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치원의 역사인식 연구

        金福順(Bok-Soon Kim) 한국고전번역원 2010 民族文化 Vol.- No.34

        본고는 최치원의 역사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우선 그의 생애와 저술을 간략히 살피고자 한다. 이는 그가 유학자로서 현실적인 합리주의 사관을 형성하게 된 과정을 역사인식의 배경을 삼고자 하는 것이다. 그의 역사인식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첫 부분은 그의 역사인식이 끼친 영향 때문에 지속적으로 논의가 되고 있는 문제이다. 이는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일연의 『삼국유사』에 나오는 최치원 저술들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첫째는 한국 상고사에 관한 인식의 문제이다. 그는 한국 상고사에 있어 기자를 가장 멀리 인식하고 있었다. 『삼국사기』에서 기자를 상한으로 삼은 것과 같은 맥락으로, 김부식이 유학자로서의 최치원의 인식과 그 궤를 같이 한 때문으로 보았다. 반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삼한을 마한-고구려’, ‘변한-백제’, ‘진한-신라’로 연계한 최치원설을 적극 수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둘째는 『제왕연대력』과 중국과 신라와의 관계 설정에 관한 문제이다. 『제왕연대력』에 보이는 왕호의 인식이 김부식에서는 사실주의에 입각한 진전된 모습으로 바뀐 반면에, 일연은 최치원설을 일부 따르고 있음을 비견해 보았다. 태종무열왕의 강조는 두 사서가 같은데, 『삼국사기』에서 문무왕의 당과의 결전을 특기하여 신라의 독자성을 크게 부각시킨 측면은 역사서술의 진전된 모습임을 밝혀 보았다. 셋째는 유학자로서 3교 회통적 인식과 효선쌍미적 인식에 관한 문제이다. 최치원은 유학자이기는 하지만 유불도 3교의 회통적 인식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고려조 전반을 거쳐 비슷한 유형의 학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모습이었다. 그는 효선쌍미적인 인식을 선사들의 비명에서 드러내고 있는데, 이는 일연이 『삼국유사』에서 「효선」편을 설정한 것과도 비슷한 맥락에서 인식할 수 있는 것이었다. 다음 부분은 『계원필경집』등 그의 저술에 보이는 현실적 역사인식이다. 하나는 당 중심으로 형성된 세계관으로 역사를 인식한 사실이다. 그는 합리주의를 표방한 유학자로서 매우 현실적인 역사인식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는 중국 연호의 중시, 당 중심의 외교관계 등에 주의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최치원과 김부식에 의해 杜撰된 수유 학승 안함의 귀국연대 기사를 정리해 보았다. 다음은 사회개혁론에 드러난 그의 인식이 인재등용에 초점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 다음으로는 신라 불교와 풍속을 동아시아인들이 공유할 수 있는 한문문장으로 표기한 점이다. 그에 의해 한문 문장으로 채록된 많은 불교 관계 기사는 고대문화의 보존이라는 측면에서 일정한 역할을 한 것이다. 이상의 내용으로 볼 때, 그는 신라시대의 국제적 상황인식을 가지고 사실적인 역사서술을 남겨 놓음으로써 한국의 역사가로서 한 획을 그을 수 있을 정도의 역사인식을 소유한 인물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Choi Chi-Wons historical cognition. In order to fulfil the purpose, I mainly examined his life and writings. This approach is based on my opinion which regards the process where he, as a confucianist, formed realistic rationalism as the background of his historical cognition. I explained his historical cognition by dividing it into two aspects. First, I examined his historical cognition by focusing on his writings introduced in Samkuksagi by Kim Boo-Sik and Samkukyusa by Ilyeon. These writings have been continually studied because of their influences on other scholars after him. The discussions about this aspect are focused on the three parts. The first discussion is Chois cognition on the Korean ancient history. He put the period of Gija on the top of the history. This kind of understanding is same as that of Samkuksagi because Kim Boo-Sik s historical cognition is almost same as that of Choi Chi-Won. Also, Samkuksagi and Samkukyusa reflect Choirs histotical cognition which accepts the relation beween Mahan and Kokuryeo, between Byunhan and Backjye, and between Jinhan and Silla. The second discussion is the relation between China and Silla and Jyewangyeondaeryuk. Kim Boo-Sik changed Wanghos historical cognition showed in Jyewangyeondaeryuk into the realistic understanding. However, Samkukyusa by Ilyeon followed partly the Chois understanding. The above two historical books emphasize the role of Mooyulwang; however, Samkuksagi can be understood as some more advanced historical book, compared with the Chois understanding of history, in the sense that the book emphasizes the independency of Silla by mentioning Munmuwangs decisive battle against Dang. The third discussion is the understanding about relations among the three religions(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Hyosunsangmi (two main values, filial piety and Zen). Choi Chi-Won understood that the three religions could be communicated each other, although he was a confucianist. Most of scholars showed this kind of understanding during the first part of Koryeo dynasty. Choi explained the values of filial piety and zen in the epitaphs of the previous Buddhist priests. This is very similar as the fact that Samkuyusa includes the chapter of filial piety. Second,I discussed Chois historical cognition showed in his writings, including Gyewonpilgyungjip. In this part, I argued that he showed Dang-centered historical cognition. This wa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he, as a rationalist, realistically understood history. This kind of his understanding is showed in his emphasis of Chinese reign style and the foreign relations centered to Dang dynasty. Thus, I readjusted the year (reported by Choi-Chi-Won and Kim Boo-Sik) which Anham, a Buddhist priest, returned to Silla. In addition, I illustrated that Chois study on social reform was focused on the recruit system of the capable men. I also stated that he wrote in Chinese characters which the East Asian people could understand. Although he had Sillas nationality, he explained history in the international point of view. This reflects that he, as a historian, had a ground breaking historical cognition at that time.

