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어에서의 약칭어와 혼성어에 대하여

        이선영 ( Lee Seon-yeo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1

        전통적으로 단어를 만드는 방식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파생과 복합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신어를 만들 때 혼성의 방식과 단축의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나타난다. 혼성과 단축은 단어의 구성성분이 되는 요소들의 일부분을 잘라 결합시킨다는 점에서 동일하나 전자는 따로 존재하는 단어들을 잘라 결합시킨 것임에 반해 후자는 원래 공기하는 구나 문장을 잘라 결합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래서 의미에 있어서도 전자는 의미가 불투명한 반면 후자는 의미가 투명하여 결합 이전의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우리는 이 두 가지 유형의 단어를 각각 혼성어와 약칭어로 보고 그 형성 방식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약칭어는 ‘찍먹’, ‘길막’ 같은 경우 어간의 유리성을 보여주는 예로 볼 수도 있으나 ‘밀당’과 같이 어간 일부만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방식을 보면 약칭의 방식으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하다. 약칭어와 혼성어는 뜻을 바로 이해하기가 어려워 어떤 경우 은어로 처리하기도 하는데 은어의 목적이 은비성인 데 반해 이 단어들은 간결성에 초점이 있기 때문에 은어로 보기는 어렵다. 또한 약칭어는 ‘문상, 생파’와 같이 기존 단어와 동일한 기표가 되어 의미 혼란을 야기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리고 ‘사오정’과 같이 역약칭어가 생기는 것도 흥미로운 현상이다. 또한 약칭어와 혼성어는 생산성이 있어 한 단어가 생긴 후 그와 유사한 단어가 추가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보인다. The typical way of making words is derivation and compounding. But recently when coining a new word, people use blends and abbreviations often. Blending is the word-formation process in which parts of two or more each words are combined into a single word. And abbreviation is the word-formation process in which parts of a phrase or sentence are combined into a single word. Because abbreviation is a shortened form of a word that is used in place of the full phrase or sentence, the meaning of abbreviation is transparent. In contrast, the meaning of blending is non-transparent. People ofte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bbreviation, for example, ‘JJikmeok(찍먹), Gilmak(길막)’ with the examples of the separateness of stem. But abbreviation is different from the separateness of stem, as you can see from examples such as ‘Mildang(밀당)’ not ‘Mildanggi(밀당기)’. Abbreviation use some syllable in word, not stem itself. Abbreviations are often confused with argot. The purpose of argot is to conceal the meaning of the communication from others, but the purpose of abbreviations is conciseness, that is, to repalce long phrase or sentence with shortened form. The emergence of back-abbreviation such as ‘Saojeong(사오정)’ is also interesting.

