기의 실학은 서구에 비견하자면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에서 절대왕정에 이르는 시기의 사회구성과 유사한 조선의 상황을 배경으로 나타난 유교적 인문주의의 색채를 띤 근대지향적 정치 · 사상운동이었다. 둘째, 실학 경세론의 발전 과정을 그 내용과 성격, 그리고 그것이 주로 영향을 받거나 준거(準據)로 삼은 경전이나 학술사조를 중심으로 대별하면 대체로 ① 『맹자』의 평균주의(平均主義)와 선부후교론(先富後敎論)에 주목한 단계(이이), ② 『주례』를 국가체제 재건을 위한 이론적 준거로 삼은 단계(유형원 · 이현일), ③ 제자백가나 탈성리학적인 견해들을 실질적으로 참용(參用)하면서 주자학의 경세론을 비판하고 새로운 정치이론을 구축해가는 단계(성호 · 강화학파), ④ 서구 과학이나 철학 및 청대 고증학 등을 활용하는 한편 정치적 적용을 거치면서 새로운 정치이론을 심화하는 단계(후기실학자)로 나눌 수 있다. 셋째, 실학의 연원은 공리적 사고를 기반으로 안민(安民)과 부국강병을 지향하던 두 갈래의 물길, 즉 정전제(井田制) 복구를 중심으로 하는 평균주의(平均主義) 사고와 북인계열의 국가중심의 정치적 사고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두 갈래가 한백겸(韓百謙) 등의 평양 기전(箕田) 연구를 기폭제로 하여 하나로 합쳐지면서 실학은 주자학과 구분되는 조선 나름의 개성있는 경세학으로 등장했다. 넷째, 경세론의 맥락에서 볼 때 실학의 가장 큰 특색이자 장점은 평균주의와 국가주의의 강고한 결합에 있다. 실학이 갖는 평균주의 전통은 국가주의가 갖는 전제성(專制性)을 현격히 완화킴으로써 민본적(民本的) 성향이 강한 조선의 왕정이 전제주의로 흐르지 않고 차후 국민국가로 나아갈 수 있게 할 동력으로 잠재해 있었다. 이것은 조선의 근대화가 서구와 다른 길을 걸을 수 있는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으로, 국가 주도의 근대화를 거친 현재의 상황에 대해서도 새로운 성찰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실학 연구의 시의성을 높일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다섯째, 실학은 성리학이 주장하는 도덕정치론의 한계를 비판하면서 민생 복리를 실질적으로 증진시키는 것을 정치로 이해하였다. 성리학의 도덕적 보편주의에 대비되는 이러한 실학의 현실주의 · 공리주의 정치 개념은 먼저 ‘선부후교론’(先富後敎論)의 형식으로 제기되었고, 이후 정치의 개념에 대한 주희의 명제를 비판하면서 정치와 도덕을 분리해 나갔다. 여섯째, 실학은 정치의 방법에서도 예교(禮敎)를 통한 도덕적 감화를 우선하는 성리학의 입장을 비판하고, 법과 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도기일체론’(道器一體論)을 표방한 것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왕도와 패도를 절충하려는 이러한 실학의 정치방법론은 왕패병용(王覇竝用) · 왕패일도론(王覇一途論) · 관맹상제론(寬猛相濟論) · 교법일치(敎法一致) · 교법상보(敎法相補)의 형식을 통해 확산되었다. 일곱째, 조선후기에 통치체제에 대한 새로운 모색 과정에서 군주권은 그 핵심적 요소로 부각되었고, 존군론(尊君論)은 실학의 공리적 정치관이 발달함에 따라 강화되어 갔다. 존왕론에 의해 새롭게 조명된 ‘신(新)군주’의 상은 군사(君師)라는 형태로 먼저 나타났으며, 곧이어 군주가 도학의 정통을 계승했다는 ‘군주도통론’(君主道統論)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존군의 논리는 이후 군주를 태극 및 상제(上帝)에 비유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절대군주론으로 발전했다. 여덟째, 실학의 왕정론은 다원적 권력을 중앙의 국왕에게 일원화하고 정치적 정통성 또한 국왕이 독점함으로써 이른바 중개세력을 해소하고 국왕의 지배에 복종하는 동질적이고 균등한 국민을 만들어 낼 것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국민국가에 선행하는 절대주의 왕정론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아홉째, 신분제를 부정했던 실학은 사회적 불평등 질서를 옹호하던 오륜의 윤리에 대신하여 『맹자』에 나타난 삼달존(三達尊)을 대안으로 제시했으나, 곧 이어 모든 신민에게 적용되는 통일된 평등 윤리로서 효제(孝悌)를 제시했다. 효제 윤리는 윤휴 등에 의해 이미 제시되었으나 이것을 정치차원에까지 확대하여 크게 선양했던 인물은 영조와 정조였다. 정조의 명덕본심설(明德本心說)을 계승한 정약용은 명덕이 효 · 제· 자(孝悌慈)임을 논증함으로써 그 인간론적 근거를 완성했다. 