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학과 기록학: 학문의 인연, 학제의 괴리

        오항녕 한국기록학회 2017 기록학연구 Vol.0 No.54

        By redefining the concept of history, my colleagues and I have reformed our department in terms of curriculum and faculty members. This paper is a report of some of the conclusions that we have obtained from this procedure. Despite a long relationship, two disciplines do not seem to match or complement each other i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We believe that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has focused on “national history (NH).” By conferring a privilege on NH, persons, families, societies, regions, and others were removed from NH. To make matters worse, a biased view that history is just an interpretation has prevailed, and the empiricism of history was weakened, which brought about an indifference in keeping records and archives. In East Asia, “history” means both modern history and archives. The concern about the authenticity of records did not come from H. Jenkinson or L. Duranti, and not even from the electronic environment or the Public Records Act of 1998. Key concepts such as records, documents-archives, manuscripts, authenticity, compilation-appraisal, arrangement, and description are different from their signifiant but are same or similar to their signifié. In case of “provenance” and “original order,” they are used in education and practice in the traditional archives. History includes the recording, archiving, and the story or historiography of an event. In this context, the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should contain a more archives-oriented curriculum and select an archival-trained faculty. On the other hand, the department has accumulated long-term experience with appraisal and description of records; thus, archival science should absorb the criticism of the material. History will be shaken without the help of archives, while archives will lose their root without history. We are at the point in which we need to be reminded why we want to be a historian or an archivist, and for this, the more colleagues, the better. 필자는 동료 교수들과 함께 지난 10년 동안 역사학의 재정의(再定義)를 통해 재직하고 있는 역사학과의 개혁을 시도했다. 그 과정에서 역사-기록, 역사학-기록학, 역사학과-기록학과의 오랜 인연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현존 역사학이 기록학으로부터, 기록학이 역사학으로부터 서로 지원과 동력을 받지 못하는 양상을 발견하였다. 1장에서는 두 학문이 멀어지게 된 이유 가운데 현존 (한)국사학계의 문제점을 먼저 다루었다. ‘국민국가사’ 중심의 역사학과 커리큘럼은 국민의 기억을 특권화함으로써, 개인, 가족, 사회, 단체, 시민, 지역으로서의 기억을 배제한다. 이는 다양한 역사 차원을 가진 인간의 현존재에 부응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역사학계에 팽배한 ‘역사는 해석’이라는 편견은 역사학을 사실이 아닌 관념적 구성물로 이해하게 함으로써, 경험주의로부터 역사학을 멀어지게 만들었다. 국민국가사 중심으로 연구될 경우 다양한 차원의 아카이브는 고려되지 않고, 해석을 강조하며 사실에서 멀어지는 한 기록은 부수적이 된다. 동아시아 역사학의 전통과 역사의 개념에서는 두 학문이 분리되어 있지 않았다. 사(史)는 역사와 기록, 둘 다 의미하였다. 진본에 대한 고민은 젠킨슨이나 듀란티에서 시작된 것도 아니고, 전자기록과 함께, 또는 2006년 공공기록법과 함께 시작된 개념은 더구나 아니다. 역사학과 기록학에서 사용하는 주요 개념, 즉 문서-기록-사료, 직서/곡필-진본성, 편찬-평가-감식, 편찬-정리, 해제-기술 등은 지역과 시대에 따라 기표(記表, signifiant)가 다르더라도 그 개념 및 의미 내용인 기의(記意, signifié)는 같았다. 출처주의와 원질서 존중의 원칙은, ‘provenance’, ‘original oder’라는 기표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전래의 기록관리 교육과 실무에서도 유지되었다. 3장에서는 현존하는 역사학과 기록학 사이의 학문적 전문성과 보편성의 방향을 모색하였는데, 역사학계의 측면에서는 기록의 생산-전달-활용을 다루는 학문으로서의 역사학과의 기록학과화(化)를, 기록학계의 측면에서는 전문성의 핵심인 평가와 기술 부문에서 기존 역사학의 성과를 충분히 수렴할 것을 제안하였다. 역사학은 탈-기록학을 반성하고 있는 듯하다. 다행이다. 반면 기록학은 탈-역사학을 시도하는 듯하다. 어리석다. 역사학이 기록학의 손을 놓으면 토대가 흔들리고, 기록학이 역사학의 손을 뿌리치면 뿌리를 잃는다. 더구나 동지는 많을수록 좋다. 우리 앞에는 불길한 조짐과 새로운 가능성, 둘 다 놓여있다.

