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漢文敎育學의 槪念과 硏究 領域

        尹在敏(Yoon Jae-min)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9 동아한학연구 Vol.- No.5

        한문교육학의 개념은 ‘漢文敎育學’이란 용어를 구성하는 ‘漢文’, ‘敎育’, ‘漢文敎育’, ‘學’ 등의 요소에 대한 바른 분석으로부터 제대로 정립될 수 있다. ‘한문’은 한문교육의 대상을 지칭하는 요소이다. 한문교육의 대상은 漢字, 漢字 語彙, 漢文과 관련된, 텍스트와 비텍스트를 아우르는 모든 언어활동을 아우르는 것이다. 이를 한문 활동이라고 부를 수 있다. ‘교육’은 학습자가 가진 모종의 능력을 신장시키는 활동이다. 그러나 신장시키고자 하는 그 능력이 한문 능력이라는 점에서 한문교육은 여타 分科 교육과 구별되는 나름의 독자성을 갖는다. 한문교육은 漢文과 敎育과 漢文敎育이 총체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특수한 교육의 한분과인 것이다. ‘학’은 한문교육학이 나름의 독자적인 목적과 대상 및 방법을 갖는 체계적 학문임을 나타내는 요소이다. 곧 한문교육학은 한문교육 활동 그 자체가 아니라 한문교육 활동과 관련된 諸般 理論을 연구하는 학문인 것이다. 한문교육학의 연구 영역은 漢文科 敎育課程의 체제에 따른 연구 영역을 먼저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한문교육이 처한 교육 환경에 따른 연구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의 두 영역에 대한 메타 이론적 연구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한문과 교육과정의 체제에 따른 연구 영역은 다시 4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목표 영역, 내용 영역, 교수ㆍ학습 방법 영역, 평가 영역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내용 영역은 다시 이해와 표현 교육 영역, 문화 교육 영역, 문학 교육 영역, 문법 교육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문교육이 처한 교육 환경에 따른 연구 영역에는 漢文敎育 政策論 연구 영역, 漢文敎育 敎師論 연구영역, 漢文敎育 現場敎育論 연구 영역 등이 있다. 한문교육과 인접 학문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문교육 활동 및 현상에 대한 인접 학문적 관점의 연구 또한 여기에 포함시킬 수 있다. 메타 이론적 연구 영역은 한문교육의 이론에 대한 이론을 연구하는 영역이다. 漢文科 敎育課程論 영역 이외에도 漢文敎育學槪論, 漢文敎育史, 漢文敎育學史 등의 연구영역을 여기에 포함시킬 수 있다. Korean Classical Chinese pedagogy is the science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concept of Korean Classical Chinese pedagogy can be defined from the proper analysis of elements such as 'Classical Chinese', 'Educatio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cience' that constitutes 'Korean Classical Chinese pedagogy'. 'Classical Chinese' is the elements referring to the subject of a target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target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overs all the language activities related to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 words, and Chinese writings whether they are text or non-text. This can be said to be Korean Classical Chinese activities. 'Education' means activities for increasing some kind of ability of a learner. But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s its own peculiarity differentiated from other subject matters education in that the ability it intends to increase is Classical Chinese ability. That is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a branch of special education which requires totally consideration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cience' is an element indicating a systematic science having it own inherent goal, subject and method. So to speak, Korean Classical Chinese pedagogy is a science studying not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ctivities themselves but various theories related to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ctivities. In research categories of Korean classical Chinese pedagogy, the research categories according to the system of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an be established. Next, the research categories according to educational environment surrounding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an be established. Lastly, meta theoretical research categories for the above two categories can be established. The research categories according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an be again divided into 4 subordinate categories: a goal category, a contents category, a teachingㆍlearning category and an evaluation category. Among them, a contents category can again be classified into an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education category, a literature education category, and a grammar education category. The research categories according to educational environment surrounding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cludes a Korean classical Chinese policy theory research sphere, a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eacher theory research one, a Korean classical Chinese site education theory research one, etc. Also, this categories can include research on relation betwee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an adjacent science,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Chinese activities and phenomena from the standpoint of an adjacent science. Meta theoretical research categories are the one studying theories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addition to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ory sphere, the research sphere such as a Korean Classical Chinese pedagogy outline, a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istory, a Korean Classical Chinese pedagogy history, etc. can be included in this.

