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령과 범죄간의 관계분석

        기광도 한국경찰연구학회 2009 한국경찰연구 Vol.8 No.4

        이 연구에서는 연령과 범죄간의 관계에 중요한 주제인 연령-범죄분포의 보편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 및 경험적 연구를 살펴보고, 우리 사회에서 연령과 범죄는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우리 사회의 연령-범죄분포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러한 분포의 시대적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범죄유형 및 성별에 따른 차이 및 국가간 비교를 통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허쉬와 갇프레드슨에 의하여 제시된 연령-범죄분포의 보편성 가설의 측면에서 우리 사회의 연령-범죄관계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우리 사회의 연령-범죄분포가 시대 및 공간적으로, 범죄유형 및 성별에 따라 보편성을 갖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우리 사회에서 연령-범죄분포의 보편성 가설을 지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대적 변화에 따라 연령-범죄분포는 1965년에서 1985까지는 대체적으로 저연령화 경향을 보이다가 그 이후에는 장년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범죄유형의 경우에는 범죄유형별로는 절도, 강도는 10대와 20대, 폭력 및 성폭력범죄는 30대, 사기와 살인범죄는 40대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유형의 경우에는 연령-범죄분포가 명확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연령-범죄분포가 일정한 형태를 보이지만, 범죄유형에 따라 성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연령-범죄분포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우리 사회에서는 일본이나 미국에 비하여 40대 이후의 범죄를 많이 저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 사회에서는 나라마다 연령에 대한 사회적 의미 및 기대역할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소득분포의 특성을 사용한 세대별 연령-소득 곡선(Cohort Lifetime Age-income Profile)의 도출

        金宗勉,成明宰 한국금융연구원 2003 韓國經濟의 分析 Vol.9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미시분석에 기초하여 도시가구의 소득분포가 자연대수정규분포를 따름을 실증적으로 검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대별 연령-소득 곡선을 추정ㆍ도출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소득분포 특성 중 일부만 추정하는 데 그쳤으나 본 연구에서는 1982~2002년의 도시가계자료를 이용하여 소득분포의 구체적인 형태가 자연대수정규분포임을 밝혀내었다. 다만 예외적으로 경제위기 기간인 1997~1998년에는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자연대수정규분포에서 크게 벗어난 모습을 보여주었다. 흔히 경제위기라 하면 1998년을 상기하기 쉬우나 분석결과를 유추하면 1997년말의 외환위기 이전에도 벌써 도시가구의 소득분포는 심각한 붕괴현상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밖에 자연대수를 취하였을 경우 횡단면에서의 연령별 상대소득분포가 실질적으로 불변임을 보임으로써, 향후 연령별 소득분포 변화를 어느 정도 신뢰성을 갖고 예측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응용하여 21년의 관측기간이라는 자료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40여년에 걸친 세대 생애 연령-소득 곡선을 추정하였다.

