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도르노 미메시스 개념의 의미

        정석현(Cheong, Seok-Hyeon)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70 No.4

        이 논문은 경험의 직접성으로부터 자신의 사유를 전개시키는 아도르노의 미메시스 개념의 의미에 관한 연구이다. 미메시스 개념은 비록 아도르노 자신이 독자적으로 창안한 개념이 아니지만, 플라톤 이래 여러 사상가들에 의해 다양한 의미로 변용되고 발전되어 오면서 아도르노에 이르러 미학과 철학을 매개하는 독특한 개념으로 정착한다. 이 연구는 아도르노 미메시스 개념을 전통적인 미메시스 개념들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하여 아도르노 미메시스 개념의 고유한 의미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단계를 거쳐 전개될 것이다. 첫째, 아도르노의 저서들을 통하여 그가 사용하는 미메시스 개념의 의미를 분석한다. 아도르노에게 미메시스 경험은 육체적인 것이면서 동시에 정신적인 것으로서 사물이 스스로 말하는 것에 관한 벤야민의 미메시스 개념을 수용하고 발전시킨 개념이다. 아도르노의 미메시스 개념은 그의 객체우위 개념과 함께 전개되면서 객체에 황홀경의 상태로 동화되는 주체의 객체우위 정신으로서의 미메시스 경험이다. 둘째, 전통적인 미메시스 개념들을 간략하게 살펴보면서 아도르노의 객체우위 미메시스 개념이 등장하기까지 미메시스 개념의 변용과 발전과정을 확인한다. 특히 이 과정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루카치, 가다머 미메시스 개념과 벤야민, 아도르노 미메시스 개념을 대조적으로 분석한 후, 벤야민의 사물중심적인 미메시스 개념이 아도르노의 객체우위 미메시스 개념으로 수용되고 발전할 수 있었던 계보학적인 흔적을 더듬는다. 셋째, 아도르노의 미메시스 개념이 합리성 개념과 매개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아도르노의 미메시스 개념이 벤야민의 그것과 구분되는 독자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아도르노 미메시스 개념의 고유한 특성이 그의 실천철학적 방법론과 어떻게 매개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추정한다. Theodor W. Adorno develops his philosophy from immediacy of experience. Because immediacy of experience facilitates a transparent understanding about object and it also potentializes a objective cognition of relation between objects in his thought. Adorno explains such a immediacy of experience with the concept of mimesis. Mimesis usually means mim?tik?(the technology of imitation). mim?tik? is a traditional meaning of mimesis originated from Plato. But Adorno uses mimesis as a meaning of which objects are telling themselves, said from Walter Benjamin. Likewise, a meaning of mimesis in fact is used as various meanings by many thinkers. So we should need to clarify the more concrete meaning of mimesis in Adorno"s thought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the meaning of mimesis in Adorno"s thought and it in other thinker"s thought. This paper is written to resolve this problem. Especially, comparing the meaning of mimesis in Adorno"s thought as it in Plato, Aristoteles, Lukacs, Gadamer, Benjamin, this paper will show that the mimesis in Adorno"s thought is meaning of a experience of aesthetic assimilation based on his concept of priority of object, and it is associated with his concept of rationality.

