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왕양명의 心에 보이는 神性과 聖性에 대한 이해

        김영건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6 No.-

        This thesis is focused on discovering the divinity and holiness out of Yangming Wang's spiritual mind. These two factors have been dealt separately in order to give comprehending that there exists the ultimate reality in his mind and this reality is very religious. Wang places the state of his mind to the same level as God's to justify the authority of his divinity. The mind leveled up to the state of God's transcends a human's physical body, limited human mind, and the earthly material world and it becomes the source of the ultimate truth and sageness as the metaphysical being. I divided this divinity of his mind into two. One is embracing all the principles of the universe, and the other is accepting the universe as it is and actualizing its principles. This point of view will give us the conception that there does exist the ultimate reality or truth in Wang's mind. I also split the holiness of his mind into two. The first one is having a pure mind which is just like holiness. The second is that Liangzie produces holiness. The former says that when he has a pure mind, the mind becomes like the universe and it actualizes the original mind which Heaven has bestowed human beings, and retrieves the holiness. The latter says that Liangzie becomes the same source producing holiness because the thoughts originated from Liangzie obeys all of the universal principles, so if we practice Liangzie the holiness is automatically followed. Therefore, the mind is the absolute being or the supreme judge to Wang. Wang is very positive of his noesis and belief in his mind. His assurance is like that of a man who did not believe in God at all, and one day suddenly changes his mind and confesses his strong belief in God after experiencing something extraordinary in his mind. Wang has an insight into the ultimate reality through his mind. From Wang's point of view, the ultimate reality is able to put the physical body and the spiritual mind together, make people love one another, and harmonize a human with the university. He realizes he has the ultimate reality or truth in his spiritual mind and he believes it strongly. This belief leads him to conclude that the mind can save both an individual and the world. In conclusion, Wang's firm belief in his spiritual mind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conviction of a theist who is sure about the existence of God and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ith God. Although Wang does not believe in God as the religious being, he is very certain that there is the absolute being or ultimate reality in his mind. 본 논문은 명대 왕양명의 심에 보이는 심의 신성神性과 성성聖性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필자는 왕양명이 말하는 심에는 신성과 성성이 내재하고 있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먼저 그가 말하는 심에는 궁극적 실재가 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며. 다음으로 그 궁극적 실재가 왕양명의 심이 종교적인 의미를 지니게 한다는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왕양명의 이러한 심을 신성과 성성으로 나눠서 검토함으로써, 심에 궁극적 실재가 내재하고 있고, 그러한 심이 종교적인 의미를 지닌다는 점을 살펴본다. 왕양명은 심의 신성에 대한 정당성을 보장받기 위하여 심의 권위를 하늘ㆍ상제ㆍ천명과 같은 위치에 둔다. 왕양명이 심과 하늘ㆍ상제ㆍ천명을 동일시함으로써, 심은 자연적으로 생리적ㆍ심리적ㆍ피동적ㆍ유한적인 차원을 뛰어넘는다. 그래서 심은 초월적인 궁극적 실재가 존재하는 형이상학적 본체로서 궁극적 진리와 지혜의 원천이 된다. 이러한 심의 신성은 주로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한다. 하나는 우주 자연의 모든 이치를 담고 있는 심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천지만물을 순리적으로 인식하고, 그들에 대해 천리天理의 지혜를 창출해내는 심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두 가지 측면에서의 심의 신성을 살펴봄으로써, 심에 궁극적 실재 혹은 궁극적 진리가 내재하고 있다는 점을 밝힌다. 심의 성성에 대해서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첫째 ‘마음이 순수한 천리의 상태에 있다[心純乎天理]’는 것이 곧 성스러움[聖]이라는 것이며, 둘째 ‘생각이 성스러움을 만든다[思曰睿, 睿作聖]’는 것이다. 첫째는 주체가 마음을 순수한 천리의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하늘이 부여한 궁극적 실재인 성性을 회복하고 실현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경지가 바로 성스러움[聖]을 얻은 경지라는 점을 밝힌다. 둘째는 양지에서 발하여 작용하는 생각[思]은 천리 아닌 것이 없으며, 이것은 곧 성스러움[聖]을 만들어 내는 동인이라는 것을 밝힌다. 따라서 하늘의 천명인 양지를 실현하게 되면, 성스러움[聖]은 자연히 나타나게 된다는 것을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왕양명에게 있어서 오로지 심이 절대자이고 삶의 최고의 심판관이다. 왕양명의 이런 심에 대한 인식과 믿음은, 초월적인 신이나 인격신을 믿는 자가 어느 날 별안간 종교적인 체험을 하고 나서 그의 삶과 인생관이 완전히 바뀌는, 그런 종교적인 고백과 같은 확신에 차 있는 것이었다. 왕양명은 심에 궁극적 실재[天理]가 내재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통찰한 것이다. 왕양명이 볼 때, 그 궁극적 실재는 몸과 마음이 하나가 되게 하고, 인간과 인간이 서로 사랑할 수 있게 하고, 인간과 우주가 하나가 되게 하는 궁극적 진리와 같은 것이었다. 이러한 심 안의 궁극적 실재ㆍ궁극적 진리를 깨닫게 됨으로써, 그는 심의 완전한 진리와 지혜를 신앙하게 되었고, 그러한 심을 통해서 개인 구원과 사회 구원도 이룰 수 있다고 확신한 것이다. 따라서 왕양명의 심에 대한 확신은 유신론자가 신과 신의 계시를 확신하는 그런 신앙적인 믿음과 서로 유사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왕양명은 유신론적인 신의 타자성이나 영적 타계성을 목표하고 설정하지 않았을 뿐이지, 심 안의 절대자ㆍ심 안의 궁극적 실재를 확신하고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심생전〉 이해의 새로운 시각