      • KCI등재

        한국어 두자어의 형성과 사용 양상

        이선영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4 비교문화연구 Vol.71 No.-

        본고에서는 한국어에 나타나는 두자어의 생성 방식과 그 생성 원인, 사용 양상 등을 살펴보았다. 두자어는 단어 각 음절의 초성만을 절단하여 만든 형태로, 원 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약칭어라고 할 수 있다. 두자어가 생성되려면 풀어쓰기와 같은 음절의 해체가 가능해야 하고, 의미에 있어서는 여타 약칭어에 나타나는 의미의 응축 현상이 일어나야 하는데 우리는 실제로 이러한 현상이 관찰됨을 보았다. 그리고 두자어의 생성은 원래 통신언어에서 출발하였다고 보고 있었으나 그 이전 시기부터 사용된 용례가 있음도 확인하였다. 외계어나 야민정음 등 언어유희와 같은 통신언어는 일시적으로 쓰이다 사라진 반면, 두자어는 그 표기의 간결성과 의미의 명확성 등으로 인하여 최근까지도 활발하게 쓰이고 있으며 오히려 점점 사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음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두자어의 사용 양상으로 두 가지를 보았는데 먼저 두자어가 제시되고 이에서 원 단어를 찾아가는 방식은 퀴즈 프로그램에서 사용되거나 검색어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원 단어로 두자어를 만드는 방식은 금지어나금기어, 비속어 등을 대신하여 쓰이는 경우, 의성의태어로의 기능을 하는 경우등을 확인하였다. 어떤 단어가 필요하여 생성되었다가 사회성을 얻지 못하면 사라지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이듯 한국어에서 두자어와 같은 약칭어가 생성되고 다양하게 쓰이는 것 역시 하나의 언어 현상으로 관찰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looked at how acronyms are created and how they are used in the Korean language. First of all, we found that acronyms are abbreviations of words in Korean that express the same meaning as the original word by cutting only the initial consonants of each syllable. We also saw that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such acronyms involves the perception of the syllabic decomposition, and the phenomenon of semantic condensation. In addition, we found that although acronyms were said to have originated from internet communication languages, there were examples of their use from earlier periods. We also found that the use of internet communication languages such as Oegye-eo(외계어) or Yaminjeongeum(야민정음) has disappeared after being used for a short period, while acronyms that originated from internet communication language are still being used actively to this day due to their conciseness and clarity of meaning. In fact, their usage range is gradually expanding. And we looked at two cases in terms of the use of acronyms. First, acronyms are presented and the original word is found in them. This is used in quiz programs and search terms. Second, the original word becomes an acronym. This includes cases where it replaces prohibited words, taboo words, slang, etc., or when it functions as an onomatopoeia. Just as it is a natural phenomenon that a word is created out of necessity and then disappears when it does not gain social acceptance, the creation and various uses of abbreviations such as acronyms in Korean are also a linguistic phenomenon that needs to be observed and studied.

      • KCI등재

        신어에 나타나는 구의 단어화에 대하여

        이선영(Lee, Seon-yeong)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1 No.-

        최근 신어에서는 구의 단어화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국어에 나타나는 구의 단어화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구의 단어화Ⅰ’은 이미 존재하고 있는 구 구성이 단어 형태가 되는 문제이고, ‘구의 단어화Ⅱ’는 새로 나타나는 의미를 구 구성과 유사한 형태의 단어로 표현하는 문제이다. 전자에 속하는 문제로는 약칭어의 생성, 동사구의 명사화, 차용번역어의 생성이 있고, 후자의 문제로는 고유명사의 생성, 점착어의 활용이 있다. 약칭어는 이미 존재하는 구나 문장에서 각 단어의 일부를 잘라 합쳐서 새 단어를 만드는 방식인데, 원래 우리말에서 나타나던 방식이다. 그런데 기존의 단어들은 한자어가 대부분인 반면 최근 생성되는 단어들은 ‘내로남불, 아아’처럼 고유어나 외래어인 점이 특이하다. 다음으로 동사구의 명사화도 약칭어에서 발생하는데, ‘열공, 즐주’처럼 동사구가 명사가 된 후 다시 ‘열공하다, 즐주되다’로 동사가 되는 점이 주목된다. 차용번역어는 외래어 구가 단어가 될 때 원어의 영향을 받는 경우인데, ‘good night’이 ‘굿밤’이 되는 것이 그 예이다. ‘구의 단어화Ⅱ’는 고유명사의 생성, 그리고 ‘보습의 정석템’처럼 점착어 ‘템’을 활용한 단어화가 있다. ‘템’이라는 요소는 접사나 단어 형성전용요소와 달리 단독으로 쓰일 수 있으며 그 의미도 단독일 때와 구에 결합할 때가 동일한 점이 특이하다. 이처럼 신어를 중심으로 구가 단어화되는 방식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이 흥미롭다 하겠다. In this paper I examined two types of the Word-Formation of Phrase. First type is that the phrase which has existed became new word. And second one is that phrase-type new words express new meaning. First type include formation of abbreviations, nounization of verb phrases, and formation of loan translated words. And second one is formation of adhesive. Abbreviations are a method of creating new words by cutting and combining parts of each word in a sentence that already exists, and this is the method that originally appeared in Korean. While most of the existing abbreviations are Chinese words, the recently generated words are native or foreign words such as ‘Naeronambul, Ahah.’ Next, the nounization of the verb phrase also occurs in the abbreviation, and it is noteworthy that after verb phrase become a noun like ‘Yeolgong, Jeulju’, it becomes a verb like ‘Yeolgonghada, Jeuljudeoda’ again. Loan translated words are cases where foreign phrases are influenced by the original language when they become words, and an example is that ‘good night’ becomes ‘gutbam’ Second type appears in word-formation using the adhesive ‘Tem’ like a ‘Boseupui jeongseoktem’. And the element ‘Tem’ can be used alone, unlike affixes or word formation elements, and its meaning is the same when used not only alone but also as combined with phrases. It is interesting that the Word-Formation of Phrase appear in various ways in new words.