      • 『동사찬요』에 나타난 오운의 역사지리인식

        박인호 ( In Ho Park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7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0 No.-

        오운의 ??동사찬요??는 그 동안 17세기 초엽에 나온 사략형 사서로서 크게 주목을 받았다. 기존의 연구를 통해 ??동사찬요??에 나타난 역사인식의 내용과 판각에 따른 차이가 대체로 밝혀졌다. 그런데 기존의 논문들은 ??동사찬요??의 改刊과정에 대한 설명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으며, 그 결과 ??동사찬요??의 내용 가운데 가장 많은 변화를 보인 역사지리에 대한 서술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고 그것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가에 대한 설명에 부족한 점이 있었다. 오운은 1606년 영주에서 ??동사찬요??를 편찬하였다. 유성룡은 이를 보고서 선조에게 봉진하였다. 그 후 이 봉진본을 바탕으로 1609년 “기유계림부간”이라는 간기를 가진 활자본을 간행하였다. 이 책은 오운이 1609년 1~2월 사이 경주부윤으로 재직하던 당시에 8권으로 간행되었다. 그후 이를 수정하여 11권으로 만들었는데 8권본의 판목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새로 들어간 권1상, 권1중, 권1하, 권2상의 4권만 판목을 별도로 만들어 간행하였다. 1614년에는 이에 다시 ?지리지?를 보충해 넣어 12권본으로 만들어 영주에서 간행하였다. 이때 이러한 수정이 있게 된 것은 한백겸의 지적 때문이었다. 그 뒤 후손들에 의해 1908년 영주 삼우정에서 16권본이 간행되었다. 이렇게 수정된 ??동사찬요??를 중심으로 오운의 상고기에 대한 역사지리인식을 살펴보면 8권본에서는 단군, 기자, 위만의 삼조선에 대해 평양 중심의 인식관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하였으나 11권본으로 가면서 단군의 역사적 연원을 九種의 단계로 올려본다거나 箕子의 강역을 요하 이동 한수 이북으로 상정하여 강역을 확대하여 이해하는 등 그 위상이 높아지거나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위만을 이은 사군에 대해서는 현도군의 위치에 대해 심양 일원으로 비정함으로써 조선중기 이래 현도를 요동지역으로 상정하려는 생각의 선구를 이루었다. 패수에 대해서는 시기별로 다르게 지칭할 수 있음을 언급함으로써 이후 다양한 역사지리에 대한 비정의 선구적 형태를 보여주기도 한다. 삼한의 위치에 대해서는 한백겸과의 서신교환을 통해 12권본의 ?지리지?에서 마한=전라도, 변한=가야, 진한=신라의 삼한설을 결국 받아들였다. 삼국의 역사지리에서 고구려는 남쪽으로는 한강, 북쪽으로는 요하에 이를 정도로 삼국 가운데 가장 넓은 영토를 차지한 것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영토관은 ?지리지?의 서술에서 고구려 군현 명칭에 대한 보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오운의 역사지리인식은 상고기의 강역을 한반도 내의 좁은 영역에서 보려는 전통적인 조선전기의 역사지리인식에서 벗어나 요동일원에서의 변화를 중시하는 한백겸 이래 조선후기 학자들의 역사지리인식으로 넘어가는 과정의 산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삼국의 경쟁에서 최종적 승리를 거둔 신라의 승리 요인을 도덕적 차원에서 설명하거나 고려 선대 세계에 대한 황탄하고 신이한 전설을 11권본에서 탈락시키고 있는 데서는 오운의 역사인식이 유교의 도덕적 합리적 역사관에 바탕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오운은 유교적인 도덕률과 합리성에 기반을 하면서도 주자학의 정통논리를 적용하려는 사림들의 역사인식을 대표하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동사찬요??는 한백겸 이래의 역사지리에 대한 관심의 선구를 이루는 사서라고 할 수 있다. ??Dongsachanyo?? Written by O Un has been taken attentions considerably as a Saryakhyung historical record(a well-condensed historical record) published in the early of 17th century. By investigating many of existing studies researched ??Dongsachayo??, we can reconsider contents of O Un's historical cognition and difference by versions of ??Dongsachanyo??. All of existing articles haven't tried to investigate the revision process of ??Dongsachanyo??. At the result, it contains something deficiency at explanations how those descriptions in the part of historical geographies had been changed and what is the meaning of its changing. O Un compiled ??Dongsachanyo?? in 1606 when he had taken refuge in Youngju. Yu Sung-ryong dedicated to the King SunJo a version of ??Dongsachanyo??. At later the type of the imprint "Giyugyerimbugan" was published on the basis of a version dedicated to the King SunJo. That record was the very version that O Un published as 8 volumes while he held office as a Geyungju Buyun at about January to February in 1609. Then that was revised and published as 11 volumes that new volumes of four plus the existing 8 volumes. In 1614, it was published as 12 volumes supplemented a part of geography in Youngju. It owed to Han Baek-Gyeom' advice. And in 1908, ??Dongsachanyo?? of 16 volumes was published at Samujeong, Youngju. ??Dongsachanyo?? compiled by O Un is remarkable in that its contents continuously had been revised and supplemented as well as it contained important contents of historical geographies. Among many of historical records, there is no case that had been revised and supplemented continuously except ??Dongsachanyo??. When I try to appraise O Un's cognition about historical geographies of Ancient period by analysing the revised ??Dongsachanyo??, it shows that it didn't get out of the centered cognition toward PyungYang in relative to three Chosuns of Dan-gun, Gija and Wi-man in the version of 8 volumes but the version of 11 volumes seems that