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중 전략경쟁과 베트남의 대중국 전략: 헤징에서 연성균형 전략으로

        조원득 ( Wondeuk Cho ),이상숙 ( Sang-sook Lee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20 동북아연구 Vol.35 No.2

        연구는 베트남의 위협인식 변화에 따른 베트남의 대중국 전략이 헤징에서 연성균형으로 변화했음을 설명하였다. 역사적으로 대중국 위협 인식이 높은 베트남은 1979년 중국과의 전쟁 이후 중국과 국교를 단절하였다가, 탈냉전 이후 1991년 중국, 1995년 미국과 차례로 국교를 정상화하면서 대중국 헤징 전략을 취하였다. 베트남의 대중국 위협인식이 높아지면 베트남은 헤징에서 균형 방향으로 전략을 이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과 국력의 비대칭성을 고려하여 제 3국과의 동맹을 기반으로 하는 경성균형이 아닌 연성균형을 선택하게 된다. 먼저 베트남은 해양방위 역량의 약세 등 대중국 군사력 비대칭성과 경제적 의존으로 인해 비군사적 연성균형 전략을 추진하였다. 베트남은 중국의 공세적 베트남 영유권 침해에 대한 항의 성명발표와 유엔 등 국제기구 및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불법 행위 공론화 등으로 중국의 입지를 약화하는 비군사적 연성균형 전략을 추구하였다. 그러나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공세적군사 행동이 증가함에 따라 군사적 연성균형 전략을 추구하기 시작하였다. 무엇보다도 베트남은 미국과의 연합 군사훈련 실시, 베트남군의 미국 내 훈련 프로그램 참여, 미국해양 경비정의 인수 등의 방법으로 해양방위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동시에 베트남은 일본, 호주, 인도 등 쿼드 국가(4개국 안보협력체)들과의 군사안보 협력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남중국해에서 벌어지고 있는 미중 전략경쟁과 베트남의 대중국 위협인식 변화를 반영하여 베트남의 대중국 전략이 헤징에서 연성균형으로, 특히 비군사적 연성균형에 군사적 연성균형으로 이동하였음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explains the change in Vietnam’s strategy toward China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its threat-perceptions to China, from ‘hedging’ to ‘balancing,’ with regard to a continuous policy spectrum. Vietnam, which has historically been highly aware of China’s threats, severed its relationship with China after the war against China in 1979. But Vietnam normalized its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in 1991 due to the Sino-Russian rapprochement after the post-Cold War. It adopted a hedging strategy toward China since the normalization with the US. When Vietnam’s threat perceptions to China has deepened, Vietnam adopted a balancing strategy instead of a hedging. In this case, it considered the economic interdependence with China and Sino-Vietnam power asymmetry, and therefore, selected a soft balancing rather than a hard balancing. Vietnam announced a statement in protest against China’s assertive behaviors and violation of Vietnam’s sovereignty. In addition, Vietnam appeals to international institutions such as the United Nations and international community about China’s illegal activities in order to internationalize the South China Sea disputes, to weaken China’s position and to gain support from other countries. However, As China’s revisionist and offensive military activities in the South China Sea have not been suppressed, but rather increased, Vietnam began to change its strategy to military soft balancing strategy. Above all, Vietnam is strengthening its maritime defense capabilities by increasing its defense and security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including joint exercises, military training, and transfer of US patrol boats to Vietnam’s coast guards. At the same time, Vietnam is expanding its military security cooperation US security partners(so-called Quad countries) including Australia, India, and Japan. In this respect, this study analyzes that Vietnam is changing its strategy from hedging strategy to soft balancing, and especially strengthening military soft balancing in addition to non-military soft balancing, reflecting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environment and Vietnamese perception of threat to China in the South China Sea.