      • KCI등재

        북한의 남한경제 연구

        진유정 평화문제연구소 2010 統一問題硏究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study status, tendency andcharacteristic of North Korea``s study on the South Korea Economy through the analysis of North Korean literatures related to studies on the South Korea Economy. And it also aims to identify the major causes related to the choice and durability of the main research topics.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is article determined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and classified the areas of North Korea``s study on the South Korea Economy into three parts < economic system area, macroeconomics area, department economics area(related to each industry part and enterprise) >. Along with this it classified 1,147 papers related to North Korea``s study on the South Korea Economy according to eachclassifiedtimeandarea. And then it sorted out the main research topics according to each classified time and area and identified the major causes related to the choice and durability ofthem.And the results show that despite various factors, North Korea``s choice and durability of the main research topics related to South Korea Economy are fundamentally caused by North Korea``s purpose to ascertain, emphasis,justify superiority of North Korea Economic System through criticizing South Korea Economy. 이 글의 목적은 북한에서 연구된 남한경제분야 연구 관련 글들을 수집·조사하여 그 연구현황을 파악하고 주요 연구주제들의 선정 및 지속성 요인을 연구영역별로 찾아보는 것이다.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연구를 보다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북한의 남한경제 연구영역을 크게 경제체제영역, 거시경제영역, 부문경제(산업·기업)영역으로 나누고 그 각각을 다시 소분류부문들로 세분함과 동시에 그 분류기준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그동안 조사·수집된 1,147편의 북한의 남한경제 연구 관련 글들을 그 분류기준에 의거하여 4시기로 나누어 영역별로 분류한 결과,시기별로는 1948~1959년이 69편, 1960~1979년이 419편, 1980~1999년이 498편, 2000~2009년이 161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는 경제체제영역이 351편,거시경제영역이 506편,부문경제영역 290편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어 남한경제분야 연구의 주요 연구주제들을 영역별 및 시기별로 정리하고 이들 연구주제들의 선정과 지속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북한의 남한경제분야 연구의 주요 주제들은 다양한 요인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으로는 남한경제에 대한 비판을 통해 북한경제의 우월성을 확인 또는 강조하고 북한경제체제의 정당성을 설파하려는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것들이 선별적으로 선정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북한의남한경제 관련 연구는 기본적으로 남한경제를 미국에 예속된 식민지경제로 전제한 상태에서, 해방이후의 남한경제의 전개과정을 철저하게 미국(또는 일본)독점자본의 단계별 침투과정과 결부시켜 시기별 및 영역별로 관련 주제들을 선정하고 지속시키는 측면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북한의 남한경제분야 관련 연구는 객관적인 기준에 입각한 분석보다는 오로지 비판 일변도로 편중되는 목적 지향적인 측면이 강한 연구라는 점을시종일관 보여줌으로써 적실성과 신뢰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KCI등재

