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재영(Chung, Jae-Young) 역사문화학회 2014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7 No.1
이 연구는 동성촌락인 청도군 수야리 박씨마을에서 재실의 건립과정과 ‘양반화’의 실상을 관련지어 신분적 불평등을 논하기 어려운 현대사회에서 여전히 양반이기를 고집하는 이들과 경제적 손실을 감수하면서도 양반이 되려하는 이들의 역동성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그 문화적 원리를 검토한 것이다. 청도지역에서 ‘양반화’ 양상은 비향원집이 향교에 가입하여 향원집이 되는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위보(僞譜)’의 사례는 나타나지 않지만 ‘투탁(投託)’을 통한 양반화의 양상도 간혹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양반화의 양상은 향원집 즉, 양반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특히, 재실은 양반이 되고자 하는 문중과 이미 양반이 된 문중 사이에 타협이 이루어진 정치적?역사적 구조물로서 기존양반은 자신들의 지위를 확고히 다지기 위한 수단으로, 신생양반은 자신들의 지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재실을 이용한다. 따라서 지역민이 인식하는 양반수의 증가는 재실건립의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재실이 ‘양반화’의 조건이기도 하거니와 양반으로의 입지를 다지는 정치적 전략으로 재실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재실과 같은 문화적 자본을 갖춘다는 것은 지역의 상위계급으로 존재할 수 있는 문화적 기반과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건이 되기 때문에 청도의 지역민들은 재실의 건립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청도지역에서 양반의 성격변화는 ‘신양반’의 대두로 대변되는 ‘양반화’ 양상으로 파악이 되며 재실은 사회적 지위의 확보와 확립이라는 정치적 전략으로 이용된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efforts of the Pak family in Suya-ri of Cheongdo county to establish their ancestral shrines were connected to their insistence on representing themselves as yangban (aristocracy) or becoming yangban in the modern egalitarian society despite the financial costs and mental pressures resulting from such efforts. It is also aimed towards finding out the influences their efforts to become yangban had upo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ultural implications these efforts had. The pursuit of yangban status in the local community of Cheongdo is represented by the practice of non-landed gentry gaining membership in the Confucian school in order to become gentry. Even though there were no cases of families falsifying their genealogical records to become yangban, there were some cases of families gaining yangban status through borrowed yangban lineages. This phenomenon led to the increase of those recognized as landed gentry, that is, those recognized as yangban. The establishment of ancestral shrines, a result of political compromise between previously established yangban families and those newly recognized as yangban, was utilized as a means to strengthen their yangban status on the part of the former and upgrade their social status on the part of the latter. Accordingly, the increase of the ancestral shrines corresponded with that of those recognized as yangban in the local community. Because their possession of cultural assets such as ancestral shrines implies that they have the culture and identity of the upper class, the residents of Cheongdo still make efforts to erect their own ancestral shrines.
‘양반되기’ 서사를 통해 본 조선시대 양반의 조건 -「구복막동」과 「양반전」을 중심으로-
전경목 ( Chon Kyoung-mok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1
본고에서 필자는 조선후기에 널리 읽힌 한문서사 중 「구복막동」과 「양반전」을 분석해서 사내종 막동이 어떻게 신분상승 즉 양반되기에 성공할 수 있었는지 그 전략과 기반을 살펴보고 정선군수가 작성한 양반매매문서를 통해 정선부자가 왜 양반되기에 실패했는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사내종이었던 막동은 4단계 10가지 전략을 펼쳐 양반이 되었다. 이에 비해 경제력만을 갖춘 정선부자는 오직 이득만을 추구하고 문화적 기반이나 사회적 여건을 전혀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양반사회나 양반문화에 대해 이해하지 못한 채 스스로 양반되기를 거부 또는 포기했다. 사내종 막동은 양반되기에 성공했으나 오히려 그보다 상위에 있던 평민 출신의 정선부자가 양반되기에 실패했는데 그 이유는 막동은 호노로서 양반문화를 학습할 기회를 가졌던 데에 비해 정선부자는 그러할 계제를 갖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물론 문자해독능력의 유무도 결정적 요인 중의 하나였다. 조선시대의 양반은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적으로 여러 여건을 갖춘 자들이었다. 그런데 조선후기 신분상승에 대해 주목하는 연구자들은 오로지 경제적인 측면만 주목해서 돈을 주면 얼마든지 양반 신분을 살 수 있는 것처럼 주장해 왔다. 이러한 주장은 조선시대 양반에 대해 너무 단편적인 이해에 바탕을 둔 것이라는 사실이 「구복막동」과 「양반전」의 분석을 통해 드러났다. 계급 혹은 계층이 존재하는 한, 어느 시대 어느 사회나 ‘따라잡기’와 ‘구별짓기’는 있었다. 하위 계급과 계층에서는 언제나 상위 계급이나 계층을 따라잡으려 노력했으며 상위 계급과 계층에서는 하위 계급 혹은 하위 계층과 구별짓기를 시도해 왔다. 