      • KCI등재

        중국과 러시아의 대미 ‘연성균형’과 6자회담

        김용호(金用浩),허재영(許宰榮)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7 신아세아 Vol.14 No.4

        9ㆍ11 사태 이후 미국의 일방주의 외교정책은 지역적ㆍ세계적 수준에서 확대되어 나타나고 있다. 강대국으로의 부상을 계획하는 중국과 화려한 부활을 꿈꾸는 러시아는 미국의 일방주의적 외교정책을 견제하기 위해 다자주의적 해결을 강조하고 있다. 다자주의적 해결은 연성균형(Soft Balancing)전략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인데, 중국과 러시아는 냉전기에 구사하던 경성균형전략을 버리고 미국에 연성균형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은 중국과 러시아의 연성균형이 어떠한 형태로 나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지역기구라 할 수 있는 6자회담을 통한 중국, 러시아의 대미견제 사례와 UN을 통한 대미견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그것의 아시아 안보공동체로의 발전 가능성을 진단하고 있다. Since the 9/11 accident, United States" unilateral foreign policy has become regional and global phenomenon. China, in an attempt to become a global power, and Russia, who endeavors to redeem her glory, are pursuing a multilateral approach towards solving a global matter to restrain unilateral approach of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a multilateral approach parallels to a soft balancing strategy. which is a strategic approach implemented by China and Russia. Such attempt clearly makes contrast to that of the Cold War era, when hard balancing strategy was the main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ous forms of soft balancing strategies implemented by China and Russia. Simultaneously, the study will evaluate the possibility of an inception of Asian Security Community through the case studies such as China and Russia"s attempt to restrain the United States through six-party talks and through the United Nations.

      • KCI등재

        아시아 지역에서의 미중 경쟁 : 연성균형의 지속과 변화

        허재영(Jaeyoung Hur)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8 동서연구 Vol.30 No.3

        아시아 지역에서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 연구는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 인도-태평양 전략,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 추진 이후 심화되고 있는 미중경쟁의 성격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미국이 아시아회귀 정책을 발표한 2011년 이후를 중심으로 하여 아시아 지역에서 미국과 중국의 대외전략을 비교하였다. 이 연구는 미중경쟁의 특징이 연성균형수단의 경쟁임을 주장하면서 영토접근 거부, 연합군사훈련, 외교적 유대강화, 경제분야 협력 등을 군사적 연성균형과 비군사적 연성균형으로 나누어 미국과 중국의 아시아 지역 경쟁의 성격을 살피고 있다. 결과적으로 미국과 중국의 세력전이 현상은 쉽지 않을 것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세력균형의 한 형태인 연성균형 경쟁이 지속되고 확산될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U.S.-China competition is becoming intensified in the Asia region. Much scholarly discussion has taken place in order to explore the security and economic dimensions of the U.S.-China competi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U.S.-China dynamics since the United States’ rebalancing strategy and China’s “One Belt and One Road” Initiative. In particular, this study compares the foreign policies of the two countries after the United States announced “Pivot to Asia” strategy in 2011. This study contends that the U.S.-China competition is a representative means of soft balancing, categorizing their foreign policies into: territorial denial, signals of resolve to balance, entangling diplomacy, and economic strengthening. This leads to a conclusion that the U.S.-China power transition is highly improbable, but soft balancing, a conceptual product from the balance of power theory, will gain prevalence in a wide range of issues.

      • KCI등재

        북핵문제 외교적 해법의 실패원인과 시사점

        조성렬(Seong-Ryoul Cho)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4 국제관계연구 Vol.19 No.2