      • KCI등재

        아도르노의 기술이해와 기술비판

        이하준 철학연구회 2006 哲學硏究 Vol.0 No.75

        본 논문은 아도르노 연구사나 기술철학사에서 활발히 연구되지 않은 아도】르노의 기술이해와 기술비판을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아도르노 기술이해에 대한 연구는 지배기술로서의 기술개념 기술적대주의라는 단편,적인 해석에 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도르노 기술개념을 가지로 범주화하고. 5 평가할 것이다 이를 통해 아도르노 기술개념의 다의성이 파악된다 아도르노 기술이해. .에 대한 기술적대주의적인 해석이 오해임을 지적하기 위해 기술의 해방적 잠재력 기,술 중립성 테제 기술운용의 중요성에 대한 아도르노의 언급들이 재구성 된다 아도르, .노의 기술비판은 기술의 물신성비판 수단 목적 관계의 전도 기술접근과 운용의 우월, - ,적 지위 비판에 집중되었다 어떻게 기술이 형성되는가 하는 문제에 관한 아도르노의. ‘ ’입장은 사회결정론이다 기술과 사회의 상호관계에 바탕을 둔 아도르노 사회결정론의.이론적 난점과 사회결정론과 양립하기 어려운 기술의 자의식에 대한 주장을 전체기술비판의 문맥에서 재해석 한다 또한 기술과 책임의 문제에 있어서 아도르노는 개인주.의적 입장을 거부하고 기술의 사회적 운용에 관계하는 집단에 책임을 묻는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아도르노의 기술에 대한 철학적 반성은 그것의 이론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기술시대의 기술문제비판에 새롭게 재조명 될 충분한 가치가 있다.

      • KCI등재

        아도르노의 개념 비판 : 사회와 예술의 영역에서 이루어진 동일화 사고 비판

        성미영 ( Mi Yeong Su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1 철학연구 Vol.0 No.42

        이 글은 『부정 변증법』에서 이루어진 아도르노 개념 비판의 의미를 밝히려는 의도에서 씌였다. 아도르노에게 ``개념을 통해 개념을 넘는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것은 동일성 원리에 대한 비판을 나타낸다.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의) 『계몽의 변증법』에 따르면 동일화 사유는 인류 문명의 형성과정을 지배해 왔다. 사유의 과정에서 동일화하는 것은 지배와 억압으로 나타난다. 아도르노의 철학은 개념과 동일화 사유를 비판하면서 비동일적인 것을 구제하려 한다. 따라서 아도르노의 철학은 동일화 사유의 비판을 의미한다. 동일화 사유는 모든 인간 활동의 영역에서 나타나는데, 특히 철학, 사회, 역사에서 두드러진다. 철학의 영역에서 동일화 사유는 비동일적인 것을 개념 아래로 포섭하려 한다. 그러나 아도르노의 관점에서 비개념적인 것이 중요한데, 왜냐하면 개념은 비개념적인 것을 기초로 하기 때문이다. 개념이 경직되고, 고정되고, 응결된다면 개념은 공허해진다. 아도르노에게 비개념적인 것은 "개념에 의해 억압되고 경멸받고, 버려진 것"이다. 이러한 개념에 대한 비판은 사회 철학, 미학과 관련을 갖는다. 사회와 역사의 영역에서, 동일화 사유는 사회를 효과적으로 지배하도록 한다. 개념 안에는 실제의 역사적 사회적 경험이 침전되어 있다. 아도르노는 개념에 내재해 있는 지배와 억압을 지적한다. 따라서 아도르노의 관점에서 개념에 대한 비판은 현실의 사회를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도르노의 『미학 이론』에는 예술의 자율성과 예술의 진리 내용이 되는 언어적 성격이 예술작품을 진정한 것이 되도록 한다. 