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가 주도 젠트리피케이션의 신화 - 젠트리피케이션의 개척자로서 예술가 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강지선 ( Kang Chiso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미디어학회 2021 예술과 미디어 Vol.20 No.1

        일반적으로 예술가는 젠트리피케이션의 개척자(pioneer)로서 인식되었다. 집값이 싸고, 쇠퇴한 동네에 들어온 예술가들이 지역을 창의적인 명소(名所)로 전환하는 선구자 역할을 함으로써 부동산 가격을 높이고 기존 거주자들의 전치(displacement)를 촉발하였기 때문이다. 예술가가 젠트리피케이션의 개척자 혹은 선구자로서 묘사되는 ‘예술가 주도 젠트리피케이션(artist-led gentrification)’은 젠트리피케이션의 지배적인 유형이자 자연스럽고, 당위적인 ‘신화’로서 작용해왔다. 그러나 젠트리피케이션 담론에서 예술가의 역할은 논쟁 중에 있으며, 예술가의 개척자 이미지에 대한 의문에도 불구하고 개척자 신화는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젠트리피케이션에 있어서 예술가의 역할에 대해 재고함으로써 예술가주도 젠트리피케이션의 신화에 비판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젠트리피케이션의 주요 문헌들에서 예술가 이미지의 재현과 맥락을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이 연구는 만연한 개척자 이미지에 의해 묻혔던 젠트리피케이션의 공모자, 희생자로서의 예술가뿐만 아니라 저항가로서 예술가에 관한 연구들을 재발굴하려 한다. 요약하자면, 예술가의 역할과 맥락의 복합성을 고찰하는 본 연구는 젠트리피케이션의 개척자로서 예술가에 대한 탈신화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젠트리피케이션 문헌 속 예술가들은 개척자 외에 공모자, 희생자, 저항가로서 다층적이며, 양가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재현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 도시 이데올로기는 예술가를 개척자로서 신화함으로써, 의도적인 젠트리피케이션을 예술가에 의한 자연스러운 도시화의 과정으로 대체하려 한다. 예술가의 개척자 신화는 공간의 고유한 이미지와 정체성을 구축하고, 젠트리피케이션을 정당화하기 위한 시장 중심의 도시 정책과 깊은 연관이 있다. 반면 저항가로서의 예술가들은 안티-젠트리피케이션 행동주의에 참여함으로써 개척자신화와 젠트리피케이션의 당위성, 지배적인 도시 공간과 사회질서에 도전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변화의 동력으로서 예술적 저항과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젠트리피케이션 과정에 있어 예술가의 복잡하고, 다변적인 역할을 드러내는 동시에 대항-헤게모니적 예술 실천의 의미를 발견함으로써 젠트리피케이션과 예술가간의 일반화된 신화적 관계를 전복하는데 있다. Generally, artist is perceived as a pioneer of gentrification; The incoming artist in a cheap and decline neighborhood has played the role as a frontier to transform the area into a creative attraction. This has caused the property price rises and the displacement of previous residents. Artist-led gentrification, which describes artist as a pioneer or frontier, has been a dominant gentrification form; It works as a natural and an inevitable ‘myth’. However, the roles of artists in the gentrification discourse are in contestation. And the artist’s image as a pioneer is in questions as well. But the myth of the artist as a pioneer has persiste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myth of artists-led gentrification by reconsidering artist’s role in gentrification process. This study explores the representation of the images of artists and their contexts from the major gentrification literature. Especially, this study revisits the literatures on artist as a complicit, a victim as well as a protester. These images of artists are buried due to the prevalent image of artist as a frontier. Briefly, this paper that examines the complex roles of artists and contexts, is an attempt to demystify the artist role as a pioneer of gentrification. In the literature, artists are represented playing complex and ambivalent role as a complicit, a victim, a protester as well as pioneer. Nevertheless, capitalist ideology mystify artist as a pioneer to replace an intended gentrification by a natural urbanization process. The myth of artist as a pioneer is deeply related with market centered urban planning to construct the authentic image and identity of a place. On the contrary, artists as protesters challenge the myth of the artist as a pioneer, the inevitability of gentrification, the dominant order of urban space and society by participating anti-gentrification activism. Therefore, we need to focus on artistic resistance and it’s possibility as an agent of social change. The signification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omplex and changing roles of artists in the gentrification process. This paper also provides a way to subvert the perceived myth of gentrification and artist’s relationship by discovering the implications of counter-hegemonic art practices.

