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교신의 신사참배 인식 연구

        전인수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0 신학논단 Vol.101 No.-

        This article aims to reexamine previous studies that argued that Kim Kyoshin opposed Shinto shrine worship. This article corrected errors of existing arguments and through this, urged the Academy of Korean Church History to conduct accurate history research. At the same time, this article argued that tertiary discussions on Shinto shrine worship should be developed to include more than previous studies that simply argue resistance or submission to Japanese colonial rule. Kim Kyoshin surely took part in Shinto shrine worship. Also, the ideological and theological perceptions of Kim Kyoshin on Shinto shrine worship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ways through his words and actions during the 1930s. First, Kim Kyoshin participated in Shinto shrine worship as a teacher and as there are no traces of him displaying serious concern about ‘Shinto shrine worship acceptance’, it would seem that he accepted the view that Shinto shrine worship was a national ceremony. From perspectives that Shinto shrine worship was the duty of citizens, he viewed thatPresbyterian believers should follow the decisions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with regard to the issue of Shinto shrine worship. This does not differ greatly from his position to publish Bible and Chosen as far as national law allowed. Second, Kim Kyoshin accepted Shinto shrine worship but he had his own religious standards regarding Shinto shrine worship. It was that he could never accept the agreement and promotion of Shinto shrine worship through Bible and Chosen. This seems to be the last stand taken religiously by Kim Kyoshin regarding Shinto shrine worship. Third, Kim Kyoshin appreciated the work and devotion of missionaries in the educational world of Chosun and deeply empathized with their pain but Kim Kyoshin considered the withdrawal of missionaries to be an opportunity for the people of Chosun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educational world. Of course, the position of Kim Kyoshin was unrealistic. The withdrawal of missionaries did not reinforce the positions of the people of Chosun in the academic world but led to Japanization penetrating the educational world with more force through the removal of missionaries, who were its obstacles. At first, Kim Kyoshin had strong critical perceptions regarding Shinto shrine worship but eventually accepted it. If the Shinto shrine worship acceptance of Kim Kyoshin is viewed as a religious surrender, historical evaluations of Kim Kyoshin must be stricter than they are now. At the same time,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s and perceptions of the Academy of Korean Church History on Shinto shrine worship should be expanded and diversified. Accurately understanding how Shinto shrine worship was actually understood at thetime and how one individual dealt with the situation is the natural work of history. 본고는 김교신이 신사참배를 반대했다고 주장한 기존 연구를 재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는 기존 주장의 오류를 바로 잡고 이를 통해 한국교회사학계에 정밀한 역사연구를 촉구하였다. 동시에 본고는 일제에 대한 저항과 굴복이라는 기존의 연구 분위기를 넘어 신사참배에 대한 제3의 논의를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김교신이 신사참배를 한 것은 분명하다. 또한 신사참배에 대한 김교신의 사상적·신학적 인식은 1930년대 그가 취했던 언행을 통해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김교신이 교사로서 신사참배를 했고, ‘신사참배 수용’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한 흔적을 남기지 않았다는 점에서 신사참배가 국가의식이라는 견해를 수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국민의 의무라는 관점에서 신사참배 문제에 있어 장로교 신자라면 장로교회 총회를 결정을 따라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국법이 허용하는 선에서 「성서조선」을 발행하겠다는 그의 입장과 크게 다르지 않다. 둘째, 김교신은 신사참배를 수용하였지만 신사참배에 대한 자신의 신앙적 기준을 갖고 있었다. 그것은 「성서조선」으로 신사참배를 찬성하고 홍보하는 것을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이는 신사참배에 대한 김교신의 신앙적 최후 보루였다고 판단된다. 셋째는 조선교육계에 쏟은 선교사들의 수고와 헌신에 감사하고 그들의 고통을 깊이 동정했지만 김교신은 선교사들의 철수가 조선인이 교육계를 책임져 갈 수 있는 기회로 여겼다는 점이다. 물론 김교신의 입장은 비현실적인 것이었다. 선교사들의 철수는 교육계에서 조선인의 입지를 강화시킨 것이 아니라 선교사라는 장애물을 제거함으로써 일제의 황민화 정책을 교육계에 더욱 강하게 침투시키는 결과로 나타났다. 김교신은 신사참배에 대해 처음 비판적 인식이 강했지만 결국 이를 수용하였다. 김교신의 신사참배 수용을 신앙적 훼절로 본다면 김교신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지금보다 엄격해져야 할 것이다. 동시에 신사참배에 대한 한국교회사학계의 역사적 해석과 인식도 보다 폭넓고 다양해졌으면 한다. 당시 신사참배에 대한 이해가 실제 어떠했는지, 거기에 한 개인은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역사 본연의 작업이다.