진정한 예술작품은 사회와의 소통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 진정한 예술작품은 사물화된 사회를 비판하면서 사회에 대립하는 안티테제로서 역할을 하고 비동일적인 것을 구제한다. Dieser Aufsatz zielt darauf, die Bedeutung der Adornos Kritik von Begriffen in Negative Dialektik zu entdecken. Es ist wesentlich fur Adorno, ``uber den Begriff durch den Begriff hinauszugelangen``. Dies zeigt die Kritik an der Philosophie von Identifikation. Zufolge Adornos (und Horkheimers) Dialektik der Aufklarung hat das identifizierende Denken den Prozess der menschlichen Zivilisation beherrscht. Im Lauf des Denken wird Identifizieren als die Berherrschung und die Unterdruckung vom Nichtidentischen enthullt. Adornos Philosophie versucht das Nichtidentische zu retten, indem sie die Begriffe und das identifizienrede Denken kritisiert. Also heisst Adornos Philosophie die Kritik des Identifizierenden Denkens. Das Identifizierende Denken zeigt sich im allen menschlichen Bereich, besonders in der Philosophie, Gesellschaft und Geschichte. In der Philosphie treibt das Identifizierende Denken sich, unter die Begriffe das Nichtbegriffliche zu subsumieren. Aber in Adornos Augen handelt es sich um das Nichtbegriffliche, denn der Begriff basiert auf dem Nichtbegrifflichen. Wenn der Begriff fest, gefrieren, verhartet wird, heisst er leer. Fur Adorno bedeutet das Nichtbegriffliche "das von den Begriffen Unterdruckte, Mißachtete und Weggeworfene". Diese Kritik von Begriffen bezieht sich auf die Sozialphilosophie und Aesthitik. In der Gesellschaft und Geschichte treibt sich das Identifizierende Denken, Gesellschaft wirksam zu walten. In den Begriffen haben die wirklichen geschichtlichen und sozialen Erfahrungen sedimentiert. Adorno weist die Beherrschung und Unterdruckung, die dem Begriff innewohnen. Daher in Adornos Augen bedeutet die Kritik von Begriffen die wirkliche Gesellschaft kritisch zu interpretiern. In Adornos Aesthitische Theorie ermoglichen die Autonomie und Sprachlichkeit der Kunst, die zur Wahrheitsgehalt der Kunst wird, die Kunstwerke authentisch zu sein. Die authentischen Kunstwerke setzen nicht die Kommunikation mit der Gesellschaft aus. Sie dienen als Antithese gegen der Gesellschaft, und retten das Nichtidentische, indem sie die Verdinglichung der Gesellschaft kritisieren.