      • 미국역사경관조사를 통해 본 문화경관 기록방법의 특성

        ( Soon Ki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1 No.-

        문화경관의 기록은 문화경관이 비교적 최근 문화유산의 범주에 포함되면서, 유산 고유의 특징에 대한 고려 없이 다른 유산의 기록에 사용하던 시각적 특징을 우선적으로 기록하는 기존의 방법을 답습하여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문화경관은 겉에 보이는 시각적 특징뿐 아니라, 그 유산이 가지는 내적 가치, 즉 유산과 인간의 상호작용이나 지역 내 생태계 환경 등 보이지 않는 특징 또한 그 유산의 가치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기존의 시각적 특징만을 기록하는 방법으로는 기록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문화유산의 기록은 그 유산이 가지는 가치를 지켜 나가기 위한 다양한 관리 및 보존 활동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자료를 형성하고, 또한 문화유산의 교육 등의 활용을 위한 중요한 기반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문화유산의 기록에는 그 유산이 가지는 다양한 가치가 명확하게 명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경관에 대해 그 유산의 가치를 기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며, 그 고찰에 대한 시작으로 이 논문은 우선 문화경관이 왜 다른 문화유산과 다른 기록방법이 필요한지에 대해 문화경관의 개념 분석을 통하여 파악하고, 현재 운영 중인 미국의 역사경관조사를 분석하였다. 2000년에 시작된 미국의 역사경관조사는 중앙정부에 의해 운영되는 문화경관 기록 프로그램으로서, 미국 각지의 역사경관보존의 기초자료 수집 및 보관을 위해 기획되었다. 미국역사경관조사는 미국 중앙정부의 유산기록 프로그램의 하나로, 기존에 운영되었던 미국역사건축조사와 미국역사토목기록에서 사용한 유산의 기록방법을 차용하여 사용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국가 차원에서 역사경관 기록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 다는 점과 역사경관의 기록을 위한 체계를 만들었다는 점, 그리고 역사경관기록의 빠른 증대를 위한 각종장치들이 시도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 역사경관 기록의 현재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 논문에서는 미국역사경관조사의 기본이 되는 기록방법의 구성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역사경관조사 관련 문헌분석을 통하여 알아보고, 또한 기록증대를 위한 장치 중 특히 성공적이라 평가되는 챌린지 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article is based on research undertaken about the case study focusing on the Historic American Landscape Survey for refining the documentation methods for cultural landscapes. First of all, the research attempts to identify the difference and its reason between the documentation of cultural landscapes and other heritag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cept, meaning and definition of the cultural landscape. After that, the research analyzes the Historic American Landscape Survey as a federal level documentation program currently applied in the United States for documenting cultural landscapes. The heritage value of cultural landscapes is based on not only its tangible and visual aspects, but also its invisible inside, such as human interaction, (hi)story and eco system.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cultural landscapes continually change and cannot be reconstructed after loss of its originality. Therefore, the documentation of cultural landscapes has to be progressed simultaneously with the recognition by the proper documentation methods to record its various values. The establishment of proper documentation methods for cultural landscapes is the most significant task in the field of the cultural landscapes preservation.