        도시민속 연구의 방법과 영역

        박환영(Park Hwan-young) 한국민속학회 2011 韓國民俗學 Vol.54 No.-

        한국민속학을 접근하면서 이제 도시라는 공간은 더 이상 민속학의 관심 밖에 있는 공간이 아니다. 다시 말해서 오늘날 하루가 다르게 신속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의 도시가 가지고 있는 각양각색의 문화와 다채로운 생활환경을 고려한다면 과연 도시에도 민속은 있을까? 라는 물음과 함께 만약 도시에도 민속이 있다면 이러한 민속은 어떠한 민속이고 아울러서 이러한 민속을 어떻게 접근하고 연구할 것인가? 에 대한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향후 도시민속 연구의 가능한 연구방법과 연구영역에 초점을 두면서 제기될 수 있는 주요한 쟁점을 중심으로 도시민속 연구를 꼼꼼하게 살펴보고,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이제까지 다루어진 도시민속과 관련한 다양한 접근과 시도를 점검해 보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도시민속 연구를 위한 연구방법과 연구영역의 가능성과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 도시민속학의 본격적인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제시되었던 외국의 도시민속학에 대한 선행 논의를 먼저 참고할 수 밖에 없지만 한국의 사회는 나름대로의 특색이 있어서 이러한 서구의 다양한 도시민속학의 경향과 구별될 수 있는 한국민속학에서 적용될 수 있는 독자적인 연구방법과 연구영역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다면 한국의 도시사회의 여건과 실정에 맞는 나름대로의 방법론과 연구영역이 필요한 것이다. 예를 들어서 유라시아 지역을 연구대상으로 최근 탈사회주의 사회에 대한 사회과학분야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향후 북한사회에 대한 도시민속학적 접근과 관련해서도 한국민속학은 도시민속 연구의 연구영역과 접근방법에 있어서 나름대로의 특징과 새로운 방법론적 모색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한국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도시민속 연구방법으로 구술생애사적방법, 구조주의적방법, 상징론적연구방법, 제의학파적방법, 설화분석방법, 맥락론, 기능주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시민속이라는 영역은 기존의 민속학 연구 영역의 연장선상에서 다루어져야 하는데 특히 현대의 도시공간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여러 영역 중에서 우선적으로 도시의 마을공동체와 같은 사회민속, 특수 집단의 은어와 속신, 도시 공간 속의 세시풍속, 도시전설, 다문화와 민속, 영상 및 대중매체와 민속, 달동네와 골목과 같은 도시의 특정한 어느 지역의 민속, 탈사회주의 북한의 민속 등으로 세분화 하여 분류할 수 있다. 아마도 전통사회의 민속을 연구하면서 연구대상으로 다루어졌던 연구영역은 물론이고 도시라는 공간 속에서 새롭게 만들어지고 있는 다양한 민속현상도 향후 도시민속학의 연구영역으로 다루어질 수 있을 것 같다. 전자의 경우가 민속문화의 변모양상이라는 측면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연구영역이라면 후자의 경우는 민속문화의 연장선 상에서 도시 공간 속에서 만들어지고 생성되는 민속이라는 측면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연구영역인 셈이다. Today urban place finds itself no longer outside of the major fields in folklore studies. In other words, we experience rapid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modern city life and therefore we are now surrounded by a diversified multi-cultural urban environment. So we may quest whether there is any folklore in the city. In the same manner we are not sure how we can approach this folklore in the city. In this regard this article not only looks into methodologies and subjects but also makes some suggestions for possible future urban folklore studies. In order to get a profound foundation for systematical researches on Korean urban folklore it is essential to investigate thoroughly various precedent studies in Korea and abroad. However, the unique culture in Korean urban areas needs its own distinctive research methodologies and subjects. For example, post-socialist North Korean society will be a possible research task for Korean urban folklore studies in the near future. In addition, several urban folklore methodologies such as oral and life histories, structural, functional, symbolic or ritual approaches, analysis of folk tales in new context and so on should be included. When we deal with research subjects on Korean urban folklore studies today, there are quite a few interesting potential fields, such as social folklore in urban village communities, folk language like taboo terms and jargons, calendar customs in the city, urban legends, multi-culture and folklore, mass-media and folklore, the post-socialist North Korean society and folklore, etc. Probably, in approaching urban folklore studies about contemporary Korean society, both research topics-previous traditional Korean society and also newly emerging cultural phenomena-must be considered together. In other words, the former shows aspects of cultural transformation and transmission whereas the latter can be regarded as cases of cultural invention and reconstruction in urban settings.