      • KCI등재

        마산지역 신사참배 반대 운동 연구

        송성안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마산지역 신사참배 반대 운동 연구송 성 안**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 강점기 마산지역의 신사참배 반대 운동을 마산 신사의 건립과 창신학교의 저항을 중심으로 지역사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있다. 당시의 공문, 신문 등 기존의 관련 문헌 자료를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마산의 신사참배 문제는 일제가 마산 신사를 건립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일제의 식민지 권력의 상징으로 신사가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마산 신사의 예제 행사는 지역 축제화 되었지만, 지역민은 관람자에 불과하였다. 황국 신민화 정책의 도구 역할에 불과하였다. 호주 선교부가 신사참배 반대 뜻을 분명히 했고, 창신학교가 신사참배 반대 투쟁을 하였다. 일제가 지속해서 신사참배를 강요하자, 폐교로 저항하였다. 이 연구 결과, 마산지역 신사참배 반대 운동의 시작에는 일제의 마산 신사가 그 중심에 있었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향후 본 연구는 신사참배 반대 운동의 중층적인 발생 원인을 분석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다. 전국화된 신사 네트워크와 그 역할을 지역사적인 관점에서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핵심어: 마산, 신사, 창신학교, 호주 선교부, 신사참배 □ 접수일: 2022년 3월 11일, 수정일: 2022년 4월 4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이 연구결과물은 2019년 경남대학교 신진교수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 경남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조교수(Professor, Kyungnam Univ., Email: songsa500@kyungnam.ac.kr) A Study on the Movement Against the Shrine Visit in Masan AreaSeongan So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vement against shrine visits in Masan a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history,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Masan Shrine and the resistance of Changshin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issue of visiting the shrines of Masan was the occasion for the Japanese imperialists to build the Masan shrine. Shrine was recognized as a symbol of colonial power of the Japanese imperialists; the Shrine event was localized, but the locals were only spectators; it was only a tool of the imperialist neo-ministration policy. The Australian missionary ministry was opposed to the shrine visit, and the Changshin school fought against the shrine visit. When the Japanese imperialism forced the shrine visit, it resisted the Japanese imperialis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asan shrine of the Japanese imperialism was located at the center at the beginning of the movement against the shrine visit in Masa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the multi-layered anti-Shrine movemen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nationalized Shrine network and its role from a regional historical point of view. Key Words: Masan, Shrine, Changshin School, Australian Missionary Department, Shrine Worship

      • KCI등재

        세속-종교-미신의 3분법을 통해 본 신사참배의 정치학: 근대 일본을 중심으로

        이진구 종교문화비평학회 2022 종교문화비평 Vol.42 No.42

        19세기 후반 메이지유신을 통해 근대국민국가로 성립한 일본은 서구의 도전에대항하는 과정에서 국가신도라는 독특한 사회체제를 출범시켰다. 국가신도체제는 종교자유와 정교분리의 원칙에 근거하여 전통적 신도를 신사신도와 교파신도로 분화시켰다. 신사신도는 공적 영역에 배치되어 국민 만들기 프로젝트의 역할을 맡고 교파신도는 사적 영역에 배치되어 타종교들과 경쟁하였다. 이는 국민의의무가 부과되는 공적 영역과 양심의 자유가 보장되는 종교 영역의 분화를 의미한다. 이렇게 보면 국가신도체제는 종교-세속의 이분법으로 충분히 설명 가능한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종교-세속 이분법의 배후에는 미신이라고 하는 제3의 범주가 작동하고있다. 과학의 타자인 동시에 종교의 타자로서 미신이 숨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세속주의에 입각한 국민국가의 작동방식은 종교-세속의 이분법보다는 세속-종교-미신의 3분법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국민국가가 국민 만들기의 핵심장치로 활용하는 교육의 장은 종교-세속의 이분법만으로는 그 성격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국가가 ‘과학’의 이름으로 어떤 것은 ‘미신’으로 지목하여 제거하고어떤 것은 ‘종교’의 범주에 포함시켜 온존시키는 이러한 메커니즘에는 2분법이아니라 3분법이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3분법에 근거한 국가신도체제는 신사참배를 국민의 의무라고 주장하면서 제국의 신민들에게 강요하였다. 일본 기독교계는 세 유형의 담론을 생산하면서 이에 대응하였다. 첫째는 신사를 종교로 간주하면서 신사참배를 거부한 신사종교론(신사참배불가론)이다. 이 담론에서 주요 범주로 등장한 도덕, 종교, 우상숭배는 세속-종교-미신의 3분법에 조응한다. 둘째는 신사에 종교적 요소와비종교적 요소가 혼합되어 있다고 보고 신사에서 종교적 요소가 제거되면 신사참배를 수용하겠다는 조건부 신사참배론이다. 이 담론에서 주요 용어로 등장한 애국심, 종교, 음사 역시 세속-종교-미신의 3분법에 조응한다. 셋째는 신사는 종교가 아니라고 하면서 신사참배에 적극 임하는 신사참배수용론이다. 이 담론에서등장한 조상숭배(영웅숭배), 종교, 서물숭배도 세속-종교-미신의 3분법에 조응한다. 이 세 담론에 나타난 세속-종교-미신의 3분법은 단순한 지적 추상적 분류체계가 아니라 국가권력과 대결하는 과정에서 각 주체가 자신들의 이념적 물질적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한 담론투쟁의 도구였다. 이것이 신사참배의 정치학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 KCI등재