      • KCI등재

        반의어가 결합한 단어의 특징과 의미

        이선영(Lee, Seon-yeong)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8 No.-

        국어에서 두 개의 실질형태소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 때 그 두 실질 형태소의 의미관계는 다양하다. 본고에서는 서로 반의관계에 있는 두 단어가 만나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 단어들을 형성방식에 따라 합성어, 파생어, 약칭어, 혼성어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합성어와 파생어는 이전에 논의되던 유형이었으나 약칭어와 혼성어의 형성은 최근 신어에 나타나는 흥미로운 현상이다. 합성어에서 ‘오르내리다’는 ‘오르다’와 ‘내리다’라는 서로 반의관계에 있는 두 단어가 만나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다’라는 반복의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를 만드는 것이 특이하였다. 약칭어에서는 ‘밀썰물’같이 반의관계의 두 단어를 아울러 이르는 말인 단어도 있고, ‘빼박’처럼 새롭게 의미가 확장되는 단어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혼성어에서는 ‘웃프다’란 단어를 보았는데, 이 단어는 ‘웃기다’와 ‘슬프다’란 두 단어가 결합하여 만든 말로 ‘웃기면서도 슬프다’라는 두 가지 상황이 혼재한 의미를 표현하는 것이 흥미로웠다. When two full morphemes are combined into a new word in Korean, the semantic relations of the two full morphemes vary. On some occasions, morphemes with similar meanings are combined, such as “Gulmjurida(굶주리다).” In other cases, a hypernym and a hyponym would create a new word, such as “Jangmiggoch(장미꽃).”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henomena of antonyms combined into a new word. After I had classified the new words by compounds, derivatives, abbreviations, and blends, I examined the new words’ characteristics. Among these characteristics, the compounds and derivatives are treated in the past, but the ways of formation of the abbreviations and blends are interesting phenomenon, recently found in new words. It is interesting that the compound “Oreunaerida(오르내리다)” is created by combining two antonyms, namely, “Oreuda(오르다)” and “Naerida(내리다)” to mean “going up and down repeatedly.” In abbreviations, I also found that “Milsseolmul(밀썰물),” which indicated the combination of two antonyms and some words such as “Ppaebag(빼박),” have new extended meaning. In blends, the word “Uspeuda(웃프다)” is, interestingly made by combining “Usgida(웃기다)” and “Seulpeuda(슬프다)” to mean a situation in which the two feelings coexisted.”