        신희경(Shin, Hee-ky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장서각 Vol.0 No.37

        이 글은 〈심생전〉이 문체반정 이전에 창작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문체반정과 충군 이전의 이옥 작품들을 통해 〈심생전〉 창작 당시 이옥의 의식 지향을 살펴봄으로써 〈심생전〉의 창작 배경과 주제 의식을 새롭게 규명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Ⅱ장에서는 매화외사의 평에 주목하여 〈심생전〉의 성격과 『情史』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서당 선생이 겪은 동창의 이야기를 이옥이 듣고 작품화했다는 것이 지금까지 〈심생전〉 창작 배경과 동기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이다. 서당 선생의 이야기에 대해 이옥은 “새로운 이야기”이며 “『情史』와 비슷한”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사대부가의 여성이 아닌 소민이 자각에 의해 정절을 지킨 것은 자체가 기이한 것이었으므로 서당 선생이 들려준 심생의 이야기를 이옥은 ‘新說’이라고 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옥은 『情史』가 정이 천지 만물의 근원이며 유대를 맺어 나가는 핵심 인자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편찬된 책인 것을 인식하고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보유를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이옥은 『情史』의 지향과 의식면에서 유사성을 말하고 있으며 기이한 남녀의 진정을 소재로 〈심생전〉을 창작하였고 이를 근거로 매화외사의 평에서 “『情史』의 보유”를 말한 것이다. Ⅲ장에서는 이옥이 성균관 유생으로 입신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음을 전제로 하여 〈심생전〉 창작 이전 이옥의 행적과 글들을 통해 입신에 대한 이옥의 생각을 추론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심생전〉에 나타나는 이옥의 창작의도와 지향을 살펴보았다. 〈심생전〉은 양반 남성과 중인 여성의 비극적인 사랑을 통해 봉건적 신분관계의 비인간적 폭력성을 보여준다고 이해되어 왔다. 이옥은 문체반정 이전에 과거를 통해 입신하려는 의지를 가진 인물이었다는 점에서 궐녀를 향한 심생의 열정은 이옥이 가진 과거와 문장에 대한 열정으로 읽힐 수 있다. 또한, 논찬부가 가진 일반적인 기능을 고려할 때 서당 선생의 교훈은 학동에게 주는 권면의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심생전〉은 있는 세계의 모순을 거부하고 있어야 할 신분 해방의 세계를 지향하고 있는 작품이라는 평가는 재고되어야 한다. 그간의 논의는 이옥이 출사를 꿈꾼 사대부로서 유가적 이념에 충실한 인물이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자신의 처지에도 불구하고 오랜 시간동안 입신을 꿈꾸며 경서를 공부한 이옥이 신분해방의 세계를 지향하는 작품을 창작하였다는 것은 어불성설이기 때문이다. 〈심생전〉에 나타난 비극은 이옥이 가진 생래적 의식이 구현된 것이며 이 것은 자신의 처지를 투영하면서 작품화한데서 온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옥은 출신과 정파가 열악한 자신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정조의 인선 정책에 기대를 걸고 있었기에 지속적으로 과거에 응시하면서 입신을 희망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태생적 한계와 성향으로 인해 좌절에 대한 두려움도 가지고 있었다. 〈심생전〉은 진실로 이루고자 하는 뜻을 세우겠다는 욕망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패할 수 있다는 좌절에 대한 두려움이 나타나는 작품으로 입신 욕망에 대한 이옥의 분열된 자아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The thesis noted that 〈sim-saeng-jeon〉 was created prior to Munchebanjeong(文體反正) and explores the orientation of Lee Ok during the creative period through his works prior to Munchebanjeong. The thesis aims to establish a new version of the creative background and theme consciousness of 〈sim-saengjeon〉. In Chapter 2, I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sim-saengjeon〉 and 〈Jeong-sa (情史)〉. It is extraordinary that somin (小民), who is not a woman of sadeabu (士大夫), is chastity personified.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teacher mentioned the story of Simsaeng was called “新說” Also, Lee Ok was aware that 〈Jeong-sa〉 is a book compiled on the basis of the idea that Jeong is the core of the universe and is the core builder of the world. Based on this, he mentioned 補遺. Chapter 3 suggests that Lee Ok was trying to achieve himself as a student of sung-kyun-kwan. And examines the movements and works of Lee Ok before the invention of 〈sim-saeng-jeon〉. Prior to Munchebanjeong, Lee Ok was a man who was willing to advancement through the 科擧. In this sense, simsaeng’s passion for 厥女 can be read with passion for the advancement of Lee Ok. Considering the general functionality of nonchanbu (論贊部),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teacher’s moral intention is to have the intent of hard work. The evaluation that 〈sim-saeng-jeon〉 aims to be a quest for social status should be reconsidered. So far, the debate is overlooking that he was a loyal figure in the study of Confucianism. Nevertheless, he had fears of frustration, due to his own inherent limitations and tendencies. However, he also had fears of frustration due to his own inherent limitations and tendencies. 〈sim-saeng-jeon〉 is a work that shows the divided ego of for his craving for fame.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양명 심학의 미학적 이해