        북한 핵문제의 해결을 위한 접근법에는 비외교적 방식과 외교적 방식이 있다. 선제공격에 의한 핵시설 파괴나 정권교체에 의한 정치적 해결과 같은 비외교적 방식도 고려할 수 있지만 자칫 전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적극적으로 추진되지는 않았다. 그 대신에 경제적 보상의 제공이나 안보 우려의 해소를 통해 북한의 핵 포기와 교환하는 외교적 해법이 추진되었다. 그런데 6자회담을 통한 외교적 노력이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막지 못했다는 점에서 실패로 규정할 수 있다. 실패원인은 북한의 핵심적인 안보자산인 핵프로그램을 경제적 보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본 경제-안보 교환론의 한계에 있다. 그런 점에서 북한 핵문제의 진전을 위해서는 안보-안보 교환 접근법이 필요하다. 북한의 합리적 안보 우려를 해소해주기 위한 안보-안보 교환에는 경성균형과 연성균형의 방식이 있다. 6자회담의 최대 성과라고 할 수 있는 ?9.19공동성명?은 안보-안보 교환을 통해 연성균형의 실현을 약속한 것이다. 하지만 김정은 정권이 들어서면서 북한은 연성균형 대신에 독자적인 핵무기 보유를 통한 경성균형을 추구하고 있다. 북한이 핵무기보유국을 선언하고 있기 때문에, 북한의 비핵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6자회담은 재개조차 못하고 있는 것이다. 북한이 병진노선을 견지하면서 경성균형을 추구하는 한, 설사 6자회담이 재개된다 하더라도 소기의 목적을 이루기는 어렵다. 북한이 핵무기 보유국이라고 주장하는 상황에서, 병진노선을 포기시키고 북핵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합리적인 안보 우려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안보-안보교환에 따른 대담한 연성균형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re are two approaches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ke issue; non-diplomatic and diplomatic one. Probabilities of success over the destruction of nuke facilities by preemptive strikes, and the political approach to solve North Korea’s nuke issue by regime change may be possible, but it can cause warfare situat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Judging from the course of six-party talks, the strong solution is the diplomatic approach such as trade-off North Korea’s nuke weapons program for economic incentives or guarantee of the North’s security. There are a soft balancing and a hard balancing by the security-security tradeoff for guarantee of the North’s security reducing its reasonable security concerns. At the beginning of the dialogue, the North didn’t make a demand “hard balancing” by nuke deterrence but “soft balancing” such as normalization of the U.S.-North Korea’s relationship and building the Korean peace regime at the cost of its abandonment of all nuke programs in North Korea. However, the North is pursuing “hard balancing” instead of “soft balancing” and declared nuclear-armed state overtly after the advents of Kim Jong-Un’s regime. Because of this the North’s changed attitude, it couldn’t even be able to resume the Six-party talks. As far as the North adheres to the strategic line on carrying out economic construction and building nuclear armed forces simultaneously, the Six-party talks cannot be achieved its aim though it will be resumed. Therefore, a new bold suggestion of ‘soft balancing’ based on security-security trade-off approach should be prepared for making abandonment of the North’s strategic line and its nuke programs diplomatically.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노무현 정부의 '동북아 균형외교 정책'

        조경근 한국통일전략학회 2008 통일전략 Vol.8 No.1

        ‘동북아 균형자론’으로 불리는 ‘동북아 균형외교 정책’은 노무현 참여정부 5년간의 외교정책의 근간이었다. 정책의 수행은 물론 개념화와 수립에 있어서도 미완으로 끝난 ‘동북아 균형자론’은 아마도 해방이후 처음으로 외교정책의 근간에 대한 일대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주류 국제정치학자들 대부분은 이 새로운 외교정책 노선에 심각한 우려와 함께 유의미한 비판을 가했고, 참여정부의 전문가들과 일단의 국제정치학자들은 이 같은 정책 전환의 시기적 적절성과 필요성을 여러 측면으로 강변했다. ‘동북아 균형자론’이 개념적, 이론적으로 논리적 정교성을 가지고 있지는 못하다고 해도, 해방이후 한번도 발전적 변화를 모색해본 적이 없는 한국 외교의 현실에서 볼 때 가치 있는 시도였으며, 이를 통해 동북아와 국제정치 현실 속에 처해있는 한국의 위치를 보다 철저히 돌아보게 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동북아 균형자론’을 비판만 할 것이 아니라, 그 장단점을 잘 따져 이제부터라도 우리의 국익을 보다 체계적으로 설정하고 실용적 수단을 강구해나가는 의미 있는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논문은 ‘동북아 균형자론’의 등장과 전개를 정리하고, 그 주요 논쟁점들을 ‘균형자’의 개념과 논리 논쟁, 세계 10위 경제력과 ‘연성권력’ 논쟁, 한미동맹과의 양립성 논쟁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한 후, 이 논쟁의 과정과 내용이 주는 교훈을 결론에서 정리했다. The Northeast Asia balancer policy, the initiative that South Korea can act as a balancer in Northeast Asia , has been the foundation of Roh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for the last 5 years. The policy, however, created the first major controversy over the foreign policy since the Korean independency in 1945 and ended without much achievement in practice or in theory. Most mainstream scholars of international relations raised meaningful criticisms on this new approach to foreign policy, while the other scholars as well as the proponents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insisted that the change in foreign policy was necessary and timely. Although the East Asia balancer policy lacks the concrete concept or theory, it deserves some recognition as the first step towards a progress amidst the seemingly unchanging Korean foreign policy and as a chance to revisit Korea’s position in East Asia and the world. Thus, rather than simply criticizing, we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pros and cons of the East Asia balancer policy and take it as the starting point of our discussions about setting a more concrete national goal and finding practical means towards it. In response to this need, this paper documents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East Asia balancer policy, analyzes the policy’s major issues as three separate controversies-the controversy over the policy’s concept and logic, the controversy over the world's 10th economic power and soft power, and the controversy over the policy’s compatibility with the alliance between South Korean and the United States, and summarizes the lessons from the analysis.