      • KCI등재

        연국 논문 : 아도르노 미학의 진리내용(Wahrheitsgehalt)에 관하여

        한동원 ( Dong Won Ha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1 美學·藝術學硏究 Vol.33 No.-

        이 글은 아도르노 미학의 과제를 ``모더니즘의 구제``라는 측면에서 파악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예술작품에 ``진리내용(Wahrheitsgehalt)``이 있다는 주장이 그의 미학의 핵심이라는 확신에서 출발한다. 아도르노는 ``진리내용``에 관한 중요성을 1958년 루차키와의 논쟁의 결과로 획득하게 되었고, 이 개념을 현대 예술을 옹호하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하였다. 이렇듯 ``진리 내용``이 아도르노 미학의 핵심이라는 것은 이미 연구가들에 의해서 종종 지적되어왔지만 그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고,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견은 상이하고 명료하게 정리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개념의 아도르노가 의미한 ``진리내용``이란 개념의 전개를 추적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방법론적으로는 이 개념이 전개되는 과정을 연대기적으로 살펴본다. 연대기적으로 볼 때 아도르노는 『부정변증법』을 출판하면서 동시에 ``부정변증법``을 강의했고, ``미학``을 강의하면서 『미적 이론』을 교정해갔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부정변증법』(1966)과 『미적 이론』(1969), 그리고 그 사이에 나온 『부정변증법 강의』(1965/66)와 『미적 이론』의 서문, 『미학강의』(1967/68)를 고찰함으로써 미적 이론을 향해 간 아도르노 사유의 일련의 전개 과정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밝혀지는 바는 ``진리내용``으로써 아도르노가 의미한 바를 드러낼 뿐 아니라, 이 개념에 대해 기존 연구자들이 명확히 규명하지 못했던 점들이다. 기존의 연구들자들인 R. 부브너, A. 벨머, L. 쥐데르바트, M. 패디슨의 일면적인 논점들과 달리 본 연구는 아도르노가 의미하는 예술작품의 진리내용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규명한다. 첫째, 예술작품의 진리내용은 존재적 지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아도르노가 말하는 진리는 주체의 주장과 사실과의 일치, 주장적인 것이 아니라 예술작품에 객관적으로 내재해 있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둘째, 예술작품의 진리내용은 일차적으로 작품의 형식적 구조에 근거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작품의 모든 계기들이 정합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진리내용이 형성된다. 이것은 작품이 일관성(Konsequenz)과 논리성(LogizitAt)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며, 진리내용은 예술작품에 통일성을 가져오는 반(反)미메시스적 충동에서 나온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예술작품의 진리내용은 사회적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은 철학에 의해서만 이해 가능하게 되며, ``미적 경험``은 필연적으로 철학으로 나아간다. 이것은 예술작품의 형식적 구조에 근거를 둔 ``진리내용``과 비판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진리내용``이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고 하는 아도르노 주장의 근거이기도 하다. Die vorliegende Arbeit geht von der Uberzeugung aus, dass die Aufgabe der Adornoschen Asthetik ist, die Modernitat zu retten, und dass der Kernpunkt seiner Asthetik in der Behauptung liegt, dass im Kunstwerk der Wahrheitsgehalt enthalt ist. Adorno gewann durch die Auseinandersetzung mit Lukac um die Modernitat im Jahr 1958 die Relevanz des ``Wahrheitsgehalts`` und benutzte diesen Begriff als Mittel zur Rechtfertigung der gegenwartigen Kunst. Bereits wurde von einigen Forschern oft aufgezeigt, dass der Wahrheitsgehalt auf diese Weise der Kern der Adornoschen Asthetik ist. Aber die Meinungen daruber waren verschieden und nicht klar, was dieser Begriff konkret ist und welche Bedeutungen er hat. Daher zielt die vorliegende Arheit auf die Verfolgung der Entfaltung von Adornos Begriff des Wahrheitsgehalts ab und betrachtet den Entfaltungsprozeß in der chronologischen Methode. Chronologisch gesehen, so hat Adorno gleichzeitig die Vorlesungen von der ``negativen Dialetik`` gehalten, indem er Negative Dialetik publiziert. Und er korrigiert Asthetische Theorie, indem er die Vorlesungen von der Asthetik hAlt. Auf dieser Grund faßt die vorliegende Arbeit durch die Betrachtungen der Negativen Dialetik (1966), Asthetischen Theorie (1969) und Vorlesungen uber die negative Dialektik (1965/66) sowie Vorrede zur Asthetischen Theorie (1967/68) die Reihe vom Entfaltungsprozeß im Fortschritt zur Asthetischen Theorie auf. Hierdurch wird sodann erhellt, was Adorno mit dem Wahrheitsgehalt meint, und vor allem auch, was die vorgehenden Forscher nicht klar herausgearbeit haben. Anders als die einseitigen VerstAndnisse von den vorgehenden Forschern wie R. Bubner, A. Wellmer, L. Zuidervaat und M. Paddison werd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als die Grundzuge des von Adorno gemeinten Wahrhetsgehalts des Kunstwerks die folgenden drei Punkte hervorgebracht. Erstens hat der Wahrheitsgehalt des Kunstwerks bei Adorno den onthologischen Status. Denn die Wahrheit, die Adorno meint, ist weder die Ubereinstimmung zwischen Behautptung des Subjekts und Sache nor das Apophantische, sondern der im Kunstwerk objektiv immanente Inhalt. Zweitens lAßt sich der Waheitsgehalt des Kunstwerks unmittelbar als das verstehen, was auf der Grundlage der formalen Struktur des Werks liegt. Er wird nAmlich nur gebildet, wenn alle Momente des Werks die Stimmigkeit haben. Dieses bedeutet, dass das Werk Konsequenz und LogizitAt enthAlt, und zeigt, dass der Wahrheitsgehalt aus dem anti-mimesischen Trieb entsteht, der im Kunstwerk die Einheit hervorbringt. Drittens muß der Wahrheitsgehalt den sozialen Inhalt enthalten. Dieses gilt als die Basis fur Adornos Behauptung, dass der in der formalen Struktur des Kunstwerks die Grundlage habende Wahrheitsgehalt und der die kritische Funktion leisten konnende Wahrheitsgehalt miteinander eng verbunden sind.