      • KCI등재

        재일한인의 자기역사(自分史)에 관한 기록 특징과 의미 - ‘사랑방의 어머니들’ 사례를 중심으로 -

        박신규,이토히로코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재일한인의 자기역사의 기록 특징과 그 의미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자 기역사는 자신의 경험을 중심으로 개인적인 일을 기록하지만 전체역사와 개인의 역사가 접점 을 이룰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기에 재일한인의 자기역사 기록에 대한 분석은 재일한인 의 역사를 재구성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졌다. 자기역사의 기록물로 재일한인 1세 49명의 사례가 들어간 ‘사랑방의 어머니들’을 선정하여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자기역사 기록의 의미는 재일한인 1세가 개인의 역사를 기억의 공동체에 보관하 여 본인의 경험을 차세대로 전달하고 계승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사랑방의 어머니들’이라는 사례를 통해 나타난 자기역사의 기록 특징은 교육으로부터 배제와 끊이지 않는 노동기록, 전쟁 경험과 사회적 사건의 체험에 관한 기록, 야간중 학교 생활에 관한 기록으로 정리되었다. 이러한 자기역사의 기록 특징은 역사에 대해서 주관 적이지만 나를 드러내어 자기역사를 쓰는 것에 의미를 둔다는 자기역사의 의미에 부합하였고 특히 역사의 기록으로 남겨지고 싶은 목적을 지닌 자기역사는 전쟁체험, 고생한 기억, 사회적 성공 경험, 가족 및 고향의 역사를 기록한다는 특징과도 일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of the personal history of KoreanJapanese and their meaning. Personal history records center on one's own experiences, and they are the contact points where the entire history and the individual's history meet. In this study, the collection of Mothers of Sarangbang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records of personal histories. This collection contains 49 cases of firstgeneration Korean Japanese. The result shows that the personal historical records of KoreanJapanese have played a role in keeping individual histories in the community of memory and passing on their experiences to the next generation.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history recorded through the case of 'Mothers in Sarangbang' are as follows: records of exclusion from education and continuous labor, records of war experiences and social events, and records of night middle school life. Although this characteristic of personal history writing is subjective, it coincides with the meaning of selfhistory, which reveals and places meaning in writing one's history. Personal history with the purpose of being recorded in history is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recording war experiences, hard memories, social success experiences, and the history of family and hometown.

      • KCI등재

        Photographic Records in Archivalization

        윤은하(Youn, Eun-ha)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50 No.-

        본 논문은 기록학적 관점에서 역사연구의 기초가 되는 역사 자료의 증거적 성격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고 역사적 사실과 증거에 대한 논의를 해보자 했다. 1990년대 이후 역사학과 마찬가지로 서구 기록학(Archival Studies)은 포스트모더니즘을 광범위하게 받아들였다. 아카이브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 정치, 경제적 담론이 주목받기 시작했고, 권력과 아카이브, 지배 담론과 기록 관리의 연관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그리고 역사 기록의 선별, 관리, 보존 등 아카이빙을 둘러싼 과정에서 이제껏 관례적, 원칙적으로 작용해 왔던 이론들이 재검토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기록학의 관점에서 역사 기록의 증거적 성격과 본질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했다. 특히, 역사적 증거로서 사진과 이미지 기록이 갖는 특성을 밝히고, 이러한 특징들이 아카이빙 과정을 거쳐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는지 살펴보았다. 현재 문화사가들 비롯한 역사가들은 다양한 역사 자료를 활용하고 새로운 해석적 읽기의 방법 등을 도입하여 역사학의 지평을 넓혔음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증거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식에는 과거 실증주의사가들과 큰 차이가 없었다. 아카이브의 자료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역사적 증거로 인정되고 관리되는지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았는데 기록의 선별과 관리과정에서 아키비스트의 가치 결정에 따라 내려지는 일련의 조치들은 기록의 증거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특히 사진과 그림과 같은 비문자화된 이미지 기록들은 종종 역사적 사건의 생생한 재현물로 여겨짐에도 불구하고, 컨텍스트화 되는 과정에서 아키비스트의 주관적 개입이 다각도로 이루어지는 매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를 밝히기 위해 첫째, 사진 기록의 특성과 본질에 대해 논하며, 둘째 사진기록이 아카이브에서 선별, 평가, 분류, 보존되는 과정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implication of historical evidence by identifying the nature of archival process, in particular, photographic managements. Archives has been believed to be the most objective, transparent place where historical records have been preserved. Since 1990s, western archival studies widely accepted postmodernism and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nature of archives. The new archival studies discovers new meaning of archival process on how the archival records contribute to construct historical truth; how archival records come to be recognized as historical evidence and how they are physically and intellectually controlled by archivists in order to support the historian's argument. With archival management of photograph, the study examines in detail how photographic evidence can be understood and how becomes historical evidence in archives.