      • KCI등재

        인도의 대 미얀마 연성균형(Soft Balancing) 전략 연구

        유경완(Yoo, Kyeong-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3 남아시아연구 Vol.18 No.3

        본 논문에서는 지난 반세기 동안 폐쇄적 사회주의의 길을 걸었던 미얀마의 개혁개방 정책으로 인한 인도와의 관계 변화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미얀마는 그동안 중국과 사회주의라는 이념적 공감대를 형성하며 매우 친밀한 관계에 있었다. 특히 미얀마 군사정부의 독재 정치와 그로 인한 서방 국가들의 경제제재가 미얀마의 중국화를 가속시켰고, 중국의 경제적·군사적 원조 및 압도적 무역우위로 잠식이 상당히 진행된 것이다. 그러나 2011년 미얀마 떼잉 쎄잉 대통령의 취임 이후 개혁개방 정책과 아웅산 수치의 가택연금 해제로 민주화 운동이 진행 중이다. 이로써 인도에게 중국의 남진 정책을 견제하고, 자국의 동방정책을 펼칠 교두보로 마련할 기회가 생긴 것이다. 이러한 국제 정세를 배경으로 연성균형전략(Soft Balancing Strategy)의 시각에서 인도의 대(對)미얀마 정책과 대(對)중국 견제 정책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성균형전략은 냉전 종식 이후 상대적으로 약한 국가가 패권국가에게 비(非)군사적인 방법을 통해 패권 국가를 견제한다는 국제관계이론이다. 이 이론을 바탕으로 역내 패권도전국가인 인도가 미얀마와 새로운 협력적 정책을 어떻게 진행해 나가는지, 그 방향이 중국을 효과적으로 견제할 수 있는지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인도의 만모한 싱 총리는 지난 2012년 5월 미얀마에 방문하고 난 후, 양국 간의 새로운 협력적 관계 발전을 위해 경제적, 군사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하며, 정책의 기본 슬로건을 연결(Connectivity)과 개발(Development)이라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기치 아래, 인도는 미얀마와의 정치·외교적 협력으로 인도-미얀마 국경 안보를 강화하고자 한다. 인도 북동부와 미얀마 북부는 예로부터 반정부·분리주의자들의 폭동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곳이다. 그렇기 때문에 양국의 안전한 무역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며 연결성을 최우선시 할 것을 밝혔다. 또한 인도와 미얀마는 군사적 협력을 중시 할 것이며, 합동군사훈련, 정보교환, 군사기지 증축원조 등에 MOU를 체결하였다. 양국 간의 경제적 협력 정책에도 연결성 중심 화두이다. 인도는 미얀마와의 국경 간 철도, 고속도로 건설 및 수로를 이용한 수송로와 항구 건설, 항공운항의 증편 등을 꾀하고 있다. 또한 앞서 제시했던 국경지대 안정화 정책은 곧 국경무역의 증대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 낙후된 인도 북동부 지역의 경기 활성화를 위해 국경 무역지대 시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그리고 인도는 미얀마에의 경기 부양을 위해 5억 달러의 원조를 결정하였고, 양국 간의 에너지 협력에도 노력을 하고 있다.

