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헝가리 아르파드 왕조의 독일인 이주정책 연구 -13세기 전반기의 특허장을 중심으로-

        차용구 ( Cha Youngku ) 한국서양사학회 2021 西洋史論 Vol.- No.149

        본 논문은 헝가리의 아르파드 왕조가 13세기 전반기에 발행한 특허장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중세 헝가리와 독일 간의 이주 문제를 가해와 피해의 이분법적 구분을 넘어서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독일 역사학계에서 중세 독일의 동방이주는 식민운동이자 동유럽의 독일화로 이해되었던 반면에 동유럽의 학자들은 이를 제국주의적 침탈로 규정하면서 반독일적 해석이 지배적이었다. 13세기 전반기의 특허장은 이주 수용국의 계획적이고 선별적인 이주정책을 고찰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서, 이주민의 이주가 헝가리 왕실의 경제적 이득 이외에 지방 세력에 대한 견제와 함께 왕권강화를 꾀하는 정책의 일환이었음을 보여준다. 이주민 특허장의 하사 지역이 왕국의 중심부가 아니라 주변부였다는 사실은 국경지대의 방위가 이주정책의 또 다른 목적이었음을 시사한다. 다양한 자치권과 경제적 면책 특권을 보장한 특허장은 왕과 이주자 간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면서 이주민을 단순한 통치의 대상이 아니라 왕국 운영의 협력자로 자리매김하였다. 독일인 이주민들은 공동거주자(concives)로서 현지인뿐 아니라 여타 지역에서 유입된 여러 인종의 주민들과 잡거와 공존을 하면서 헝가리 왕국의 신민으로서 살아갔다. In German historiography, eastern migration during the medieval period has been described as the colonial expansion of ethnic Germans and Germanization in Eastern Europe. On the other hand, numerous Eastern European scholars of anti-German sentiment define it as the imperialist invasion.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medieval eastern migration as the greatest monument to German historical achievements, however, has been rejected by scholars; they argue that it included not only Germans but other newcomers from the western region. Beyond a traditional dichotomy between victimizers and victims, this paper offers a new approach to the migration problem between Hungary and Germany in the Middle Ages. The privileges granted by Hungarian kings are supposed to be important sources for assessing the deliberate immigration policies of the host country. The fact that immigrants were issued privileges, not in the center but the peripheries of the kingdom, suggests that the purpose of German immigration was defense of the borderlands. The privileges, which guaranteed various autonomous rights and economic immunity, defined the rights and obligations between kings and immigrants. They also considered these guests as partners in the management of the kingdom and not merely as subjects to the government. Germans who came to Hungary in the twelfth and thirteenth centuries immigrated from all over Germany and received preferential treatment not because they were Germans but because they were guests(hospites). The history of immigration into Eastern Europe no longer needs to find its motives in the national purposes and decisions of the powerful leaders of the Holy Roman Empire. The immigrants lived as citizens of the Hungarian Kingdom, coexisting with the local people as co-citizens of various ethnic groups from different regions. The encounter that took place between immigrants and natives should not be seen simply as conquest and subjugation but as a phenomenon of inclusivity and interminglement. (Chung-Ang University / ygcha@cau.ac.kr)

      • 크로아티아인의 발칸유럽 정착과 중세 왕국의 발전사 연구

        김 철 민(Kim, Chul-Mi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7 동유럽발칸학 Vol.9 No.1

        중세 시기 수용된 기독교에 대한 신앙심 그리고 중세 왕국 건설 경험과 문화적 발전은 현재까지도 크로아티아인들에게 매우 커다란 의미로 다가오고 있으며, 역사적으로도 독립 국가의 이상을 향한 주요한 원동력이 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크로아티아인의 발칸유럽 정착과 기독교 수용 그리고 크로아티아 중세 왕국의 성립과 발전에 대해 각 시기별로 그 특징을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글은 제 2장에서 고대 크로아티아에 대한 역사적 고증 내용과 크로아티아인들의 발칸유럽 정착과정, 그리고 크로아티아가 현재 강력한 가톨릭 국가가 된 배경인 9세기 기독교 수용 과정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제 3장에서는 11세기부터 15세기까지의 시기를 각 시기별 특징에 따라 나누어 크로아티아 중세시기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에따라 왕국 성립 초기인 11세기는 문언과 문화의 출발로서 중세 크로아티아 왕국의 성립과 발전을 바라보고자 했으며, 12세기부터 13세기까지는 헝가리 아르파드(Arpad) 왕조 하에서 수립된 봉건제도의 성숙 과정을, 14세기는 문화적 융성 시기라는 소주제로 특히 아드리아해의 두브로브니크(Dubrovnik)의 문화적 발전상에 대해 설명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15세기는 오스만 터키와 베니스 공국간의 전쟁과 혼란의 시기로 규정하고 당시의 시대상을 소개하게 될 것이다. After Croats settled in the Balkan about 5-6C, South Slav in Croatia has been influenced a lot by the Christian religion and faith(especially Catholic). And, with the experiences of establishing the Croatian Medieval Kingdom and a cultural development at that time, it have influenced on the nations in Croatia until now. From this point of view, I analyze the Croatian settlement in the Balkan and the reception of Christian religion, and the establishment, development, and crisis, of the Croatian Medieval Kingdom with the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ury. In the chapter II, I analyze what is the historical demonstrations about the ancient Croats, and how Croats settled in the Balkan, and what is the meaning of reception of Christian religion. In the chapter III, I study the main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roatia at the medieval times, especially focusing on from 11C to 15C; 11C - a starting of the literary language and the culture of Croatian Medieval Kingdom; 12C, 13C - a puberty of feudalism under Hungarian Arpad's dynasty; 14C - a cultural prosperity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Dubrovnik's duchy; 15C - the time of wars and confusion between Ottoman Turkey and Venice. Finally, in the chapter IV, I summarize how much the reception of Christian religion and the experiences of the independent Medieval Kingdom in South Slav in Croatia had influenced on the nations in Croatia and the meaning of it in the history of Croatia.