따라서 ‘따라잡기’와 ‘구별짓기’를 동시에 고찰해야만 당시 사회의 다양성이 드러날 것으로 판단된다. Gubok Makdong [Male Slave Makdong] and Yangbanjeon [Story of Aristocrat] are among the narrativ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were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paper examines what strategies the male slave Makdong adopted to be a yangban, aristocrat, and why a rich man in Jeonseon County refused to become a yangban even if it was possible to buy the status. Makdong became a yangban through four steps by adopting ten strategies. In contrast, a rich man in Jeongseon County who owned only material wealth refused to become yangban because he only pursued material profits lacking cultural background and social conditions as yangban, and did not understand the yangban culture. While Makdong, as 'hono' slave, had opportunities to learn yangban culture, the rich man in Jeongseon did not have such opportunities. Whether one was literate was one of the crucial factors. The yangban in Joseon Dynasty was equipped with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as aristocrats. Researchers dealing with status upgrading in the late Joeseon Dynasty have argued that the yanban status could be bought easily, focusing only on the economic aspect. But, Gubok Makdong and Yangbanjeon reveal that such arguments are based on so much fragmental understanding of the era. In any society any time where there are class or status divisions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ones, there have been efforts to 'keep up with' the upper class among members of the lower class, on the one hand, and, efforts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lower class' among members of the upper class, on the other hand. Consequently, when we consider both the two different kinds of efforts, we can get the real variety of a specific society.
계승범 한국사학사학회 2020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41
Korean historians regard Koryŏ(918-1392) as an aristocratic society because the ruling elites of Koryŏ can be characterized as aristocrats. On the other hand they hardly call Chosŏn(1392-1910) an aristocratic society but characterize it as a yangban society, suggesting that the ruling elites of Chosŏn was no longer aristocratic.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yangban, they emphasize that yangban entered the officialdom mostly by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s on his own merits rather than family prestige. For this reason, yangban society signifies that new ruling elites called scholar-officials emerged in the course of the Koryŏ-Chosŏn transition in the late 1300s and founded the new Chosŏn dynasty that made a great step forward in terms of the bureaucratic features of ruling elites and their government system. Interestingly enough, however, in China they never call the Ming and Qing a ‘shēnshi society.’ In Japan the term of ‘samurai society’ has never been circulated among scholars, either. Why do they nevertheless call Chosŏn a yangban society in Korea? Were Koryŏ and Chosŏn totally different societies from each other? When was the term ‘yangban society’ born and spread easily among scholars? This review article first examines the scholarly controversy over the characteristics of yangban to better understand the concept of yangban society. It also verifies that the term of yangban society was first used in 1967, circulated wide in the 1970s and 1980s, and the use of the term was diversified from the 1990s on. With emphasis on the birth and wide circulation of the term ‘yangban society,’ this article examines the terminology of yangban society from a historiographical perspective. 국내 역사학계에서는 고려의 지배층을 흔히 귀족이라 부르고 그 사회를 귀족사회라고 성격 규정한다. 그런데 조선에 대해서만큼은 귀족사회라 부르지 않고, 양반사회라는 별도의 용어를 사용한다. 이는 조선을 지배한 양반의 성격을 귀족으로 보지 않기 때문이다. 혈통에 기초한 집안 배경보다는 양반의 학자적 관료라는 성격을 최대한 부각함으로써, 이전 고려시대의 귀족과는 다른 성격의 지배층이 건설한 진일보한 사회라는 의미로 양반사회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그런데 중국 학계와 일본 학계에서는 동시대(15~19세기) 자국을 각각 ‘선스[紳士]사회’나 ‘사무라이[侍]사회’ 라 부르지 않는다. 그렇다면 국내 학계에서는 왜 조선을 굳이 양반사회라고 특별히 성격을 부여하여 부를까? 양반사회라는 용어는 언제 탄생하였으며, 어떤 과정을 밟아 유통・확산하였을까? 이 비평논문에서는 먼저 양반의 개념과 성격을 둘러싼 학계의 논쟁을 간략하게 정리한다. 양반 관련 논쟁의 추이는 양반사회 용어 이해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양반사회라는 개념어가 1967년에 처음 등장하였으며, 이후 70년대와 80대를 거치면서 널리 유통・확산했음을 연구사 정리 차원에서 시대별로 살핀다. 또한, 1990년대부터 양반사회의 의미가 다양화하면서 그 용례가 분기하는 현상을 추적한다. 마지막으로, 해외 학계의 연구 동향까지 포함하여 양반사회라는 개념어를 사학사 차원에서 조명한다.