it's cognition is expanded and enhanced in that it was traced back the historical period of Dan-gun to the stage of Gujong. And the version of 11 volumes applied the cognition about the expanded activity area of Gija from the East of Yoha to the North of HanSu. While ??Dongsachanyo?? accepted the traditional opinion that Nak-rang corresponded to Chosun-Hyun, Imdun to Dongee-Hyun, Hyundo to Okjeo, Jinbun to Sab-Hyun, it has been taken the lead of opinion that it presumed the boundary of Hyundo to be the East area of Yoha since the middle of Chosun by deducing highly as the area of Simyang in relating to the place of Hyundo. As the other case of discussing about PaeSu, O Un tried presenting the initiative type of inferences and deducing from various historical geographies. As regards the place of Samhan, O Un supported Kweon Geun's opinion of Samhan that Mahan corresponded to Baikjeo, Beunhan to Goguryeo and Jinhan to Silla among the existing opinions but he became to suspect Kweon Geun's opinion by keeping correspondence with Han Baek-Gyeom many times. Of course, O Un didn't revise his opinion in the part of Samhan in one volume of the version of 8 Volumes which compiled as such facts of the existing historical geographies but he finally accepted that Han baek-Gyeom's opinion of Samhan that Mahan corresponded to Baikjeo, Beunhan to Gaya and Jinhan to Silla in the part of ?Jiriji(geographical records) of the version of 12 Volumes O Un presumed to expand the main area and capital city of earlier Goguryeo into Manju area. And he understood that Goguryeo expanded into Hansu toward the South and into Yoha toward the North and finally occupied the widest territories among three dynasties. His cognition of historical territory was reflected as supplement of names of Gun and Hyun around Goguryeo in describing of the part of ?Jiriji? O Un's cognition of historical geographies can be appraised as a product in the transitional period that changed from a traditional cognition of historical geographies in the early of Chosun which fixed to restrict the stage and boundary of Upper Ancient times within Korean peninsula into scholars' cognition following Han Baek-Gyeom in the later of Chosun which considered importantly changes in the areas of Yodong. On the other hand we can find a explanation that it contained the cognition of Confucian moralism in ??Dongsachanyo?? that Silla took the place of the final winner and that became the winner the reason why dynasty of Silla had the causes of moralism. In the version of 8 volumes, we can find a Similar cognition in that dynasties of GyeonHwon and GungYea were recorded as non-orthodox dynasties. Judging that O Un understood the Upper Ancient times by using terms such as non-orthodox dynasties and satellite dynasties, it may be appraised that O Un already tried describing history on the basis of orthodox cognition of Neo-Confucian. Compared that there was not a differenti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unification of Silla in the version of 8 volumes, there is appeared that the differentiated Silla of Samguk period from Silla after nine year of the King Moonmu' reign in the version of 11 volumes. And Judging that recorded the period after 19th year of the first King's reign of Goryeo dynasty as the period of Goryeo, it seems that O Un recorded to apply orthodox cognition strictly compared with the earlier times. It is also shown that his cognition of orthodox logic was applied in the part of ?Jiriji?. After he had criticized the ways of describing firstly districts and Gun or Hyun of the subordinate unit in the part of ?Jiriji?, ??Samguksagi??, he systematically described to arrange the historical geographies according to the precedence of Ju, Gun and Hyun that followed to describe firstly the place of king and his subordinates. Judging from above investigation, it can be appraised that O Un is the representative historiographer who tried to apply the Neo-Confucian orthodox logic on the basis of confucian moral principle and rationality. Then ??Dongsachanyo?? deserve to be appraised as the pioneer historical record that fulfilled concern of historical geographies after Han Baek-Gyeom.

