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ㆍ일 영상콘텐츠의 원형성 비교에 관한 시론적 연구- 분열형태적 구조와 신비적 구조의 대비 -

        유제상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48

        Visual contents mean moving images such as films, soap operas, animations, music videos. They have more informations than texts or still images. Thus visual contents give brand-new images and they stimulate customers’ a sense of sight. An interesting thing is that visual contents include locality where they are made in. As everyone knows, nations and peoples settled in specific areas have been affected by geographic and climate conditions. Therefore, locality is related to local culture. And locality affects popular culture and cultural contents. It indicates that visual contents have local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it is ‘the regional archetype’. This study analyzes the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in regional archetype of Korean visual contents and Japanese one. As a theoretical tools, this article makes use of Gilbert Durand’s two regimes of images. I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shows the followings. Korean visual contents have schizomorphes with the power of expressing themselves outside strongly. Whereas Japanese visual contents have mystiques with heading to inside calmly. To understand symbolic images of visual contents in both of nations, we need to keep this study on an archetypal characteristics. 영상콘텐츠는 움직이는 화상(畵像)을 주된 내용물로 삼는 콘텐츠를 통칭하는 용어로 영화, TV 드라마,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 등을 포괄한다. 문자 텍스트나 정지된 화상에 비해 높은 밀도의 정보를 지닌 영상콘텐츠는 끊임없이 새로운 볼거리를제공함으로써, 수용자의 시각을 자극하는 특성을 지닌다. 흥미로운 점은 영상콘텐츠가 그것이 만들어진 지역의 특성인 ‘지역성(地域性, locality)’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특정한 지역에 뿌리내린 국가와 민족은 지리적 특성과 기후로 인해, 오랜 세월에걸쳐 고유한 지역성을 확보한다. 이러한 지역성은 지역의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맺으며, 그 지역에서 생산된 영상콘텐츠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영상콘텐츠는‘지역의 원형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국과 일본의 지역성을반영한 영상콘텐츠의 원형성을 분석한다. 이는 영상콘텐츠에 나타난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나아가 양국의 영상콘텐츠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영상콘텐츠에 나타난 원형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고는 프랑스의 철학자 G. 뒤랑의 ‘이미지의 체제 ― 낮의 체제와 밤의 체제 ― ’를 활용한다. 분석 결과를 미리 제시하자면, 먼저 한국의 영상콘텐츠는 ‘분열형태적 구조’의 특성을 띠며, 스스로를 ‘외부로 표출시키는 힘’을 지니고 있다. 반면 일본의 영상콘텐츠는 ‘신비적 구조’의 특징을 띠며, ‘차분하게 내부를 지향하는 성향’이 나타난다. 지역성을 내포하는 영상콘텐츠의 원형성을 다룬 본 연구가 영상콘텐츠뿐만 아니라, 한ㆍ일 양국의 문화콘텐츠 전반에내포된 의미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문학텍스트의 영상 콘텐츠 전환 연구

        김권재(Kim, wonjae),김영재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08 문화예술콘텐츠 Vol.-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문학텍스트가 다양한 문화콘텐츠 분야 중에서 특히 영상 분야에서 어떻게 콘텐츠화 되고 있는지 그리고 영상 콘텐츠 전환 시 유의해야 할 내용을 제시하는데 있다. 그 방법으로 황순원의 소설 〈소나기〉를 영상화 한 〈KBS HDTV문학관 소나기〉를 대상으로 실제로 문학텍스트가 TV 영상으로 전환되는 과정과 오디언스(시청자)들의 시청 후 반응을 분석해보았다. 시청자들의 반응 분석은 해당 드라마의 홈페이지에 올라온 시청자들의 시청 소감 글을 표본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문학텍스트를 기본으로 하여 전환된 영상 콘텐츠에서 시청자는 텍스트에서 받았던 문학적 감동을 영상 콘텐츠에서도 표현해 주길 기대한다는 것이다. 한편으론 문학텍스트를 소재로 한 영상 콘텐츠는 문학텍스트를 재구성, 재해석하여 미디어 환경과 영상 세대의 요구에 부합하는 감동과 재미를 확대 재생산해 주기를 기대하기도 한다. 이 분석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문학텍스트의 영상 콘텐츠 전환 시 유의할 내용들이 학계와 현장에서 적잖은 지침이 될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current condition of how the literary text is adapted to new cultural contents, especially video field and what is to be considered in that process focused on 〈Sonagi (passing rain)〉, novel of “Hwang Soon-Won”. The way to tell a story is transferred from text to image, the media changes life style, and the changed life style creates the new media. In this circulating aspect it needs the strategic access to adapt literary text for video contents. I tried to research the way how to expand literary text as cultural contents, and change it for environment of media. And tried to consider how to develop the way for expressing image by the structure of newly changed world and adapt it technically.