      • KCI우수등재

        아도르노 도덕이론의 형식에 대한 연구

        정진범(Jinbum Chung) 한국철학회 2019 철학 Vol.- No.139

        이 논문은 아도르노의 도덕이론이 갖는 고유성을 그 형식적 측면에 주목하며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그의 도덕철학 강의(Probleme der Moralphilosophie)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논의가 전개될 것이다. 첫째, 아도르노의 도덕이해는 두 가지의 대표적인 도덕비판 기획들과의 비교 속에서 검토될 것이다. 이 기획들은 기존 도덕이론의 극복을 목적으로 하는데, 그 하나는 헤겔-마르크스적인 도덕의 정치화 기획이고 또 다른 하나는 니체로 소급되는 도덕의 자기지양 기획이다. 이에 대한 아도르노의 관계가 규정됨으로써 도덕이론의 가능성에 대한 그의 입장이 밝혀질 것이다. 둘째, 아도르노가 설정한 도덕철학의 과제가 실제로 그의 이론 안에서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는지가 해명될 것이다. 그는 도덕철학의 과제가 보편과 특수의 모순을 투명하게 드러내는 일이라고 규정하는데, 이 규정에 기초하여 도덕과 삶의 모순에 대한 그의 이해가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이다. 그런 도덕 이해의 결과, 아도르노가 전통적 의미에서의 도덕이론과 다른 성격의 도덕이론을 가질 수밖에 없음도 드러날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논의들을 통하여 아도르노에게 도덕이론은 사회이론과의 해소되지 않는 긴장 관계 안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런 사실에 힘입어서만 도덕이론은 사회에 대한 비판적 잠재력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질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peculiarity of Adorno’s theory of moral in a tense relationship with social theory. On the basis of his moral-philosophical lecture it will be discussed in the following way: First, his moral conception should be clarified in relation to two forms of overcoming morality, Hegel-Marx’s politicization of morality and Nietzschean’s self-abolition of morality. This comparison serves to distinguish and clarify his own project for the transformation of morality from the other similar projects. Second, it will be discussed how concretely his theory fulfills the task imposed by himself. Due to his moral determination as a contradiction between the general and the particular, his moral understanding in the tense relationship to life is to be made concrete. It will also be shown that Adorno has a moral theory that defies the usual meaning of the word. Finally, it will be asserted that Adorno’s theory of morality is in conflict with social theory, and thus may include critical potential.