        일반 : 해방 후 재건교회의 탄생 배경 연구: 출옥성도 김린희, 최덕지 행적을 중심으로

        김정일 ( Jung Il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5 한국개혁신학 Vol.46 No.-

        해방과 더불어 한국 교회를 재건해야 한다는 열망은 시대적 과제로 출옥성도들 사이에서 더욱 뜨겁게 타올랐다. 신사참배 반대운동을 전개하다 평양형무소에서 출옥한 이기선 외 20명의 지도자들은 흩어지지 아니하고 주기철 목사가 시무하던 산정현교회에 약 두 달간 머물면서 간증과 사경회를 진행하였고, 한국 교회 재건의 5대원칙을 발표했다. 하지만 재건운동이 순조롭지 못하고 저항에 부딪히자 철저한 통회 자복과 한국 교회의 완전한 재건의 기치를 내세우며 김린희, 박신근, 최덕지, 이광록 등은 재건교회를 창립하게 된다. 특히 이북재건교회를 세운 김린희와 이남재건교회를 세운 최덕지의 행적은 그동안 재건교회 창립과 변화만큼이나 알려진 것이 별로 없다. 평양신학교를 졸업한 김린희는 1938년 12월경부터 장로교 지도자인 주기철, 채정민, 한상동, 이주원, 이광록, 방계성, 안이숙, 김형락, 박의흠, 김의창, 최봉석 등과 신사참배 반대운동에 동참하면서 교제하게 된다. 그리고 반대운동을 전국적으로 조직화하는 일에 그 당시로는 거금인 600원을 한상동 측에 제공하였다. 이는 신사참배 반대운동을 위한 활동 자금으로는 거의 유일하며, 이 돈은 그의 전 재산이나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주기철이 새 노회 건설에 대하여 시기상조론을 펼치며 소극적 자세를 취하자, 이기선, 한상동, 김지성, 이주원, 박의흠, 김형락 등과 교류하며 새로운 노회 재건을 위해 전선(全鮮)적 운동을 전개할 것과 구극(究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맹세한다. 그의 의지는 강하고 투철했다. 평양형무소에서 출옥한 지도자들은 옥중투쟁의 강도에 따라 재건 운동의 방향을 달리하였다. 재건파는 옥중투쟁에 있어서도 일제의 5대 황민화 정책을 모두 죄로 간주하고 저항한 지도자들, 즉 김린희, 최덕지, 박신근, 이광록 등에 의하여 창립된다. 이는 결국 한국 기독교 장로교단의 해방 후 최초 분리 독립으로, 1946년 9월 25일 평양 서문밖교회 부근 고 집사댁에서 30여 명의 지도자들이 모여 출범한 이북재건교회가 바로 그것이다. 1901년생인 최덕지는 33세 되던 1932년 평양여자신학교에 입학하여 산정현교회에 출석하였으며, 이때 박형룡, 송창근, 김재준, 한경직, 주기철 등과 만나게 된다. 졸업 후에는 경남 마산지구 미순회(美洵會) 여전도사와 경남사립성경학원 교사로 일하였다. 1938년 조선기독교장로회 27회 총회에서 신사참배를 공식적으로 가결하자 그녀는 본격적인 반대운동에 나선다. 1940~1942년까지 한상동과 8회에 걸친 회합으로 경남지역 신사참배 반대운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하며 자금도 제공하였다. 최덕지는 연인원 약400명에게 “신사참배는 죄이며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기에 우상숭배는 어떠한 압력이 있더라도 굴복해서는 안 된다”는 요지의 설교와 강연을 했다. 그 결과 3차례 예비검속으로 투옥되었으며, ‘비밀결사죄’와 ‘불경죄’까지 추가되어 정치범 취급을 받으며 평양형무소로 이송 수감되었다. 그리고 해방으로 출옥한 후에는 한국 교회 재건을 위한 5개항의 결의안이 지지부진해지는 것을 보고 김린희와 함께 이북재건교회 창립에 참여했다. 1945년 12월 월남한 이후에는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간증과 부흥집회를 인도했고, 1948년 2월 18일 이남재건교회를 창립했다. 재건교회의 창립 즉 분리 독립에는 옥중투쟁의 방식 차이가 주요 원인으로 알려졌다. 그것은 일경의 가혹한 박해를 이기지 못하여 그들이 요구하는 5대 황민화정책을 추종한 지도자 부류와 신사참배는 거부했지만 동방요배, 국기배례, 정오묵도, 황국신민서사 등은 양심의 문제라 하여 수용한 지도자 부류, 반면 끝까지 5대 정책을 성경에 위배된다 하여 일절 거부한 지도자 부류로 나뉜 것이 분열의 핵심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유 외에도 분리 원인에는 몇 가지 이유가 더 있다. 그것은 첫째, 회개시키는 방법의 문제, 둘째, 신사참배 한 교회와 제단의 재사용 문제, 셋째, 기성교회 지도자와의 교제 문제였다. 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이미 몇몇 사가들에 의하여 지적되기도 했다. 그런데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주요 원인이 있는데, 그것은 일제와 해방 정국 하에서도 우리 사회에 여전히 상존하는 유교적 권위주의, 여성비하 사상, 여 성직에 대한 인식 부족, 그리고 신사참배 반대운동과 재건운동을 함께 이끌었던 지도자들의 이중적 태도가 재건파가 분리되어 나간 주요 원인이었다. As Korean Christianity has been repeating a remarkable growth, it also went through changes, conflicts, as well as splits, and unifications during seventy years after the liberation. Then it is forming numbers of dominations and religious bodies, and is taking its own line. Among these, especially Presbyterian churches are confident of calling themselves as the primogeniture of religious body and are exerting their inf luence on Korean politics, society, and even culture. However, they also draw condemnation upon themselves after making inappropriate decisions. In addition, they have disappointed not only Christians, but also non-believers through taking unfriendly attitudes in ‘a league of their own.’ Though it is not well revealed, fighting to obtain privileges between religious bodies is the main reason of disappointment. The division of Reconstruction faction was the very first one to have the division of religious seats after the liberation. Somehow however, it is a fact that the existence of Reconstruction faction has been either indifferent or ignored by Korean Christianity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especially in the history of churches. What would be the reason? First, is it because the Reconstruction faction is a meaningless faction as much as it is fine to be ignored? Second, is it because the presence of Reconstruction faction is so insignificant to be ignored ever since its separation? Third, is it because its view of faith contains elements of cult according to theology? Fourth, if none of the above meets, then what would be the cause? Therefore, the author wishes to discover the problems between the leaders of Korean churches during the Reconstruction movement after observing discharged believers back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investigate the realistic cause why there is only Reconstruction faction in Reconstruction church is remaining after approximately twenty members had joined the Reconstruction movement and had become members of Reconstruction faction after their discharge. The author has analyzed the early data of today’s Reconstruction church as well as the leaders’ sermons and record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eparation background of Reconstruction church and Reconstruction faction after carefully studying the errors and ambivalent attitudes of the founder of Korea Theology, Paster Han, Sangdong’s past after the liberation period of time. The studies of Reconstruction church are almost nonexistent; only a small part of studies have covered about the resistance to Shinto worship, and The History of Reconstruction Church by Choi, Hoon have mentioned Reconstruction church in an aspect of ‘the history of persecution of Korean Churches.’ According to his record as a member of Reconstruction church, he covered the start, changes, and separation of Reconstruction church since the liberation to 1970s with only very limited resources of his own. On top of it, he could not mention properly about the early situation of Southern Reconstruction church since he has spent time in Northern Reconstruction church only, and because the simply studied the historical background so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ed about the history of sepa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Reconstruction church or thoughts of leaders. However, the studies of Park, Hyungryong are well covered his life, thoughts, and theological arguments through Presbyterian churches, and numerous researches were studied about Han, Sangdong in Korea Theology religious body. However, the results of many of researches on the coercion of shrine worship and the reconstruction movement were showing the aspect of division and strife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Korean religious organizations`` defec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view the birh background of Reconstruction church through the paths of Kim, Linhee and Choi, Dukgee who worked together for Korean churches reconstruction and built Reconstruction church each in North and South Korea after the discharge at Pyungyang prion. Because there were direct and indirect connections between the religious leaders as well as the resistance to Shinto worship in the start of Reconstruction church, the birth background of Presbyterian Reconstruction church is going to be studied after carefully looking at the Reconstruction faction and the leaders’ division process.

