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주광역시 영구임대주택단지 지속성을 위한 평가지표연구

        이민석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3

        광주광역시의 영구임대주택단지는 대부분 1990년대 후반에서 1993년까지 공급되었으며, 현재 대부분의 영구임대주택단지는 시설이 지어진지 20년이 경과했다. 20년이 지난 영구임대주택단지의 노후화는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단지내의 많은 주민 편의 시설이 아닌 단지 내에 방치된 외부공간과 근린생활시설등은 빈점포로 다수의 범죄 행위가 일어나는 등 단지 환경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영구임대주택단지가 준공된 이후에 도시적, 사회적, 물리적 환경의 변화가 급속하게 변화되었으며, 내부적으로는 영구임대주택단지의 중요한 커뮤니티 공간인 근린생활시설은 대형마트 입점, 거주민들의 소비행태 변화 등으로 인해 빈 점포가 늘어나고, 점점 침체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후화된 영구임대주택단지에 대한 미래의 단지재생을 위한 해석이 필요하며, 사회적 기피시설로서의 단지가 아닌 지역사회를 포함한 다양한 주체와의 협업을 통한 물리적 재생과 사회경제적 재생을 위한 평가지표로 분석하고 제안해보고자 한다. Most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PRHC) in Gwangju were built and provided from late 1990s till 1993 and it has been aged 20 years since its construction. These facilities are being deteriorated very quickly. Because of this situation, its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and outer spaces are being left unused. It gives negative images to complex environment with a number of criminal acts and potential danger on those abandoned spaces. In addition, after construction of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there has been rapid changes in the aspect of urban,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and those important community space such as convenience facilities for permanent rental housing has become more empty and depressed due to changed consumption behavior of inhabitants such as using big supermarkets nearby.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analyze for future regeneration of complex. It should not be considered as socially being avoided facilities. It shall be analyzed by evaluation indicators for socioeconomic regeneration and physical regeneration including local communities in collaboration with various parties.

      • KCI등재

        영구임대주택 입주장애인 현황 및 주거만족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우희순,박용규,임병훈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2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ypes and degree of disabilities of disabled people living in permanent rental housing which is a part of the housing policy for the disabled in our country. And based on this later on, the study is to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designs and arrangement of space correspon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and degree of anvenience when condition of permanent rental housing is improved. The results show the gree of the disabled in permanent rental housing is more than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in general lot-solid apartsing , and the gree of the old disabled over 61 years old is 38.73% and that of severely disabled people over level-three is 55.59%. Also, the gree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bgrin lesion, and visual impaabment who need a specialized resident housing was high ant means that variousntal housing suitaovedfor characteristics of the disability must be created in order to secure anvenience and quality of life of disabled people living in permanent rental housing anvecase of the house for the disabled, safe-threlso, and anvenience should be preferentially and deged, and safe-t and independence of housing should be improved by reassigning and supplementing furniture, daily necessity, appliance or facilities throughout living space. Efforts should be made to check inconvenient factors of the disabled by the types of the disability and to search for their satisfaction in current space and improvements in further studi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장애인 주택정책의 일환인 영구임대주택에서 거주하는 장애인들의 유형 및 장애 정도를 면밀히 파악하고, 이들의 주거만족도를 바탕으로 향후 영구임대주택에 관한 주거 개선시 장애인들의 신체적 특성과 편의적 요구도에 부응하는 공간 설계와 배치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일반분양아파트에 비해 영구임대주택의 장애인 비율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61세 이상의 고령 장애인이 38.73%, 3급 이상의 중증 장애인이 55.59%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화된 주거환경을 필요로 하는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등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를 통해 영구임대주택 입주장애인들의 주거만족도와 개선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변인으로는 연령, 결혼여부, 장애유형, 장애급수 등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주거 개선시 장애인들의 주생활 공간인 거실, 주방, 욕실 위주로 개선이 이루어졌을 때 보다 높은 주거만족도를 이끌어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영구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장애인들의 주거적 편의 및 삶의 질을 확보하기 위해서 장애 특성에 맞는 제반 환경들의 조성이 선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장애인 주택의 경우 제도적으로 안전성, 접근성, 편리성 등이 우선 배려되어야 하며, 주거 공간 전반에 걸쳐 가구, 생활용품, 생활기기, 또는 설비의 재배치나 보완을 통해 주택생활에서의 안전과 독립을 증진시켜야 할 것이다. 추후 연구를 통하여 영구임대주택에서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들의 장애유형별 불편 요소들을 확인하고 현재의 공간에서 느끼는 그들의 만족도 및 개선점들을 찾으려는 노력들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의 주거만족도 연구: 서울시 영구임대주택 및 매입임대주택을 중심으로