        전상모 ( Jun Sang-m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4 No.-

        본고는 양명 심학의 미학적 의의를 밝히기 위해 양명의 3대 학설을 각각 심물동체(心物同體)의 본체미학(本體美學), 사상공부(事上工夫)의 실천미학(實踐美學), 심상공부(心上工夫)의 체인미학(體認美學)으로 정의하고 양명 심학을 미학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양명의 ‘심즉리설(心卽理說)’로 보면, 가치의 주체를 벗어나서는 그것의 가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양명이 말한 ‘심외무물(心外無物)’은 ‘심외물(心外物)’의 실재적 존재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심외무물’의 가치적 존재를 말하는 것이며, 그것은 이미 일종의 주객관이 통일된 의상(意象)이다. 양명에 의하면 의의의 세계는 ‘심(心)’이라는 이 본연의 존재를 떠날 수 없고, 단지 대상이 심체에 들어갔을 때만이 심체는 비로소 의의를 건립하고 구성 할 수 있다. 오직 대상세계를 심령 중에 납입시켜야만, 대상세계를 주체세계에 대해서 말해야만 비로소 의의가 있는 것이다. 주체의 관조를 떠난다면 대상세계의 존재는 다만 하나의 자연의 존재일 뿐이고, 주체에 있어서는 아무런 의의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심물동체의 본체미학이라 하겠다. 양명 심학의 ‘지행합일(知行合一)’설은 ‘지’와 ‘행’이 본래 하나의 공부이고, 그것들은 하나의 과정의 두 가지 측면이다. 이런 관점으로 보면 지식이나 ‘도(道)’(‘미(美)’)의 획득은 실천 공부로부터 오고, 진정한 지식도 단지 모든 행동이 있어야만 비로소 의의를 가진다. 인격의 수양을 완성하여 양지의 가치적 잠재가 심미적 실천의 ‘지행합일’ 과정에서 체현된다. 양명은 심미활동이 일종의 정신활동일 뿐만 아니라 실천 속에서 인격의 완선함에 도달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그리하여 유가의 실천미학의 전통을 더욱 높고 더욱 자각적인 경지로 끌어 올린 사상공부의 실천미학이라 하겠다. 양명 심학에서 ‘치양지(致良知)’의 목적은 바로 사람들의 ‘물욕’을 제거하고 양지를 체득하는 것이다. 양명은 양지를 명백하게 깨달아 오직 습속에서 만들어진 의미의 세계를 없애야만 비로소 치양지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여겼다. 마음의 본체는 언어를 사용해서는 파악할 수 없으며 오직 마음으로만 ‘도’(‘미’)의 파악할 수 있고 ‘도’(‘미’)의 자체에 도달할 수는 없다고 여겼다. 이와 같은 양명의 직각적 관조 방식은 이성적 분석을 배제하고 전체적 깨달음과 파악을 중시하는 심상공부의 체인미학이라 하겠다. In order to clarify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Yangming school of mind, this study defined the three major doctrines of Yangmingism as Substance aesthetics which considered that mind and things had the same substance, Practical aesthetics of studying through practice, and Experiential aesthetics of studying mind, and it intended to aesthetically understand Yangming school of mind. From the perspective of Yangming’s ‘doctrine that mind is the very Principle’, there is no value beyond the subject of value. Yangming’s thought that there is no things without mind does not mean the actual existence that exists outside of mind but the value existence of the thought that there is no things without mind, which is a kind of imagery that the subject and the object are unified. According to Yangming, the world of meaning can not leave the original existence of ‘mind’, and only when the object enters the core of mind, the core of mind can attach the meaning. It is significant only if the world of object should be put into the spiritual mind and only if the world of object is related to the world of subject. If the world of object leave the contemplation of the subject, it exists as a natural existence, and it has no significance in the subject. Therefore, it can be called the substance aesthetics which considers that mind and things have the same substance. The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n Yangming school of mind is originally a study of ‘knowledge’ and ‘action’, and they are two aspects of a proces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or the ‘Way’(‘Beauty’) comes from a practical study, and a true knowledge has significance only if all actions are followed. The potential value of the innate knowledge is realized in the process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by completing cultivation of personality. Yangming believed that the aesthetic activity was not only a kind of mental activity but also an attainment of personality of complete goodness in practice. Therefore, it is the practical aesthetics of studying through practice which brings up the tradition of Confucian practical aesthetics to the higher and more self-conscious state. The purpose of the extension of the innate knowledge in Yangming school of mind is to eliminate people’s ‘worldy desires’ and to experience and attain the innate knowledge. Yangming believed that people were able to reach the state of the extension of the innate knowledge only after they clearly realized the innate knowledge and got rid of the world of meaning made in the conventional world. The substance of the mind can not be grasped by using the language, and only the mind can grasp the ‘Way’(‘Beauty’) but can not reach the ‘Way’(‘Beauty’) itself. This kind of Yangming’s intuitive contemplation method is Experiential aesthetics of studying mind that emphasizes the whole enlightenment and grasp by excluding rational analysis.

      • KCI등재

        특별기고논문 :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의 성리학적(性理學的) "심즉리설(心卽理說)"