      • KCI등재

        아도르노의 칸트 윤리학 비판 : 충동 개념을 중심으로

        강동원 ( Kang Dongwon ) 한국칸트학회 2022 칸트연구 Vol.49 No.-

        이 글은 아도르노의 칸트 윤리학 비판을 재구성하여 검토한다. 우선 ‘이론주의’라는 용어를 통해서, 아도르노의 칸트 윤리학 비판이 무엇을 겨냥하는지를 구체화 한다. 이를 통해, 칸트의 순수실천이성 개념의 ‘탈실천화’와 ‘탈대상화’에 주목하는 아도르노의 비판은 행위이론적 문제설정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음이 드러날 것이다. 이어서, 칸트 윤리학에 대한 아도르노의 비판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충동(Impuls)’ 개념의 함의가 분석된다. 아도르노는 ‘충동’ 개념에 관해서 독특한 신조어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덧붙여진 것(Hinzutretende)’이라는 개념이 그것이다. ‘덧붙여진 것’과 실천이성의 관계를 ‘비동일적인 것’과 동일성사유의 관계의 연장선상에서 분석함으로써, 아도르노의 칸트 윤리학 비판이 ‘합리주의적인 이성의 윤리학 대 비합리주의적인 충동의 윤리학’이라는 구도로 귀결될 수 없다는 점이 밝혀진다. 결론에서는 칸트의 ‘구 정언명법’과 아도르노의 ‘신 정언명법’을 비교하면서, 아도르노가 어떤 지점에서 칸트 윤리학을 거부하는지, 또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아도르노는 어떤 의미에서는 여전히 ‘칸트주의자’인지가 언급된다. This article reconstructs and examines Theodor W. Adorno’s critique of the Kantian moral philosophy. First, using the term ‘theoreticism’, this article articulates what Adorno's critique aims at. The term ‘theoreticism’ will reveal that Adorno’s critique, focusing on ‘depracticalization’ and ‘deobjectification’ - which are immanent in Kant's concept of pure practical reason -, is grounded on the action-theoretical problematics. Subsequently, we analyze the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impulse,’ which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Adorno's critique. Adorno uses a unique neologism for the concept of impulse ; “the addendum(Das Hinzutretende)”. By interpre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dendum and the practical reason as continuou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n-identical” and the “identitythinking” - which is a more general theme of Adorno’s philosophy -, we reveal that Adorno’s critique of the Kantian ethics cannot collapse into the cliche of “rationalistic ethics of reason versus. irrationalistic ethics of impulse.” In conclusion, comparing Kant’s categorical imperative with Adorno’s “new categorical imperative”, we remark that although Adorno rejects the Kantian ethics at some point, in a sense, he is still “a Kantian”, by insisting on an irreducible remainder of rationality.

      • KCI등재후보

        아도르노 성좌개념에서 객관성과 상호성 문제에 관한 연구:성좌개념의 구조적 분석을 중심으로

        정석현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코기토 Vol.- No.73

        What is the reason that many social philosophers criticize Adorno’s thought in these days? It is perhaps that his thought is so subjective and aesthetic that it is cannot explain interactive state of discourse between discussants. In addition to such a reason, it is probably his thought reinterprets mimesis as a self-fulfilment whereat it is limited to a certain relation of not the human(subject)-human(subject) but the human(subject)-nature(object). The former is belong to criticism of Jürgen Habermas, the latter is belong to criticism of Seyla Benhabib.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fute these criticisms. In this paper we will investigate into how Adorno’s thought deals with problems of objectivity and interaction and we will treat such a investigation by Adorno’s concept of Constellation[Konstellation]. Because it is his singular epistemological methodology which represents what objects are telling themselves. But this paper is limited to analyze Adorno’s concept of Constellation [Konstellation] structurally. Because this analysis is meaningful as a preparatory study to clarify a more material social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Adorno’ thought. However by analyzing Adorno’s concept of Constellation[Konstellation], we will confirm the most important meaning of negative objectivity in his thought. In my opinion, Adorno is nor a thinker who is sunk in the eyes of an observer, neither an art critic who is fascinated in aesthetic perceptions. His thought concerning the concept of Constellation[Konstellation]might be provide us a methodical point necessary for an agreement in a concrete discourse. 이 글은 아도르노의 사유가 주체와 주체 간의 상호주관적 관계로 나아가지 못하고 주체와 객체(자연) 간의 과거 전통적인 인식론적 관계에 관한 사유에 머물러 있다는 하버마스를 비롯한 현대 규범철학자들의 비판에 대해, 새로운 시각과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써진 글이다. 필자는 그러한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특히 아도르노의 성좌개념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필자의 분석에 의하면, 아도르노에게 성좌개념은 객체우위 미메시스 경험을 통하여 형성되는 객관적인 이념적 형상에 관한 인식론적 모델이라는 점에서 단순히 객체를 대상화하던 과거 전통적인 인식론과는 구별된다. 그리고 성좌개념이 가지고 있는 객체우위 관계가 타인에 대한 비대칭적인 타자우위관계를 내포할 수 있다면, 그러한 비대칭적인 상호관계가 담화 상대자들 간의 대칭적인 힘의 장(Feld)으로 귀결될 수 있는 가능성이 아도르노 성좌개념의 구성(재구성) 과정에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이 글은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과정을 통하여 전개될 것이다. 첫째, 아도르노의 성좌관련 전거들에서 성좌개념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객관성의 계기를 분석할 것이다. 둘째, 아도르노의 성좌관련 전거들을 통하여 아도르노 성좌개념의 객관성 속에 숨어있는 상호성의 계기를 발견한 후, 그러한 상호성의 계기가 하버마스의 상호주관성 이론과 얼마만큼 조응할 수 있는지 고찰해볼 것이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이 글은 하버마스의 상호주관성 모델과는 구분되는, 또는 그것에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는 아도르노 성좌개념만의 독특한객관성과 상호성의 모델을 제안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아도르노의 기술 개념에서 본 디지털 시대의 예술