        천성희(Cheon, Seonghee),조명래(Cho, Myungrae) SH도시연구원 2020 주택도시연구 Vol.10 No.1

        주거공간은 인간의 생존과 사회생활을 위해 필요불가결한 조건이면서 삶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89년 영구임대 도입으로 공공임대주택 정책을 본격 추진하기 시작하여 저소득층에 대하여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해 오고 있다. 최근 공공임대주택 정책은 물량중심에서 입주민의 삶의 질을 고려하는 주거복지로 전환하고 있다.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복지를 위해서는 정책대상에 대한 욕구와 기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임대주택 중 가장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영구임대주택과 매입임대주택 거주 가구의 시설측면의 주거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영구임대주택과 매입임대주택은 동일한 자격의 저소득층이 거주하면서도 공간적 특성 차이로 인한 거주자 주거만족도 차이가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시설측면에서 영구임대주택 입주자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영구임대주택은, 주택외부 휴게·녹지공간(3.18)에 대해 가장 만족하였고, 주택 외부 장애인·고령자 배려 시설(3.11), 방범상태(3.09)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불만족하는 부분은 주택 내부공간과 관련하여 주택성능에 대한 만족도가 2.92 수준이었으며, 마감상태(2.95), 배리어프리 설계(3.0) 순으로 나타났다. 매입임대주택의 경우, 설비상태(2.94), 배리어프리 설계(2.92), 마감상태(2.85), 주차시설(2.73), 주택성능(2.64), 휴게·녹지공간(2.42),방범상태(2.42), 장애인·고령자 배려 시설(2.09) 순으로 나타나 주택외부환경요소 보다 주택내부시설요소에서 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가구와 고령자 가구는 주택의 외부환경요소에 대한 상대적 불만족이 크게 나타나 매입임대주택의 고령자 등 배려시설을 개선하는 일이 필요하다. 영구임대주택과 매입임대주택은 고령자, 장애인 거주비율이 높은 상태이며 향후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므로 고령자 등 배려시설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tudy the impact of the residential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permanent rental housing and purchased rental housing in Seoul on residential satisfaction. Permanent rental housing was supplied 1989-1993 to resolve the residential problems of the low-income bracket. Purchased rental housing was supplied from 2003 to the residential problems of the low-income bracket. However, because permanent rental housing was constructed 30 years ago, they have become decrepit from long usage. Because purchased rental housing was supplied 20 years ago by the method of purchasing housing in the private market, they have become decrepit and thus, exists the lack of residential facilities.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determining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permanent rental housing and purchased rental housing from previous studies and analyzed the impact of each determinant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sidents. Previous studie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nfluence on residents, based on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 environment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and purchased rental housing, were 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sidents of permanent rental housing reporte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3.05 and the residents of purchased rental housing reporte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2.63. The analysis showed that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of the permanent and purchased rental housing positively impacted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permanent rental housing.

      • KCI등재

        영구임대주택단지의 공동체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임재현,한상삼 한국정책과학학회 2011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5 No.4