        윤사순 ( Sa Soon Yoon ) 한국공자학회 2011 공자학 Vol.20 No.-

        이진상의 ``심즉리설``은 19세기 주리론적 심설의 정상에 위치한다. 그 심설은 16세기 이황 이후의 『심경』 『심경부주』에 대한 연면한 연찬 등의 심학적 여건을 배경으로 이루어졌다. 심과 리에 대한 이진상의 견해는 한 몸을 주재하는 심의 성정 통솔의 묘용이 태극이 사물(분수)에 대한 상제적 주재의 묘용과 일치한다는 것이다. 그 심과 태극 리의 주재의 일치는 특히 심의 체가 태극인 점에서 하나로 일원화된다. 그의 이 견해는 마침내 "심이 곧 리이다(心卽理)"라는 명제로 표출되었다. 이 이론은 심의 ``기``의 기능을 도외시한 것, 그리고 심과 리의 일치된 주재가 명목 명분상의 주재인 점에서, 관념적 성격을 지녔음을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그 심과 리의 ``주재``가 말(馬)에 대한 인간의 주재요 신하(宰相)에 대한 왕의 주재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 그 이론은 그 시대 지배층의 직무수행에 의한 ``사회질서 수립``과 ``왕조의 체제옹호`` 및 ``국권수호``의 현실적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 이론은 결코 공리공론이 아니다. 육왕의 심설이 심 활동 측면인 ``의(意)``를 그 기미에서부터 바로잡는(格, 正) 수양에 치중하는데 비해, 이진상의 이 이론은 심의 ``주재(主宰)``라는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는 특징으로 미루어도 그 점이 분명하다. The theory of ``Our Mind is Principle(心卽理)`` proposed by Yi, ChinSang takes top place in the literature of the 19th century on mind analysis focusing on ``Li``(理, principles). His idea is based on continuous study of Sim-Ch`ing(心經) and Sim-Ch`ing-Fu-Ju(心經附注) after Yi-Hwang. Yi, ChinSang assu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mind-and-heart``(心) and ``Li``(理) as follows in the Heart-and-Mind encompasses Human nature(性) and Human emotions(情)[心統性情]. Human mind and heart presides over Human nature and emotions as Supreme Ultimate(太極) does the each thing. Human mind-and-Heart(心), The Supreme Ultimate(太極), and Li(理) are in consonance with principle roles. Particularly Human mind-and-heart unifies with the Supreme Ultimate as the body of former is the latter. Finally, the writer`s idea was presented as "Our Mind is Principle." This theory can`t avoid becoming ideal because it disregarded the act of ``Ki(氣)`` and the concordance of Human heart-and-mind and Li is nominal. The presidence of Mind-and-heart and Li, however, was explained as "The rider`s ``presidence`` over the horse or The king`s ``presidence`` over the courtiers." It refers this theory contains practical purposes to announce "the protection of royal authorities and national sovereignty." This theory never indulged in academic discussion. While the theory of Mind of Liu-Wang(陸王) concentrates on adjusting the meaning from the indication in the act of mind, Yi ChinSang emphasized the ``presidence." This is apparent reason to escape his theory from falling into only superficial academic discussion.

      • KCI등재

        심시기와 율곡철학의 성격 규정 문제

        김경호 한국철학사연구회 2019 한국 철학논집 Vol.0 No.62

        “심시기(心是氣)”로 표현된 율곡적 사유는 율곡철학뿐만 아니라 율곡후학들의 심성론을 이해하는 핵심 명제다. 이 명제는 퇴계의 “심합리기(心合理氣)”나 “리발(理發)”의 문제의식과 대결하면서 변형과 조정의 과정을 거치기도 하는데, 현대에도 율곡철학의 성격 규정과 관련하여 “심시기”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율곡의 “마음–지각”에 대한 사유를 협애한 틀에서 “지각론”이나 “심기학”으로 규정하는 일부의 주장이 그러한 사례다. 논자는 이 글에서 두 가지 점을 주장할 것이다. 첫째, “심시기”를 제기했던 율곡의 철학적 문제의식은 “심여리일(心與理一)”을 염두에 두면서도 심성의 분리를 상정할 수밖에 없었던 주희의 딜레마에 대한 대안적 이론의 성격을 갖는다. 둘째, 율곡철학을 “성리학”이 아닌 “심기학(心氣學)” 혹은 “지각론(知覺論)”으로 규정하려는 일부 논의는 “율곡학”에 대한 폄하이며, 이러한 시도는 상대적으로 “퇴계학”을 강화하기 위한 은폐된 기획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규범의 근거인 성(性)으로서의 리(理)를 내면에 두면서도, 물리적인 세계에 공존하는 법칙을 예민하게 파악해 낼 것을 강조하는 율곡적 사유지평을 “심기시”를 중심으로 하여 그 의미와 맥락을 탐구한다. 이 논의를 위해 율곡이 제기했던 “합성여기(合性與氣)”, “심성정의일로(心性情意一路)”와 같은 개념을 포함한 심성론을 “마음–지각”의 측면에서 재검토하고, “은유적 사유 이미지(metaphorical image of thought)”를 통해 율곡의 마음에 대한 이해를 조명한다. 율곡의 “심시기”는 “성즉리(性卽理)”를 전제로 하여 마음의 지각과 그 지각의 근간인 리라고 하는 규범성의 원천을 당대의 현실에서 재구축하려 했던 철학적 탐구였다. 이 점에서 심시기 논의는 학술적이면서 동시에 실천적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馬一浮 心論