      • KCI등재

        예비체육교사 표현영역 전문성 함양을 위한 통합적 수업의 실행연구

        박성혜(Sunghae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체육교사의 표현영역 전문성 함양을 위한 표현영역교육 수업을 개선하고 확장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통합적 표현영역 수업 계획 및 설계, 수업 실행과정에 대한 관찰 및 분석, 수업의 효과와 확대 가능성 검토의 3단계를 거쳐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표현영역교육 수업을 실행하는 연구자와 그 수업에 참여한 예비체육교사 20명이다. 자료 수집은 문헌 및 현지자료, 참여관찰, 개방형 설문 및 면담, 반성적 수업일지 및 학습일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으로 범주화하였다. 결과 표현영역교육 수업은 표현영역에 포함된 심동적, 정의적, 인지적 역량을 균형 있게 체험하도록 직접 체험하는 활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간접 체험 활동을 포함하여 통합적으로 구성하였으며, 영상 활용 수업을 운영하여 예비체육교사들이 표현영역 관련 신체활동을 응용하고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협동학습 및 문제기반학습을 활용하여 표현영역 관련 과제를 해결하도록 독려하였다. 통합적 표현영역의 수업의 효과는 목표 측면에서 표현영역의 이해를 통한 중요성 및 관점의 변화, 내용 측면에서 표현영역 내용의 다양성 확인, 방법 측면에서 표현영역 방법의 다각적 체험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목표, 내용, 방법 측면의 변화는 표현영역의 교육적 가치를 발견하고 교육자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체육교사들의 표현영역 전문성 향상을 위해 표현영역 관련 예비체육교사교육의 정비, 표현영역교육 수업에서 통합적 관점으로의 전환, 표현영역교육을 지도하는 교수자의 반성적 성찰 및 지속적 성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expression area education class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it in order to improve the expression area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of the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Methods An action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ree stages: planning and design of the integrated expression domain class,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review of effects and expansion possi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a researcher who conducted an expression area education class and 20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d field data, participatory observation,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nd reflective class and learning diarie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by inductive category analysis. Results The plan and application of the expression area education class was integrated into a variety of indirect experience activities as well as direct experiences so that the psychodynamic, affective, and cognitive competencies included in the expression area were evenly experienced. In addition, by operating video-based classes,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could stimulated to apply physical activities related to the expression area, and were encouraged to solve tasks related to the expression area using cooperative learning and problem-based lear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in the integrated expression area was revealed as a change in importance and perspectiv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expression area on the goal aspect, confirmation of the diversity of the expression area contents in the content aspect, and the multifaceted experience of the expression area method in the method aspect. These changes in the aspect of goals, contents and method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discover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expression area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ducator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the expression area, it is necessary to reorganization of the education for pre-servie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the expression area. Furthermore, an integrated perspective is required for the education class in the expression area, and reflection and continuous growth of teacher educators in the expression area are needed.

      • KCI등재후보

        인류학적 관점에서 본 유라시아 지역연구의 지평

        김양주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4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8 No.2