김종수 육군군사연구소 2016 군사연구 Vol.- No.141
조선전기에는 양인개병제에 따라 양반도 군역의 의무를 져야했다. 그런데 양반들은 여러 방법으로 군역의 의무를 피하였고, 또 갑사 등 무관 병종에 들어가 의무군역을 면제받고 관직에 대한 욕구도 충족시켰다. 조선전기에 갑사는 최정예 군종(軍種)으로 주로 양반들이 입속(入屬)하였다. 그러나 16세기에 들어와 갑사에 대한 대우가 열악해지면서 점차 양반들은 갑사 입속을 기피하였다. 양반들은 한유(閑遊)하거나 보다 더 대접받는 유학공부로 돌아서고 있었다. 당시 전국에서 우후죽순처럼 들어서고 있던 서원이 이들을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후 군역은 일반 양인들만 지는 양역(良役)으로 변질되었다. 임진왜란 이후 17세기 동안 조선 정부는 계속되는 대내외적 위기 속에서 중앙군영을 잇달아 설치하여 중앙 5군영제가 성립되었다. 그런데 5군영이 설립되었어도 조선전기 5위제 하의 의무군인의 군액은 그대로 존속하고 있었다. 이에 군액은 2배로 증가하게 되어 양역 문제가 발생하였다. 당시 많은 관료 지식인들은 양역 문제의 발생 원인을 양반층의 군역 이탈로 보았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조선후기에 들어와 양반충군론이 대두하게 된다. 양반충군론을 가장 적극적으로 제기한 인물은 숙종대의 윤휴였다. 윤휴는 북벌을 이루기 위해 양반과 서얼을 함께 총부(摠府)에 소속시켜 군인으로 만들자고 주장하였다. 이것이 조정 대신들의 반대에 부딪치자, 다시 그는 만과(萬科)의 시행을 주장하였고, 또 호포론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윤휴의 주장에 대해 조정 대신과 양반들은 대대적으로 저항하였다. 윤휴가 경신환국으로 제거된 이후, 양반충군론을 다시 들고 나온 사람은 박세채였다. 그러나 그의 주장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조선후기에 양반들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든 면에서 특권을 누리면서 군역의 의무는 떠맡으려 하지 않았다. In early Chosun, yangban(兩班) also had to fulfill their military duty. But yangban avoided it in several ways. Meanwhile, in early Chosun, yangban entered Gapsa(甲士) or such to be exempted from their military duty and also satisfied their needs to be in public office, too. But from the 16th century, the treatment for Gapsa got poor, and yangban avoided it gradually, too. Yangban left their Gapsa position and just turned their head to studying Confucianism which was treated well then. Soon, the military service came to be regarded as yangyeok(良役) imposed only to yangin(良人). In the 17th century, Chosun government installed military camps in a row within the continuing crisis in the inside and outside, and the central 5 military camp system came to be established. Even when the 5 military camps were founded, the number of soldiers under the 5 wije(衛制) in early Chosun still remained, which resulted in the issue of yangyeok(良役) in late Chosun. At that time, many of the bureaucratic intellects deemed that the yangyeok issue was raised from yangban’s deviation from their military duty. Within this recognition, Yangban-chunggunron(兩班充軍論) was raised in late Chosun. The figure setting force Yangban-chunggunron the most aggressively was Yun Hyu in Sukjong’s reign. Yun Hyu insisted it was needed to make yangban and Seoeol affiliated to Chongbu(摠府) to be soldiers in order to conquer the north. When this was refused by the subjects of the government, he again insisted on the enforcement of Mangwa(萬科) and also Hoporon(戶布論). What Yun Hyu supposed was fiercely refused by yangban as well as the subjects of the government. After Yun Hyu was eliminated through Gyeongsinhwanguk(庚申換局), Pak Sechae(朴世采) came up with Yangban-chunggunron again. But his opinion was not accepted, either. While enjoying their privilege in every way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yangban was unwilling to take any of the military service.