      • KCI등재

        평균온도와 자살 사망률의 연관성

        김승현(Seunghyeon Kim),박은식(Eunsik Park)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4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 증가는 실제적인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온도 증가가 자살의 방아쇠가될 수 있다는 최근의 연구 결과는 자살률이 높은 한국에서 주목할 결과이다. 시차 분포 모형은자살에 대한 온도의 누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많은 역학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자살에 대한온도의 영향은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다름에도 불구하고 시차 분포 모형은 집계된 수준에서 자주사용되었다. 우리는 연령별 온도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연령별 시차 분포 모형을 사용하였다.이 모형은 연령별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다른 연령의 자료를 활용한다. 우리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서울시의 연령에 따른 자살의 로그 표준화 사망비와 평균온도의 연관성을 탐색하기 위해연령별 시차 분포 모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고온에 대한 단기 노출은 65세 이상 및 35-64세에서 자살 사망률의 증가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반면, 10-34세는 자살 사망률 감소와 유의한연관성을 보였다. 지연 일이 증가함에 따라 온도의 효과는 감소하였다. 3일간의 지연기간을 고려한 평균온도의 누적 효과는 65세 이상에서만 자살 사망률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고온과 자살 사망률의 연관성은 여성보다 남성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방법은 환경 요인과질병의 연령별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다른 연구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Temperature increase due to climate change is approaching as a practical problem. A recent study showing that temperature increase can trigger suicide is noteworthy in Korea, where the suicide rate is high. Distributed lag (DL) models have been used in many epidemiological studies to evaluate the cumulative effect of temperature on suicide. Although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suicide differs by age and gender, DL models have been frequently used at the aggregated level. We used a age-specific DL models to confirm the effect of temperature by age. This model uses data from different ages to estimate age-specific DL effects. We used the model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tandardized suicide mortality ratio and mean temperature by age in Seoul from 2010 to 2019. As a result, short-term exposure to high temperatur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suicide mortality in those aged 65 years or older and those aged 35-64 years. On the other hand, 10-34 years of age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a decrease in suicide mortality. As the lag days increased, the effect of temperature decreased. The cumulative effect of mean temperature over the lag period of 0-3 days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uicide mortality only in those aged 65 years or older. The association between high temperature and suicide morta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en than in women. This research method can be used in various ways in other studies to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diseases by age.

      • KCI등재

        탈퇴원인별 상이한 소수연령 분포에서 다중탈퇴율 계산과 변액연금에 응용

        이항석,Lee, Hang-Suck 한국통계학회 2009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6 No.1

        전통적인 생명보험 상품뿐만 아니라 최근에 많이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는 변액연금에 이르기까지 보험료와 준비금의 계산 및 리스크 관리에 다중탈퇴율이 많이 사용된다. 보험의 탈퇴현상은 특정 연령에서 1년이내 임의 시점에 탈퇴가 발생할 확률을 필요로 하므로 이러한 현상을 나타내는 소수연령 (Fractional Age)에 대한 분포의 가정이 탈퇴율의 계산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Lee (2008b)는 절대탈퇴율에서 다중탈퇴율로의 전환 공식을 UDD 가정대신에 탈퇴 원인별 동일한 소수연령 분포을 이용하여 유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탈퇴 원인별로 소수연령 분포가 상이한 가정에서 절대탈퇴율에서 다중탈퇴율로의 전환 공식을 유도한다. 특히 해약률의 경우 해약 발생을 연속적이지 않고 이산적으로 다루는 경우가 실무에서 많으므로 사망 또는 장애의 발생과 다른 형태인 계단형 소수연령 분포함수가 필요하여 상이한 소수연령 분포에서 다중탈퇴율을 계산하는 공식을 제시한다. 또한 유도된 공식을 이용하여 적립금과 최소보증액의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 변액연금의 해약 현상을 반영하기 위하여 동적해약률(dynamic lapse rate)이 적용된 다중탈퇴율의 전환 과정을 설명한다. This paper derives conversion formulas from yearly-based absolute rates of decrements to monthly-based rates of decrement due to cause J under fractional age distributions. Next, it suggests conversion formulas from monthly-based absolute rates of decrements to monthly-based rates of decrement due to cause j under fractional age distributions. In addition, it applies the conversion formulas including a dynamic lapse rate model to variable annuities. Some numerical examples are discussed.

      • KCI등재

        예측과정을 이용한 연령별 시차 분포 모형

        김승현(Seunghyeon Kim),박은식(Eunsik Park) 한국자료분석학회 202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6 No.1