      • KCI등재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관리기관의 기억재현과 기억의 확장 -민족과 여성 역사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남영주 ( Nam Young Jo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3

        민족과 여성 역사관(이하 역사관)은 우리나라 최초로 지역을 기반으로 일본군 `위안부`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역사관은 최초로 일본 정부로부터 위안부 배상 책임을 이끌어낸 시모노세키 재판을 주도하는 등 위안부 문제 해결에 집중하고 있다. 그 결과 역사관은 `해결을 위한 노력`과 관련된 기록물을 다수 소장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의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역사관에 관한 연구 성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가 모두 사망한 후에도 역사관이 재현하고 있는 위안부기억이 지속되고 확장될 수 있는 방안을 이용자 프로그램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직접 역사관을 방문하여 기록물 전시 상황을 확인하였고 의문점에 대해서는 관계자들의 인터뷰, 그리고 역사관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록물을 조사 대상에 포함하였다. 역사관은 소장 기록물에 대한 조사를 통해 기록물 목록·DB를 구축하고, 디지털화된 기록 환경에 적합한 이용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나아가 시모노세키 재판 기록물을 비롯하여 `해결을 위한 노력`에 집중하고 있는 소장 기록물들을 디지털화하고, 온라인 아카이브를 만들어 이용자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부산에 기반을 둔 로컬 역사관으로서의 특성이 반영된 전시들이 계획되어야 할 것이며, 역사관의 활동상을 보여주는 전시를 통해 우리나라 위안부 활동에 공헌한 역사관의 위상을 정립해야 한다. 소장 기록물에 대한 분석은 향후 역사관이 체계적인 기록물 수집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역사관의 성격에 기반을 두어 제시된 이용자 프로그램은 다른 위안부 기록물 관리기관과의 차별화를 시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National Women`s Historical Hall is based on the region as the nation`s first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nd activities. The agency`s first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liability Shimonoseki led the leading trial. Ultimately,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focused on solving problems. As a result, the agency holds many records related to efforts to resolve the issue. Despite this historical significance, there is no lack of research on the organization until now. This study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victims are all remember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nd the agency after death can come up with ways to continue and expand. I visited the institution directly to check the display of the records. And questions were asked about the question. The records provided by the organization`s website included the records. First of all, the agency should establish a list of records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records. Also,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uitable use environment for digital hwadoen recording environments.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an online archive by organizing the collection of archives focusing on efforts to resolve the effort. Also, exhibitions featuring features based on the nature of Busan will have to be planned. So far, the wartim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of our country through contributions to activities that shows activity will show the truth. Analyses of records in the collection will be used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collection scheme for future records. Presented based on the nature of the user program is different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will help.

      • KCI등재후보

        퍼블릭 히스토리의 공론 주체에 관한 연구 -연구자, 당사자, 시민-대중을 중심으로-

        김태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19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9

        The increase of interest and demand toward records and archives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in our society. This phenomenon started to emerge as democracy developed in our society. Producing, archiving and preserving records are the work of the social subject-power. Therefore, the records and archives these days should be understood as historical symbols and contents which indicate us who the social subject is.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the archivist should find and submit to the public sphere of memory and history which alternatives the archives should be reconstructed by which civic and public cultural institutions demand. People began to be the subject of historical descriptions in the public arena as postmodern discourse emerged and the concept of public history emerged. The public history emphasizes 'history of memory' rather than 'history of recording', where the former represents the history of power that was able to produce records, the latter reproduces the history of people who were excluded from power and could not leave records. This is why we need to look into the performance of public history when we study the history of public records. The history, memories, and records to remain in our day are determined by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people in the public sphere to discuss and agree. In this article, the public subjects who participate in the public sphere of memory and history are divided into researchers, parties, and people. The position, perspective and practice of each subject formed around historical events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ogy of observers, witnesses, and spectators. While the researchers collect the records in the manner of the observer and approaches them through the historical reality, the parties engrave the records in order to preserve the memory of experience gained from the historical events and to resist oblivion. Here, the people decide the meaning of the history, memory, and records in the final level, while observing the publicizing process led by the group of researchers and first parties. 기록을 생산하고 아카이브로 정리해 보존하는 것은 사회적 주체-권력이 작동하는 일이다. 그래서 한 시대의 기록과 아카이브는 사회적 주체가 누구인지 알려주는 상징이자 콘텐츠로 파악해야 한다. 최근 높아지고 있는 기록과 아카이브에 대한 시민-대중의 관심과 요구는 우리사회의 민주화가 높은 수준으로 발전해 가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이렇게 변화된 상황에 맞춰 기록학 연구자는 시민-대중이 요구하는 문화적 기억기관으로서 아카이브가 어떤 원칙과 과정을 통해 (재)구축되어야 하는지 대안을 찾아 기억과 역사의 공론장에 제출해야 한다. 시민-대중이 공론장에서 역사 서술의 대상으로 중요하게 거론되기 시작한 것은 탈근대 담론이 등장하고 퍼블릭 히스토리 개념이 생겨나면서부터이다. 퍼블릭 히스토리는 ‘기록의 역사’ 보다는 ‘기억의 역사’를 강조하는데, 이는 전자가 기록을 생산할 수 있었던 권력의 역사를 표상하고 있다면, 후자는 권력으로부터 배제돼 기록을 남길 수 없었던 사람들의 역사를 재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민-대중을 중심으로 기록학을 연구할 때 퍼블릭 히스토리의 성과를 살펴봐야 하는 이유이다. 우리 시대에 남겨야 할 역사와 기억, 기록은 다양한 사람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한 공론장에서 결정된다. 이 글에서는 기억과 역사의 공론장에 참여하는 퍼블릭 히스토리의 공론 주체를 연구자와 당사자, 시민-대중으로 구분하고, 역사적 사건을 둘러싸고 형성된 각 주체의 입장과 관점, 그리고 실천의 모습을 관찰자와 목격자, 구경꾼-산보객의 비유를 통해 살펴보았다. 당사자가 역사적 사건에서 얻은 경험 기억을 유지하고 망각에 저항하기 위해 세상에 기록을 새기는 동안, 연구자는 관찰자의 태도로 기록을 모으고 이를 통해 역사적 실체에 다가선다. 여기에서 시민-대중은 연구자와 당사자들이 이끌어 가는 공론화 과정을 지켜보면서 우리 시대의 역사와 기억, 기록의 의미를 최종심급에서 결정한다.