노비에 대한 ‘양반-노주’의 감정 스펙트럼과 네트워크 신체성 -『쇄미록』의 감정 수사와 ‘질병/사망’ 기록을 중심으로
최기숙 한국고전연구학회 2025 한국고전연구 Vol.- No.68
이 논문은 오희문의 일기 『쇄미록』에 서술된 노비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노비에 대한 양반 노주의 감정과 태도를 감정 스펙트럼이라는 개념으로 분석하고, 노비의 질병과 사망을 대하는 양반의 태도와 감정 재현을 양반가의 경우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조선시대 노-주가 일상적, 경험적, 감성적 차원에서 연결성을 형성했으며, 네트워크 신체성을 구성하고 있었음을 문헌해석학적 방법론을 통해 해명했다. 조선시대 노비는 노주인 양반의 일상을 돕는 보조적이고 사물화된 도구라기보다는 양반(가)의 물리적 일상과 정보, 윤리, 예의, 정서를 유지하고 연결하는 아카이브된 ‘장치로서의 역할을 했다. 노비에 대한 양반 노주의 감정은 일정 부분 가족이나 지친 등에 대한 감정 반응과 중첩되어 인간 보편의 동질성에 기반한 공감의 등위 감정으로 표출된 경우도 많지만, 신분적, 도덕적 요인에 따라 미움과 분노 등 위계 감정으로 표출되기도 했다. 감정 주체인 노주는 노비의 계약 위반이나 의무 또는 약속의 불이행, 업무 지체, 사취, 도주, 거짓말, 무례, 불손, 비위생 등에 대해 도덕적, 윤리적인 판단을 발휘해 감정 표현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다. 양반은 노비와 일상과 생애 시간을 공유했기에, 노비에 대한 감정이 복합적으로 적층되었고, 이질적인 감정이나 양가감정이 교차했다. 오랜 세월을 함께 보낸 노비에 대해서는 감정이 복합적으로 축적되었는데, 노주로서의 돌봄 의식과 책임감으로 이를 통합하는 지향성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노주 양반이 노비에 대해 인지, 경험, 재현한 감정 기록을 중심으로 노-주 간에 작동한 네트워크 신체성의 실상을 해명함으로써, 양반 남성이라는 동성․등위 집단에 대한 정치적․사상적․학문적 이해만으로는 접근할 수 없었던 현실적이고 감성적 차원의 노-주 관계를 해석하여,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에 대한 편폭을 심화․확장하고자 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emotions and attitudes of yangban (elite literati) toward nobi (servants) based on the records related to nobi described in Oh Himun’s diary, Shaemirok, using the concept of emotional spectrum,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yangban’s attitudes and emotional representations toward nobi’s illness and death with those of yangban families. In doing so, it clarifies, through a textual interpretation methodology, that the nobi’s owners in the Chosǒn Dynasty formed connections in everyday, experiential, and emotional dimensions and constituted network-physicality. In the Chosǒn era, nobi were not merely auxiliary and objectified tools that helped the daily lives of their masters, the yangban, but rather served as an archived ‘device’ that maintained and connected the physical daily lives, information, ethics, manners, and emotions of the yangban (family). The feelings of the yangban as master toward nobi overlapped to some extent with the emotional reactions toward family or relatives, and were often expressed as empathetic feelings based on universal human homogeneity, but they were also expressed as feelings of hierarchy depending on social status and moral factors. The subject of emotions, yangban as owner of nobi, showed a tendency to secure the legitimacy of emotional expression by exercising moral and ethical judgment regarding the nobi’s breach of contract,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 or promises, delay in work, fraud, running away, lying, rudeness, impoliteness, and unsanitary behavior. Because the yangban shared their daily lives and life times with nobi, their feelings toward nobi were complex and mixed, with heterogeneous or ambivalent feelings intersecting. The nobles had complex feelings for the nobi they had spent a long time with, and they tended to integrate these feelings with their sense of care and responsibility as nobi owners. This study aims to deepen and expand the scope of Chosǒn history and culture by understanding the realistic and emotional dimen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bi and yangban as their owner that could not be approached solely through political, ideological, and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same status and gender as male yangban, by elucidating the reality of the network physicality that operated between nobi and yangban-owner, focusing on the emotional records that the masters recognized, experienced, and reproduced regarding nobi.