      • KCI등재

        일제강점기 안동인의 역사저술과 역사인식

        박걸순(朴杰淳)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0

        안동은 한국독립운동의 발상지이자 독립운동의 성지로 평가된다. 그것이 가능했던 배경으로서 우선 퇴계학통이라는 학맥이 대의 명분을 중시하게 한 정치적 측면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안동인의 독립투쟁과 구체적인 인과관계를 지니며 이 사실을 입증하는 것은 그들의 치열한 역사인식이 산출한 역사전술이다. 안동인은 한국독립운동사에서 척족들의 집단 망명이라는 매우 특이한 사례를 보인다. 그리고 그들은 그들이 정착하여 독립운동의 터전을 일궜던 서간도를 우리 민족사의 무대로 인식하였고, 그곳에 살던 중국인들도 광범위한 범주에서 동족으로 여겼다. 안동인의 치열한 역사인식을 대표하는 인물은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던 이상룡ㆍ류인식ㆍ이원태이다. 이상룡이 만주로 망명하기로 결심한 것은 만주는 단군 성조의 옛 강토로서 비록 옷차림이나 언어가 서로 다르다 하더라도 조상은 동일 종족이라고 인식하였기 때문이었다. 비록 그가 망명하기 직전 저술하였다는 『국사國史』는 현전하지 않아 체계적인 그의 역사인식 구조를 알 수는 없으나, 그의 많은 문학 작품과 그의 망명일기인 「서사록西徙錄」에 기록된 내용만 가지고도 그의 역사인식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류인식은 혁신유림으로서 망국을 당해 발해의 옛 땅이 우리들이 돌아 갈 곳이라고 판단하고 만주로 망명하였다. 그는 귀국 후 점차 역사인식이 박약해지는 젊은이들에게 조국정신祖國精神을 심어주고 국수國粹를 발휘하게 하기 위하여 방대한 『대동사大東史』를 저술하였다. 본서는 철저한 남북조사관에 의해 단군을 수위로 하는 고구려-발해정통론을 전개하여 1910년대를 대표하는 역사서로 평가된다. 이원태는 대종교도로서 만주로 망명하여 교주인 김교현을 종사하였고, 귀국후 『배달졸강역형세도倍達族疆域形勢圖 』(44圖)를 저술하였다. 본서는 만주와 한반도에 존재했던 국가들을 배달족으로 인식하여 남북조南北朝로 간주하였다. 따라서 그에게는 신라의 삼국통일과 고려-조선으로 이어지는 한반도의 역사는 단지 남강南疆(南朝) 왕조의 변천에 불과한 것이었다. 오히려 그는 잃어버린 땅인 북강北疆(北朝) 만주를 수복하는 것이 진정한 민족하의 통일로 인식하였다. 결국 안동민의 도만渡滿과 독립운동은 치열한 역사인식에 기초한 것이었고, 이상룡ㆍ류인식ㆍ이원태는 이를 역사저술로 표출해 낸 대표적 인물이었다. 이들은 모두 만주 망명과 독립투쟁의 경험을 지니고 있었으며, 단군을 민족의 시조로 하는 배달족과 남북국개념을 지니고 있었다. The Andong area is considered a birthplace of a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a sacred place of independence movement. The writing on history of Andongs fighters for korea independence presents their historical consciousness. Lee, Sang-ryong, Ryu, In-sik and Lee, Won-tae have become known as among them and they moved to Manchuria to keep doing their movement. The area Manchuria made them expand their view of korean ancient history. Lee, Sang-ryong had thought that Manchuria had used to be korea’s territory from the beginning by Dangun, the founder of korean, It made him move to Munchuria. It can be figured out his historical awareness by means of his exilediary ‘Seosalog(西徙錄)’ Ryu in-sik was quite innovative and followed Lee Sangryoung to Manchuria where was regarded as the place they could go back after lost their country. Ryu had hoped that native young people own patriotic spirit, so that he left the book ‘Daedongsa(大東史-)’. This book is represented the history book as well told of those days. Lee, Won-tae followed his religious leader Kim, Gyo-heon as Dangun religionist. He also wrote a book about the ancient korea. ‘baedaljog gangyeong hyeongsedp(倍達族疆域形勢圖)’, a map of people’s who all lived in Manchuria and Han Peninsula. The history in Han Peninsula except Manchuria was for him just about dynasty chronicle. He rather hoped korea’s unification with that the country should have Manchuria back that used to belong to ancient korea. Eventually their patriotic spirit made them move to Manchuria and write history books. They all had mutual view of that Dangun should be the origin of korean and that they moved to Manchuria to continue their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