      • KCI등재

        『사기』와 『역사』에 담긴 기록학의 기초: 역사-인간[Homo Historicus], 사마천과 헤로도토스

        오항녕 한국기록학회 2020 기록학연구 Vol.0 No.65

        I examined the archival basis of two historians who wrote history books with the same title of ‘History’; Simaqian of ancient China and Herodotus of Halikarnassos. I examined a prejudice to these two history books, a misunderstanding of them as an imagination rather than a history. How can an imagination become a history? First, I explained the common characteristics found in their compilation and writing of ‘History.’ Simaqian and Herodotus did their field-works in historical sites, gathered oral-histories, and arranged archives they collected. These two historians heavily engaged in archival works in terms of verifying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of their sources on the basis of historical empiricism. There are some misunderstanding on their archival endeavor and on the very nature of archives and historical studies as empirical studies. Furthermore, this misunderstanding regarding them as literature came from a confusion over the concept of literature. The creativity of literature is not equal to the “fictitiousness” of history despite historical works sometimes may give us an impression by the way of describing and providing insight into a certain event(s) and a person(s). As Herodotus said, a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s of each race and human is a departure of historical archiving of the valuable experiences of human-beings. By doing so, natural results of archival behaviors, preservation of the records, and consistent inquiry of historian-archivists become a humanistic passage overcoming the current wrong trends of historical studies confined to a narrow nation-history. 이 논문은 기록학의 관점에서 동아시아와 지중해의 두 역사가, 사마천 (司馬遷)과 헤로도토스(Herodotos)가 남긴 두 역사서에 대한 오해를 검토한 글이다. 그 오해란 이들 역사서가 '나름의 상상으로 지어낸 것'이라는 류의 선입견을 말한다. 지어낸 것이 역사가 될 수 있을까? 2장과 3장에서는 사마천의 『사기』, 헤로도토스의 『역사』의 편찬, 집필과정을 살폈는데, 사적(史蹟)의 답사, 구술(口述)의 채록, 기록의 정리라는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인식을 기초로 4장에서는 역사가 허구일 수 있다고 보는 일련의 오해 또는 왜곡의 저변에는 사마천과 헤로도토스의 기록 활동에 대한 오해, 경험 학문으로서의 역사와 기록에 대한 인식의 부재가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기』나 『역사』같은 역사서를 문학적 허구라는 관점에서 보는 견해는 역사 뿐 아니라 문학에 대한 부정확한 이해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런 오해나 왜곡은 한국 역사학이 기록학이라는 기초를 소홀히 한 데도 이유가 있다고 할 것이다. 근대 분과(分科) 학문의 관점에서, 또는 국민 국가사의 관점을 중심으로 역사학의 범주를 좁게 설정하면서 나타난 부작용이 아닌가 한다. 역사를 남긴다는 것은 "이 행위, 인물, 사건은 인간 기억 속에 살아 남을 만한 가치가 있다"는 데서 출발할 것이다. 헤로도토스는 "그리스인의 것이건 야만인의 것이건 간에 빛나는 공적들이 어느 날 명성도 없이 사라지지 않도록" 하였고, 사마천은 "시골에 묻혀 사는 사람들도 덕행을 닦고 명성을 세워 후세에 이름을 남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이렇듯 『사기』와 『역사』는 실제 있었던 인간의 경험을 남긴 역사서이다. 여기에는 "인간은 서로 다르다"고 이해하는 존재의 확장이 있다. 특정한 시공간(時空間)에서 ""민족들은 서로 다르며", "이집트에서 여자들은 서서 오줌을 누고 남자들은 쭈그리고 앉아서 오줌을 누는" 것처럼 풍속과 전통이 다른 것이다. 서로 다름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하여 다름을 이해하기에 이르는데 초석이 되는 인간의 지적(知的) 활동으로, 그 활동이 사실(事實)을 기초로 이루어지는 인문(人文) 영역이 역사였다. 인간의 경험에 대한 호기심 넘치는 탐구와 기록, 그 결과 나타난 『사기』와 『역사』, 그리고 이의 보존과 전수는 인간이 호모-히스토리쿠스(Homo-Historicus), 호모-아르키부스(Homo-Archivus) 임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대학역사관의 개관과 운영 : 한양대학교 역사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황나영(Hwang Na-young),김유리(Kim You-ri)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8 고문화 Vol.91 No.-