        천병돈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8 No.-

        馬一浮에 의하면 六藝는 13經을 포함한 經ㆍ史ㆍ子ㆍ集 등 四部를 통섭할 뿐 아니라, 서양 학술까지도 통섭한다. 이러한 六藝는 다시 心으로 통섭된다. 따라서 六藝의 핵심은 心에 있는 것이지, 六藝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다. 문제는 馬一浮에게 있어서 心은 어떤 心인가이다. 馬一浮는 陸王心學의 계승자이며, 馬一浮 스스로도 陸王을 존경한다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六藝統攝 一心’론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馬一浮가 말하는 心의 의미가 무엇인지 명확한 설명을 하지 않았다. 馬一浮의 心은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첫째, 도덕본심으로서의 惻隱之心. 둘째, 惻隱之心은 성인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다. 이것 이 心의 普遍性이다. 셋째, 心은 天地之心 넷째, 心은 性이고 天이며, 太極이고, 理이다. 다섯째, 心統性情이란 心으로 하여금 情을 ‘거두어(혹은 쥐고)’ 體로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는 말이다. 즉 情이 心의 통제를 통해 體로 돌아가면 體用이 하나가 되고, 情은 仁心이 그대로 드러난 情이 된다. 이때가 바로 體用不二다. 이처럼 馬一浮 사상에서 心은 性이고 天이며, 太極이고, 理이다. 그의 心外無物ㆍ心外無性ㆍ心外無道는 모두 이를 바탕으로 나온 개념이며, 心統性情 또한 바로 이런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据馬一浮六藝不儘統攝經史子集等的四部包括十三經在內, 竝統攝西方學. 如此的六藝又爲心所統攝因此六藝的核心是在于心的, 竝不是在六藝本身的.在此 我們必須考慮馬一浮所言的心是如何的心此問題.馬一浮繼鞭王心學, 且曾說尊 崇陸王.然而, 以往硏究‘六藝統攝’論的學者們都还沒對馬一浮所言之心代表什麼意思此問題提出確切的說明. 馬一浮所言的心有以下幾個意義. 一, 心卽惻隱之心. 二, 惻隱之心不是聖人專有的, 而是人所固有, 莫不皆同.這是心之普遍性. 三, 心卽是天地之心. 四, 心卽性卽天卽太極卽理. 五, 心統性情就是使心收(或 ‘攝’)情歸體. 就是說, 情經由心的空制而回歸于體, 體用則一, 而且情便成爲仁心顯著的情. 此時正是體用不二的. 如此在馬一浮思想, 心卽是性卽是无也卽是太極, 也卽是理. 馬一浮所言的心外無物ㆍ心外無性ㆍ心外無道等這些槪念都淵源于這個觀點. 所以心疏性情亦是必須從這個觀點來理解.

      • KCI등재

        특집 1 : 심학(心學)과 실학(實學)의 재검토 ; 율곡학파의 심학과 실학 -경계적 사유와 실천의 갈림길에서-

        김경호 ( Kyung Ho Kim ) 한국실학학회 2014 한국실학연구 Vol.0 No.28

        이 글은 학계에서 일반화되지 않은 ‘율곡학파의 심학’이란 개념을 전면에 놓고 율곡계열의 심학적 흐름을 고찰한 후, 이것이 조선후기 실학과는 어떻게 연계되고 있는가를 탐구하였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을 전제로 구성되었다. 첫째, 어째서 심학은 조선중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거론되는가 하는 점이다. 이 점에 대한 해명의 과정은 ‘심학’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분산된 흔적들이 단순한 파편이 아니라 장구한 유학의 지성사적 흐름과 철학적 논의들에 닿아 있음을 보여준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심학에 대한 탐구는 조선후기 실학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관점을 제공한다. 둘째, 율곡학파의 심학에 대한 논의는 학계에서 어째서 거론되지 않았을까 하는 점이다. 