이 때의 효제는 신분적 · 계급적 지배의 규율로서가 아니라 평등한 개인 상호간에 호혜성 수수의 관계로 재조명된 것이므로 그것이 갖는 사회실천적 의미는 이전과 크게 달랐다. The main points of this thesis can be centered on several points as follows. First, Silhak of the post-Joseon Dynasty, if compare with Western history, was the modern-oriented political and ideological movement float a color of Confucianistic humanism. It came onto the scene in the same situation with the time of the Renaissance and absolutism. Second, Silhak`s progress can be separated as four steps: pay attention to equilibriumism of Mengtzu, make Chou li to standard referred for reconstruction of national structure, criticize orthodox Neo-Confucianism and construct new political theory, deepen new political theory with application of western science and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Third, Silhak`s origin can be finded out two waterway pointes to wealth and military strength of a nation with utilitarian thoughts : equilibriumism and nationalism. These two waterway put together, Silhak came on stage as the individualistic governing theory. Fourth, The most important distinction and merit of Silhak shall be the steady union between equilibriumism and nationalism. The driving force alive in Silhak`s tradition of equilibriumism behind Korean absolutism not let run away into despotism and will develop to the nation-state later. Fifth, Silhak criticized the bounds of Sung Confucianism`s Moral politics, asserted that politics is the seeking to increase the populace`s wealth. These new political notions evolved the ``separation of politics and morality``. Sixth, In reference to the method of politics, Silhak criticized Confucianism`s political theory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aw and institutions. Seventh, The insistence of respect monarch strengthened with Silhak`s utilitarian thoughts. These insistence of respect monarch took an absolute sovereignty theory. Eighth, Silhak`s royal regime theory had gradually taken on a character of the absolute monarchy theory. King Youngjo(英祖) and Jeongjo(正祖) presented Hyoje(孝悌) as the moral foundation for the absolute monarchy. Ninth, In the beginning Silhak presented Maengja`s Samdaljon(三達尊) instead of Oryun, soon afterwards presented Hyoje(孝悌) as the unified equality ethics. Who enhanced Hyoje(孝悌) ethics was King Youngjo(英祖) and Jeongjo(正祖). The Social practice meanning of Hyoje ethics was different from former times because it was recounted thing not the social standing domination discipline as the mutual benefits relationship between equal persons.