        대학역사관은 대학의 역사와 정체성을 보존하는 아카이브이며 이를 교내구성원 및 동문, 외부 방문객에게 알리는 홍보의 공간이다. 최근 20여 년간 기록 관련 법규의 제정과 대학 내 기록학 관련 학과가 설립되면서 대학 내 기록관이 설립되는 경우가 늘어났다. 주로 역사기록물의 수집, 보존, 활용을 담당하는 기록관에는 일부 전시공간을 통하여 자교의 역사를 소개하는 전시공간을 마련하기도 한다. 기록관이 없는 대학의 경우 본관, 도서관이나 박물관의 공간을 활용하여 대학의 설립과 발전에 관련한 기록물을 전시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학역사관으로서 수집과 보존, 정리와 더불어 본격적으로 전시공간을 운영하는 대학은 고려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 몇몇 대학을 제외하고는 찾아보기 힘들다. 한양대학교는 2008년 대학본관을 역사관으로 활용하기로 결정한 이래 역사관 개관을 위하여 대학기록실이 운영되었으며 2014년 역사관 개관추진 위원회가 발족되며 본격적으로 역사관 개관 준비가 이루어졌다. 2015년 11월 역사관을 개관한 이후에도 역사관 관람 프로그램의 운영, 역사관 서포터즈 하이디의 선발과 운영, 다양한 행사 개최를 통하여 역사관을 활발하게 운영해나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양대학교 역사관을 중심으로 대학역사관의 개관 과정과 운영을 살펴보고 역사관의 역할과 과제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역사관은 학교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홍보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곳으로, 한양대학교 역사관 역시 전시실 업데이트 및 콘텐츠 개발과 제공 등 앞으로 진행해야할 과제가 남아 있다. 한양대학교 역사관 개관 과정에서 발생한 여러 시행착오와 경험을 통하여 앞으로 타 교육기관의 향후 역사관 개관 및 운영에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또한 개관 후 2년 동안의 운영 현황을 정리하여 앞으로 한양대학교 역사관이 더욱 활발한 활동을 할 수 있는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A university history museum is an archive that preserves the history and identity of a university, as well as a place that promotes such information to university members, alumni, and visitors from the outside. As applicable laws have been legislated and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majors in universities have been established over the last two decades, it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for a university to establish a history museum on its campus. A history museum, which primarily collects, stores, and utilizes historical records, uses display space to introduce a university’s history. A university that does not have a history museum as a standalone establishment uses its main building, library, or museum to display historical records about its establishment and progress. Nonetheless, universities that use a history museum to not only collect, store, and organize historical records but also display them are rare; two examples are Korea University and Ewha Women’s University. Since it decided to use its main building as a history museum in 2008, Hanyang University has operated its university archives for the opening of its history museum; it launched the History Museum Establishment Committee in 2014 and preparations for the opening have been under way. Since the history museum opened in November 2015, the university has actively engaged with visitors and the community by providing museum tour programs, selecting and coordinating HY : D supporters, and holding a variety of events. This paper examines the opening process and operation of a university history museum based on the case of the Hanyang University history museum and highlights the roles and challenges that a university history museum must address. A history museum plays a role as a public relations institution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a university in addition to other challenges that it must undertake, such as updating a display hall and developing and providing content. As a result of trial and error and various experiences during the opening process, this university history museum may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opening of history museums in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evaluate the museum’s operation status for the past two years which will lay the foundation for the museum to carry out more activities in the future.