      • KCI등재

        근대 장애예술가의 조망과 의의

        정창권(Jeong, Chang-kwo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한국고전연구 Vol.0 No.37

        세계적으로 유명한 예술가 가운데에는 장애를 가진 인물들이 의외로 많았다. 물론 우리나라에도 장애예술가들이 역사적으로 상당히 많았다. 조선시대엔 문인, 화가, 음악 등 많은 장애예술가들이 계속해서 출현했고, 근대에도 필자가 발굴해낸 인물만 해도 무려 13명 가량이나 되었다. 특히 근대 장애예술가 중에는 유독 그 이름 앞에 ‘최초’나 ‘최고’라는 수식어가 붙은 경우가 많았다. 그만큼 당시 장애예술 가의 활동이 선구적이고 뛰어났던 것이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근대 장애예술가에 대해 본격적으로 연구된 적은 전혀 없었 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들의 출현배경, 즉 근대 장애인의 삶과 사회적 처지를 간략히 파악한 뒤, 필자가 새롭게 발굴해낸 근대 장애예술가들을 작가와 화가, 음악가 등으로 나누어 차례대로 살펴보았다. 특히 본고에서는 근대 장애예술가를 최대한 발굴하여 그들의 예술가로서의 성장과정과 예술적 성취를 소개했다. 그런 다음 끝으로 근대 장애예술가의 특징과 의의를 종합적으로 지적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 했다. 근대 장애예술가들은 어린 시절에 입은 장애에도 불구하고 피나는 노력으로 문학, 미술, 음악 등 다양한 예술 분야로 진출했으며, 이후 암울한 시대상황 속에서 예술 활동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고 사회적 자아를 실현코자 했다. There were many people with disabilities among the world-famous artists. Of course, there were many disabled artists in our countr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appeared many disabled artists, such as writer, painter, musician, and so on, and I found that there were about fifteen disabled artists in modern history. Especially, disabled artists in modern history were often labeled the first or the best modifier. It means that activities of modern disabled artists were pioneering and excellent in those days. Nevertheless, no one had studied modern disabled artists in earnest. So I found out their background of appearance, the lives of modern disabled artists and social situation in this paper. And I divided the modern disabled artists into writer, painter, musician and other characters, and I have studied them in order. Above all, this study is to the first to attempt to research the modern disabled artists. Therefore, I have progressed discussion in the way that I have outlined and introducing faithfully their lives and achievement, after searching for a lot of the people involved. And then I substituted for conclusion by pointing out a comprehensive features and their meaning of modern disabled artists. Despite the disorder in childhood, the modern disabled artists entered various pieces of arts, such as literature, painting, music, film, story and so on. And then, through the work of arts in gloomy society, they tried to communicated with the world and turn the social self-realization. Thus we need to remember not only a famous disabled artists in the West but also the modern disabled artists of our country.