        유현주 ( Yu Hyunju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9 예술과 미디어 Vol.18 No.2

        본 논문은 아도르노의 기술 개념을 통해 기술산업화된 사회에서의 예술의 미적 가상의 문제를 다룬다. 아도르노는 상품이 제2의 자연이 된 사회에서 문화산업적 기술에 의해 물화된 의식을 예술이 일깨우는 역할을 한다고 본다. 즉 사회의 생산력에 따라 오늘날 자동화된 사회에서 인간의 의식을 점차 더 물화시키는 방향으로 가는 데 반해 예술적 기술을 통해 구현되는 미적 가상은 그러한 사회의 허위 이데올로기를 부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본고는 현재 알고리즘으로 자동화 되어가는 사회를 분석한 스티글러의 저서 ‘자동화 사회’에서 다루는 물화된 사회의 부정적 측면들을 죽음의 파르마콘으로 바라보고, 이것의 해독제로서 아도르노의 예술적 기술을 치유의 파르마콘으로 대비해서 독해하고자 한다. 아도르노가 바라본 영화는 산업적 기술과 예술적 기술의 혼종으로서 오늘날 디지털 예술의 예고편을 이룬다. 아도르노가 영화에서 몽타주를 통해 사회의 현실을 리얼리즘화하는 현실의 지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보았다면, 디지털 시대의 예술가들은 아도르노가 탈예술화가 될 우려가 있다고 경계했던 물신화된 이미지들을 포스트프로덕션의 몽타주 제작방식을 통해 예술적 전용으로 몽타주화 한다. 이 시대의 대표적인 디지털 영상의 예술가 슈타이얼의 작업들은 바로 그러한 현대적 몽타주 제작방식으로 아도르노가 말하고자 한 예술의 비판기능을 발휘함으로써 물화된 사회의 실체를 드러내는 미적 가상을 구현한다. 예술의 물적 조건은 변화되었지만 궁극적으로 아도르노가 말하는 현실 사회에 대한 비동일적인 사유를 내재한 미적 가상은 예술적 기술을 통해 지속되리라고 여겨진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aesthetic imaginary problem of art in a technologically industrialized society through the technique concept of Adorno. Adorno believes that in a society where commodities have become a second nature, art serves as a wake-up call for rituals imbued with cultural and industrial technology. In other words, aesthetic illusion, which is implemented through artistic technology, can play a role in breaking the false ideology of such a society, whereas it is increasingly going to make human consciousness Verdinglichung in today's automated society according to the productive forces of society. In Bernard Stiegler’s book, "Societe automatique" which analyzes society currently being automated by algorithms, we could compare the negative aspects of the reified society as a deadly pharmakon of death with as an antidote to the art of Adorno as the pharmakon of healing. The film that Adorno has seen is a hybrid of industrial and artistic technology, which makes a preview of digital art today. If Adorno saw in the movie that he could deviate from the real world's index of society through montage, artists of the digital age would montage the fetishzed images which, Adorno feared, could fall into Entkunstung, using post-production methods. The works of Hito Steyerl, an artist of representative digital images of this era, embodies the aesthetic assumption that reveals the substance of a colored society by exercising the critical function of an art that Adorno is trying to say in such a modern way of montage. Although the material conditions of art have changed, it is ultimately believed that aesthetic fiction, which embodies what Adorno calls an non-identitical thinking against the real world, will continue through artistic technique.