      • KCI등재

        신사참배 관련 소수파 의견: 해럴드 헨더슨(Harold H. Henderson)의 사례

        류대영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3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9 No.-

        The Shinto Shrine Controversy has been studied mainly as a part of the suffering of the Korean peop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and hence the “minority” opinion regarding the controversy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This article will try to examine Harold H. Henderson's missionary career and reveal some key aspects of the minority opinion. Henderson, a missionary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Board and a long-time principal and founder of Keisung Academy in Daegu, was at the center of the controversy. He consistently insisted that his mission should compromise with the Japanese authorities on the shrine attendance issue and continue operating the mission schools; he put his opinion into practice at Keisung Academy. Henderson harshly criticized the mission's “majority” leaders who decided to prohibit any participation in the shrine ceremonies and tried to close all mission schools; refusing their instructions to resign, he continued to perform the duties of Keisung's principal and founder. This led the majority leaders to ask the board to order him to resign from the school posts. The Shinto Shrine Controversy was primarily a theological issue for the missionaries, whereas it had a nationalistic dimension for the Koreans. It was basically an extension of the Fundamentalist-Modernist Controversy in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in America, and became a conflict between a “liberal minority” party and a “fundamentalist majority” party. The conservative majority party took control of the Korea Mission and had the final say on the issue. However, they were a small minority within the larger stage of Japan and its colonies where the shrine attendance was demanded. 신사참배 문제는 그 동안 민족수난사의 관점에서 연구되었다. 따라서 그 동안 신사참배에 관한 “소수파” 의견은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 연구는 해럴드 헨더슨(Harold H. Henderson)을 중심으로 소수파의 견해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구 계성학교 교장이었던 헨더슨은 신사참배를 둘러싼 선교부 내의 갈등이 벌어졌을 때, 일본인들과 타협하면서 학교를 운영해야 한다고 시종일관 주장하며 그것을 실행에 옮겼다. 또한 그는 모든 형태의 신사참배를 금하고 결국 교육사업 철수까지 결정한 한국선교부 집행부를 맹렬하게 비판하며, 끝까지 그들의 지시를 거부하며 계성학교 교장 및 설립자 직을 유지했다. 이에 따라 “다수파”를 이끌던 한국선교부 집행부는 선교본부에 요구하여 그로 하여금 교장 및 설립자 직에서 물러나게 만들었다. 신사참배 문제는 한국인들에게는 민족적인 문제이기도 했지만 선교사들에게는 일차적으로 신학적인 문제였다. 따라서 신사참배를 둘러싼 갈등은 “자유주의적 소수파”와 “근본주의적 다수파” 사이의 싸움이었으며, 미국 북장로교에서 벌어진 근본주의-근대주의 논쟁의 연장선에 있었다. 북장로교 한국선교부는 평양을 중심으로 한 보수적 다수파의 지배를 받았고, 그에 따라 신사참배 문제가 결정되었다. 그러나 신사참배를 요구받던 일본 및 일본의 식민지 전체로 볼 때 한국선교부의 다수파는 얼마 되지 않는 소수파에 불과했다.

      • KCI등재

        신사참배 관련 소수파 의견

        류대영(Ryu Dae-Young)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3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9 No.-

        신사참배 문제는 그 동안 민족수난사의 관점에서 연구되었다. 따라서 그동안 신사참배에 관한 “소수파” 의견은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 연구는 해럴드 헨더슨(Harold H. Henderson)을 중심으로 소수파의 견해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구 계성학교 교장이었던 헨더슨은 신사참배를 둘러싼 선교부 내의 갈등이 벌어졌을 때, 일본인들과 타협하면서 학교를 운영해야 한다고 시종일관 주장하며 그것을 실행에 옮겼다. 또한 그는 모든 형태의 신사참배를 금하고 결국 교육사업 철수까지 결정한 한국선교부 집행부를 맹렬하게 비판하며, 끝까지 그들의 지시를 거부하며 계성학교 교장 및 설립자 직을 유지했다. 이에따라 “다수파”를 이끌던 한국선교부 집행부는 선교본부에 요구하여 그로 하여금 교장 및 설립자 직에서 물러나게 만들었다. 신사참배 문제는 한국인들에게는 민족적인 문제이기도 했지만 선교사들에게는 일차적으로 신학적인 문제였다. 따라서 신사참배를 둘러싼 갈등은 “자유주의적 소수파”와 “근본주의적 다수파” 사이의 싸움이었으며, 미국 북장로교에서 벌어진 근본주의-근대주의 논쟁의 연장선에 있었다. 북장로교 한국선교부는 평양을 중심으로 한 보수적 다수파의 지배를 받았고, 그에 따라 신사참배 문제가 결정되었다. 그러나 신사참배를 요구받던 일본 및 일본의 식민지 전체로 볼 때 한국선교부의 다수파는 얼마 되지 않는 소수파에 불과했다. The Shinto Shrine Controversy has been studied mainly as a part of the suffering of the Korean peop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and hence the “minority” opinion regarding the controversy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This article will try to examine Harold H. Henderson"s missionary career and reveal some key aspects of the minority opinion. Henderson, a missionary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Board and a long-time principal and founder of Keisung Academy in Daegu, was at the center of the controversy. He consistently insisted that his mission should compromise with the Japanese authorities on the shrine attendance issue and continue operating the mission schools; he put his opinion into practice at Keisung Academy. Henderson harshly criticized the mission"s “majority” leaders who decided to prohibit any participation in the shrine ceremonies and tried to close all mission schools; refusing their instructions to resign, he continued to perform the duties of Keisung"s principal and founder. This led the majority leaders to ask the board to order him to resign from the school posts. The Shinto Shrine Controversy was primarily a theological issue for the missionaries, whereas it had a nationalistic dimension for the Koreans. It was basically an extension of the Fundamentalist-Modernist Controversy in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in America, and became a conflict between a “liberal minority” party and a “fundamentalist majority” party. The conservative majority party took control of the Korea Mission and had the final say on the issue. However, they were a small minority within the larger stage of Japan and its colonies where the shrine attendance was demanded.