율곡학파 계열에서는 마음을 다스리는 치심이나 수기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었음에도 현대 학계에서는 율곡심학이나 율곡학파의 심학에 대해서 논의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이 점에 대한 탐색은 관성화된 심학과 학술탐구의 편향성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과 성찰을 요청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율곡학파의 심학과 실학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우리는 철학적 물음에 직면한다는 점이다. 심학과 실학은 어떠한 보편적인 철학적 질문을 함축하고 있는가? 우리는 심학과 실학의 논의를 통해서 무엇을 사유할 수 있는가? 필자는 이 글에서 율곡학파의 심학적 특성을 현실에 대한 예민한 ‘경계적 사유’에서 찾고 있다. 그리고 ‘경계적 사유’를 현실화 하려는 실천성이 곧 현실성에 부합하는 실리적 유용성과 규범적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율곡학파의 실학적 태도였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centers on the issue of ``Yulgok`s study of mind’, which has not been researched yet. I shall examine changes in Yulgok school`s idea of mind, and its relation to late Joseon`s Silhak. I shall focus o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why has the study of mind been discussed? An answer to the question will reveal that the study of mind seems to be fragmentary, but is closely related to the long Joseon Confucian intellectual history and philosophical discussions. In this regard, the study of mind suggests a new understanding of late Joseon Silhak. Second, why hasn`t Yulgok`s study of mind mentioned in the contemporary academic circle? Modern scholars did not discuss about his idea of mind even though Joseon Confucianists discussed about how to control their mind or cultivate themselves. We need to retrospect and examine the habituated study of mind and academic partialness. However, what is most important is that we get to a philosophical question by examining the study of mind and Silhak. Is it right that these two studies include any general and philosophical issue? What kind of questions do we face through two studies? I shall find a significance of Yulgok school of mind from “boundary thought” and regard the school`s aspiration to realize it in practice as Yulgok`s Silhak attitude in order to have practical utility and normative justification.