        This paper is trying to discuss the past and present of so-called‘regional studies’ from the perspectives of cultural anthropology. Nowadays we are experiencing radical changes on the several areas. Because of that reason, we need the new methods from this diversearea studies.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heck such newthemes through the connection to the new areas like Eurasia. This isnot a simple personal task but also a trial of corporate tasks of theregional researchers. For the thick and wide studies of Eurasiaregion, we have to enlarge the man-power and areas. Also we haveto pursue theoretical areas and practical areas. To fulfill this purpose, firstly I choose the direction from mypersonal research areas and think about the new horizon of Eurasiaregional studies. To make a way to proceed, I considered two areasfrom the point of view frame. That is the local areas and thedisciplinary areas. Firstly, in the local areas, I considered the regionfrom South Korean to the East Asian region. And furthermore, we are going to extend Asian region to European through Siberia andmiddle Asia region. Secondly, I discussed several points in thedisciplinary areas and methodical areas. To fulfill this new attempt,we have to ask to us some questions like what kind of approachesare possible, and the new trial is available. Of course, these projectsneed the broad and new perspective of cultural anthropology. 한국의 문화인류학 분야에서 장기 현지연구 즉 ‘필드워크’에 기초한본격적인 ‘지역연구’를 시작한지도 한 세대를 넘어가고 있다. 그동안 시대적 요구와 그에 따른 영역들의 변화, 그리고 새로운 영역과의 접속들이 요구되고 있다. 이글은 이러한 변화와 접속을 통한 새로운 생성의 하나로 유라시아라는 지역 영역과 그 문화 연구의 모색을 인류학적 관점에서 검토해 보는 것이 목표이다. 향후 연구와 실천 과정에서 개인적 작업을 넘어서는 공동 작업이라는 인적 영역과 지역적 영역의 확대는 필연적이리라. 그와 함께 연동되는 이론 영역과 주제 영역의 확대의 모색과 발견 또한 필수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논문은 개인적 연구영역에서 출발하여 지역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생각해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크게 세 가지의 영역 틀이 전제되는데, ‘지역-영역’과 ‘분과-영역’ 그리고 ‘주제-영역’이 그것이다. 우선, 지역-영역으로는 한국과 일본이란 틀에서 동아시아, 나아가 새로운 그것으로서 ‘유라시아’ 개념을 포착하고 ‘유라시아학’의 도입을 제안한다. 이러한 거시적 영역 틀에 대한분과-영역과 주제-영역, 방법론에서의 접근은 인류학이 그동안 촉발시켜온 새로운 이론적 관점의 도입과 그 상호 연관 속에서 논의될 것이다. 이들은 모두 기존 영역-영토에서의 ‘탈영역화’ 또는 ‘탈영토화’를 위한기도, 즉 ‘횡단학’의 기획에서 비롯한 것들이다.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과정 연구의 최근 동향 : 2000년~2011년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최현주(Choi, Hyun Ju),김정원(Kim, Jung W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유아교육과정 관련 연구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등재 및 등재 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총 156편의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는 유아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영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유아교육과정·지침서 및 활동자료집 분석,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교수·수업연구, 유아교육과정 이론, 유아교육과정 연구방법론 등의 순서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최근 10년간 이루어진 유아교육과정 연구들의 연구방법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방법이었으며, 다음으로 문헌·이론연구와 양적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 등의 순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질적연구방법은 유아교육과정·지침서 및 활동자료집 분석 영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문헌·이론연구방법은 대부분 유아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영역과 유아교육과정 이론 영역에서 활용되었다. 양적연구방법은 교사의 유아교육과정 전문성 영역, 유아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영역, 교수·수업연구 영역 등의 순으로 많이 활용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areas' and 'research method' of 156 journal articles published during 2000~2011 perio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research in Korea. Content analysis was applied and each articles in the journals were coded to one of seven research areas and one of four methods.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areas', early childhoo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have been most focused on curriculum development, followed by content analysi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activity books, and teacher professionalism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e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method' has revealed that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he most, and then literature review,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ere applied the less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everal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research in Korea: The prevalence of research related to curriculum development, low research in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method, and recent increases of teacher professionalism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research areas.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research in Korea, qualitative method has been increased recently and literature review method decreased.