      • KCI등재

        일본인과 靖國神社

        곽진오(Kwak Jin-O) 한일관계사학회 2009 한일관계사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일본사회에 전후라는 용어가 사라진지 50여년이 되었지만 왜 야스쿠니신사문제가 지금도 일본사회 에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는 지에 대한 연구이다. 야스쿠니신사 문제는 전후 일본정치경제체제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일본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하지만 기존의 대부분의 유사 연구들은 야스쿠니를 일본의 국내적 역사인식의 도구차원에서 분석하고 있으며 야스쿠니신사참배에 대한 일본국내여론의 찬성과 반대에 대한 분석연구는 제한적이라 하겠다. 특히 2000년대에 들어와서 일본이 잃어버린 10년의 장기불황이후 수상들의 야스쿠니신사 참배문제가 한중일간의 외교문제로 비화되기도 했다. 야스쿠니문제가 이처럼 국제적으로 비화 되어가는 이유는 야스쿠니신사에 A급 전범을 포함한 일본인전사자만이 아니라 조선인과 타이완인등 구 식민지전사자들도 합사되어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재 일본사회의 우경화 논란 속에서 고이즈미 전 수상의 야스쿠니신사 참배가 왜 문제가 되는지와 그리고 수상이 야스쿠니를 언제 참배하게 될지에 대해서 일본 국내는 물론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관심사이기도 하다. 그래서 본 논문은 전후 일본지도자들의 야스쿠니신사 참배문제가 일본에서는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야스쿠니의 역사적 견해, 그리고 야스쿠니문제를 둘러싼 참배 찬성과 반대에 대한 일본 국내의 현상을 분석하려한다. This article aims to focus on the understanding of why the Yasukuni Shrine issue is still important in the Japanese society even now, when fifty years have passed since postwar. The Yasukuni Shrine issue still has a big influence on the Japanese society, even though there has been changes in the Japanese political economy since the postwar. Meanwhil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f the Yasukuni Shrine issue were focused on domestic historical context, and payed little attention to the domestic pros and cons of worshiping Yasukuni Shrine. Since year 2000, after the Japanese economy depression, Prime Minister Koizumi"s visit to the Yasukuni Shrine was blamed by the Korean and Chinese governments due to Japan"s non-reflection of the war. It led to diplomatic issues among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 insisted that worshiping at the Yasukuni Shrine is a domestic issue rather than an international issue. The reason why Yasukuni issue is turning into a global debate is that in the shrine, not only first class Japanese war criminals were dedicated, but also Korean and Taiwanese former soldiers. And as the Japanese society is swinging to the right, the issue of when Premier of Japan will visit the Yasukuni Shrine is becoming important to northeast Asian countries.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analyze how Japan views the issue of Japanese Premiers visiting the Yasukuni Shrine, and the pros and cons on worshiping the Yasukuni Shrine.