      • KCI등재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

        한경민 ( Kyeng Min Han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09 世界文學比較硏究 Vol.28 No.-

        St. Elizabeth was born as a hungarian princess and went to Thuringia to be a further landgrave`s bride. A political aim caused her marriage. She was married with Ludwig and had three children. She volunteered all her fortune and authority for others. When she was in life, many miracles happened. After her death, more cures happened. People thought that cures occurred by her prayer for sick. She was canonized by Pope Gregorius IX in 1235 because of her loving to poors. A defining word for her is `love.` She loved not only her husband and children, but she also loved patients and those who were in need. She also loved Jesus Christ and always tried hard to live according to severe religious standards. She gave bread and drink to those who were starving, good care and healing to those who were sick, lowness and great love to God. It made her life great. In this essay, I tried to memorized her life and episodes. And I show so many books, painting, sculptures and catholic art, that contain her cult. Until now cult of St. Elizabeth is remained. On Nov. 17 is her celebration day in Roman Catholic Church. Someone thinks She was a medieval particular Saint. But in her, we can find love and concern to contemporary, especially poor and sick neighbours. Though in rich times, today also many people are starving, living without house, don`t have any care. It is needed to give a concern and understanding which Elizabeth gave to them. Saint Elizabeth shows an inner beauty to us who focus on the external beauty. She is a model of an authentic beauty that composed of good deed, good will to others.

      • 아틸라 사후 훈족의 동향

        김현일(Kim Hyunil) 세계환단학회 2015 세계환단학회지 Vol.2 No.2

        아틸라 사후 훈 제국이 붕괴하였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여러 집단으로 분열되었지만 훈족은 결코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6, 7세기의 비잔틴 사서들에서는 쿠트리구르와 우티구르 훈족이 위협적인 정치·군사적 세력으로 빈번하게 언급되고 있다. 이 두 훈족 집단은 460년대 이후 남러시아 초원지대로 이주해온 또 다른 아시아 유목민족인 오구르 족과 연합하였다. 불가르 족은 이러한 연합으로부터 생겨났다. 560년대에는 불가르 연합의 모든 부족들이 아바르 족에 의해 정복되었다. 그러나 630년대에 쿠브라트는 훈족 (아마도 쿠트리구르 부족)의 지도자로서 아바르 족과 싸워 대불가리아를 건국하였다. 그의 아들 아스파루크는 680년 다뉴브 하류 지역에서 또 다른 불가리아를 세웠다. 「불가리아 칸 명부」에는 그와 그의 부친 쿠브라트를 아틸라의 후손으로 기록하였다. 그래서 우리는 불가리아 제국은 아틸라 시대 훈제국의 부활이라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지배 엘리트는 자신들을 아틸라 훈족의 계승자로 여겼던 것 같다. 우리는 9세기 말의 헝가리 정복자들에게서도 비슷한 의식을 찾아 볼 수 있다. 헝가리 정복자들은 불가르 연합에 참여하였던 또 다른 오구르 부족인 온오구르 부족에서 나왔다. 훈족은 군사 엘리트로서 중세 초 불가리아와 헝가리 건국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It is undeniable that the Hun Empire disintegrated after Attila’s death. Even though dispersed in several groups, the Huns never disappeared from the stage of history. The Kutrigurs and Utigurs Huns were mentioned frequently in the 6th-7th century Byzantine chronicles as menacing politico-military forces. These two Hun groups made alliance with Oghur tribes, another steppe people from Central Asia who migrated into the south Russian steppe after 460s. Bulgars came from this alliance. In the 560s all the tribes of the Bulgar confederacy were conquered by the Avars. But in the 630s Kubrat fought against Avars and founded the Great Bulgaria as a Hun (maybe Kutrigur) leader. His son Asparukh founded another Bulgaria in the region of Lower Danube in 680. Nominalia of the Bulgarian khans listed him and his father Kubrat as descendants of Attila. So we can argue that the Bulgarian empire was a resurrection of the Hun Empire of the Attila age. The ruling elite might have considered itself as successors of the Attila Huns. We can also find similar consciousness in the Hungarian conquerors of the late ninth century. They came from the Onoghur tribes, another Oguhr people who had participated in the Bulgar confederacy. So the Huns continu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as military elites in the foundation of Bulgaria and Hungary in the early Middle 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