      • KCI등재

        어린이집 만 2세 학급의 조작·탐색영역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김희성(Kim Hee Sung),김정미(Kim Jeong Me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action research on manipulation and exploration area for 2year old class in the kindergarten and review the impact to the teacher and infant. Also, the ultimate purpose is to suggest an example of effective operation through the improvement in manipulation and exploration area. In this study of manipulation and exploration area, three teachers in charge of Flower class at G kindergarten participated from March 10th to July 11th, 2014. To make an improvement in the manipulation and exploration area, re-organize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class, made a variable options of training tools to get attraction of infants, and changed the assigned time for free play class. Also, interacted with the teaching method to lead to affirmative direction and expanded the interest of infant on a specific training tool to more variable training tools, which resulted in a favorable change. The result of study First, class room is no longer a place just for stay but changed to an environment getting infant s attraction and helping infant focus on. Could observe that the infants showed their interest on manipulation and exploration area every day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Second, regarding the change of individual teacher; Teacher A was a little bit passive at the beginning of this study but became aggressive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eacher B was passive in the teaching method but became self-driven in the teaching method. Lastly, I used to taking a teacher oriented teaching method but changed to infant oriented teaching method. Third, observed a change in the infant that they keep showing a curiosity on manipulation and exploration area and aggressively asking questions. Especially, infant A preferred only one teaching tool at the beginning of this study but changed to be very aggressive which also gave a good synergy impact to other infants. The study of improvement in manipulation and exploration area for 2year old infant has its meaning to draw the attraction of infants through the change of physical environment of class, effective time allo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infant. Also, resulted in a good change of teacher s behaviour in the teaching method. The valu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basic model of the improvement in manipulation and exploration area. 본 연구는 어린이집 만 2세 학급의 조작·탐색영역의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로 조작·탐색영역의 활성화 과정을 통한 교사와 영아의 변화 양상과 교육과정 운영의 변화를 알아보고 영아에게 효과적인 운영사례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작·탐색영역의 활성화를 위해서 2014년 3월 10일부터 2014년 7월 11일까지 총 19주 동안 G어린이집의 만 2세반 담임을 맡고 있는 3명의 교사와 만 2세영아 14명과 함께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현장관찰, 교사면담 및 교사-연구자 협의, 교사저널, 영아 관찰일지, 사진 및 활동녹화자료, 문서자료 등을 중심으로 수집된 자료는 코딩과 범주화과정을 거쳐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첫째, 형식적이었던 교실의 물리적 환경을 영아들이 집중할 수 있는 환경으로 재배치하여 영아들의 집중을 이끌어 내었다. 둘째, 조작·탐색영역의 활성화를 위해 실시한 교사면담, 교사-연구자 협의 등을 통해 교사들의 변화를 이끌었다. A교사는 소극적인 모습에서 능동적으로 연구하는 교사의 모습으로 B교사는 자신감이 없는 수동적인 태도에서 적극적으로 교수방법을 고민하는 교사로 변화하였으며 연구자는 교사 주도식 교수방법에서 영아 주도식 교수방법을 시도하는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셋째, 영아는 조작·탐색영역에 대해 스스로 탐색하고 활기차게 관심을 갖는 모습으로 변화하고 한가지 교구만 선호하던 영아도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만 2세 조작·탐색영역의 활성화 방안을 실행연구로 진행하여 교육과정운영, 교사와 영아의 변화를 긍정적으로 이끌어 내었으며 조작·탐색영역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효과적인 운영사례를 제시해 주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TIMSS 2011의 선다형 공개 문항을 통한 초등학생의 과학 내용영역과 인지영역의 관계 분석

        전성수 ( Seong Soo Jeon ),박종호 ( Jong Ho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3