        정신질환에 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최근 기온 상승과 정신질환 사이의 양의 연관성이 보고됐다. 하지만 연령과의 자세한 상호작용을 확인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제안된 연령별 시차 분포 모형을 활용하여 정신질환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과 평균기온의 연관성을 탐색하였다. 연령별 시차 분포 모형은 기존의 시차 분포 모형에 연령과 시차별 기온의 계수를 통합한 모형이다. 이에 따라 증가한 매개변수를 예측과정 기반 함수의 선형 조합으로 표현함으로써 매개변수 공간의 차원을 축소했으며, 전체 연령의 정보를 사용하여 매개변수 추정의 정확도를 높였다. 연령에 걸쳐 정보를 빌리는 정도를 배리오그램모델링을 통해서 추정하였다.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서울시에서 정신질환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 환자는 906,958명이었다. 높은 평균기온과 정신질환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 사이의 0~3일의 지연 기간 양의 누적 연관성을 가진 연령 그룹은 15~24세, 40~59세 및 80~84세였다. 기후 변화의 영향이 현실화함에 따라 세부적인 취약성을 이해하는 것은 공중 보건 계획 및 개입에 매우 중요해질 것이다. Interest in mental disease is increasing. Recently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elevated temperature and mental disease has been reported. However,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detailed interaction with age could not be confirmed. In this study,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the association between emergency room visits due to mental disease and mean temperature was explored by using the age-specific distributed lag model. The age-specific distributed lag model is a model in which a coefficient of age and lagged temperature are integrated into the existing distributed lag model. Accordingly the dimension of the parameter space was reduced by expressing the increased parameters as a linear combination of prediction process basis functions and the accuracy of parameter estimation was increased using information on the total age. The degree of borrowing information over age was estimated through variogram modeling. From 2014 to 2020, 906,958 patients visited the emergency room due to mental disease in Seoul. The age groups with a positive cumulative association over the lag period of 0-3 days between mean temperature and emergency room visits due to mental disease were 15 to 24, 40 to 59 and 80 to 84. As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become a reality, understanding detailed vulnerabilities will become very important for public health planning and intervention.

      • 연령별 초록과 녹색의 색이름을 통한 색채분포 연구

        홍해령(Haeryung Hong),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초록과 녹색의 각각의 색이름을 연령별로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설문을 통해 알아보고 색채공간분포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셀색채계를 기초로 한 종이나라 200색종이의 색상 중 GY_G_BG 영역의 색종이 56색을 설문을 위한 색시편으로 사용하여 하나의 색시편을 보고 초록과 녹색을 구별하는지를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41명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초록과 녹색의 색채인지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피험자 전체는 G_GY영역의 채도가 높은 영역분포로 초록을, Y_GY 영역의 채도가 낮은 영역분포로 녹색으로 구분하여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표준규격(KS) 기본색이름 개정 후 기본 유채색 12가지 색이름에 명시된 초록으로 교육과정을 배워온 10대 그룹의 초록과 녹색의 색채인지 차이점이 있는지 10대 그룹과 20-40대 그룹으로 나누어 알아본 결과 10대는 20-40대 보다 Y_G계열의 넓은 색상분포로 초록을, GY_G계열의 좁은 색상분포로 녹색을 인식하여 10대는 다른 연령에 비해 녹색의 색이름 보다 ‘초록’의 색이름에 대한 색채인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정된 초록의 색이름이 20-40대 연령에서는 초록과 녹색을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10대에서 ‘초록’ 색이름이 혼용되지 않고 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한반도 특산식물 개느삼의 개체군 특성

        김소담,문애라,안종빈,정지영,박완근,손성원 한국환경생태학회 202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4 No.1