      • KCI등재

        교황청의 신사참배 허용의 최후 과정

        유가별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20 敎會史硏究 Vol.0 No.56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question of jinja sampai multilaterally and deeply based on the presentation of the new facts about the cases and circumstances that affected to allow the jinja sampai by the Holy See in the 1930s which the former researches in Korea could have not revealed. In the 1930s, Japanese imperialism reinforced the nationalism and militarism and began to suppress the opposite opinions against the governmental policy. The Japanese Church, in between the trouble of Japan, which could not free from the influence of the communism, and the trouble of the Japanese Church, stands for a position that supports actively the system of emperor which is equivalent to the state Shinto and the maintenance of the kokutai (forms of state). She decided to cooperate with the policy of state-Shinto of the Japanese government to impede the communism that rejects the system of emperor and oppose the Catholic doctrine. The problem-posing on the ceremony in honor of Confucius has come to fore afresh since the 1920s, although it was condemned before by the Holy See. It came to discuss in the bishop’s conference in Manchukuo in which it was decided to understand the ceremony as a civil mean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missionary policy of the Vatican in favor of a local culture and the reduction of the religious meaning of the ceremony in honor of Confucius by the change of chronological significance and the phenomenon of augmentation of cultural significance. The Holy See approves the decision of the conference and while the apostolic delegate in Japan applies the principle adopted in the conference to the question of jinja sampai. The same question comes to the beginning phase for the resolution dramatically. The practical guidelines of Propaganda Fide for jinja sampai, the confidential report of the apostolic delegate in Japan and the bonanza of Propaganda Fide continue to the publication of the instruction of Propaganda Fide. With this instruction, the jinja sampai was allowed to the Catholic faithful and finally, the question of jinja sampai in the Churches of Korea and Japan came to an end. 본고는 기존의 신사참배 관련 국내 연구들이 밝히지 못한 1930년대 교황청의 신사참배 허용에 영향을 준 사건과 배경에 대한 새로운 사실들을 제시함으로써 신사참배 문제를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1930년대에 들어선 일제는 국가주의와 군국주의를 강화하면서 국가정책에 반대되는 의견을 억압하기 시작한다. 공산주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었던 일제의 고민과 일본 교회의 고민이 겹치면서 일본 교회는 국가 신도와 국체의 유지 등과 동등한 가치를 지니는 천황 제도를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방책을 내세운다. 가톨릭 교리에 반대되고 천황 제도를 배척하는 공산주의를 저지하기 위해 일본 정부의 국가 신도 정책에 협조하기로 한 것이다. 1920년대부터 새롭게 조명받기 시작한 공자 예식에 대한 문제 제기는 과거에 이미 교황청으로부터 금지된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교황청의 지역 문화에 호의적인 선교 정책과 시대적 변화에 따른 공자 예식의 종교적 의미 축소 및 문화적 이해 증대 현상 등의 영향으로 만주국 주교들은 회의를 통해 공자 예식을 시민적인 의미로 인식한다는 결의를 한다. 교황청은 회의 결정사항을 바로 승인하였는데, 주일 교황사절은 창춘 회의에서 사용된 원리를 신사참배 사안에 적용하면서 신사참배 문제는 급속도로 해결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한다. 신사참배에 관한 포교성성의 실질적 지침과 마렐라 주일 교황사절의 비밀 보고서, 그리고 포교성성의 교황청 추기경 회의 보고서(ponenza) 등이 작성되면서 포교성성의 훈령까지 이어진다. 교황청의 훈령으로 공식적으로 가톨릭 신자들의 신사참배가 허용되었고, 이로써 한일 교회의 신사참배 논란은 종지부를 찍는다.

      • KCI등재

        전주 신흥학교의 광주학생운동 참여와 신사참배 거부

        이병규 전북사학회 2021 전북사학 Vol.- No.62

        이 글은 전주 신흥학교의 광주학생운동 참여와 신사참배 거부의 과정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1900년 이래로 120년의 역사를 가진 전주 신흥학교는 기독교적 가치와 신념 그리고 민족의식의 고취를 통해 정체성을 형성해 왔고 역사적 사건 속에서 이를 보여주었다. 신흥학교가 이러한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사건이 바로 광주학생운동 참여와 신사참배 거부로 인한 학교의 폐교였다. 광주학생운동 이후 전북지역에서 많은 학교에서 시위운동을 시도하였으나 사전에 발각되어 성공하지 못하였다. 반면 신흥학교 학생들은 1930년 1월 25일 전주 시내로 진출하여 시위운동을 전개하였다. 전북지역에서 유일하게 행동으로 보여주었다. 전주 신흥학교 학생들이 분명한 목표와 지향을 가질 수 있었던 근본적 원인은 이때까지 신흥학교가 민족의식의 고취를 교육목표로 설정하고 실천해 왔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신사참배의 거부와 이로 인한 학교의 폐교는 신흥학교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신흥학교 학생들이 신사참배를 강제했음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이를 거부하고 고개를 숙이지 않았다는 점이다. 신흥학교 학생들은 어떤 선택의 갈림길에서 집단적으로 끝내 고개를 숙이지 않았다. 이러한 집단적 행동의 근본적 원인은 바로 교육의 결과인 것이다. 개교 이래로 신흥학교에서 기독교의 종교적 신념과 민족의식을 꾸준히 교육의 기본이념으로 설정하여 교육해 왔다. 즉 기독교적 신념과 민족의식에 기반하여 학생들은 강요된 신사참배의 상황에서 누구의 지시나 명령 없이 집단적으로 이를 거부하는 행동을 실천하였다. 즉 이러한 신사참배의 집단적 거부가 개교이래 그때까지 있어왔던 신흥학교 교육의 가치와 목표가 올바른 방향이었다는 것을 증명해 주었으며, 더 나아가 그 이후 신흥학교, 신흥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토대이자 근간이 되었다. 교육을 통해 신념과 가치가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신념과 가치가 시간이라는 과정을 통해 정체성을 구축하는 것을 신흥학교의 신사참배 거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신흥학교의 광주학생운동 참여와 신사참배 거부는 기독교적 가치와 신념을 지키고 민족의식을 지향한 신흥학교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근간이 되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process and meaning of Jeonju Shinheung School's participation in Gwangju Student Movement and refusal to worship the shrine. Throughout its history of 120 years since 1900, Jeonju Shinheung School has formed its identity by instilling Christian values, beliefs, and national consciousness and has shown them in historical events. It was the school’s closure due to its participation in the Gwangju Student Movement and refusal to worship the shrine that played a crucial rule in Shinheung School to form its identity. Although many schools in the Jeonbuk area attempted protest movements after the Gwangju Student Movement, they were discovered in advance and thus were not successful. However, the students of Shinheung School went to downtown Jeonju and carried out a protest movement on January 25, 1930, becoming the only school in Jeonbuk to show its commitment in action. That the school has set and practiced the instilla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as an educational goal was the fundamental reason that Jeonju Shinheung School students could have clear goals and orientations. The school’s refusal to worship the shrine and its closure as a result became the watershed moment in shaping the identity of Shinheung School. What is especially noteworthy is that its students refused to worship the shrine and did not bow their heads even though they were forced to do so; in the end, they did not bow their heads collectively at a crossroads of choice. The fundamental cause of this collective action is education. Since its foundation, Shinheung School had steadily set Christian religious beliefs and national consciousness as the essential ideology of education. That is, based on such Christian beliefs and national consciousness, students collectively rejecting the forced shrine worship without any instructions or orders from others. Such collective rejection of shrine worship proved that the value and goal of Shinheung School education, which had existed since the opening of the school, was in the right direction, and furthermore, they became the foundation and framework of the identity of Shinheung School and Shinheung people. The collective refusal by the students of Shinheung School to worship shrines confirms that beliefs and values ​​are formed through education, and that the formed beliefs and values ​​form an identity through time. Shinheung School's participation in the Gwangju Student Movement and refusal for shrine worship became the founda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Shinheung School's identity, which has preserved Christian values ​​and beliefs and pursued national consciousness.