      • KCI등재

        무라카미 타카시의 미술계 구조개혁: 예술가의 생존 문제를 중심으로

        박소현 미술사학연구회 2022 美術史學報 Vol.- No.59

        The existing evaluation of Takashi Murakami was formed around two axes: commercial success and critical/artistic value, and these two axes have been regarded as sharply opposed. However, Murakami himself did not see the two as conflicting or incompatible. As he entered the art world as an artist, the speculative nature of the art market accelerated, and the Japanese art world was in crisis as the Japanese bubble economy collapsed under the power of globalization, which forced Murakami and contemporary artists to experience an unprecedented survival crisis. Although the issue of artist’s survival become a critical one penetrating the art market and artistic value, the mainstream art world in Japan was almost indifferent to it. As such, even in criticism or research on artists like Murakami, the artist’s survival was rarely mentioned.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reexamine Murakami’s thoughts and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that it is impossible to evaluate Murakami’s commercial success or artistic achievement without discussing the artist’s survival problem. Rather than hastily condemning Murakami as a commercial artist, I wanted to scrutinize more carefully how the global art market changed the conditions of artist’s survival and commercialized art world, and how artists thouhgt and acted in such a market. To this end, I examined more extended artistic activities rather than analyzing Murakami’s works. This encompasses Murakami’s omnidirectional activities, that is, as an artist, curator, writer, critic, art educator, entrepreneur, etc., and includes Murakami’s remarks made through various media. By doing this, I tried to reveal that he has seriously questioned the survival of the artist as a collective subject, not as an individual, and practiced structural reform the art world in multifaceted ways under the conditions of globalization and structural changes in the art market. 무라카미 타카시에 대한 기존의 평가는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예술적 가치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이 두 축은 첨예하게 대립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정작 무라카미 본인에게 이 양자는 상충하거나 양립불가능한 것이 아니었다. 그가 예술가로서 현대미술계에 진입하는 시점에 미술시장의 투기적 속성은 더욱 심화되고, 세계화의 위력 하에 일본 버블경제가 붕괴하면서 일본 미술계도 위기에 봉착해 있었으며, 그로 인해 무라카미와 동세대 예술가들은 전례 없는 예술가의 생존 위기를 경험해야 했다. 그러나 예술가의 생존 문제가 미술시장과 예술적 가치를 관통하는 중대한 사안이 될 수밖에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주류 미술계는 예술가의 생존 문제에 무관심했다. 그런 만큼 무라카미와 같은 예술가들에 대한 비평이나 연구에서도 예술가의 생존은 거의 거론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예술가의 생존 문제를 논하지 않고 무라카미의 상업적 성공이나 예술적 성취를 평가할 수 없다는 관점에서, 무라카미의 생각과 활동의 궤적을 새롭게 살펴보려 했다. 이는 무라카미라는 예술가 개인을 상업적 예술가라는 평가로 성급히 단죄하기보다, 글로벌 미술시장이 예술가의 생존 조건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어떻게 미술을 상품화하고 착취하면서 성장하는지, 그러한 시장 내에서 예술가들은 어떠한 입장을 갖고 활동하지를 보다 면밀하게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무라카미의 작품분석보다는 보다 확장된 예술활동을 대상으로 삼았다. 이는 무라카미의 전방위적 활동, 즉 작가, 큐레이터, 저술가, 비평가, 미술교육자, 기업가 등으로서의 활동반경을 아우르고,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진 무라카미의 발언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무라카미가 ‘현대미술계에서 예술가는 어떻게 생존할 것인가’라는 질문과 해법에 줄곧 몰두해 왔으며, 무라카미가 예술가 개인을 넘어 예술가 일반이라는 집단적・집합적 주체의 생존을 본격적으로 문제화하고, 미술계의 구조개혁을 다방면으로 실천한 예술가였음을 밝히고자 했다.

      • KCI등재

        예술가의 권리보호를 위한 법체계

        황승흠(Hwang Seung Heum)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7 法學論叢 Vol.24 No.2