      • KCI등재

        지방의 역사기록관리 활성화 방안 연구

        손동유 한국기록학회 2011 기록학연구 Vol.0 No.28

        This study presents how to vitalize the record management of the provinces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issues and by identifying the universality and the distinctiveness of the record management in local agencies. However, it only deals with the system of the record management, focusing on the history of the provinces. Although the related projects conducted by the provinces of Korea consist of various types, including publishing the local history, creating the activities of local cultural institutes, and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 historical records, these have not been active in many regions with insignificant achievements. In this regard, local self-governing bodies need to actively fulfill the duty of the management not only for the administrative archives but also for the historical archives by aggressively interpreting the associated parts suggested by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Archives. Ultimately, it is proper to integrate theses two functions. Moreover, an effective collection is the core part of the record management of history. Therefore, a ‘committee’ with experts should provide in-depth views from planning to post-processing stages. Meanwhile, a consensus on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he historical archive management between owners and concerned parties should be formed during the collection process. In conclusion,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should make sure of the active record management of history through establishing their own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s, securing experts in archive management, as well as providing the service for record contents. 이 연구는 지방 기록관리의 현재 상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지방 기록관리가 갖는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하여 파악한 뒤, 기록관리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제시한 것이다. 단, 역사기록중심의 관리체계를 주요 논제로 하였다. 우리나라 지방의 역사기록과 관련한 사업을 추진하는 몇 가지 유형은 지역사 발간사업, 지방문화원의 활동, 역사기록수집 및 정리사업 등으로 볼 수 있는데, 현재까지는 많은 지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 못하며, 그 성과도 미미한 상황이다. 따라서 기록관리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관련 내용을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각 지방에서는 행정기록의 관리는 물론이고 역사기록의 관리를 능동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궁극적으로 양자를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집을 효과적으로 하는 것은 역사기록관리 업무의 관건이다.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위원회’를 두어 기록의 수집계획부터 수집된 이후 프로세스까지 심도있게 수행해야 한다. 그리고 수집과정에서 기록물을 소장하고 있는 사람들과 역사기록 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하여 공감대를 최대한 형성하면서 적극적인 홍보를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지방에서는 저마다의 기록관리 장단기발전계획 수립, 기록관리 전문가 확보, 기록정보콘텐츠 서비스 등을 통해 지역의 역사기록관리가 활성화되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고등학교 역사교사의 기록물 이용행태 사례 연구 - 지역 역사교사모임을 중심으로 -

        정경희,Joung, Kyoung-He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국내 고등학교 역사교사의 기록물 이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역사교사를 대상으로 3번의 사전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2개 지역 역사교사 모임 회원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기록물과 기록관에 대한 인식, 기록물 이용현황, 기록물 탐색경로, 기록물 이용시 장애요인 및 서비스 방안 등 크게 4개 분야에 걸쳐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설문에 참여한 역사교사들은 주로 학생들의 역사적 이해력이나 자료에 대한 해석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수업에서 기록물을 어느 정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일정이나 교사의 시간 부족 등은 기록물 이용에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설문참여자들은 향후 수업에서 기록물이 활발히 이용되기 위해서는 기록물을 통합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DB가 구축되어야 하며, 기록물에 대한 해석 등이 부여된 가공된 형태의 자료집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rchival use behavior of history teachers in high schools. The study conducted 3 times interviews with high school history teachers and carried out a survey on recognition of archives, archival use, archival seeking behavior, and harrier factors for archival use to 30 teachers from the 2 local communities of history teachers. According to the survey, history teachers have used archives for raising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by students in their classes. But the tight curriculums of history and the lack of time to search archives were barrier factors for teachers to use archives in their classes.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urvey suggested that integrated DBs of archives in Korea and source books with commentaries need to promote use of archives in history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