        그동안 우리 사회는 주택공급, 주택가격안정 등에 관심이 있었고, 공동체문제를 상대적으로 등한시하였다. 특히, 대표적인 저소득층들이 거주하는 영구임대주택단지의 공동체 활성화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구임대주택단지의 공동체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영구임대주택 임차가구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동체 활성화 영향요인으로 부대복리시설, 경제적 형편, 신체적 건강, 이웃과 만남, 이웃신뢰, 공동체의식, 임차인대표회의, 관리사무소, 영구임대주택정책, 단지 소재 지역을 선정하였다. 수도권의 대표적 영구임대주택단지인 월계단지, 중계9단지, 삼산단지, 하안13단지의 임차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임차가구들은 공동체 활성화 정도에 대해 예상보다 적은 부정적 반응을 보여 영구임대주택단지에서도 공동체가 활성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공동체 활성화 결정요인들 중에서 부대복리시설, 경제적 형편, 신체적 건강, 이웃신뢰, 공동체의식, 임차인대표회의에 대해서는 부정적 응답률이 높은 반면, 이웃과 만남, 관리사무소, 임대주택정책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률이 높았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들이 공동체 활성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에 위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부대복리시설, 경제적 형편, 이웃과 만남, 임차인대표회의, 단지 소재 지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의 결과는 구임대주택단지에서의 공동생활을 방해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기여하고 또한 이 분야의 후속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된다. The focus of Korean housing policy has been on housing supply and housing price stabilization rather than residential community. Especially, there is no research on residential community vitalization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where low-income people res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to have effects on community vitalization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The dependent variable of the research model is community vitalization and its independent variables are welfare facilities, economic situation, health, neighbors' meeting, confidence in neighbors, community spirit, tenant committee, management office, and permanent rental housing policy. The samples are 226 households in Weolgye, Junggye(Seoul), Samsan(Incheon) and Haahn(Gyeonggido) complexes. The policy implications are: (1) less respondents feel negative about community vitalization than expected, which means that community can be vitalized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2) more respondents are unsatisfied with welfare facilities, economic situation, health, confidence in neighbors, community spirit, tenant committee, and satisfied with neighbors' meeting, management office, permanent rental housing policy; (3)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regression mode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at such variables as welfare facilities, economic situation, neighbors' meeting and tenant committe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4)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solve the problems disturbing community life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and to give impetus to follow-up researches.

      • KCI등재

        영구임대주택의 주거환경 연구

        강정희(Jung Hee Kang) 한국주택학회 2015 주택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구임대주택의 주거환경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 지역의 영구임대주택 9곳을 임의 선정하였고, 선정된 영구임대주택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반경 400m, 800m, 1200m을 설정하여 편의시설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편의 시설은 교육시설(학교), 공공시설(주민센터, 우체국, 파출소), 금융시설, 의료시설, 사회복지시설, 구매시설(시장, 대형할인점), 교통시설(지하철역)이다. 영구임대주택 단지 외부의 편의시설에 대한 분포는 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중 ALSCAL방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다차원척도법을 통하여 각 영구임대주택별로 편의시설의 분포가 다름을 시각적으로 제시하였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구임대주택 거주민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을 검토하고 주거복지를 향상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s by looking into the particular distributions of the convenience facilities which are used by the residents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selected a total of nine permanent rental housings located in the Busan area and investigated the convenience facilities found within the 400m, 800m and 1,200m radii of those selected permanent rental housings. The convenience facilities there were considered to be all geographically adjacent to the permanent rental housings, and they consisted of the educational facilities, public facilities (community centers, post offices, and police offices), financial institutes, medical facilities, social welfare facilities, purchase facilities (traditional markets and large discount stores), and subway stations. Regarding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s, ALSCAL(Alternating Least squares Scaling) was appli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s of the convenience facilities around the permanent rental housing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came up with a few differences among the permanent rental housings and, ye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venience facilities for providing the immediate social services possess a high level of accessibility because they are located in the relatively close neighborhoods. In contrast, the study hardly found both the traditional markets and the large discount stores near most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s, and, as far as the study understands, this may eventually cause consumption inequality. This study is considered academically significant because it proved that the absence of the traditional market and the large discount store has made the residents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s relatively isolated. In the light of what has been learned so far, the study proposed the policy alternatives not only to examine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that have an influence on the life quality of the residents living in the permanent rental housings but also to improve the residents' housing welfare.

      • KCI등재

        영구임대주택 주거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조용경,윤영호,이수진,이상엽 한국지역학회 2010 지역연구 Vol.26 No.4

        This Paper aims to obtain some basic information for the promotion of permanent rental apartment housing that should be urgently improved. Therefore when make a plan to improve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the direction of improving has to be highly considered which is the most efficient wa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investigates both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and which is more important factor. The study has carried out surveying the environmental elements to residents and analyze by using a factor analysis methode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e. The results show that the degree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 are especially related to the environment of housing complexes, inside facilities(space), housing expense, housing performance, and convenient facilities. 1989년부터 5년간 전국적으로 약 19만호가 공급된 영구임대주택은 최장 21년 동안 지속적으로 임대됨에 따라 건물이 노후화 되고 고령자 및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입주자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26㎡ 중심의 협소한 주거면적으로 가족 수가 많은 세대의 경우 최저주거기준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어 입주자의 개선 요구가 크다. 이러한 주거의 성능저하 및 입주자 불편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삶의 질 향상 지원법」이 제정되었고 법 집행을 위한 기본방향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50년임대주택 및 국민임대주택과 차별화되는 영구임대주택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특정 지역이 아닌 전국적 규모의 단지를 대상으로 연구 결과의 대표성을 확보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입주자 거주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객관적 특성을 도출하고 입주자 설문조사 및 설문 결과의 요인분석을 통해 6개의 주관적 특성 요인을 함축하여 도출하였다. 도출된 거주 만족의 주․객관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단지전체의 주거만족을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단지환경, 실내공간, 주거성능, 편의시설, 응답자연령, 응답자설명, 응답자거주기간이 거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대원수, 층수, 입주자격, 이주이유 등은 만족도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따라서 단지환경, 실내공간, 주거성능, 편의시설의 순으로 중요도를 가지고 영구임대주택 개선 계획의 방향이 설정되어야 하며 향후 유사 개선사업이나 신규로 공급될 영구임대주택 계획 수립 시 이러한 결과가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Stepwise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한 부산지역 영구임대주택의 주거환경 수준 평가 분석