      • KCI등재

        영상물 수출에 있어서 인문학적 전략

        김성필,장미숙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6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7 No.48

        본 연구는 2000년대 한국의 영상물 유통 현황을 살피면서 한국 영상문화콘텐츠의 장단점을 설명하고 추이를 기술한다. 이로써 한류 문화라든가, 한국 영상물 전체의 세계 시장 유통에 있어서 어떤 마케팅 전략이 요구되는지를 제안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한국영상문화 콘텐츠물이 양적으로 성장하여 그 추세가 줄어들기 시작하는 2005년에서 2007년까지의 양적 통계와 데이터를 통하여 질적인 결론을 유도하고 이를 분석하는 고전적인 통계 분석의 절차를 가진다. 분석결과, 정부는 해외에 수출된 한국영상콘텐츠의 후속 문제에 관하여 무심하다. 새로이 수출될 영상물의 질을 점검할 생각도 재고할 생각도 하지 않고 있다. 교육 또한 기능적이고 상업적인 면모를 지녔으며, 영상물의 특성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말의 잔치로 끝나고 있었다. 즉, 영상물의 존재론이 없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영상물의 질적 차원을 인문학적으로 해결하고, 영상콘텐츠를 상품이 아니라 지역시장 소비자의 삶과 꿈이란 점을 이해하여 현장의 직접적인 요구로부터 거리를 취할 수 있는 상황을 조성토록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한국 영상콘텐츠물의 세계화란 미국화가 아니라, 세계지역 시장의 특수성을 고려한 한국만의 영상콘텐츠물을 만들도록 제안한다. 현대의 영상물은 쓸모 혹은 니즈가 아니라, 소통이며, 욕망과 꿈의 구성물이다. 유통도 그런 성격을 벗어날 수 없다. 한류로 대표되는 한국 영상콘텐츠의 가격대과 유통 네트워크가 서서히 확보되고 있다. 이제 콘텐츠의 질을 재고하고 새로운 홍보기법을 구상하는 일이 필요하다. 그것이 곧 문화적 마케팅이다. 문화적 마케팅은 영상물의 마케팅과 동일하다. Contemporary visual products rely not on consumers' needs or utility but on their desire and dream to relate with distribution too. This study examines the first international distribution of Korean visual products(1995-2007) responding to an world demand and observes of its merites and faults for the purpose of managial readjustment. The method is an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already offered and used by related official etablissements. Interpreting the data in cross checking technic and by others sources more confidential, this analysis goes beyond simple official interpretation of the data. As results, this brought some important conclusion concerning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official policies. The decline of Korean visual products in mid-21 century is caused by not only lack of the ability to detect all the ingredients in products, but also their cantered sensitivity to gains as well as distribution network only which escape a vision of longevity, which is linked to desire and dream. Lack of vision of consumers' aesthetical and desire, that decline would be natural in the future. These conclusions make us to consider how the contemporary visual products in Korean society would define the aesthetic values more common for the world and how varying levels of exposure to these values can result in variations by countries, cultural background, and education.

      • KCI우수등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환경에서의 영상콘텐츠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조병한(Cho, Byeong-Han) 인문콘텐츠학회 2021 인문콘텐츠 Vol.- No.63