        이 연구는 TIMSS 2011을 기초한 학업성취도평가를 통하여 초등학생의 과학학습에 대한 내용영역과 인지영역의 관계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과학교육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초등학생 4~6학년 317명을 대상으로 TIMSS 2011에서 공개된 총 41개의 선택형 문항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연구대상의 학년과 학업성취수준에 따라평가 결과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라 과학학습의 내용영역과 인지영역별 점수와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문항별 상관관계도를 통해 정적상관관계와 부적상관관계로 구분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학년에 따라 과학학습의 ‘물상과학’과 ‘추론하기’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모든 내용영역과 인지영역별 상관관계도 연구대상의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연구대상의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내용 및 인지영역의 차이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연구대상의 학업성취수준과 과학학습의 내용 및 인지영역에 따른 상관관계의 양상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문항별 정적상관관계도와 부적상관관계도에서 문항별 상관관계의 복잡성과 양상이 연구대상의 학업성취수준에 따라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This research is for acquiring implications to science education based on learner``s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s on science learning and cognitive domain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TIMSS 2011-based academic achievement test. Forty one multiple choice items from by TIMSS 2011 were used on 317 primary school students, fourth to sixth grade, and according to grade and achievement level of research targets, test results were analyzed. With these data,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s on science learning and the score by cognitive domains, and through correlation by items, we drew static and negative correlations, and then compared the value.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other fields except for ``physical science`` and ``inference`` revealed meaningful differences by learners`` grade,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ll contents domains and cognitive fields also appeared statically different. Second, both achievement level of contents and cognition of learners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tific contents and cognitive field of learners showed different aspects. Third, in static and negative correlation by items, the complexity and their aspects could be classified by target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표현 영역 수업 준비에 필요한 요소 탐색

        이강순(Kang-Soon Lee) 한국초등체육학회 2023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표현 영역 수업 준비에 필요한 요소를 탐색하여 원활한 표현 영역 수업 진행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체육과 표현 영역 수업의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특정 사례를 주제로 자료를 수집하고, 본 연구자의 경험과 통찰을 통해 현상의 의미를 해석하는 근거이론과 그 이론에 해석까지 붙이는 해석적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온라인 공간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그대로 저장하며, 연구 참여자들이 자료를 확인하는 동시에 범주화 작업이 가능한 인터넷 질적연구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A 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 학위과정 계절학기 대학원생 15명 중 평소 표현 영역에 관심이 있고, ‘무용교수법’ 강의를 수강한 9명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연구 참여자 9명에게 SNS를 통해 초등학교 교사의 표현 영역 수업에 필요한 요소 관련 설문지에 답을 요청하였으나 6명만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교사의 표현 영역 수업 준비에 필요한 요소는 다음과 같다. 교사는 학생의 지식·이해 요소를 가르치기 위해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참고 자료와 다양한 콘텐츠의 연구 등이 필요하다. 교사는 학생의 과정·기능 요소를 가르치기 위해 교수법을 연구하고, 실기 활동 참여를 통한 실기 능력의 향상 등이 필요하다. 교사는 학생의 가치·태도 요소를 가르치기 위해 자신감을 상승시키고, 표현 영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긍정적으로 개선 시키며, 학생의 참여와 표현에 대해 적극성을 높일 수 있도록 자연스러운 참여 분위기와 공간 구성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본 연구에서 언급한 교사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체육과 표현 영역 이해와 함께 초등 무용교육의 의미를 재해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표현력, 창의력, 예술적인 능력 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더 나아가 신체활동 문화를 전 생애 동안 즐길 수 있으며, 문화적 소양을 내면화하여 추구할 수 있도록 신체활동 문화 향유 역량을 기르기 위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창의·인성교육의 초등 무용교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he smooth progress of the expression area class by exploring the elements necessary for the preparation of the expression area cla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help vitalize physical education and expression areas in elementary school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data on a specific case, and use the grounded theory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phenomenon through the researcher's experience and insight, and the interpretative case study method to add interpretation to the theory. In addition, the Internet qualitative research, which collects data in the online space and stores them as they are, and enables research participants to check data and categorize it at the same time, was used. In this study, among 15 seasonal semester graduate students in the master's degree program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 University of Education, 9 students who were interested in the area of expression and took the 'Dance Teaching Method' lecture were selected. Nine selected research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related to elements necessar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ressive class through SNS, but only six participants participa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lements necessar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eparation for expressive class are as follows.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 curriculum and study reference materials and various contents in order to teach student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eachers need to study teaching methods to teach students' process and functional elements, and improve practical skills through participation in practical activitie s. Teachers need a natural participatory atmosphere and space composition to increase students' confidence in teaching values and attitudes, positively improve negative perceptions of the area of expression, and increas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ex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researcher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elementary dance education along with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physical education and expression area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mentioned in this study. It helps to improve expressiveness, creativity, artistic ability, etc.,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enjoy physical activity culture throughout life, and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to develop the ability to enjoy physical activity culture so that you can internalize and pursue cultural knowledge. Along with this, research on elementary dance education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s needed.