1900년대 『광무호적(光武戶籍)』의 “사(士)”와『민적(民籍)』의 “양반(兩班)” 기재
손병규 ( Byung Giu So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大東文化硏究 Vol.81 No.-
"士"는 동아시아 전통사회의 전형적인 신분체계 가운데 상층계급을 지칭하기도 한다. 한국의 호적에는 개인에게 국가적 신분체계로 "職役"이 기재되었는데, 大韓帝國의 『光武戶籍』에 그것에 대신해서 "사"가 처음으로 상층계급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또한 1910년 전후의 『民籍』에는 또다시 그것에 대신해서 "兩班" 등이 기재되었다. "양반"은 고려시대의 중앙관료를 귀족신분으로 규정하는 법제적 용어이며, 호적상에 그에 해당하는 자는 관직명이 기재되었다. 조선시대의 "양반"은 법제적으로 규정되지 않고 단지 사회적으로 인식되는 상층계급을 의미하여 "士族"이라 불리기도 했다. 조선왕조 호적에 이들은 관직자와 과거합격자, "幼學" 등을 "직역"으로 기재했다, 그런데 18~19세기의 호적에 "양반"을 지향하는 자들이 이러한 "직역"들을 대대적으로 기재하게 되었다. 이들과 사회적으로 인식되는 상층계급과의 사이에 괴리가 커져 갔던 것이다. 『광무호적』의 "사"는 이러한 괴리를 줄여서 신분체계를 현실화하고자 한 노력으로 여겨진다. "양반"으로 인식되어온 족속들 가운데에서도 대대로 장남으로 이어져온 자에게 "사"가 기재되는 경향이 있었다, 사회경제적으로 상층계급인 자를 호적상의 신분 기재에 일치시키려 한 것이다. 그러한 경향을 이어서 식민지 초기의 호적에 "양반"이 신분체계의 하나로 기재되었다. 그러나 그것을 기재한 자들이 반드시 사회경제적으로 상층계급은 아니었다. 주목되는 점은 유동적이고 현실성을 잃어가는 조선왕조의 신분체계가 대한제국과 식민지 초기에 이르기까지의 호적에 지속적으로 파악되었다는 사실이다. 동아시아의 오래된 신분체계가 당시의 집권적 인민파악의 이념과 방법으로 활용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정책은 "양반 지향적" 움직임이 전 인민에게 확대되는 경향과 무관하지 않다. 왕조의 신분체계가 완전히 사라진 이후에 민간에서 양반문화가 대대적인 붐을 일으켰다. 이것도 양반 지향적 경향의 연장선에 있다고 여겨진다. "Sa(士)" referred to the upper class of typical status system in traditional East Asian society. In korea household register, everyone was given a state status called "Jigyeok(職役)". But in 『Kwangmuhojeok(光武戶籍)』of Taehanjieguk(大韓帝國; 1896~1910), "Sa" first became term referring to upper class. And in 『Minjeok(民籍)』around 1910, it was replaced by "Yangban(兩班)". "Yangban" was a legislative term to define central bureaucrat as aristocrat status in Koryo Dynasty who listed his official title in household register. In Joseon Dynasty, "Yangban" was not defined by law, but only meaned upper class by social perception which was called "Sajok(士族)". In Joseon`s household register, their "Jigyeok" appeared as official, successful examinee, "Yuhak(幼學)", etc. But in 18~19c, person who was aimed to become "Yangban" is listed as these "Jigyeok" on a large scale. The gap with upper class by social perception became bigger. The "Sa" in 『Kwangmuhojeok』can be regarded as an effort to reduce the gap and actualize the status system. The relatives who were regarded as "Yangban", especially the first s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end to registered as "Sa". It means the person who is upper class socio-eco-nomically is also matched by status record in household register. So in early colonial period`s household register, "Yangban" was recorded as one status. But it does not mean the person recorded as "Yangban" is upper class socio-economically. We should notice that the status system which was mobile and deprived of reality in Joseon Dynasty continuously recorded in household register of Taehanjieguk and colonial period. It is can be understood that the old East Asian status system was applied as an idea and method of centralized way of controlling people. And this policy was also related to the tendency of "Yangban" orientation`s expension to all people. Whe the status system of dynasty disappeared, "Yangban" culture was booming extensively. This is also an extension of "Yangban" orientation.