        본 연구는 영화와 방송을 중심으로 구획되어 있던 기존의 영상콘텐츠산업의 패러다임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환경의 도래에 따라 한계에 달하였음을 밝히고, 이를 롱폼과 숏폼을 중심으로 해석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영상콘텐츠산업은 영화와 방송으로 크게 양분되어 있었다. 아날로그 시대에 만들어진 영화와 방송은 영화관과 텔레비전이라는 매체의 특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기에, 이들은 매체의 특성을 충실히 반영하여 장르의 정체성을 형성해왔다. 하지만 OTT 플랫폼이 영화와 방송콘텐츠를 함께 유통하면서 두 장르를 구속해온 매체적 특성은 무색해져 버렸다. 이에 본고는 오늘날의 영상콘텐츠산업 환경을 형식적·내용적·구조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영화와 방송이 하나의 장르로 수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현상을 영화와 방송의 ‘통합적 트랜스’ 현상이라 명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영상콘텐츠산업을 이끌어온 영화와 방송을 롱폼의 범주에 놓고, 그것의 상대적 개념으로 숏폼의 범주를 설정하여 영상콘텐츠산업의 현재적 양상을 살폈다. 그 결과 오늘날의 영상콘텐츠산업은 롱폼과 숏폼의 ‘상보적 트랜스’ 관계를 통해 생태계의 동력을 얻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산업 전반의 동력으로 기능함으로써 영상콘텐츠산업 전체가 거대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월드가 된 것이다. 그러나 영상콘텐츠산업을 대상으로 하는 규제체계는 기존의 패러다임에 머물러 여러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영상콘텐츠산업이 하나의 장(場)으로 수렴하고 있으므로 법제도 역시 관습적 구획에서 벗어나 통합적으로 재편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legitimacy of the new paradigm by revealing that the paradigm of the existing digital video content industry, which was divided into movies and broadcasting, reached its limit with the advent of the transmedia storytelling environment. Until now, the digital video content industry has been largely divided into movies and broadcasting. Movies and broadcasting made in the analog era could not be free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such as movie theaters and television, so they have faithfully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nd formed the identity of the genre. However, as the OTT platform distributed movies and broadcasting contents together, the media characteristics that have restricted the two genres have been overshadowed.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the environment of today"s digital video content industry from the formal, content, and structural aspects to confirm that movies and broadcasting are converging into one genre, and named this phenomenon an "integrated trans" phenomenon of movies and broadcasting. Based on this, movies and broadcasts that have led the digital video content industry so far were placed in the category of long form, and the category of short form was set as its opposite concept to examine the current aspects of the digital video content industr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oday"s digital video content industry is gaining the power of the ecosystem through the "complementary trans" relationship between long form and short form. The entire digital video content industry has become a huge transmedia storyworld as transmedia storytelling has become a driving force for the entire industry. However, the regulatory system targeting the video content industry remains in the existing paradigm, causing various problems. As the video content industry is converging into a single space, it seems that the legal system should also be reorganized integrally away from the old division.

      • KCI등재

        UCC 영상 콘텐츠 공모전 수요자 이해분석을 통한 공모지침 개선방안 연구

        하승용(Ha, Seungyong)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1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UCC 영상 콘텐츠 공모전 수요자의 이해분석을 통한 UCC 영상 콘텐츠 공모전의 공모지침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모전 사이트를 통해 2020년 한 해 동안 국내에서 진행된 영상 콘텐츠 공모전 현황을 파악하고, 영상 전공 대학생 집단 및 비전공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UCC 영상 콘텐츠 공모전을 제작하였으며 UCC 영상콘텐츠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공모 기간은 공모 주최기관의 상황 및 일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영상 길이에 따라서도 달라져야 한다. 영상길이에 따른 공모기간 설정은 수요자에게 질 높은 UCC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학년제 기준으로 초·중·고·대학생 및 일반인으로 연령을 구분하고 제한 경쟁방식 공모전을 시행하는 타 분야의 공모전처럼 전공자 집단과 비전공자 집단의 공모자격 분류하여 제시한다면 수요자의 참여도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UCC 영상 콘텐츠의 이해 및 공모 참여 확대를 위해 영상 제작 교육이 필요시 되며 이는 공모전 경쟁력을 높이며 공모기획 및 취지를 널리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다수의 기관 및 단체에서 일관된 공모지침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는 없으나 공모전 시행담당자가 본 연구에 대한 공감과 수용적 자세가 전제된다면 보다 나은 공모지침으로 영상 콘텐츠 공모전의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measures to improve the competition guidelines for UCC video content contest through analysis of the interests of the UCC video content contest consumers. Through the competition site, the status of the video content contest held in Korea in 2020, the UCC video content contest was produced for the video college student group and the non-major college student group, and the understanding of UCC video content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duration of the contest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schedule of the host organization of the contest and should also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video. Setting a public offering period according to video length will provide consumers with the opportunity to produce high-quality UCC video content. In addition, consumers" particip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if they classify and present qualifications for competition among major and non-major groups, such as contests in other fields that distinguish ages by elementary, middle, high, and university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Finally, video production training is needed to understand UCC video content and expand participation in the contest, which will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ntest and promote the plan and purpose of the contest. Although consistent public offering guidelines cannot be applied equally by many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it is believed that if the competition"s implementers sympathize and acceptable attitude with this study, better public offering guidelines will achieve the expected effect of the video content contest.