        이 글의 출발점은 예술계 블랙리스트 사태의 재발방지를 위해서는 예술법제에 예술가의 권리보호라는 새로운 체계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는 데에 있다. 먼저 제기되는 질문은 왜 예술가의 권리보호를 특별히 해야 하는가이다. 우리는 그 답을 헌법의 문화국가 원리 또는 문화지향에서 찾아 볼 것이다. 이 글에서 그동안 방치되었던 또는 제대로 인식되지 못했던 헌법 제22조 제2항이 정하는 예술가의 권리보호 조항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해보고자 하였다. 이것의 사회적 동력은 직업 범주로서 예술가가 등장했다는 점이다. 헌법 제22조 제2항은 직업 범주로서 예술가 시대에 예술가의 권리에 대한 헌법적 보호를 선언한 조항으로 다시 읽힐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법률로써” 보호되는 예술가의 권리는 헌법이 보호하는 권리라는 시각에서 다시 볼 수 있다. 이러한 헌법적 프레임에서 보면 「예술인 복지법」의 불공정행위 금지제도와 「대중문화예술산업 발전법」의 대중문화예술인 보호, 그리고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의 영화근로자조합 조항은 “법률로써” 예술가의 권리를 보호하는 헌법 제22조 제2항에 기초한 것으로 이해 할 수 있다. 예술의 자유의 제3자적 효력이라는 관점에서 예술가가 주체가 되는 예술 활동의 보호에 관한 것, 정부의 예술지원에서 있어 차별금지에 관한 것, 예술사업자의 불공정행위 금지제도를 확장하는 것, 예술가조합을 도입하는 것 등은 헌법 제22조 제2항에 따라 법률로써 보호될 필요가 있는 예술가의 권리라 할 수 있다. 이를 묶어서 “예술가의 권익보장에 관한 법률”을 제정한다면 예술계 블랙리스트 사태의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논의에 방점을 찍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starts with the need to add a new system of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rtists to the arts legisl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the artistic blacklist situation. The first question that arises is why should we protect the rights of artists specifically. We will look for the answer in the cultural state principle or cultural orientation of the Constitution. In this article, the author tried to give a new meaning to the provision of the rights of the artist as defined by Article 22 (2) of the Constitution which had been neglected or not properly recognized. The fact that an artist has emerged as a profession is the social power of giving a new meaning. Article 22 (2) of the Constitution can be re-read as a provision that declares the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n artist in the artist s era as a profession. We can look at the rights of artists protected “by law” at this point. The prohibition of unfair acts by the art businessman in the Act on the Welfare of the Artist, the union of film workers in the Act on the Promotion of Movies and Videos and the Promotion of the Popular Culture and Arts Industry are intended to protect the rights of artists by “law” in this constitutional frame New meaning can be given. The contents of the rights of an artist protected by law include the protection of the artistic activity of the artist from the viewpoint of the third party effect of freedom of art,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in the arts support of the government, expanding the prohibition of unfair acts by the art businessman, and introducing an artist union. It is expected that if “the Act on Ensuring the Rights of Artists” will be enacted by bundling them, the institutional discussion for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the artistic blacklist situation will be taken.

      • KCI등재

        예술가 창업지원 정책 개선 방안 연구

        강주희,최나영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3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way to promote artist startup. Through conceptual understanding of artist startup, its characteristics are defined. Then, the domestic and foreign support systems for artist startup are analyzed with implications. Based on that analysis and implications, interviews and policy seminar were conducted. In result, firstly, a basis for the direction, object selection, contents, and methods of supports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clear definition of artist startup. To achieve this, in-depth discussions should be made about the value and vision of the artist startup through discovering examples of successful artist startup and monitoring its process.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support system for each phase of the startup process: Artists’ awareness on startup for the phase of education and training, diverse platforms for ideas sharing for the phase of creating ideas, the strategies based on art sectors and art making processes for commercialization phase, and failure analysis and further supports for rechallenge phase. Third, steady and stable support projects should be implemented along with workers having business experiences and follow-up measures and management after support should be organized. Forth,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agencies, efforts will be made to expand the support system and extend the support system through active promo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general startup support systems. 본 연구는 예술가 창업지원 정책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예술가 창업의 개념적 정의를 통해 예술가 창업의 특성을 살펴보고, 국내외 예술가 창업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해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 면담과 정책 세미나를 통해서 예술가 창업지원 정책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예술가 창업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통해서 예술가 창업 지원 제도의 방향, 대상 선정, 지원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성공적인 예술가 창업 사례 발굴 및 창업과정 모니터링을 통한 예술가 창업의 가치와 비전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창업 단계별 지원 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 교육·훈련 단계에서는 창업에 대한 예술가들의 인식 개선과 시장 형성을, 아이디어창출 단계에서는 아이디어 공유를 위한 다양한 플랫폼 구축, 사업화 단계에서는 예술분야의 특성 및 창작 과정에 따른 지원을 다양화, 재도전 단계는 창업의 실패와 장애요인 분석에 대한 연구 및 추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안정적인 예술가 창업 지원 제도를 구축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풍부한 실무 경험을 갖춘 실무자를 양성하고, 지원 후 후속 조치와 관리를 체계화한다. 넷째, 기관 간의 소통으로 통해서 지원 제도를 체계화하고, 적극적인 홍보와 일반 창업 지원정책와의 연계를 통해서 지원정책을 확대해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예술가로 성장하고 지속하는 과정과 유형*: 예술 진로 교육 활용을 위한 근거 이론적 분석