        한ㆍ중 항일기념관의 전시 내러티브와 동아시아 역사인식

        조은경(Cho, Eun-Kyun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4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47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항일기념관인 독립기념관과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을 중심으로 건립과정과 전시 내러티브를 비교검토하고 전시에서 재현된 동아시아 역사인식을 살펴보았다. 두 기념관은 1982년 일본의 역사교과서 파동을 계기로 1987년 건립하였으며 항일투쟁사를 주제로 전시 내러티브가 구성되었다. 이를 통해 일제의 침략만행을 고발하고 민족단결의 통합가치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공통된 특성이 있었다. 동아시아 역사인식에 대한 검토 결과 두 기념관 모두 일제의 침략만행을 고발하고 있으나 오늘날 일본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었다. 독립기념관은 일본의 역사왜곡과 영토분쟁을 규탄한데 반해 항전관은 중일우호관계를 강조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상호인식, 한중공동항일투쟁에 대한 인식은 충분치 않았다. 동북항일연군, 조선의용대(군), 일본군‘위안부’ 등 공통된 전시주제가 확인되었지만 두 기념관 전체 전시 속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극히 적고 역사해석에서 차이가 있었다. 두 기념관의 전시 내러티브를 구체적으로 검토해볼수록 양국 간 역사인식차가 더욱 커진 원인은 두 기념관 모두 각국에서 공식적으로 공유되는 집단기억을 전시 내러티브로 삼았기 때문이다. 역사인식의 주체와 목적이 달랐기 때문에 전시되는 내용 또한 다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는 한국과 중국이 일본제국주의에 의해 피해를 입었고 항일투쟁을 전개한 유사한 역사경험을 했기 때문에 역사인식 또한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른 결과였다. 두 기념관이 한국과 중국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염두에 두어볼 때 기념관에서 확인되는 역사인식과 내러티브의 차이는 한·중 양국의 근현대사 인식을 대변한다고 볼 수 있다. 일본의 역사왜곡이 확대 강화되는 현재 독립기념관과 항전관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두 기념관은 철저한 고증을 거쳐 일본의 역사왜곡을 실증적으로 반박하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교류로 한중 양국의 역사해석을 공유하고 상호 인식을 확대하여 한중 역사공조의 토대가 될 수 있도록 역할을 담당해야한다. 두 기념관의 활동을 통해 동아시아 공동의 역사인식을 형성하고 반침략 평화주의를 후손에게 전승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제 6·7차 교육과정 세대의 역사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이은지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Korean national history curriculum and history textbooks on people’s historical awareness. To conduct research, I developed a scale which is related to historical awareness. It is constructed based on an analysis of history textboo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in historical awareness depending on the curriculum. The two generations evaluate three questions differently: ‘the national power of Goguryeo’, ‘the value of solidarity in defeating foreign enemies’, and ‘the role of the nationalists in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But the effect size is small. This means that differences in the curriculum do not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istorical awarenes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Secondly, there a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7th generation depending on the choice of Korean history as an examination subject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nly three questions were valid in the historical awareness scale: ‘cultural diffusion to pre-modern Japanese’, ‘role of the nationalists in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influences of the bipolar system and the left wing on the division of Korea'. Again, the effect size is small. This implies that choice does not bring abo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historical awareness between the two groups. From these assessments, it was possible to extract several implications that may be useful to history education. 이 연구는 특정한 교육과정 하에서 역사교육을 받은 학생이 성인이 되었을 때,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그의 역사인식에 어느 정도 남아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교육과정을 이수한 제 6·7차 교육과정 세대를 대상으로, 교육과정별·선택여부별 비교를 통해 그들의 현재 역사인식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고찰하였다. 우선 제 6·7차 교육과정 세대 간 역사인식을 비교하기 위해, 교육과정에 따라 그들의 전반적인 역사인식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역사인식 척도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역사인식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기 위해, 순위별 분석과 전체 빈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두 세대가 자신의 전반적인 역사인식에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한 요인의 순위별 분석과 빈도 분석에서 언론계열은 항상 많은 지지를 받았음이 드러났다. 다음으로 역사인식 척도에 대해 두 교육과정 세대는 전체 여덟 가지 척도 항목 중, 세 가지(고구려의 국력, 외적 격퇴를 위한 단결의 가치, 항일운동에서의 민족주의 계열의 역할)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효과크기 또한 작은 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과정 세대에 따라 역사인식에 큰 차이를 보인다고 보기 어렵게 만든다. 이어서 제 7차 교육과정 세대 내 선택여부에 따라 전반적인 역사인식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역사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이번에도 역시 순위별 분석과 빈도 분석 모두에서 언론계열은 상위권에 위치하였다. 다음으로 역사인식 척도 평균을 비교한 결과, 세 가지 문항(전근대 일본에의 문화 전수, 항일운동에서의 민족주의 계열의 역할, 강대국과 좌익진영이 분단에 미친 영향)에서만 선택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효과크기는 모두 작은 편에 속하였다. 따라서 한국사 과목 선택여부에 따라 현재 역사인식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제 6·7차 교육과정 세대가 현재 보이는 역사인식에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차이는 그다지 반영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그들의 현재 역사인식 형성에 언론이 미친 영향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 KCI등재

        A thought on the mutual Relationships of History, Culture and Area Studies in the light of Epistemology