      • KCI우수등재

        외래어 신어의 몇 가지 양상

        이선영 국어학회 2018 국어학 Vol.0 No.87

        외래어는 우리 어휘 체계에서 이질적인 요소로 인식되기도 하나 우리말 의미의 빈자리를 메워주는 긍정적인 역할도 한다. 외래어 특히 영어에서 온 외래어는 최근 들어 그 쓰임이 예전에 비해 더욱 활발해지고 있으며 고유어나 한자어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경우도 적지 않게 확인된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새로운 단어 몇 개를 만드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혼성어의 형성처럼 우리말 어휘 체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신어에서 나타나는외래어의 사용 양상을 몇 가지 살펴보았다. 먼저 외래어 파생어를 보았는데, 신어 외래어 접사 가운데 영어 자립 형식이 국어에서 접사로 기능하는 경우, 영어 접사 유사 형태가 접사로 기능하는 경우, 영어 단어 일부가 절단된 형태로접사로 기능하는 경우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신어 외래어 어근, 신어 외래어혼성어와 약칭어를 검토하였다. 우리말에서 혼성어와 약칭어는 형태상 구별이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그 원인이 외래어 혼성어 형성 방식의 유입과 관련이있음을 보았다.

      • KCI등재

        2010년대 신어의 몇 가지 특징

        이선영(Lee, Seon-Yeong) 한국어학회 2017 한국어학 Vol.75 No.-

        In this paper I studied some characteristics of new words appearing after 2010s. First, I examined the expansion of formation rules of blends. Blends are made by combining two words, at least one of which is a shortened form. Blends generally have new meanings different from original words. But recent blends like ‘eommadungjeol, mingmuruk’ don’t have new meanings. They express in the form of word the meaning which we represent in the form of phrase. Next, I examined the abbreviations like ‘honjok’ that has never been seen before. I also looked at the expansion of abbreviations by replacement like ‘beopalmot, jeongalmot’. And I found new adjectives like ‘pingkeupingkeuhada, gaeulgaeulhada’ which were made by repeating the same noun. I nterestingly these express in the form of word the meanings which we couldn’t have expressed by adjectives until now.

      • KCI등재

        신어에서의 일음절 절단어에 대하여

        이선영(Lee, Seon-yeong)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0 No.-

        최근 들어 신어를 중심으로 절단어가 활발하게 쓰이고 있다. 절단어는 ‘내비게이션’을 ‘내비’라고 하는 것처럼 단어의 일부 음절을 잘라낸 형태를 말하는데, 원래의 단어와 절단어는 의미 차이가 거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최근 일음절 절단어를 중심으로 원래 단어의 의미와 다른 의미 양상을 보이는 예들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그 형성 방식에 있어서도 단순히 원래 단어의 일부를 절단하여 되는 방식이 아니라 혼성어에서 유래하였거나 약칭어에서 오는 등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우리는 ‘짤, 빠, 따, 썸, 톡, 덕, 템’이라는 일음절 절단어 7개가 형성되는 과정과 그 의미 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짤, 톡, 템’은 인터넷이나 SNS 문화와 관련이 있는 단어이고 ‘빠, 따, 썸. 덕’은 대상이나 사람간의 관계와 관련이 있는 단어이다. 이 단어들은 지금 한국 문화에서 대중들이 관심 있는 분야가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예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썸’은 연애 이전의 미묘한 감정 상태나 관계를 나타내는 말로 이전에는 이러한 상태를 표현하는 말이 필요 없었으나 최근 필요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신어 연구에서는 새로운 단어를 수집할 뿐만 아니라 그 단어가 의미하는 문화현상이나 사회현상에 대해서도 좀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Recently clipped words has been actively used in the new words. Clipped words are made by clipping a part of a word, for example ‘navi’ from ‘navigation’. Generally the meaning of clipped words is almost similar to that of original words. But lately clipped words, especially monosyllabic ones, that have different meaning from the original words appear. And those words sometimes come from blend or abbreviation. We have examined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semantic change of the seven monosyllabic clipped words, jjal(짤), ppa(빠), tta(따), sseom(썸), tok(톡), deok(덕), tem(템). ‘J jal, tok, tem’ are related to internet or SNS culture, and ‘ppa, tta, sseom, deok’ are related to object or human relationship. Those words seem to show what in the Korean culture people are interested in. For example ‘sseom’ which means a delicate feeling situation or relationship didn’t need to be used before. But recently people seem to feel the need of using that word. In the study of new words, we need to be more concerned about not only collecting new words, but also a cultural and social phenomenon which new words express and imp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