        최열,김형준,천선미,Choi, Yeol,Kim, Hyeong Jun,Chun, Sun Mi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5

        본 연구는 부산지역 영구임대주택의 주거환경 수준 평가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한다. 영구임대주택 정책은 무주택자, 특히 도시지역의 저소득 거주자들을 위한 특별한 방법 중 하나이다. 주거환경에는 그것을 구성하는 여러 요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에서는 단지 물리적인 공간만을 제공하는 한계에 봉착했다. 그래서 영구임대주택의 불만족 등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고자, 부산도시공사에서 관리하는 영구임대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구임대주택 만족도에 월임대료, 관리비등의 관리적 특성들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 하였고, 거실 방 등의 위치 및 화장실 시설, 통근거리, 조망권, 놀이터 등이 영향을 미쳤다. 주민생활 특성 중에는 청소상태, 고성방가 발생 정도, 주민들과의 친밀도, 방법시설 등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정부는 최신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여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편의를 도모하되,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지 않을 수준으로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valu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in Busan.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policy is one of the special measures which contribute to getting the low-income urban dwellers settled in places of their own. Unfortunately the government has focused on expanding the quantity of housing even though housing doesn't mean just a physical object but the foundation of life. So the occupants who answered the survey lived in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which were constructed by Busan Metropolitan Corpor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give suggestions which can make up for dissatisfaction and apply preference of occupa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result of this study is in following; there were few significant managerial variables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significant variables are; position of rooms and bathroom facilities in internal building characteristics, color of apartment and playground in exterior building characteristics, commuting distance and viewshaft in locati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government needs to use cutting edge housing technologies aimed at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chievement of affordable expense simultaneously.

      • KCI등재

        영구임대주택과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사회적 주거복지요인에 대한 주거만족도 차별성에 관한 연구 - 하남시 미사 13단지를 중심으로 -

        서진형,박재구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23 부동산경영 Vol.28 No.-

        본 연구는 주거취약층인 영구임대주택과 국민임대주택 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에 사회 복지서비스 환경이 영향을 주고 있는지 여부를 밝혀, 공공임대주택 공급계획과 주거복지 서비스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주거취약계층의 주거권 보장에 기여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우선 선행연구를 조사, 분석하여 연구 모형을 작성하고 4가지 가설을 설정하 였으며, 영구임대주택과 국민임대주택이 혼재한 하남시 소재 미사13단지 거주자를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중회귀모형을 작성하였다. 이 모형을 근거로 가설을 검증하였 으며, 검증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검증 결과 복지시설요인은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제1가설과, 복지시설요인은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제2가설, 복지시설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국민임대주택 거주자보 다는 영구임대주택 거주자가 더 클 것이라는 제4가설이 모두 채택되었다. 다만, 국민임대 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결정요인과 추천의도 결정요인은 유사할 것이라는 제3가설은 기각되었다. 가설 검증 결과를 감안하여 3가지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첫째, 공공임대주택의 건설에서 사회복지서비스와의 연계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둘째, 공공임대주택이 집중된 지역에서 사회복지시설을 배치할 때는 영구임대주택 등 상대적 저소득층의 접근성 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주거만족도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계속되는 정부 주도의 주 거만족도 조사로 인한 과잉 응답 가능성을 감안하여 추천의도 등 대체 변수의 채용 가능 성도 검토해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연구는 복지시설요인이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저소득층일수록 그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밝힌 점에서 연구의 기여도가 인정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공적 자료에 과잉 주거만족도가 포함될 가능성도 밝힌 점에서도 기여도 가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social welfare service environment affects the housing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public rental housing and national rental housing. The aim is to contribute to the efficiency of public rental housing supply plans and improve housing rights for vulnerable populations. For the research, I analyzed previous studies to develop a research model and formulated four hypotheses. Subsequently,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residents of the Misa New Town 13th complex in Hanam, where both permanent rental housing and national rental housing coexist. Then, I developed a multiple regression model based on a previous research model. Using this model, we have verified the hypotheses and summarized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s. The verification results accepted three hypotheses. Hypothesis 1 was accepted, indicating that factors related to welfare facil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housing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permanent rental housing. Hypothesis 2 was accepted, indicating that welfare facility factors will significantly impact the residents' intention to recommend permanent rental housing. Hypothesis 4 was accepted, which stated that the influence of welfare facility factors on housing satisfaction would be greater for residents of permanent rental housing than for residents of national rental housing. However, Hypothesis 3, which stated that the determinants of housing satisfaction for residents of national rental housing would be similar to those for residents of permanent rental housing, was rejected. Considering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three implications were summarized. First, it is desirable to further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social welfare services and the development of public rental housing. Second, when locating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area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accessibility for vulnerable groups, including permanent residents of rental housing. Third, when conducting research on housing satisfaction, it is advisable to consider incorporating alternative variables, such as the intention to recommend. This will help address the potential issue of excessive response bias that may arise from the ongoing government-led housing satisfaction survey.