      • KCI등재

        영상콘텐츠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세제지원 개선방안 연구

        박종수(Park, Jong-Su) 한국조세법학회 2021 조세논총 Vol.6 No.4

        COVID 19 팬데믹 상황은 극장에 다수의 사람이 모일 수 없게 하고, 소비자들은 대부분의 영상콘텐츠를 비대면으로 향유하도록 강요받고 있으며, 바야흐로 메타버스 시대의 도래는 영상콘텐츠를 향유하는 매체를 획기적으로 다양화하고 있다. 작금의 여러 가지 대내외 여건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래도 역시 중요한 것은 결국 콘텐츠 그 자체이다. 양질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창작하고 상품화할 수 있는 시장환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산업으로서의 영상콘텐츠는 규제와 진흥 및 성장을 필요로 하는 점에서는 다른 여타의 산업분야와 유사하다고 말할 수 있으나, 일반 제조업에서와는 다른 “Soft Power”로서의 산업 자체의 특성을 고려한 지원과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크다. 2021년 세법개정안에서 국내 OTT사업자에 대해서도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대상으로 포함시킨 것은 이러한 시대상을 반영한 합리적인 선택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세액공제율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고 국내제작비에 국한한 지원에 불과하며 그 일몰시한이 내년으로 다가오는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 특히 해외와 국내 병행제작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서 해외에서 납부한 세액을 우리나라의 법인세 등을 신고납부할 때 공제하여 이중과세를 제거함에 있어서도 외국납부세액 전액을 세액공제할 수 있도록 공제한도규제를 개선하고 한도초과액의 이월공제를 실질적으로 보장하여 해외 제작 영상콘텐츠기업의 세부담을 대폭 완화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그밖에 연구개발비 세액공제를 적용함에 있어서도 기존의 제조업 중심의 물적 시설요건을 배제하고 콘텐츠 기획 개발 활동을 연구개발비 세액공제 대상으로 명시하는 등 소프트 파워로서의 영상콘텐츠기업에 걸맞는 세제로 탈바꿈하도록 하여 본래 의도한 입법취지가 제대로 살아날 수 있도록 영상콘텐츠산업 관련 지원 세제를 개선할 것을 제안한다.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the legal improvement of tax credits for Korean Film and Video industry, whch is main stream of media platforms in the era of Metaverse. Since 2017 film industry of Korea receives indepen- dent benefits of tax credit: so called, film and video tax credit. But the rate and subject of the film and video tax credit is ralatively small and poor in comparison to the western countries like USA, Canads, England, France etc. Contents are so called ‘Soft Power’. Film and video industry can not satisfy the conditions of tax credits, wich is made originally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Currently the rate of tax credit for film and video company is 3%(mid-sized company 7%, small business 10%). The deadline of tax credit is 31.12.2022. This article proposes to double the rate: 6%(mid-sized company 14%, small business 20%) and to extend the deadline: 31.12.2025. The author proposes also to include the ‘OTT’ company to the tax credit subject. OTT is getting more competing with traditional film and video companies. Further- more the foreign tax credit must be deregulated: the deduction limit should be eliminated by disallowing of direct and indirect expense deduction. Also R&D tax credit must be allowed without material requirements: and affilli- ated research institute and dedicated departments etc. Through all these suggestions it is highly expected that Korean film and video industry will grow one step further than before.

      • KCI등재

        '공공기록'으로서 방송·영상 콘텐츠의 '아카이브 효과' 연구

        최효진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21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12