      • KCI등재

        Regional Institution and Institutional Balancing

        유현석(柳現錫, YU Hyun Seok)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0 신아세아 Vol.17 No.2

        이 글은 동아시아정상회의(East Asian Summit)의 출범을 둘러싼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전개가 국가들의 영향력과 힘의 확대 그리고 경쟁국가들에 대한 균형전략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연성균형의 개념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지역주의는 지역적 정체성과 지역적 상호이익의 표출이기도 하지만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최근의 전개가 보여주는 것처럼 자국의 힘과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며 그러한 국가들의 갈등이 충돌하는 장이기도 하다.EAS의 출범과정에서 중국은 동아시아 국가들만의 협력체를 제도적으로 보다 진전시키기위해 말레이시아와 함께 적극적으로 EAS 조기 출범을 시도하게 된다. 이러한 중국 중심의제도화에 대하여 일본을 비롯한 싱가포르 등 미국과 가까운 나라들은 EAS의 회원국을 확대하자는 제안을 하면서 EAS가 중국 주도의 지역기구로 진전되는 것에 제동을 걸게 된다. 결국 EAS를 통한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하는 동남아 국가들의 이해관계가 합쳐져서 EAS는 인도, 호주, 뉴질랜드를 포함하는, 동아시아의 지역적 정체성이 약해진 협력체로 변질되고 말았다. 이러한 출범과정에서의 갈등은 지역협력체를 통해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미국의 영향력에 균형을 추구하는 중국의 전략과 중국의 영향력확대를 우려하여 지역협력체를 균형(balancing)전략의 수단으로 사용하려는 일본을 비롯한 일부 아시아 국가들의 대응이 충돌하면서 생긴 것으로 볼 수 있다.동아시아 지역주의에 대한 이론적 설명이라는 차원에서 볼 때 EAS 출범 이후의 동아시아 지역주의 전개는 동아시아 지역주의가 하나의 요인에 의해 설명될 수 없으며 동아시아지역주의의 발전 단계에 따라 상이한 요인들이 중요성을 갖게 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Two factors - economic necessity and regional identity - have been suggested as the main factors behind the emergence of East Asia-only regionalism following the Asian economic crisis.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se factors in its early stages, the recent development of East Asian regionalism, especially the complex dynamics around the launch of the East Asian Summit(EAS) cannot be explained by these factors. In this paper the author argues that the recent evolution of East Asian regionalism, has been determined to a great extent, by power politics which has been neglected in previous studies of East Asian regionalism. The effort of China and Malaysia to hasten the formation of the EAS was an attempt to use it as a mechanism of institutional balancing against the U.S. To thwart China’s intention of championing regional cooperation, Japan and some ASEAN countries dragged countries outside the region including Australia, New Zealand and India into the EAS, thereby turning it into something China never wanted. Japan’s strategy also could be interpreted as an institutional balancing act with the aim to block the establishment of a China-centered regional organization. The future of East Asian regionalism is not rosy. Because China has changed its policy toward multilateralism and begun to actively involve itself in regional matters via multilateral institutions,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has become a matter of power politics. Especially, when East Asian countries started pursuing a more institutionalized regional cooperation, balancing consideration prevailed over economic and identity factors. East Asian regionalism is further complicated by the fact that this region is important to the strategic interests of the U.S. As long as the U.S.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regionalism in East Asia, this regionalism cannot be seen as strictly a regional matter. In terms of theories of East Asian regionalism, the author argues that East Asian regionalism cannot be explained by any single factor. Different factors predominated in different stages of the evolution of East Asian regionalism. As this regionalism enters a more institutionalized stage, power politics will become increasingly more important than factors such as economic interests and collective identity.