      • KCI등재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결정요인분석 - 서울시 영구임대주택의 주거환경을 중심으로 -

        오정석 한국지적학회 2010 한국지적학회지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permanent rental housing in seoul on residential satisfaction. Permanent rental housing was supplied from 1989 to 1993 in order to solve out the residential problems of low-income bracket. However, because permanent rental housing was built 18 or 21 years ago, they became decrepit by long usage. There, remodeling or re-conduction of permanent rental housing has required.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determining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permanent rental housing from the previous studies and analyzed the impact of each determinant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residents. Considering on previous study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nfluence on residents, basing influence the internal environment,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surroundings environment, economical factor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residents of permanent rental housing had residential satisfaction by 2.87. The analysis showed that internal environment,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surroundings environment, economical factor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positive affected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permanent rental housing.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영구임대주택 주거환경을 중심으로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을 알아보는데 있다. 영구임대주택은 저소득층의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거복지 차원에서 공급되었다. 그러나 영구임대주택이 공급된지 20년정도가 경과되어 급속하게 노후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리모델링이나 재개발, 재건축이 요구되며, 추가적인 영구임대주택의 공급이 필요하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회귀분석을 통해 주거환경과 거주만족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특성을 통해 집단간의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서울시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2.87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내부환경요소(.534), 외부환경요소(.516), 주변환경요소(.480), 경제적 요소(.513)가 서울시 영구임대주택 주거만족도에 정(+)의 영향이 있었으며, 집단간차이를 보이는 것은 차량소유여부 뿐이었다.

      • KCI등재후보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민간주택의 활용방안 연구

        오정석(Oh, Jung-Seok),김윤중(Kim, Yoon-Joung) 대한부동산학회 2011 大韓不動産學會誌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민간주택을 활용하여 공공임대주택 공급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공적임대주택제도 도입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서울시의 경우, 1989년 영구임대주택의 공급으로부터 2010년 말 현재 163,933호의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였다. 저출산, 인구감소, 전세 감소 및 월세 증가 등을 통해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의 지속적 공급은 필요하며, 주택수요량 및 주택공급량의 비교, 가용택지의 부족 등을 통해 새로운 공공임대주택 공급방안 마련의 논거를 제시하였다. 민간주택의 활용을 통해 공공임대주택 공급효과를 거둘 수 있는 공적임대주택을 제안하였는데, 공적임대주택의 개념, 공급대상, 공급방법, 재원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scheme of rental housing supply for utilization of private-sector housing to increase supply effectiveness of public rental housing. Seoul government supplied total 163,933 housing unit as public rental housing since 1989. We have been seeing phenomenon of low birth, population and the lease of a house on a deposit basis decrease, monthly rent increase, Therefore, amount of public rental housing should be supplied for residential stabilization of low income groups.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public housing which is similar to public rental housing should be supplied for utilization of private-sector housing. Also, we suggest that concept, supply target, supply method, and finance of public hou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