        김화성,김현하,박수홍,강주현 한국예술교육학회 2023 예술교육연구 Vol.21 No.1

        이 연구는 부산 지역에서 활동하는 예술가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삶에 나타난 특징과 예술가로서 성장하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했다. 또한 이들 예술가의 활동을 어떻게 유형화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예술가들은 어릴 적 개인적 재능을 인정받거나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문화예술가로 살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들은 활동 과정에서 경제적 어려움 등을 겪으며 예술가로서 삶을 지속하기 위한 내적 갈등에 부딪힌다. 하지만 이들이 가지고 있는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으로부터 어려움을 내적 갈등을 극복하는 원동력으로작용하였고, 외적 갈등의 대표 격인 경제적 자립을 위한 준비 등을 하게 된다. 문화예술가로서의 활동은 경험의 증폭, 낯선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태도, 지속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예술가들 삶의 과정은 학생들에게 예술가의 세계를 이해하고, 진로로서 예술가를 준비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염상섭 소설의 예술가 표상 연구 -「사랑과 죄」,「모란꽃 필 때」를 중심으로-

        선민서 ( Min Seo Seon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5 No.-

        「사랑과 죄」, 「모란꽃 필 때」는 염상섭이 식민지 조선에서 예술가로 산다는 것의 정치·사회적 의미를 질문하는 식민지형 예술가소설이다. 「사랑과 죄」와 「모란꽃 필 때」에서 조일(朝日) 예술가의 관계는 사제(師弟) 관계의 형식으로 표상된다. 근대미술의 이식에 따른 식민화단의 형성은 제국 일본/식민지 조선의 불균형한 위계를 바탕으로 했다. 염상섭 소설의 조일(朝日) 예술가가 사제관계로 표상되는 저변에는 제국/식민지 예술 사이의 낙차가 존재한다. 염상섭의 소설 「사랑과 죄」는 식민지 조선에서 서양화단이 형성기에 있었던 시기에 발표된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조일(朝日)의 예술가들은 낭만주의적 의미의 예술가(artist)가 아닌 문사(文士)의 형식으로 표상된다. 반면에 1930년대작 「모란꽃 필 때」에 이르러 조일(朝日)의 예술가는 낭만주의적 예술가(artist)의 형상으로 주조된다. 「모란꽃 필 때」에 이르러 미술가라는 직업은 가난이라는 기표와 연관을 맺으며, 무일푼의 상태로 자신의 예술 세계에 전념하는 낭만적 예술가 형상이 나타난다. 「사랑과 죄」와 「모란꽃 필 때」에 나타나는 예술에 대한 묘사에서 특징적인 점은 두 작품이 모두 ‘동경미술전람회’라는 기표를 소환하고 있다는 점이다. 염상섭은 식민지 조선의 예술가들을 그려내며, 그들이 자신의 예술 세계를 인정받는 정점에 동경미술전람회를 배치한다. 이는 예술가로 서의 미적 성취를 인정받기 위한 최상의 선택지가 제국 미술계로의 진출일 수밖에 없었던 식민지 예술가들의 불우한 운명을 보여준다. 제국미술의 장(場)에 노출된다는 것은 제국 권력의 시선을 학습하고 내면화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피식민자를 검열하고 포섭하려는 제국/식민 권력의 작용 속에서도 식민지 조선의 예술가들은 내파의 지점들을 마련해왔다. 염상섭의 장편소설 「사랑과 죄」, 「모란꽃 필 때」는 식민지 조선의 예술가로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를 탐색한다. Yeom Sang-Seop``s novel Love and Sin, When the Peony Blooms which publish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n be named ``colonial artist novel`` which raised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does it mean living as an artist in colonial Joseon?``. In Love and Sin and When the Peony Blooms,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s artist is represented as master-pupil relations. The formation of Colonial art world which was driven by transplanting the western modern art on Joseon is based on unbalanced hierarchy between Empire Japan and Colonial Joseon. In Love and Sin the late 1920s artworks published in a formative period of western painting art system, artist in Joseon and Japan are both represented as a ``literary man`` rather than a romanic sense of ``artist``. However in When the peony blooms the early 1930s artworks published in the periods after the exhibition system is established, Japanese master Bang-Cheon-Chu-Su and Korean(Joseon) pupil Kim-Jin-Ho are represented as a romantic sense of artist. In When the peony blooms, a career visual artist is related to a signifier of ``poverty`` and finally ``a poor artist features`` are completed. Artists in Joseon were to fall into financial hardship and the only way they can get recognized as an career artist is to gain the official approval from the empire of Japan. However it meant that they should learn and internalize the point of view of the empire. Yeom Sang-seop``s artist novel shows us the following: To live as an artist in colonial Joseon, they had to consistently come up with point of implosion against the empire/the colonizer which try to oppress and sensor the colonial/colonized.