      • KCI등재

        중국과 아랍지역의 연대: 연성 균형으로서의 중-아랍 협력 포럼

        김현규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중동문제연구소 2023 중동문제연구 Vol.22 No.2

        This study examined the appearance of solidarity between China and the Arab region by analyzing the declarations and joint statements derived from the ministerial-level meeting of the China-Arab States Cooperation Forum. Furthermore. China utilizes this solidarity to achieve a soft balancing against the existing Western-centered international order.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nine declarations/joint statements uploaded on the official website of the China-Arab States Cooperation Forum (2004 to 2020), and research method is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words showing soft balancing such as UN reform, opposition to interference in domestic affairs, and democratiza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emerged, and the tendency of soft balancing became stronger over time. 본 연구는 중-아랍 협력 포럼 장관급 회의에서 도출된 선언과 공동성명을 내용 분석하여, 중국과 아랍지역 연대의 모습을 고찰하였다. 나아가, 중국은 이러한 연대를 활용하여 기존 서구 중심의 국제질서에 대항하는 하나의 연성 균형을 이루려 한다고 간주한다. 분석 대상으로는 중-아랍 협력 포럼 공식 홈페이지에 업로드되어있는 9개의 선언/공동성명(2004년부터 2020년)이고, 연구 방법으로는 내용분석으로, 여러 텍스트 분석 기법을 활용하면서 동시에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UN 개혁, 내정 간섭 반대, 국제관계 민주화 등 연성 균형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등장하였고, 시간이 지날수록 연성 균형의 경향성이 짙어졌다.

      • KCI등재

        현실주의적 관점에서 본 중국과 ASEAN 관계: 양면성과 전망

        변창구 한국동북아학회 2014 한국동북아논총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hina-ASEAN relations from realistic perspective, and prospect their future relations. The conflict and cooperation factors is coexisting between the two sides. China's rapid rise and its offensive policy threatened ASEAN countries, and then ASEAN adapted "balance of power" and "soft bandwagoning" strategy to remove the Chinese threats. In order to make a balance of power between ASEAN and China, ASEAN has pursued a military buildup(internal balancing) and a soft bandwagoning on the United States(external balancing). And also ASEAN has pursued a soft bandwagoning on China to remove from the Chinese threats. This means ASEAN's strategy on the US-China hegemonic rivalry is "hedging" and "balancing". Therefore China-ASEAN relations in the near future, in spite of the disputes over territorial sovereignty in the South China Sea, will maintain a relatively stable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의 관점에서 중국과 ASEAN의 관계를 분석하고 향후 양자관계의 향방을 전망해 보는데 있다. 중국과 ASEAN의 관계는 힘의 불균형 및 중국의 강경한 영유권 정책에서 비롯되는 갈등요인과 상호 국가이익을 증대시키기 위한 협력요인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양면성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의 급속한 부상과 공세주의적 남진정책은 안보위협을 증대시킴으로써 ASEAN은 세력균형(balance of power)정책과 연성편승(soft bandwagoning)정책을 통하여 중국으로부터의 위협을 해소하고 국익을 증대시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ASEAN은 힘의 불균형을 보강하는 방법으로서 자신의 방위력을 증강시킴으로써 내적 균형(internal balancing)을 추구하는 한편, 미국에 군사기지 제공․합동군사훈련 등을 통하여 연성편승정책을 추진함으로써 외적 균형(external balancing)을 도모하고 있다. 이와 함께 ASEAN은 중국에 직접 편승하여 힘의 불균형으로부터 야기되는 위협을 해소하고 중국과의 협력을 통한 국익 증대에도 노력하여 왔는데, 이러한 전략이 가능하였던 것은 중국도 역시 미국과의 지역패권경쟁에 있어서 전략적 파트너로서 ASEAN이 필요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중국과 ASEAN의 관계는 이슈(issue)에 따라서 갈등과 협력의 양면성을 보여주겠지만, 남중국해 도서영유권분쟁이 극단적인 무력충돌로 비화되지 않는 이상 비교적 안정적 관계를 유지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ASEAN이 중국의 부상은 위험만 초래하는 것이 아니라 기회도 함께 제공한다고 인식하고 있고, 미국에 대한 과도한 편승은 오히려 정책 선택의 폭을 제한시킨다고 판단하여 미․중 패권경쟁에서 ‘헤징(hedging)’과 ’균형(balancing)’ 전략을 지속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도 자신의 앞마당인 동남아지역을 미국에 내어 주지 않으려는 강대국외교를 추진함에 있어서 ASEAN의 전략적․경제적 가치를 충분히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