        노명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29 No.-

        The true nature of a certain (special, individual, particular) area implies the ultimate outcome of the history unique to the area. Because, the history unique to an area is the aggregate of all past experiences of the area people. History has a stratified structure which represents the aggregate (totality) of the diachronic accumulations of the occurrences. Each period builds upon the past. In the each phase (slice) of this stratification of history live the area contemporaries. Each phase can be understood as the culture which comprises whole life fields of the area inhabitants. This culture is formed through the history of this individual area. So, without understanding the stratified structure of history of an area (that is, the total accumulations of historical occurrences), we can not recognize the culture as the aggregate lifestyle of the area accurately. Culture may be defined briefly as a community of a people who hold numerous features of belief, behavior, and overall way of life in common, including ideology, technology, social institutions, and material possessions. Without a doubt, history is the aggregate of all past experiences. But in reality, we can only realize history which comes within our spheres of cognizance. That means that history which we know, in its volume and character, also depends on our faculty of understanding. We can conclude that history stands in a strong relationship with epistemology. The central object of area studies is the human beings of the area who are in the process of the history. Area studies can be regarded as a continuous process of interaction (an unending dialogue) between the researcher of an area and the research object (and other area). From this point of view, I conclude that area studies is a science of epistemology. Because of the different history each area possesses particularity, that is individuality. The first goal of area studies lies in the recognition of this individuality. This individuality can be more obviously recognized through continuous comparisons between areas. Under this process we can also extract universality (generality) gradually. In the end we can develop a third new perspective. That is the dialectic unification between speciality and universality. 역사 과정을 통하여 한 지역의 개성적인 문화가 형성되고 그 지역인의 성격이 결성된다. 역사의 중층적 구조의 각 층은 제 단계의 문화를 보여준다. 문화란 그 지역인들의 가치관, 사고방식 그리고 행위방식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지역학 (지역연구)의 핵심 연구 대상이다. 그런데 역사란 과거에 속하는 사료와 현재에 속하는 역사가의 끊임없는 접촉 속에서 밝혀지는 인식론적 차원의 결과물이다. 인식자인 역사가의 관점이 큰 역할을 한다. 그런가 하면 한 지역의 문화라는 것도 인식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게 파악될 수 있는 인식론적 차원의 결과물이다. 이는 지역학의 결과가 그러함을 의미한다. 각 지역의 문화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우리는 그 특수성과 보편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지역을 연구하는 방법도 이와 유사할 수 있다. 각 지역의 역사를 과거, 현재, 미래의 끊임없는 “대화” 라는 관점에서 파악하고 각 지역간의 상호 인식의 끊임없는 “대화” 속에서 각 지역의 성격을 규명한다. 각 지역 역사는 그 지역의 개별성을 나타내 주는 것이고 그 개별성은 각 지역간 끊임없는 상호 교차 인식 속에서 그리고 비교 과정에서 더욱 선명해 진다. 각 지역의 개별성은 이 끊임없는 교차 인식 과정에서 변증법적 통일을 기하여 보편성을 추구한다. 이는 역사학과 지역학이 인식론의 바탕위에서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역사학과 지역학의 관계가 위와 같이 규명될 수 있는 것이며 역사학은 각 지역의 개별성 파악을 위해 필수적으로 투입되어야 할 학문 분과이고 그 개별성들의 끊임없는 비교과정을 통해 역사의 개별성과 보편성의 자대가 확립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지역학을 통해 역사연구는 심대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풍부한 역사학의 지평을 열 수 있다.

      • KCI등재

        아베 정권의 역사인식과 한일관계

        남상구(Nam Sang Gu) 한일관계사학회 2013 한일관계사연구 Vol.46 No.-

        본고의 목적은 1965년 한일 국교정상화 이후 일본 정부와 각료의 역사인식 변화라는 틀 속에서 아베 정권의 역사인식 문제를 검토하는 것이다. 검토에 있어서는 한일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정치가의 역사인식 자체가 아니라 언론을 통해 공개되는 정치가의 발언이나 행위라는 점에 주목했다. 식민지 지배와 침략전쟁으로 인해 다대한 손해와 고통을 끼친 것에 대해 사죄와 반성을 표명한 무라야마 담화(1995)는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역사인식이라 할 수 있는데, 동 담화는 무라야마 총리 개인의 역사인식을 반영한 것이라기보다는 1965년 이후 축적된 일본 정부 역사인식의 ‘총결산’ 이었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무라야마 담화가 피해 국가들과의 관계를 통해 만들어 졌다는 점에서 동아시아 공동의 자산이기도 하다. 아베 정권의 역사인식도 공식적으로는 무라야마 담화의 틀을 벗어나지 않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아베 총리와 일부 각료가 무라야마 담화와 고노 담화를 부정하는 ‘확신범’이라는 것은 부정하기 어려운 사실이나, 정치가 개인이 아닌 각료로서의 발언이나 행위는 외교관계 등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 또한 객관적인 사실이다. 외교관계를 통해 아베 정권의 역사인식이 무라야마 담화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적극적으로 관리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 역사문제로 인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공동 조사?연구?해결방안 모색을 위한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This paper will review the recognition of history the government of Japan under Prime Minister Abe Shinz?’s in the context that recognition of history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cabinet members has changed since the Korea-Japan normalization treaty in 1965. It notes that what influences Korea-Japan relations is not the politician’s historical recognition in and of itself but the politician’s comment or action reported via the media. The Murayama Statement of 1995 is regarded as an official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expressing apology and reflection on causing tremendous damage and pain through colonial rule and the war of aggression. The statement reflects “the summary” of the Japanese government’s historical recognition accumulated since 1965 and not the personal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n-Prime Minister Murayama Tomiichi. Moreover, the Murayama Statement can be regarded as a common asset of East Asia since it is the result of relations between Japan and affected countries.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Abe government is in the same context as the Murayama Statement. It is difficult to deny that Prime Minister Abe and some cabinet members are “prisoners of conscience” negating the Murayama Statement and the K?no Statement. But it is still an objective truth that a comment or an action made not as an individual but as a politician or as a cabinet member is strategically handled and given consideration in the context of diplomatic relations.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Prime Minister Abe’s government remains within the context of the Murayama Statement. A framework should be established to conduct joint studies and research and to find solutions for easing conflicts that derive from historical issues.