        개느삼은 한반도의 일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특산식물이며, IUCN Red List의 ‘Endangered’로 지정된 희귀식물 이다. 본 연구는 자생지의 환경변화로 쇠퇴 위협이 있는 개느삼의 분포 패턴과 개체군 구조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개느삼 개체군의 동태 및 지속성 파악을 위한 기초 자료 활용에 목적이 있다. 개느삼 개체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양구, 춘천, 홍천 3개 지역에 각각 2~3개의 대방형구(20m×30m)를 능선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대방형구 안에 4~7개 Transect상의 소방형구(1m×1m)를 2m 간격으로 각각 10개씩 총 530개를 설정하여 출현 개체 수 및 결실 개체 수, 개체 높이 등을 측정하였 다. 확보된 종발생정보를 IUCN Red List ver 3.1의 평가기준 B를 적용하여 기존 IUCN에 평가된 범주와 비교분석하였다. 조사된 세 개 지역의 평균 개체 밀도는 3.47본/㎡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 양구 3.95본/㎡, 춘천 3.37본/㎡, 홍천 2.87본/㎡ 이었다. 한편, 개체군의 결실률(결실 수/개체 수)은 0.0038으로 전체 출현 개체 1,837본 중에 7본만이 결실된 것으로 나타나 생식생장(sexual reproductive) 보다는 영양생장(vegetative reproduction) 비율이 매우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된 세 지역의 소방형구 개체 밀도의 분포 경향을 분석한 결과, 개느삼은 수관 열림이 높은 산지 능선을 중심으로 수관 열림이 낮은 숲 중심부로 갈수록 개체 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줌으로써, 광량이 개느삼 개체의 생육에 매우 중요한 요소일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방형구내 출현하는 전체 개체의 높이를 분석한 결과 2.3~68.5cm로 나타났으며, 평균 20.1cm로 조사되었다. 개체 높이를 바탕으로 개느삼 개체군의 stage-structure를 분석한 결과 15~20cm를 기점으로 개체 높이가 높아질 수록 점차 출현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seedling으로 추정되는 10cm 이하의 개체들의 비율도 매우 낮게 나타남으로써 향후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개체군의 지속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확보한 종발생정보 를 바탕으로 산출된 점유면적은 200㎢로 나타나 IUCN Red List 기준(criteria) B 적용 시 EN 범주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Nakai an endemic plant with limited distribution in some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is designated as "Endangered" species on the IUCN Red List. The species is under the threat of deterioration in nature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causing loss of natural habitats.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population structure of E. koreensis to serve as a basic reference for identifying the dynamics and persistence of natural populations of this species in the future.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 koreensis population, we laid two to three large plots sized 20m×30m on the ridgeline as the reference in Yanggu, Chuncheon, and Hongcheon and laid four to seven small quadrats sized 1m×1m on the transect. A total of 530 plots were laid, 10 each at 2m interval, to measure the number of the stems, the number of fruiting, height, and other factors. The collected distribution information w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IUCN assessed categories by applying IUCN Red List ver 3.1 Criteria B. The average population density of the three surveyed areas was 3.47 stem/㎡; the density of each area was 3.95 stems/㎡ in Yanggu, 3.37 stems/㎡ in Chuncheon, and 2.87 stems/㎡ in Hongcheon. The number of fruiting per stem was 0.0038, indicating only 7 fruits out of 1,837 stems and that vegetative reproduction is likely to be more dominant than sexual reproduction. The distribution tendency of population density in the small plots in three surveyed areas showed that the density of E. koreensis tended to decrease toward the center of the forest with low crown openness and around the mountain ridge with high crown openness. It indicated that the quantity of light could be a very important factor for the growth of individuals of this species. The analysis of the heights of individuals present in the surveyed plots showed a range of 2.3 ~ 68.5cm and an average of 20.1cm. An analysis on the stage-structure of the E. koreensis population based on the sieve height found that the appearance frequency decreased with increasing height above 15 ~ 20cm and that the percentage of individuals lower than 10cm, which were presumed to be seedlings, was severely low, indicating a necessity of study on the population sustainability based on the monitored data. The occupied area calculated with the collected species distribution information was 200㎢, indicating the EN category according to the IUCN Red List Reference B.