      • KCI우수등재

        일상의 미학과 아도르노

        노성숙 한국철학회 2002 철학 Vol.72 No.-

        ‘일상의 미학’은 과거의 예술이 그 위상의 변화를 겪고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된다. 오늘날 우리는 고급예술이라는 테두리가 무너지면서 예술의 생산ㆍ수용방식의 변화와 함께 감상하는 대중들의 일상과 분리되어 있지 않은 ‘예술의 대중화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일상의 미학’이 아도르노 사상과 어떻게 연관될 수 있는가를 다루고자 한다. 먼저 ‘일상의 미학’에 대한 아도르노의 비판을 ‘예술의 상품화’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이를 위해 자본주의에 대한 맑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에서 유래하는 상품분석, 루카치외 ‘물화’와 아도르노 ‘동일성원리’로 이어지는 비판의 맥락을 짚어볼 것이다. 또한 아도르노의 문화산업론을 통해 ‘예술의 상품화’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관철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그러고 나서 ‘일상의 미학’을 통해 시도되고 있는 또 다른 측면으로서의 ‘예술의 탈중심화’는 아도르노 사상과 긍정적으로 만날 수 있는 계기를 지니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며, 그 가능성을 아도르노의 ‘비동일성’의 미학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의 미학을 통해서 찾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이 아도르노 사유를 통해서 ‘일상의 미학’이라는 오늘날 삶의 문화를 부정적으로 뿐만 아니라 긍정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예술의 현재적 위상을 다시금 진지하게 돌아보는 것이 본 논문의 의의라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아도르노 철학의 수용과 연구에 관한 고찰

        이하준 한국하이데거학회 2020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58

        국내에 아도르노 철학이 수용된 지도 근 50년이 되었다. 아도르노 철학의 수용사는 크게 ‘연구 준비기’, ‘연구 여명기’, ‘본격 연구기’, ‘연구 확장기’, ‘철학 분야 아도르노 연구 성장기’로 분류할 수 있다. 연구 준비기부터 연구 확장기까지는 모든 학문분과를 망라한 아도르노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를 기준으로 분류했다. 시기 구분은 철학 분야 연구자 수의 절대 부족을 반영한 것이다. ‘철학 분야 아도르노 연구 성장기’를 독립적으로 분류한 까닭은 2015년 이후 철학 분야 아도르노 연구자 수의 증가와 함께 새로운 연구 경향을 반영한 왕성한 연구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수용사적 측면에서 볼 때 철학 분야의 2세대 연구자층의 등장은 연구량, 연구 주제, 연구의 질적 수준에서 변곡점 될 가능성이 크다. 여느 철학의 수용사가 그렇듯이 아도르노 철학의 수용과 연구에서도 시간의 축적과 숙성의 과정이 필요하다. 축적과 숙성의 과정에서 원전의 완역, 주요 개념어의 통일을 위한 번역자와 연구자 사이의 논의, 세부 주제연구 천착, 심화연구의 촉매제로써 연구자 사이의 긴장과 협력, 아도르노 철학의 대중적 확산 등이 요구된다. It has been nearly 50 years since Adornoian philosophy was introduced to Korea, and the history of its reception as a field of research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phases of preparation, dawning, full-scale, expansion, and growth. based on the outputs of Adorno researchers across all academic divisions. The classification of each period reflects an absolute lack in the number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philosophy. The most recent period of growth in the study of Adornoian philosophy was classified according to active research activities and reflects new trends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Adorno researchers since 2015.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emergence of second-generation researchers is highly likely to be a point of inflection in terms of volume, subject, and quality of the research conducted. As is the case for any philosophy, the accumulation of time and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processes are necessary for the advanced reception of and research into Adorno’s philosophy. During this period, the complete translation of original texts, discussion between the translators and researchers for the unification of major conceptual terms, the detailed exploration of research topics, tension and cooperation among researchers as catalysts for intensive research, and the popular spread of Adorno’s philosophy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