      • KCI등재

        예술로서의 시, 예술가로서의 시인- 조정권 시에 나타난 예술가적 자의식을 중심으로 -

        강호정 배달말학회 2020 배달말 Vol.66 No.-

        The statement that poetry is art and poet is an artist seems natural. However, the self-consciousness of 'poetry as an art and poet as an artist' is only revealed by some poets in our modern poetry, but it is not revealed much.,This thesis is about Jo Jung-gwon's poem, one of the representative poets who are strongly revealing the artist's self-consciousness in Korean modern poetr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artistic self-consciousness of his poems and poets, and to examine the manifestation of the perception of artists and works of art. Chapter 2 of this thesis examined the poet's universal perception of art and the artist itself. Poems such as 「Dokrakdang(獨樂堂)」, 「Cosmos」, and 「Awl Eye(송곳눈)」 were targeted. The attitude as an artist in these poems is the basis of the poet Jo Jung-gwon to live as a spiritual being. Chapter 3 looked at the poet's self-consciousness about 'poetry as art'.Through poems such as 「Blank1(白紙1)」, 「Killing the Blue(殺靑)」, and 「Graveyard on Mountaintop11」, it was confirmed that poetry is not a creative activity as a literary act, but a poetry art and it is a thought process of the spirit that seeks an ontological origin. Chapter 4 looked at self-consciousness about 'a poet as an artist'. I was able to identify the aspect of a monk-like artist through the poems of 「The Seven Forms of Mind Looking at the Rain」, 「The Fundamental Thoughts」 and 「I try to put myself to sleep」 Through his poems, Jo Jung-gwon has pursued a "spirit" with self-consciousness as an artist. The spirit could be narrowed down to the spirit of an artist. He lived as an artist. And what he was trying to express was the sacredness of the object rather than the content of the expression. From the awareness that poetry is art, his poetry confirms that it is a departure. 시는 예술이고, 시인은 예술가라는 진술은 당연해 보인다. 그러나 그 당연해 보이는 진술의 역술(逆術)로서 ‘예술로서의 시와 예술가로서의 시인’에 대한 자의식은, 우리 현대시에서 몇몇 시인에게서만 드러날 뿐, 크게 드러나지 않는다. 이 논문은 한국 현대시에서 예술가의 자의식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는 대표적인 시인 중의 한 명인 조정권의 시를 대상으로 시와 시인에 대한 예술가적 자의식을 살펴보고, 예술가와 예술 작품에 대한 인식의 발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독락당」, 「코스모스」, 「송곳눈」 등의 시를 통해 예술과 예술가 자체에 대한 조정권의 보편적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들 시에서 보여준 예술가로서의 태도는 정신적인 존재로 살기 위한 조정권 시인의 밑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3장에서는 ‘예술로서의 시’에 대한 조정권의 자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백지1」, 「살청(殺靑)」 등의 시를 통해 조정권의 시가 단순한 문자 행위로서 창의적 활동이 아니라, 시가 예술이고 그것은 곧 존재론적 근원을 찾아가는 정신의 사유 과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예술가로서의 시인’에 대한 자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비를 바라보는 일곱 가지 마음의 形態-일곱」, 「밑생각들」, 「山頂墓地 11」 등의 시편을 통해 수도자적인 예술가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조정권은 자신의 시세계를 통하여 예술가로서의 자의식을 지니고, 하나의 ‘정신’을 추구해왔다. 그 정신은 예술가 정신으로 좁혀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예술가로 살았고, 그가 표현하고자 한 것은 표현의 내용보다는 대상이 지니고 있는 신성성이었으며, 무엇보다도 시가 예술이라는 자각에서 출발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미술치료 연구에서 예술가의 작품 속 치료요인 분석에 대한 동향 분석