      • KCI등재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에드윈 쿤스(Edwin W. Koons)의 행적: 신사참배 문제와 대일 심리전 참여를 중심으로

        류대영 ( Daeyoung Ryu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5 동방학지 Vol.170 No.-

        이 글은 서울 경신학교 교장이었던 에드윈쿤스(Edwin W. Koons)를 살펴봄으로써 신사참배 문제 및 그 역사적 함의를 좀 더 냉정하게 점검해보려는 일련의 작업에 기여하고자 한다. 쿤스는 신사참배와 관련하여 수용적 입장을 취했지만 일본의 침략전쟁에 가장 적극적으로 대항한 선교사였다. 이 글은 먼저 쿤스의 출신 배경과 전반적인 선교 활동을 소개한다. 특히 그가 다녔던 신학교의 신학적 경향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그가 신사참배 등의 문제에서 보인 진보적 태도의 신학적 배경을 살펴본다. 신사참배 문제와 관련한 쿤스의 입장과 행동과 관련하여 관심을 가진 대목은 그가 왜 신사참배를 수용하는 태도를 취했느냐 하는 점이다. 이 글은 경신학교에서 물러난 이후 쿤스가 맡게 된 여러 가지 일들과 그로 인해 총독부 당국에 의해 당하게 된 고통에 대해서도 다룬다. 그가 왜 다른 대부분의 선교사처럼 한국을 떠나지 않았으며, 그가 당하게 된 고통의 구체적 내용은 무엇인지 밝힌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글은 강제 송환된 이후 그가 미국 정부에 고용되어 행한 대일본 심리전 활동을 다루게 된다. 신사참배는 다양한 가치관과 이 해관계가 얽힌 복잡한 문제였다. 따라서 신사참배와 관련된 어떤 인물의 입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신사참배를 수용했는가만 따질 것이 아니라 그의 행적 전체를 살펴보아야 한다. This essay aims to contribute to recent endeavors to reexamine the meaning and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Shinto Shrine issue by examining life and works of Edwin W. Koons, principal of the Kyungshin School. Koons showed an accommodative attitude toward the Shinto Shrine rituals, but he actively participated in anti-Japanese warfare. The essay will initially introduces the background and missionary activities of Koons. Emphasis will be placed on his seminary education in order to uncover the roots of his liberal theology as demonstrated in his attitude toward the Shinto Shrine controversy and other related issues. Regarding Koons``s position on the Shinto Shrine issue, the essay is mainly concerned with why he showed an accommodative attitude. The essay deals with the duties that Koons undertook after he retired from Kyungshin, and the consequent suffering under the Japanese authorities. It reveals why he decided not to join most of his colleagues and leave Korea, and examines the nature of his suffering. The essay ends with a treatment of Koons``s participation in the American psychological warfare during the Pacific War. The activities of Koons will make readers reconsider the wisdom of judging Shinto rites accommodationists as apostates or pro-Japanese and anti-nationalist individ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