李相國(Lee Sang-Kug) 한국사연구회 2005 한국사연구 Vol.128 No.-
This paper uses materials obtained from the Ky?ngw?n Yi clan and Tongnae Ch?ng clan to analyze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yangban class received official appointments as well as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k?pch?n (給田, official salar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yangbanj?n (兩班田, land granted to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during their service period), which resulted in 4 different types of yangban household models being identified. Once an individual acquired a civil or military appointment through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or the granting of a special privilege, the socalled ?ms? system (蔭敍, the protected appointment system), he was perceived as forming an independent household and granted chigy?kch?n (職役田, official land or prebendal grants given to officeholders) in accordance with his official rank. Although a yangban household was composed of the yangban official and his blood ties, as the ch?nho (佃戶, peasant households) who toiled the yangbanj?n were expected to toil the yangban’s own lands as well, they came to be perceived as also being members of the yangban household. Meanwhile, officeholders who were dismissed from office and members of yangban households that failed to secure government appointments were forced to engage in other occup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that all members of society should provide their services to the state. Therefore, the yangban class during the Kory? era was not a privileged or fixed class, but one which experienced a great degree of social mobility.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number of yangban households and government appointments, and the limited amount of lands that could be designated as yangbanj?n eventually resulted in a lack of such lands being available to be distributed to officials. As a result, those yangban households that were forced to adopt new occupations saw their social status change as they lost their membership in the yangban class. In conclusion, yangban households, which formed the backbone of the yangban bureaucracy, were considered to be a unit from which government officials could be recruited and as those who received official lands. As such, the principles of Ip 'och'ungy?k (立戶充役), in which the head of a household was expected to offer his services to the state in exchange for the state’s granting of land, was also applied to the yangban’s acquisition of government offices and the distribution of yangbanj?n.
존귀함과 고결함, <양반전>의 인물 대립과 양반상(兩班像)
이강엽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0
This article discusses the character confrontation of the <Yangban-je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nity and nobility. First, after looking at the characters of Bangkyeong-gak Oeje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nity and nobility, the disagreement of the dignity of social status and the nobility of mind were emphasized. Secondly,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characters of the <Yangaban- jeon> permeates each other between dignity, lowliness, integrity and vulgarity. It is a confrontation between Jeongseon yangban vs lowly rich, Jeongseon Yangbang vs reeve. As a result, it reveals a total mess where no one side can live off ordinarily, unlike other works from Bangkyeong-gak Oejeon where dignity and nobility are in a paradoxical relationship. Third, if we examine the yangban image in <Yangban-jeon> while looking at the whole composition even considering business contract documents, the name, the desire, and the shame that Park Ji-won insists in <A Debate on Honor> become important criteria. 이 글은 존귀함과 고결함의 관계에서 <양반전>의 인물 대립에 대해 논하였다. 첫째, 존귀함과 고결함의 관계에 입각하여 『방경각외전』의 인물들을 살핀 결과, 신분의 존귀함과 정신적 고결함의 엇갈림이 강조되었다. 둘째, <양반전>의 인물은 정선양반 대 천부(賤富), 정선 양반 대 군수가 양반 대 상민, 사(士) 대 대부(大夫)의 대립구도를 보인다. 전자에서 정선양반은 표면적으로는 고결한 정신 상태를 보이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몰염치한 면을 드러내는 이중성을 보이며, 천부 또한 표면적으로는 양반에 상응하는 덕목을 갖춘 듯이 기술되지만 그 이면에는 남의 어려운 틈을 타 사욕을 채우려는 욕망이 드러난다. 후자에서 정선 양반은 선비의 미덕을 갖춘 훌륭한 양반으로 기술되지만 그 이면에는 생활력이 부족한 무능력함을 드러내며, 군수는 표면적으로는 관할 백성들을 편안하게 다스리고자 애를 쓰는 면이 부각되지만 그 이면에는 특정세력의 이익을 위해 간계를 쓰는 사악함을 담고 있다. 결과적으로 『방경각외전』의 다른 작품들처럼 존귀함과 고결함이 역설 관계를 보이는 게 아니라 어느 한쪽도 정상적으로 살아나가기 어려운 총체적 난국임을 드러낸다. 셋째, 전체구성에서 <양반전>에 나타나는 양반상을 살피면 박지원이 <명론(名論)>에서 주장한 명(名), 욕(欲), 치(恥)는 중요한 준거가 된다. 박지원은 세상 모든 사람들이 군자일 수 없기에 명과 욕과 치를 적절하게 사용하여야 세상이 잘 다스려진다고 보았는데, <양반전>의 세 인물은 최소한 어느 한쪽의 부족으로 인해 한결같이 결함을 지니게 된다.