      • KCI등재

        정조의 경세론과 효제(孝悌)윤리

        김성윤 ( Seong Yun Kim ) 한국실학학회 2012 한국실학연구 Vol.0 No.23

        이 논문은 정조 경세론의 주요 측면들을 통하여 조선후기 실학의 전개 과정에서 정조가 차지하는 위치를 가늠해 본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가 제기한 주요 논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정조는 이기론에서 주희나 이황과는 달리 理를 氣의 내재법칙으로 축소시킴으로써 리가 갖는 先在性·초월성·규범성을 외면했다. 정조의 이러한 주기적 이기관은 그의 근본적 시각이 경험적 현실에 있음을 보여준다. 그가 실학자들이 주장해 온 ``道器一體論``을 계승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둘째, 정조는 인성론에서 ``性卽理``라는 주자학의 기본 명제를 부정하고, ``性卽氣``를 주장했다. 아울러 맹자의 성선설에 대해서 性=四端이라는 도식을 부정하고, 사단을 元亨利貞의 四德으로 고쳐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性四德說을 제기했다. 이러한 주장들은 그가 선험적인 원리나 윤리보다는 경험적 현실과 욕구 속에서 인간을 이해하고, 현실의 변화에 맞추어 새로운 사회원리와 윤리를 모색하려 했다는 점을 대변한다. 정조의 이기론과 인성론은 주자학의 정설에서 크게 이탈해 있었다. 셋째, 그는 도교, 불교, 양명학, 서학 등 제반 이단적 학문에 대해서 개방적인 자세를 취했다. 이러한 그의 학문적 개방성은 학문적 권위가 권력적 목적에 이용되는 것을 차단하고, 진정한 학문적·정치적 실익을 추구한 데에 자연히 뒤따르는 현상이었다. 넷째, 정조는 군주가 수신을 바탕으로 명분질서의 모범을 보이고 실제 정치에 관여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는 수신군주론이나 군주성학론의 도그마에서 탈피했다. 이에 따라 그의 통치 방식도 풍속을 돈독히 하는 禮敎的 방식에 치중하지 않고 제도 개혁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접근방식을 보였다. 다섯째, 정조는 영조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정치적 준거를 三代之治 혹은 堯舜之治에 두었다. 그러나 그가 이해한 요순은 은둔적이고 수련적인 철학자의 모습이 아니라 세속적이고 권력적인 정치가였다. 이처럼 그는 ``무위에서 유위로`` 정치 개념과 군주의 역할을 새롭게 이해했으며, 君師로 자처하면서 의리 판별의 권한이 임금에게 있음을 주장한 영조의 정책을 계승했다. 그의 지지자에 의해 국왕이 사문의 도통을 계승했다는 ``君主道統論``이 제기되는 속에서 마침내 자신을 太極에 비유함으로써 자신이 天 혹은 上帝라는 절대군주론을 피력하기에 이르렀다. 여섯째, 정조의 군주론은 중개세력의 매개 없이 군과 민이 직접 소통하는 2단계 정치구조를 지향했다. 그는 이러한 절대왕정을 지탱할 통일된 사회윤리로서 孝悌를 제시하고, 太學序齒를 통해서 이를 시험적으로 실행했다. 태학서치는 군주 이외에 모든 臣民을 하나로 보고, 신민 사이에서는 신분이나 직업이 아닌 나이를 우선시하는 새로운 계서윤리를 선도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실학이 추구하는 새로운 왕정이 결코 이론적 수준에 머무르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일곱째, 정조가 추구한 절대왕정은 국가를 家의 類比 내지 확장으로 보는 유교의 家族國家와 외연상 별 차이가 없어 보이나, 국가권력의 정당성을 도덕보다는 백성의 행복 증진에 두고 국가사회의 결속원리를 인간에 내재한 도덕심이 아니라 개인의 주체적 개별적 연계 속에서 모색했다는 점에서 종래의 유교적 왕정론과는 질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여기에는 차후 근대국가론의 형성으로 나아갈 수 있는 소지가 다분했다. 여덟째, 실학사상의 한말 민중운동으로의 전유와 관련하여 정조의 역할이 있었을 가능성을 지적하였다. 그의 주역 연구와 文王에 대한 특별한 관심은 한말 민중운동에 크게 영향을 끼쳤던 후천개벽설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The main points of this thesis can be centered on several points as follows. First, Jeongjo emphasized that I(理) is the inherence rule of Gi(氣). These Jugijeok Igi-gwan(Gi-centred Philosophy of I and Gi) shows that his fundamental viewpoints focus on an empirical actuality. Second, In theory of human nature, Jeongjo contradicted seong-jeung-ni(性卽理. nature is based on i which is innate in all creatures) and advocated seong-jeung-gi(性卽氣. nature is based on gi). And he advocated that human nature is saduk(四德. the four virtues), not sadan(四端. the four beginnings). Third, Jeongjo had opened up towards the unorthodox. His academic openness was the phenomenon following his utilitarianism. Fourth, Jeongjo`s ruling methods had attached importance to effectiveness of system, not convert. Fifth, He had made the way of the sage King Yao and Shun(堯舜之治) as his political authority. He emphasized that he himself is taegeuk(太極. Great Ultimate). This meens he had announced the absolute monarchy. Sixth, He presented Hyoje(孝悌. filial piety and friendship) as the moral foundation for his absolute monarchy, and practiced it with Taehakseochi(太學序齒). Seventh, There is a possibility that Jeongjo had a influence on the theory of hucheongaebyeok(後天開闢. Great Transformation for the world after the creation of heaven). This related with the Silhak(實學)`s transformation to the popular movement at the close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사서(四書) 해석을 통해 본 정약용의 정치론

        이봉규 ( Bong Kyoo Lee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5 다산학 Vol.- No.7