      • KCI등재

        과학 교육에서의 평가 연구 동향

        정수임 ( Sue-im Chung ),신동희 ( Dong-hee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4

        이 연구는 최근 30년 동안 과학 교육에서 평가를 다룬 국내 논문을 분석하여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과학 교육 과정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연구의 주요 목표는 과거 30년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과학 교육 관련 평가 연구의 동향을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연구 목적과연구 방법론, 연구의 주제어별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73편의 연구 논문을 선정했고, 대상, 교과, 연구 방법론, 연구 내용 등의 범주로 분류하여 각각의 논문을 분석했다. 연구의 동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같은 시기에 진행된 국가 교육 과정의 변화와 평가와 관련한 대내외적 사건을 연계하여 설명을 시도했다. 분석 결과, 과학 교육에서 평가 연구의 전체적 동향은 국가 교육 과정과 평가 관련 제도의 변화를 반영한 경우가 많았다. 연구의 대상이나 주제가 정의적 영역보다 인지적 영역에 편중해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나,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나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에서 얻은 표준화된 자료를 통해 정의적 영역과 다양한 배경 변인의 관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인지적 혹은 정의적 영역에 상관없이두 영역 모두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보다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인지적 영역은 평가 도구로써 지필 평가와 수행형 평가 등을 다양하게 사용한 반면, 정의적 영역에서는 대부분 지필 평가만을 실시하고 있었다. 평가 연구의 목적은 주로 실제 상황에서 실용적이고 응용적인 내용을 다루는 응용 연구와 평가 연구가 많았고, 연구 방법론도 양적 자료를 다루는 통계를 기반으로 한 방법을 사용했다. 분석 논문의 주제를 유사한 범주로 묶어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주제가 점점 일반적인 내용에서 구체화, 세분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그 동안 과학 교육 관련 평가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개념의 명료화와 관련하여 평가 도구를 정교화할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을것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의적 영역의 평가에서 실증적 자료를 얻기 위한 방안 마련, 다양한 맥락으로 세분화된 평가를 수렴할수 있는 이론적 기초 정립, 양적 자료에 편중된 연구의 균형을 추구하는 연구 풍토의 개진, 평가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여 완성된 교육과 정으로 개선하는 기관과 체계의 정비 등을 시사점으로 제안했다. This study seeks educational implication by analyzing research papers dealing with science assessment in the most recent 30 years in Korea.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in published papers on science assessment, their purpose, methodology, and key words, especially concentrating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We selected 273 research articles and categorized them by research object, subject, methodology, and content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search trend, we also tried to contextualize papers’ theme in terms of changes in national curriculum and assessment system during the contemporary period. As a result, an overall research trend reflects changes in science curriculum and assessment events such as implementation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r performance assessment. There is an unequal distribution in various aspects of the researches, showing a superiority in cognitive domains than the affective ones. By using standardized data obtained through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science,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superior to qualitative ones. Studies on cognitive domain use variously written- and performance-based tests, whereas most studies of the affective ones prefer written tests. Applied research and evaluation research are predominant comparing to basic ones, which most of the research methodology is based on statistics. Lastly, we found out that key words and subjects tend to be subdivided and detailed rather than general and comprehensive, as time goes on. Such trend will be helpful to elaborate and refine assessment tools that have been regarded as a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