        In this paper, why broadcast and video content has meaning as a ‘public record’ in terms of characteristics and content, and what effects are obtained from the process of using broadcast and video content produced in the past as a ‘past images’. discussed. Through this, this paper we reviews the Archive effects created by using broadcast and video contents produced in the past as creative resources. Around the 20th century, the archivists accepted the Postmodernism and paid attention to the function of public archives as a Public Sphere. It means that public records are changing to mean public records that contain various interests and activities of members of society in addition to simply records produced by public institutions. Broadcasting and audiovisual contents that document the public’s reception of contemporary culture are representative Public Records that archives should pay attention to. In this paper, in order to discuss the public value of broadcasting and audiovisual contents,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process of ‘an image’ as a sign and the pattern of reception of television images studied by the Television Studies are reviewed. In addition, the effect of using researched images and past images, which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in the field of Film Studies since 2018, is also discussed. In this paper, the Archive Effect of broadcasting and audiovisual contents exam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etc. is Expository mode, Counternarrative, Temporal disparity, Intentional disparity, etc. In particular, it was emphasized that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broadcasting and audiovisual content as an archiv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ception method and process of the audience. In this paper, it is said that there is a value in utilizing contents in the process of using broadcast and audiovisual contents for a long time after the contents of a specific broadcaster were collected in the Public Audiovisual Archives. In other words, it is emphasized that when descriptive metadata is composed of accurate and reliable information, broadcasting and audiovisual contents of the past after a long generation are sufficiently explained to users and the value of use increases. 본 논문에서는 방송·영상 콘텐츠가 성격과 내용 등의 차원에서 왜 ‘공공기록’으로서 의미를 갖는지, 또한 과거에 제작되었던 방송·영상콘텐츠를 ‘자료화면’으로서 이용하는 과정에서 얻는 효과는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과거에 제작된 방송·영상콘텐츠를 창작 자원으로 활용하면서 만들어지는 ‘아카이브 효과’에 대해서 검토했다. 20세기를 전후하여 기록학계에서는 포스터모더니즘을 수용하며 ‘공공기록’은 단순히 공공기관이 생산한 기록 외에도 사회구성원의 다양한 관심사와 활동영역을 담은 ‘공공의 기록’이라는 의미로 변화하고 있다. 대중들의 당대 문화 수용을 기록화는 방송·영상콘텐츠는 기록보존소가 관심을 두어야 할 대표적인 ‘공공기록’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방송·영상콘텐츠의 공적 가치를 논의하기 위해 기호로서의 ‘영상’의 생산 및 수용과정과 ‘텔레비전 연구’를 통해 밝혀진 텔레비전 영상 수용 양상을 검토했다. 또한, 국내외에서 영화학 분야를 중심으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습득영상’ 및 ‘자료화면’ 활용 효과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본 논문에서 선행연구 등을 통해 살펴본 방송·영상콘텐츠의 ‘아카이브 효과(Archive Effect)’란, ‘설명적 예시’, ‘대항역사’, ‘시간적 간극’, ‘의도적 간극’ 등이다. 특히, 방송·영상콘텐츠가 아카이브로서 활용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용자, 즉 시청자의 수용 방식과 과정을 살펴보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특정 방송사의 콘텐츠가 ‘공공영상’아카이브로 수집된 이후 오랜 세대에 걸쳐 방송·영상콘텐츠가 활용되는 과정에서 콘텐츠의 활용가치를 극대화시키는 요소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즉, 기술적(descriptive) 메타데이터가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로 구성되었을 때, 오랜 세대를 지나 과거의 방송·영상콘텐츠는 이용자에게 충분히 ‘설명’되면서 활용가치가 높아진다는 점을 강조했다.

      • KCI등재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영상 콘텐츠 제작비 세제지원 제도의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최진봉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3 애니메이션연구 Vol.19 No.3