        안미예,한영희,남현우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24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최근 23년간 국내에서 발표한 미술치료 연구논문에서 예술가의 작품 속 치료요인 분석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연구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23년까지 연구된 예술가의 작품 분석에 관한 미술치료 학술지 77편 중 연구 목적에 적합한 69편을 연도, 예술가, 연구 관점, 연구 매체, 연구 주제, 연구의 치료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도별 동향은 23년 동안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2006년부터 연구가 급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예술가를 미술사조의 흐름에 따라 살펴보면 남성 예술가는 표현주의가 16.4%, 여성 예술가는 근현대가 12.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분석 관점 동향을 살펴보면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진행되는 연구가 26.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매체 동향은 회화, 자화상 등의 2차원 매체가 72.1%로 가장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주제 동향은 미술치료, 미술의 치료요인, 색채심리, 트라우마, 죽음과 관련된 주제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주제어의 내용은 예술가들이 정신적·심리적 어려움을 작품활동을 통해 치료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여섯째, 예술가가 작품활동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치료요인이 87.1%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특히 예술가들은 작품활동을 통해 ‘승화’와 ‘카타르시스’를 주로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외에도 예술가의 작품을 감상하는 감상자도 예술가처럼 치료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술가의 작품 속 치료요인을 분석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 치료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정리하고 이후 다양한 방향으로 미술치료의 연구가 진행될 기초자료를 제공한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예술가들의 작품이 가지는 치료요인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향후 감상자가 경험할 수 있는 치료요인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the analysis of therapeutic factors in artists' works in art therapy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 over the past 23 years, and proposed the direction of where art therapy research should be heading based on the results. To this end, among the 77 art therapy journal articles on the analysis of artists' works studied from 2001 to 2023, 69 articles suitable for the research purpose were analyzed by year, artist, research perspective, research medium, research topic, and treatment factors of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trends by year show that research has continued for 23 years, and that research has increased rapidly since 2006. Second, when looking at artists according to the flow of art trends, expressionism was the highest among male artists at 16.4%, and modern and contemporary among female artists was highest at 12.9%. Third, looking at the trend of the analysis perspective, it was found that 26.1%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Fourth, research media trends showed that two-dimensional media such as paintings and self-portraits were the most studied at 72.1%. Fifth, the research topic trends were in the order of art therapy, art therapeutic factors of art, color psychology, trauma, and death-related topics. The content of these key words shows that artists are treating ment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rough work activities. Sixth, the most common therapeutic factors experienced by artists through their work, accounting for 87.1%.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artists mainly experienced 'sublimation' and 'catharsis' through their work activit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viewers who appreciate an artist's work also experience therapy effect just like the arti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ystematically analyzed and organized the therapeutic factors in papers that analyzed the therapeutic factors in artists' works, and provided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art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nderstanding of the therapeutic factors of artists' creations and provide basic data for research on therapeutic factors that viewers can experience in the future.