      • KCI등재

        로트카 생명표에서 연구 집단의 초기연령 설정에 따른 내적자연증가율 추정방법에 대한 고찰

        김동순 한국응용곤충학회 202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1 No.4

        Life table-related studies in insect ecology have been an interesting topic for insect researchers. Two calculation methods are commonly applied to estimate the intrinsic rate of natural increase (r m ) in the life table statistics. The first method is to estimate an approximate r m by dividing the natural logarithm of the net reproductive rate (R 0 ) by mean generation time (T ) (namely mean generation time-based method). Another approach is to apply the Lotka-Euler equation derived from the population growth equation of Lotka-Volterra to estimate accurate r m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Lotka-Euler equation-based method). In the latter cas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stimated r m value when the initial age class of the target cohort was set to “0” or “1”, which confused the application. In this short review, a brief history of the calculation process of the life table was reviewed. It was again confirmed in the Lotka-Euler equation-based method that the form of           should be applied to estimate r m when the first age class was set to zero, while the form of               when set to one. 충생태 분야에서 생명표와 관련된 연구는 곤충연구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는 주제중 하나이다. 보통 두 가지 방법으로 생명표 통계량중 내적자연증가율을 추정하고 있는데, 첫 번째 하나는 순증가율(R 0 )에 자연로그를 취하고 평균세대기간(T )으로 나누어 근사치를 계산하는 방법이다(세대기간-기반 추정법). 다른 하나는 로트카-볼테라 개체군 생장 방정식에서 유도하여 최대우도법으로 정확한 내적자연증가율을 추정하는 방법이다(로트카-오일러식-기반 추정법). 후자의 경우 대상 집단의 초기 연령등급을 “0” 또는 “1”로 설정함에 따라 추정값에 차이가 발생하여 적용에 혼란이 제기되었다. 본 고찰에서는 생명표 통계량 계산과정의 역사를 간단히 정리하고, 로트카-오일러식-기반 추정법에서 최초 연령등급을 1로설정한 경우             의 형식, 반면 최초 연령등급을 0으로 설정한 경우     검색어: 생명표, 로트카-오일러식, 연령등급, 개체군 인구통계학, 안정 연령분포            의 형식을 적용해야 함을 재확인하였다.

      • 인구연령조사의 정확성 평가에 관한 연구

        정재구 경기대학교 한국산업경제연구소 2006 産業硏究 Vol.20 No.-

        Methods of testing the accuracy of demagrebhwn data involve comparing two or mare statistics which have a definite relationship and to see whether the relationship holds.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method of testing of the accuracy of age data in Korea Population Census.

      • KCI등재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를 내원한 교정환자의 분포양상에 대한 연구

        구용한,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4

        과거에 비해 소아 및 청소년기에 교정치료를 시작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소아치과에서 교정치료가 차지하는 비율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교정환자의 분포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6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를 내원한 환자 중 교정 진단 받은 79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정 진단을 받은 환자의 연령 분포는 8세가 22%로 가장 많았고 7세(19%), 9세(16%) 순서로 나타났다. 2. 골격 분포는 골격성 1급 부정교합이 52%로 가장 많았고 3급(29%), 2급(19%)순서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은 경우 3급 부정교합 환자의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총 792명의 환자 중 28%인 218명에서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였으며 연령이 낮은 경우 그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Distribution of orthodontic patients in pediatric dental clinics has increased recently. So it is worth to study about the present status of orthodontic patients in pediatric dental clin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and orthodontic patterns of orthodontic patients in pediatric dental clinics. The material consisted of distribution and orthodontic analysis records of 792 new patients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2006 to 2008.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ge distribution, 8-year-olds group comprised 22%, 7-year-olds 19%, 9-year-olds 16%, 10-year olds 15%, 11-year-olds 11%, and other age groups comprised 18%. 2. In skeletal patterns, skeletal class Ⅰ patients comprised 52%, class Ⅱ 29%, and class Ⅲ 19%. 3. In vertical facial types mesofacial comprised 41%, brachyfacial 35%, and dolichofacial 24%. 4. Out of 792 patients 218 patients(28%) showed anterior cross-bite, and the occurrence ratio of anterior cross-bite increased as the age de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