        최근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다양한 우리나라의 영상 콘텐츠가 전 세계의 관심과 주목을 받게 되면서 K-콘텐츠의 경쟁력이 향상되고,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과 국민들의 자긍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K-콘텐츠의 국제적 경쟁력 향상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영상 콘텐츠 제작 현장은 여전히 열악한 상황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가 바로 영상 콘텐츠 제작비에 대한 세액공제율이 다른 나라에 비해 턱없이 낮아 글로벌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우리나라영상 콘텐츠 산업의 육성을 위해 국내 영상 콘텐츠 사업자들이 해외 영상 콘텐츠 사업자들과의 공정한 경쟁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우리나라와 해외 국가들의 영상 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제도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영상 콘텐츠 사업자들이 해외 사업자들과 공정한 경쟁을 할 수있는 환경 조성을 위한 적절한 영상 콘텐츠 제작비 세제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영상 콘텐츠제작비 세제지원의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첫째, 국내 영상 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제도의 공제율을 대기업10%, 중견기업 15%, 중소기업 20%로 상향 조정하고, 둘째, 영상 콘텐츠 제작을 위해 간접적으로 투자한 금액도 세액공제 대상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세 번째로 영상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지출된 제작비용에 대해 수익이 발생하기 이전에라도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마지막으로 영상콘텐츠 제작 투자 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할 경우, 손실 금액의 일부에 대해 부분적으로 손실을 세액공제를 통해 보존해 주는 ‘부분 손실보전 제도’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In recent years, various Korean video contents, including animation, have attracted attention from all over the world,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K-content, and increasing Korea’s international status and national pride. However, despite the improvement of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content, video content production companies are still struggling due to the poor situation. One of the representative examples is that the tax credit rate for video content production is much lower than that of other countries, which reduces global competitiven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domestic video content providers can compete fairly with overseas video content providers in order to foster the video content industry in Korea, including animation. In particular,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ax credit system for video content production in Korea and overseas countries, this study would like to propose an appropriate improvement plans on tax reliefs for video content production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Korean video content providers can compete fairly with overseas provide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pecific ways for tax support for video content production costs are; first, to increase the deduction rate for the tax credit of domestic video content production cost to 10% for large companies, 15% for medium-sized companies, and 20% for small companies, and second, there is a need to consider including the indirect expenses for video content production as a tax deduction. Thirdly, tax deduction benefits are available for production costs incurred in the video content production process even before profits are generated. Lastly, if a loss occurs during the investment process in video content production, a partial deduction for a portion of the loss amount is provided. Therefore, we should actively consider introducing a ‘partial loss compensation system’ that preserves losses through tax deductions.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K-영상콘텐츠 소비량의 변화가 영상콘텐츠에 대한 태도, 제품구매, 방한 및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및 일본 MZ세대를 중심으로

        김준국,김도희 대한경영학회 2023 大韓經營學會誌 Vol.36 No.9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대부분의 산업은 위기에 처했지만 콘텐츠·미디어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글로벌 OTT 플랫폼을 중심으로 관련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한류 소비자들의 K-콘텐츠 소비가 증가하였다. 기존의 한류 콘텐츠에대한 연구는 주로 K-pop과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연구에 치중되어 있거나 한류 콘텐츠 전체를 대상으로 하고있는 연구가 대부분으로 한국 영상매체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중국과 일본의MZ세대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발생 이전 대비 소비량이 증가한 상위 3개의 문화콘텐츠로 조사된 K-영상콘텐츠(드라마, 영화, 예능)의 소비량 변화가 영상콘텐츠에 대한 태도, 제품구매, 방한 및 추천의도에 어떠한 영향을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국과 일본의 MZ세대는 코로나19 이후 K-영상콘텐츠(드라마와영화)의 소비량 변화가 영상콘텐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이후의 K-영상콘텐츠소비량의 변화가 한국제품구매, 방한 및 추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과 일본의MZ세대 모두 한국제품 구매의도와 방한의도에 대해서는 예능, 드라마, 영화에 대한 태도 모두가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고, 한국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추천의도에 대해서는 드라마와 예능에 대한 태도만이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국 및 일본 MZ세대간 한류 영상콘텐츠에 대한 태도, 제품 구매의도, 방한의도및 추천의도 모두 중국 MZ세대가 일본 MZ세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전통적인 한류 핵심 시장인 중국과 일본에서 한류와K-영상콘텐츠의 수요가 꾸준하며, 이 시장을 적극적으로 유지·발전시킬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본연구결과는 중국과 일본에 새로운 한류 붐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국가별로 비중을 두어야 할 영상콘텐츠에 차이를두어야 하며, 국가별 및 세대별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정치적 상황에 구애받지않으면서 SNS를 활용하여 한류를 적극적으로 즐기는 MZ세대의 소비패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이들을 위한홍보 및 마케팅 접근 방법을 정비하고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제는 코로나 19 이후를 위한 코로나엔데믹 한류마케팅 정책을 수립해야 할 시점이다. Most industries have been in crisis due to the prolonged impact of COVID-19, but in the content and media field, K-content consumption by Korean Wave (Hallyu) consumers increased as related industries grew rapidly around the global OTT (Over the Top) platform. According to the 2022 Global Hallyu Trend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KOFICE), content that requires face-to-face consumption, such as beauty, fashion, and food, has decreased as compared to the years prior to the COVID-19 outbreak in 2020, while consumption of non-face-to-face Hallyu video content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lthough COVID-19 ha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onsumption of some Hallyu content, it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Korean video content such as dramas, movies, and entertainment, giving Hallyu content an opportunity to attract more attention than prior to COVID-19.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impact of Korean Wave content on the image of Korea, product purchase intention, and intention to visit Korea. In addition,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on Korean Wave content have focused on K-pop and dramas or on the entire Korean Wave content, so studies that only target Korean video content (drama, movie, and entertainment) have been rarely conducted. To fill this research gap,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s of changes in K-video content consumption after COVID-19 on attitudes toward K-video content, product purchase intentions, and intentions to visit Korea, as well as recommendation intention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MZ generation in China and Japan. Based on an online survey conducted from November 5 to December 8, 2021, responses from MZ generation members in China (450 samples) and in Japan (375 samples) were analyzed. Four main empirical results emerged. First, among the MZ generation of China and Japan, changes in consumption of K-video content (drama and movie) after COVID-19 affected their attitudes about K-video content. Second, changes in K-video content consumption after COVID-19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of Korean products, visits to Korea, and intentions to recommend Korean products and services. Third, in both the Chinese and Japanese MZ generations, attitudes toward entertainment, dramas, and movies have an effect on the intentions to purchase Korean products and visit Korea. Only attitudes toward dramas and entertainment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intentions to recommend Korean products or services. Finally, among the Chinese and Japanese MZ generations, the Chinese MZ generation had stronger propensity than the Japanese MZ generation in attitudes toward K-video content, product purchase intentions, and visiting Korea, as well as recommending Korean products and services. This study offers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continuous and stable expansion of the Korean Wave. First, it shows that the demand for Korean Wave and K-video content is steady in China and Japan, which are traditional Korean Wave core markets, and that these markets need to be actively maintained and developed.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create a new Hallyu boom in China and Japan,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K-video content for each market and that content should be weighted toward and supported by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for each country and gener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nsumption patterns of the MZ generation, who actively enjoy K-video content by using social media (SNS), regardless of the political situation, and to improve publicity and marketing approaches for them and build a system. Last, now is the time to establish a Hallyu marketing policy for the post-COVID-19 economy.