      • KCI등재

        영화제작 인력의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이 전문성과 업무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2014-5년도 주요 활동 영역(독립영화 Vs. 상업영화)의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이희진 한국영화학회 2018 영화연구 Vol.0 No.76

        This study is based on the SEM model of Korean film crews’ artistic identity, job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Key details identified in the data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rtistic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are slightly above the middle level of a scale, and the job autonomy is slightly below the positive assessment standard. In job autonomy,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feature film crews, independent film crews). However, although the artistic identity is significantly higher among independent film crews than that of feature film crews, the professionalism is higher among feature film crews. Second, the artistic ident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autonomy, and job autonomy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ofessionalism. However, The artistic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show a negative correlation. Third, among independent film workers, the artistic identity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rofessionalism. Both direct effect are significant(artistic identity➝ job autonomy; job autonomy➝professionalism). The mediating effect of job autonomy is significant(artistic identity➝job autonomy➝professionalism). Fourth, among feature film workers, the artistic identity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rofessionalism. Both direct effect are significant(artistic identity➝job autonomy; job autonomy➝professionalism),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job autonomy is not significant(artistic identity➝job autonomy➝professionalism) unlike that among independent film people. Fifth, although the artistic identity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professionalism in both groups, it shows that the perfect mediation effect of the job autonomy positively influences their professionalism. Lastly, it is proved that the direct effect of the artistic identity on job autonomy is far more influential in independent film crews than in feature film crews. The different aspect i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moderating effect is proved empirically. In identifying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artistic identity on professionalism and work autonomy, it is confirmed that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that reflects the moderating effects of major activity areas. Based on the main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영화산업에서 활동하는 영화제작 인력(40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예술가로서의 정체성’, ‘업무자율성’ 그리고 ‘전문성’의 인과관계를 구조모형분석(SEM)에 기초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한 연구이다. 자료분석을 통해 밝혀진 주요 내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가로서의 정체성과 전문성은 척도의 중간수준(3점)을 약간 상회하였고, 업무자율성은 긍정적인 평가기준(4점)에는 다소 못미치는 수준이었다. 업무자율성에서는 두 집단(상업영화집단, 독립영화집단) 간에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예술가의 정체성은 상업영화 영역보다 독립영화 영역에서 주로 활동하는 응답자들이 유의하게 높았지만, 전문성은 이와 대조적으로독립영화 영역 보다는 상업영화 영역의 응답자들이 더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전체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모형을 분석에서, 예술가의 정체성은 업무자율성에 긍적적인 영향을 주었고, 업무자율성은 전문성에 긍정적이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예술가의 정체성과 전문성은 부적상관관계를 이루었다. 셋째, 독립영화 집단의 경우, 예술가의 정체성은 전문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예술가 정체성➝업무 자율성’ 경로와 ‘업무자율성➝전문성’ 경로’ 이 두 직접 경로는 유의하였다. 업무자율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상업영화 집단에서도 ‘예술가 정체성➝전문성’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예술가 정체성➝업무 자율성’ 경로와 ‘업무자율성➝ 전문성’ 경로 이 두 직접 경로는 유의하였지만, ‘예술가 정체성➝업무 자율성➝ 전문성’ 경로의 업무자율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다섯째, 예술가의 정체성이 두 집단 모두에서 직접적으로 전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독립집단의 경우는 업무자율성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어, 업무자율성을 완전매개로하여예술가의 정체성이 이들의 전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이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예술가의 정체성이 업무 자율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상업영화집단에서보다 독립영화집단에서 훨씬 더 영향력이 유의하게 크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두 집단간의 상이한 양상이 발견되어 조절효과가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영화제작 인력의예술가로서의 예술가의 정체성이 전문성 및 업무자율성에 미치는 직간접효과를 규명함에 있어서, 주요 활동영역의 조절효과를 함께 반영한 분석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