      • KCI등재

        대순진리회와 불교의 심우도 비교연구

        차선근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3 대순사상논총 Vol.46 No.-

        Simwudo (尋牛圖), known as Ox Seeking Pictures, originated in the 11th-12th century and have consistently played a guiding role in the teachings of various religions in East Asia. Some Korean religions that emerged during modern times conveyed their teachings through depictions of ox seeking or herding. Among them, Daesoon Jinrihoe stands out as a representative religion. The belief system of this particular religion elucidates its distinct doctrine and worldview by reimagining Simwudo, into a new set of six panels (seven or nine panels in some variations).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differs from that of Buddhism, particularly in its treatment of meditation (禪), both in terms of context and significance. While they share similarities in the aspect of ox-seeking, the Buddhist Simwudo symbolizes human nature, whereas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represents the great Dao of Heaven and Earth propagated by Kang Jeungsan and brought into completion by Jo Jeongsan. In the Buddhist context, the subject of the search is the Ox, signifying the restoration of a deluded human's pure nature in order to achieve personal salvation and in some version of Simwudo, reenter society to perform salvific actions for others. On the other hand, in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depicts the process of a human attaining immortality and following the teachings of Jeungsan and Jeongsan. This culminates in the final image which is the redemption of the world. The final phase of the Buddhist Simwudo, depending on the version, is either enlightenment (personal salvation) or reentering society to perform salvific actions (as a bodhisattva), whereas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show the simultaneous achievement of the perfection of humanity and the redemption of the world. This distinction highlights th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the Simwudo of these two distinctly different religious traditions. These differences arise from the contrasting purposes pursued by Buddhism and Daesoon Jinrihoe. 대략 11∼12세기에 등장한 심우도는 동아시아에서 특정 종교의 가르침을 안내하는 역할을 해왔다. 근대 이후 등장한 한국의 종교들도 소를 찾거나 기르는 그림을 활용하여 자신들의 가르침을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종교가 대순진리회다. 이 종교는 독창적인 6폭(또는 7폭, 9폭)의 심우도를 별도로 제작해 자신의 교리와 세계관을 설명한다. 대순진리회 심우도는 선(禪) 수행의 과정을 담은 불교 심우도와는 그 내용과 의미가 다르다. 소를 찾는다는 측면에서는 양자가 같지만, 불교 심우도의 소는 인간 본성을 상징하고, 대순진리회 심우도의 소는 증산이 펼치고 정산이 완성한 상생의 천지대도(天地大道)를 상징한다. 찾는 대상은 소지만, 그 소의 상징과 의미가 다르다. 이 때문에 불교 심우도는 오염된 인간의 본성을 청정하게 회복하여 중생제도에 나서는 그림으로, 대순진리회 심우도는 증산과 정산의 가르침을 찾아감에 따라 인간은 신선이 되고, 세상은 구제되어 지상천국으로 완성되는 그림으로 각각 설명된다. 불교 심우도의 최종 단계가 세상 구제를 위해 내딛는 수행자의 발걸음인 데 비해서, 대순진리회 심우도의 최종 단계가 인간과 세상의 구제와 완성을 동시에 성취함이라는 것은 두 그림이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런 차이는 불교와 대순진리회가 추구하는 목적이 다른 데에서 나타난 결과다.