      • KCI등재

        일본 보수정치인들의 역사인식과 역사적 전개

        이종국(Lee Jongguk) 동북아역사재단 2016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1

        이 글은 일본정치인들이 전후 역사인식을 어떻게 하였는가를 설명하였다. 첫번째로, 냉전기 역사인식 문제는 과거에 대한 일본 정치인들의 망언, 일본교과서 검정 문제를 둘러싼 갈등, 그리고 일본 국내에서 야스쿠니신사 관련 법안을 둘러싼 대립이 그 내용이었다. 이러한 내용을 둘러싸고 일본은 항상 회피하려는 입장을 취하였음을 지적하였다. 두 번째로, 냉전종식 이후 일본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강대국화의 전략을 추구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일본의 문제인식은 기본적으로 일본의 내셔널리즘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과거 제국주의 침략성을 사과하지 않으면서 대국화의 구상을 하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세 번째로, 고이즈미 총리는 일본이 동아시아에서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하여 일본 경제계의 동아시아 전략과 주변 국가들과 함께 공동체 구축을 실시하려는 구상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의 구상은 야스쿠니신사 참배 문제로 인해 한국과 중국의 비판을 받으면서 동아시아 지역질서 구축이라는 일본의 초기 구상에서 점점 멀어져 갔다. 마지막으로, 아베 총리는 경제와 안전보장을 강화하면서 전후체제로 부터의 ‘탈각’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았다. 그 결과 일본의 역사수정주의자들은 일본 집단적으로 자신들의 역사를 기억하는 형태를 취했고, 보수주의자들이 주장하는 논리를 집단적으로 기억하려 한다고 설명하였다. This article describes how Japanese politicians comprehend postwar history. First, the historical perception problem for the Cold War period includes the remarks of Japanese politicians regarding the past, the conflict surrounding the Japanese textbooks issue, and legislation related to Yasukuni Shrine. Japan has always avoided taking a stance with respect to those issues. Second,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Japan started pursuing the “super power” strategy for strengthening the country’s identity. This is closely related to Japanese nationalism. But Japan has dreamed of becoming a superpower without apologizing for the imperialist nivasion. Third, former Prime Minister Koizumi Junichirō planned to forge an East Asian community with neighboring countries in order to exert leadership in East Asia. But his conception has disappeared under criticism from China and South Korea regarding the Yasukuni Shrine issue. Finally, Abe Shinzō has focused on “riddance” from the postwar system, and upon strengthening national security and enhancing economic growth. As a result, historical revisionists in Japan have taken a stance remembering collectively their history.