        In recent days two arguments that Tasan`s political ideas intend to reinforceing the sovereign power have been suggested. One justifies it by analysing Tasan`s ideas about the sovereignty reflected in his discourse on Li(禮). The other justifies it by re-interpretating Dasan`s political idea reflected in his discourse on the reformation of ruling system as a type of positive kingly rule. These two argument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reading the indications of modernity from the Tasan`s political ideas. This essay is a counterargument against these two assertions. In reconstructing a Confucian theory of ruling system, Tasan eliminates the non-Confucian and anti-practical ideas that Chu Hsi employed in order to construct Neo-Confucian theory from Buddhism and Taoism. When Tasan criticizes the interpretation of Chu Hsi on the concept of `doing nothing`(無爲), and reinterpretates the concept of `the central kingship`(洪範), Tasan`s interest is not in strengthening the sovereign power, but in making Confucian theory of ruling system more practical. Tasan`s discourse on the controversial issues of `Rites Debates`(禮訟) shows that he justifies his argument according to `the confucian principle of community construction`(宗法). All of these points have nothing to do with the concept of modernity. Therefore, Tasan`s political idea of ruling system should be re-examined and researched further in relation to the context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ast-Asian thoughts instead of the preconception of the step to modernity.

      • KCI등재

        다산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전망 - 근대론의 시각을 중심으로

        이봉규 ( Bong Kyu Lee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5 다산학 Vol.- No.6

        This paper analyzes the recent outcomes of research by first, dividing the topics into biography, philosophical thought, classical studies, ritual studies, and administrative studies, and second, reviewing the moot point of each topic, and finally, proposing questions and further suggestions.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1) As far as Tasan`s writings are concerned, the process and dates of Tasan`s writings and of his posthumous writings, whether hand-copied or printed, are not clarified. The project of accumulating Tasan`s original writings cannot but fail without first clarifying this process. 2) In order to elucidate the developmental procedure of Tasan`s philosophical system, it should be examined in detail Sung-ho School`s response to Western Studies as well as changes in Chinese thoughts during Ming and Qing dynasties. 3) Since the beginning of 90`s,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asan`s classical studie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administrative mind of King Jung(Jung-jo). The popular conclusion that Tasan`s views on administrative studies are slanted toward strengthening the sovereignty does not seem to have a strong line of reasoning. 4) So far as the argument that Tasan`s ritual studies tends to strengthen the royal power is concerned, there are two counter arguments. One is that Tasan`s main objective was to criticize the ritual studies after Han dynasty and to revive the original viewpoint of Confucius and Mencius(Jang Dong-woo). The other is that Tasan`s ritual studies not only have the aspect of strengthening the royal power but also the aspect of constraining the abuse of power(Park Jong-chun). Each of these counter arguments, however, cannot but limited, for it is based on a particular writing of Tasan. To uncover Tasan`s real attitude toward state affairs, a comprehensive research on Tasan`s writings relating to ritual studies should comebeforehand. 5) Regarding the character of Tasan`s administrative studies, which has been portrayed so far as the awakening stage of mdernity, two opposing viewpoints appear. One interprets that Tasan`s administrative studies do not contain in itself the essence of modernity, but in its attempt to synthesize disintegrating traditional systems, signs of what could be seen as the seed of modernity can be detected. The other is that Tasan`s state-community centered administrative studies were not a step to modernity, but a way of reforming the whole political structure that had been degenerated by premier-centered leadership. These researches, nevertheless, show a rather biased approach toward Neo-Confucianism; that is, they see Neo-Confucianism only from the aspect of sage-learning or of nature-mind theory, and tend to overlook the pre-modern aspect of Practical Learning scholars such as ritual studies. It reveals that they cannot unfetter themselves from premise that Tasan`s administrative studies are the step to modernity. All of these points are to be re-examined and researched further, without preconception of “step to modernity.” In order to re-interpret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ast-Asian thoughts, it is urgently required to have a new perspective on human-community.

      • KCI등재

        조선 性理學과 實學의 역사적 연관

        김태영(Kim Tae Yeong)(金泰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3 泰東古典硏究 Vol.19 No.-

        From the standpoint of view of Silhak (實學) all the systems of government after Three ancient dynasties (三代) including the principle of royal ancestor(祖宗之法) was regarded as degenerate and as expressive of egotistic avarice of the ruller. So Silhak found their ideal model of government system not in the neo-Confusianistic government system but in the rule of ancient sage kings and proposed an alternative system of government to realize it. Silhak tried to read Confucian Classics in a radical way stressing positive aspect of human mentality, which is through of a interpretation of good originality establishing a new concept of man through the denial of conservative one. Also finally Silhak reached the conclusion that history would progress. Their progressionism was inferred from the insight that technology in all the field of human society would progress according to increased complexity of human society through continual intercommunications. Silhak is explained to hold a strong conviction that historical progression is determinate. We cannot conclude that their theory of national reform was practically applicable in their time, but their theory was historically significant because it invented the alternative system of government guaranteed by objective and distinct standard for its actualization. Their theory on nation and a government is accepted as more advanced one than befo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