      • KCI등재

        마음 비움의 계보학

        이종성(Lee Jong-sung)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8 No.-

        장자는 마음 비움의 방편으로 ‘심재’와 ‘좌망’ 등을 제시한다. 이들 ‘심재’와 ‘좌망’에 관련된 철학적 사유의 내용은 서로가 유사한 특징을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상호간의 관계가 사상적인 측면에 있어서 상호 동일성을 유지한다는 주장 자체에 대하여 반론이 제기되기도 한다. 이런 상황을 볼 때, ‘심재’와 ‘좌망’에 대한 사상적 특질이나, 사상사에 나타난 그 역할수행의 측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논의가 요청된다. ‘심재’와 ‘좌망’이 전혀 이질적인 사유구조를 지녔다고 평가한 것은 풍우란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그는 ‘좌망’은 장자철학적인 성격을 지닌 것으로 인정할 수 있으나, ‘심재’는 비장자적인 성격을 갖는다고 평가한다. ‘심재’는 오히려 송윤학파에 의하여 주장되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본고는 이러한 풍우란의 주장에 대한 반론을 제시하고, ‘심재’나 ‘좌망’의 방법이 다 같이 장자철학적 사유를 대변하는 것이며, 양자는 그 사상내용의 유사성까지 동시에 갖추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기 위하여 기획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자연스럽게 비장자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다는 ‘심재’의 방면에 초점이 맞추어져 논의된다. 그리고 장자의 ‘심재’와 유사성을 보일만한 단서들을 순자와『관자』 4편, 송윤학파라 명명되는 학술유파의 주장들에서 찾아보고, 그 사상적 계보를 추적하여 고찰한다. 이 과정에서 특히 ‘심재’의 사유를 내포하고 있다는 ‘허일이정(虛一而靜)’이라고 하는 개념에 대하여 주목한다. 그 결과, ‘심재’의 사상사적인 계보가 송윤학파로부터 찾아질 종류의 것이 아니라는 점과 더불어 ‘심재’의 학술연원은 오히려 노자에게서 확보되어야 함을 논증하였다. 이는 ‘심재’가 황로학적 통치술에 사상적 기원을 두기보다는 순수 도가철학적인 사유로부터 연유되어야 하는 이유 때문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심재’의 방법을 도가철학적인 것으로 인정하고 동시에 장자적인 철학적 방법으로 인정한다면, 그것은 장자가 논의하는 ‘좌망’과 동일한 사유의 맥락에서 독해될 수 있는 가능성이 확보될 것이다. ‘심재’나 ‘좌망’의 철학적 목표는 다 같이 존재와 자아의 근원적 소통에 있다. Chuang-tzu presents ‘Emptiness of the Mind’ and ‘Mind of Detachment’ as a way of emptying the mind. And the contents of philosophical thinking of these ‘Emptiness of the Mind’ and ‘Mind of Detachment’ have a similar characteristic. Nevertheless, objections have been raised the assertio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tiness of the Mind’ and ‘Mind of Detachment’ remain identical in terms of thought. Consequently, the discussion on the philosophical features and the role performance in the history of thought is necessary. Fung Yu-lan, the representative thinker, estimates that ‘Emptiness of the Mind’ and ‘Mind of Detachment’ are not identical. He estimates that ‘Mind of Detachment’ has the characteristic of Chuang-tzu’s philosophy, and that ‘Emptiness of the Mind’ is not. He insists that ‘Emptiness of the Mind’ was maintained by Song-Yin School. This thesis is intended to show that I present an objection on Fung Yu-lan’s assertion and that ‘Emptiness of the Mind’ and ‘Mind of Detachment’ both represent Chuang-tzu’s philosophical thinking and the similarity of the contents. Thus, this thesis focuses naturally on the part of ‘Mind of Detachment’. And the clues to the similarity of Cuang-tzu’s ‘Emptiness of the Mind’ are to be found in Xun-tzu and Four Books in the Kuan-tzu, and assertions by Schools called Song-Yin School. The philosophical genealogy is to be traced and examined. In the course, I focus on ‘Emptiness, Oneness, and Calmness’ including ‘Emptiness of the Mind’. As a result, the philosophical genealogy is found not in Song-Yin School, but in Lao-tzu. That is because ‘Emptiness of the Mind’ is to be derived from the pure thinking of Taoism rather than to be based on the ruling technique of Huang-lao. Like this, if the way of ‘Emptiness of the Mind’ is regarded as the philosophy of Taoism, and at the same time Chuang-tzu’s philosophy, it is likely to be read in the context equal to ‘Mind of Detachment’. The philosophical goal of ‘Emptiness of the Mind’ and ‘Mind of Detachment’ consists in the basic communication of being and 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