      • KCI등재

        쟁점 기반 해방 3년사 인식과 역사 학습

        김한종(Kim, Han-jong) 호서사학회 2021 역사와 담론 Vol.- No.97

        본 논문에서는 역사 쟁점의 성격과 유형을 바탕으로 해방 3년사 인식의 쟁점을 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역사 수업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역사 쟁점은 행위자의 서로 다른 의사결정, 역사 해석의 차이, 역사적 평가이다. 해방 3년사 인식을 둘러싼 갈등은 사회의 역사적 평가가 역사 해석으로 환원된 결과이다. 쟁점 기반 역사 학습은 역사 인식을 둘러싼 논란을 사회에서 학교로, 학습의 주체인 학생에게 넘기는 것이다. 학생이 역사적 사실의 성격과 논쟁성을 깨닫고 자신의 관점에서 역사 인식을 함으로써 역사 갈등을 해결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쟁점 기반 해방 3년사 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해방 3년사의 쟁점으로는 광복 당시의 사회 상황, 38도선분할의 평가, 좌우합작의 가능성, 통일정부와 단독정부 수립 주장을 선정하였다. 학습의 절차는 문제 인식, 쟁점 파악, 쟁점 검토, 역사적 사실의 재해석 단계이다. 각 단계별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와, 자료를 통해 쟁점의 이해와 검토, 역사 인식을 하는 데 필요한 질문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제안은 교사들이 해방 3년사 수업을 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고, 구체적 수업 설계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controversial issues of recognition of the 3-year history since 8‧15 Liber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historical issues, and suggested the strategy for teaching history. The historical issues are divided into the actors’ different decisions, the differences in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the historical evaluation. The conflict over the perception of the 3-year history since 8‧15 Liberation is the result of the historical evaluation of society being reduced to historical interpretation. The controversial issue-based history learning is to pass the discussion over the recognition of history from society to the school and to the student who is the subject of learning. Students can resolve historical conflicts by realizing the nature and controversy of historical facts and recognizing history on their own through such lesson.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proposed the learning strategy on an controversial issue-based 3-year history since 8‧15 Liberation. The selected controversial issues during the 3-year history since 8‧15 liberation are the recognition of the social situation at 8‧15 Liberation times, the resulting evaluation of the division of the 38th parallel, the judgement of possibility of a right-and-left cooperation, and the assertion of establishing a divided government or a unified government. The stages of problem recognition, the identification of controversial issue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controversial issues, and reinterpretation of historical facts were set as the learning process. And then, this study suggested sources can be used in each stage and examples of question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and reviewing controversial issues and historical cognition. The strategy of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teachers to teach 3-year history since 8‧15 Liberation and can be used as data for specific history lesson plans.

      • KCI등재후보

        역사교사의 갑신정변 인식과 역사수업

        권정애 한국역사교육학회 2008 역사교육연구 Vol.- No.7

        Teacher is the main for the overall determination and the leading in the history teaching. The contents, materials and methods of teaching depend on how teachers understand the history, therefor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teachers have an direct influence on the teaching conten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eacher how to have an effect on the teaching by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ing content and appraisal on the same historical matters The reformist revolution in 1884 was selected as a model, and by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the teaching contents were examined and analysed how to teach for the three different teachers who have dissimilar perceptions This study showed that previous knowledge on the reformist revolution in 1884, one's view of text, degree of load 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and mode of understanding on the students have an influence on teaching content, teaching material and special emphasis. However, some other explanation that of own perception was observed by the load 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teaching of teachers in academic high school.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specific matter was incorporated by the teacher's value on the text and the degree of load 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rather than exactly what they thought in the view of text description rather than own perception, otherwise the teachings of "Kwon" and "Kim" were proceeded by the each own perception. And own views of teachers were carefully expressed in teaching about controversy parts in academic world. Such a case was revealed in teacher Kim's classroom. This fact show that teachers still have heavy load on new development for historical knowledge and they places main reliance on the studies of historian. Although shackles of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teacher's thoughts on academic studies and subject what is called history were well brought out in this study. I could be convinced that through me intention of "Kwon" is teacher's historical view should be actively expressed on students, and that of "Kim" is the purpose of historical teaching is the supports of democratic development of society by having more desirable perception about realistic problem. 역사 수업의 전반적인 모습을 결정하고 이끌어나가는 주체는 교사이다. 교사가 어떤 식으로 역사를 이해하고 있느냐에 따라 수업의 내용, 자료 방법은 차이가 나며, 교사의 역사인식은 수업내용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역사적 사실을 다루는 수업의 내용이나 수업에서 다루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평가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사가 가지고 있는 역사인식이 수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갑신정변’을 사례로 선택하고, 서로 다른 인식을 가진 3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학생들에게 어떻게 가르치는지 질적인 연구 방법을 통해 수업 내용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같은 주제를 가지고 수업을 진행한 세 교사의 수업 내용은 모두 같거나 비슷하지 않았다. 교사마다 자신이 갖고 있던 갑신정변에 대한 선행지식, 교과서에 대한 관점, 입시에 대한 부담정도, 학생에 대한 이해 방식 등에 수업내용, 자료, 강조점은 서로 달랐다. 그러나 입시 부담 등으로 자신의 인식과는 다른 설명을 하는 경우도 눈에 띄었다. 인문계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수업은 입시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 특정 사건에 대한 교사의 역사인식은 수업에 그대로 반영되기보다는 교사의 교과서관과 입시에 대해 느끼는 부담 정도에 따라 다르다. ‘이’ 교사는 자신의 인식보다는 교과서의 서술 시각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고, ‘권’ 교사와 ‘김’ 교사는 대체로 자신의 인식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는 것에서 이를 알 수 있다. 그리고 교사가 학계에서 논란이 되는 부분을 수업할 때, 자신의 견해를 매우 조심스럽게 표현하고 있었다. ‘김’ 교사의 수업에서 이런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이것은 교사가 여전히 새로운 역사지식 창출에 큰 부담을 갖고 있으며 주로 역사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역사라는 학문과 교과에 대해 갖고 있는 교사의 생각은 입시라는 굴레 속에서도 분명히 나타나고 있었다. 교사의 역사관을 학생들에게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권’ 교사와 역사교육의 목적이 현실 문제에 대해 좀 더 바람직한 인식을 가짐으로써 사회의 민주적 발전을 돕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김’ 교사의 예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