      • KCI등재

        <춘향전>을 재창작한 영상콘텐츠의 장르 변천 양상과 그 의미

        이채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8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원형서사를 활용하여 재창작된 영상콘텐츠 작품 일군으로 연구 대상을 한정하여, 특정 이야기의 장르 변천 양상을 통시적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주목한 작품은 <춘향전>을 재창작한 영상콘텐츠 일군이다. 본고에서는 영상콘텐츠 <춘향전>의 장르 변화 과정을 컨텍스트와의 상호작용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1923년부터 2011년에 이르기까지 영상콘텐츠 <춘향전>이 어떠한 장르 변천 양상을 보여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영상콘텐츠 <춘향전>의 장르 변천의 주류는 곧 ‘멜로드라마적 관습의 지속’이라고 요약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류 안에서 각각의 작품은 지속적으로 저마다의 장르적 변화를 시도해 왔다. 특기할 만한 것은 <춘향전> 영상콘텐츠 작품 군에서 이러한 장르적 변화의 조짐이 장르의 해체, 또는 타 장르로의 전환 등으로 급격하게 이뤄지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이처럼 본고에서는 영상콘텐츠 <춘향전>이 어떠한 장르적 전통을 지니고 있고, 고유의 장르적 관습이 영상콘텐츠 내외의 다양한 맥락을 형성하면서 연결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영상콘텐츠 <춘향전>의 변형은 소극적이지만 개별 작품이 시도한 변화는 영상콘텐츠 <춘향전>의 방대한 장르적 지형도를 가늠할 수 있게 해 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genre transition of a particular story diachronically and consider the meaning by limiting the research subject to a group containing video content that was reproduced with the same original narration. The focus of this study is reproduced video content of Chunghyangjeon from 1922 to 2011 and a corresponding investigation of genre transition based on content, given the necessity to understand the genre transition of Chunghyangjeon according to interaction with the context. The mainstream genre transformation of video content for Chunghyangjeon can be summarized as “the continuation of melo- dramatic custom.” However, each writing continuously attempted its own genre transformation in such mainstream. What is especially noteworthy is that the signs of genre transformation in terms of Chunghyangjeon’s video content were not realized rapidly in the deconstruction of a particular genre or the transition to another genre. To conclude,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genre characteristics of video content for Chunghyangjeon and the processes for forming distinct genres and connecting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contexts of video content. Passive transformation of an individual work was helpful in estimating the massive size of the genre topographical map for Chunghyangj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