연암 박지원의 「양반전」과 「허생전」에 나타난 자본의 양상
김영미 한민족어문학회 2019 韓民族語文學 Vol.0 No.85
Yangban-jeon and Heosaeng-jeon, Jiwon Park’s (his pen name is Yeonam) major works richly reveal a sense of economy of the late of Chosun period. In their works, the power of capital is a medium leading narratives.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a of not only ‘economic capital’, but also ‘cultural capital’ which has differentiated noblemen (yangban) from other classes, ‘social capital’ which has created social unity and bondages in the Confucian scholars’ group, and ‘symbolic capital’ which is socially accepted only in the case of having previous three capital. The nobleman’s status itself was a powerful symbolic capital. which worked as an economic capital,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But in Yangban-jeon, ‘the reading’ which worked as the nobleman’s typical characteristic was useless for solving poverty of economic capital. This work describes the fall of symbolic capital which the status of nobleman in Jeongsun is naturally involved with because his economic inability is satirized by the mayor, his wife, and a rich man who wants to buy the status of a nobleman. Heosaeng-jeon is substantially identified with the content of Yangban-jeon until Heosaeng’s poor economic capital is magnified by his wife. However, unlike the nobleman in Jeongsun, Heosaeng took part in economic activities which revealed that economic capital was largely enlarged and expanded in the late Chosun period. But in Heosaeng-jeon, the dilemma of making money as a nobleman and observing good manners is overlapped between lines. This means that his economic activity is not only for his advantage. It was because Chosun was moved into the society of monetary economy in reality. However, noblemen at the time lived in the dilemma in which they could not put an emphasis on money under the idea of neo-Confucianism. In addition, the essence of cultural capital advocates a moral doctrine and virtues through Heosaeng. 「양반전」과 「허생전」은 조선 후기 경제관념이 농후하게 드러나는 연암 박지원의 대표작으로, 자본의 위력이 두 작품의 서사를 추동하는 매개체이다. 본 논문에서는 ‘경제자본’뿐만 아니라 양반이 다른 계급과 구별 짓는 ‘문화자본’, 사족으로 사회적 연대와 결속을 창출하는 ‘사회자본’, 양반의 제 자본이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상징자본’의 개념을 바탕으로 「양반전」과 「허생전」을 분석해 보았다. 기존 ‘양반’이라는 신분은 경제자본, 문화자본, 사회자본으로 기능하며 가장 강력한 상징자본이었다. 그런데 「양반전」에서는 사족으로 다른 계급과 구별 짓는 정선 양반의 ‘글 읽기’가 경제자본의 빈약함을 해결하는 데 아무런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그리고 정선 양반의 무능함은 관찰사, 양반의 아내, 양반 신분을 매매하려는 부자에 의해 차례로 풍자의 대상이 되며 ‘양반’ 신분이 갖는 상징자본의 몰락이 그려지고 있다. 경제자본의 몰락이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의 상실을 초래하고 결국 양반의 상징 권력도 무너지게 하는 것이다. 「허생전」역시 허생의 빈약한 경제자본이 그의 처에 의해 도드라지는 지점까지는 「양반전」의 내용과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허생은 무능한 정선 양반과 달리 적극적으로 경제활동에 참여하면서 조선 후기 경제자본이 집중적으로 팽창되고 확대되는 사회상을 보여준다. 동시에 「허생전」에는 허생이 양반으로서 돈을 버는 행위를 하는 것과 양반으로서 지켜야 하는 예(禮) 사이의 딜레마가 행간 사이에 중첩되어 있다. 그래서 허생의 경제활동은 단순히 개인적인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닌, 도(道)와 덕(德)이 뒤따르는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조선 후기 사회가 현실적으로는 경제자본 중심의 사회로 변화되고 있었지만 양반들은 여전히 성리학적 이념에서 ‘돈’을 표면적으로 내세우기 어려운 시대적 딜레마 속에 있었음을 허생을 통해 보여준다. 나아가 허생을 통해 문화자본의 실질이 ‘도(道)’와 ‘덕(德)’에 있음을 표방하고 있는 것이다.
조선후기 걸귀담(乞鬼譚)의 양상과 「심가괴귀」(沈家怪鬼)의 창작적 면모
정솔미(Sol-mi Chung) 한국고전연구학회 2023 한국고전연구 Vol.- No.60
본고는 「심가괴귀」의 창안과 그 문학적 의의를 논하였다. 이현기는 기존에 전통적으로 존재하던 걸귀담 구조를 차용하되 세부 서술과 기교에서 작가의 필치를 개입함으로써 「심가괴귀」를 적극적으로 재창작하였다. 즉, 기존의 서사 전통에서 주로 하층민을 걸귀와 결부지은 사례와는 정반대로 몰락양반을 걸귀 자리에 놓고 그를 대하는 인간 심리와 태도를 부각시킴으로써 몰락양반이 처한 상황을 희화화하였다. 뿐만 아니라, 아이러니의 기법을 서사 내 크고 작은 요소를 통해 활용함으로써 자기 처지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양반의 모습을 신랄하게 풍자하였다. 이상의 사실을 통해 확인한바 ‘환상적·상징적’ 방식을 취해 몰락 양반의 현실을 논한 「심가괴귀」는, 『기리총화』에서 문학적 성취를 이룬 여타 작품들과도 변별되는 독특한 특질을 지닌다. 『기리총화』에서 서사성을 강하게 띠는 작품은 곤궁한 양반을 다룬 이야기들이 많은데, 이들 이야기의 주인공은 마치 동일한 인물이 다른 작품에서 연령과 처지를 달리하여 끝없이 등장하는 것처럼 그 형상화 방식이 매우 유사하다. 그 가운데 현실주의적 작품들은 변화하는 현실 속에서 낡은 관념을 취한 양반과 새로운 시대적 흐름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중하층과의 선명한 대조를 통해 몰락양반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노정한다. 그러나 「심가괴귀」는 초월적 존재를 끌어들임으로써 오롯이 몰락양반의 초상을 우스꽝스럽게 묘사하고 그 심리를 조명하는 데 집중한다. 그러면서도 귀신과 같이 피할 수 없는 존재가 그 곤경을 심화하는 것으로 처리하여 몰락양반의 곤궁한 상황에 대해 비관적 전망을 제시한다. 이현기는 당대 세태를 날카롭게 포착한 작가로서 양반이 처한 상황과 그 내부의 균열을 작품 속에 다채롭게 담아냈다. 「심가괴귀」는 몰락양반의 위기를 다룬 『기리총화』의 제 작품 가운데서도, 환상적 수법을 취하여 그 처지를 희극적이고도 비극적으로 묘출한 독특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근현대 작품에서 간혹 찾을 수 있는바 이현기의 문학적 수법과 인식의 지평이 인습적인 것에서 탈피한, 창조적 도약을 모색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the author of Kirichonghwa, Lee Hyun-ki, satirizes the fallen yangban in “Simka Gwae-gwi”. He utilizes a traditional structure of starving ghost stories but adds his own twists and techniques to create a unique work that exposes the absurd attitudes of the yangban. Unlike traditional narratives, Lee places fallen yangban in the role of the ghost and ridicules their behavior and beliefs. He also uses irony to highlight the flawed perception of the yangban towards their own situation. Through his work, Lee criticizes the limits of the fallen nobility by emphasizing their mentality and depicting their poverty as something “fateful” that cannot be avoided. Furthurmore, what distinguishes “Simka Gwae-gwi” from other works in Kirichonghwa is its unique approach to depicting the fallen yangban. Lee Hyun-ki creates many protagonists that exhibit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fallen yangban class, but unlike other works that offer a clear contrast with the middle and lower classes who adapt to the changing realities of the times, “Simka Gwae-gwi” only focuses on the mentality of the yangban by depicting transcendent beings. At the same time, their poverty is depicted as “unavoidable” that only deepens their distress, further emphasizing the limits of their situation. To sum up, Lee Hyun-ki's use of satire, irony, and transcendent beings offers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limits of the fallen yangban’s mentality and their poverty. This technique is often found in modern and even contemporary novels, and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Lee sought innovation in his perception and writing style from the traditional 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