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명인 모델의 공신력 척도는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가?

        이병관(Lee, Byoungkwan),손영곤(Sohn, Youngkon),강경희(Kang, Kyungh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0 No.3

        본 연구는 메타 분석에 의한 신뢰도 일반화(reliability general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국내 유명인 모델 속성의 측정 척도에 대한 신뢰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76편을 대상으로 매력성, 신뢰성, 전문성 등 유명인 모델 속성 척도의 평균 신뢰도 계수를 계산하였다. 또한 표본크기, 평균, 표준 편차, 여성 비율, 척도 유형, 측정 도구 원천 등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조절 효과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명인 모델 속성 측정 도구의 신뢰도 평균은 매력성이 .823, 신뢰성 .850, 전문성 .830으로 비교적 안정된 신뢰도를 보이고 있었다. 국내 유명인 모델 속성 측정 도구는 측정값의 평균, 표준 편차, 척도 유형, 여성 표본 비율, 20대 이하 표본 비율 변인과 관련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가변계수 모델을 적용하여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동 요인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고자 하였다. A reliability generalization (RG) study was conducted for the celebrity endorsement scale that consist of three sub-dimensional scales such as credibility, expertise, attractiveness. The celebrity endorsement scale is the most commonly used tool in the field of advertising effects. In conducting this study, an extensiv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through major academic publications in Korea, with 76 articles reviewed and coded. Using a varying coefficient model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average reported alpha coefficients ranged from .823 for attractiveness to .850 for credibi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magnitudes of alpha coefficients varied depending on various moderators such as mean scores, standard deviation scores, scale type, and ratio of female and younger age in the samples. Discussions are made concerning the necessity for further use of the celebrity endorsement scales.

      • KCI등재후보

        예술고등학교 모델전공 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지도신뢰 및 지도효율성의 관계

        최은정(Choi, EunJung) 한국모델콘텐츠학회 2020 한국모델콘텐츠학회지 Vol.1 No.2

        이 연구는 예술고등학교 모델전공 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지도신뢰 및 지도효율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를 위하여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H 예술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모델전공 고등학생 1〜3학년 158명에게 받은 설문 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유형의 하위변인 중 질문지도와 긍정적 피드백 은 지도신뢰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피드백은 지도신뢰의 하위변인 중 인지적 신뢰에 부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유형의 하위변인 중 질문지도와 긍정적 피드백은 지도효율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피드백은 지도효율성의 하위변인 중 인지된 기능수행향상에 부(-)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도신뢰의 하위변인 중 인지적 신뢰, 감성적 신뢰는 지도효율성에 정(+)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행동적 신뢰는 지도효율성의 하위변인 중 인지된 기능수행향상에 정(+)적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모델 지도분야도 지도유형의 형태에 따라 피교육생 수용반응이 다양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는 보고이고 좀 더 긍정적인 수용반응을 나타낼 수 있는 지도유형 내지는 지도교 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 type and leadership reliability and instruction effectiveness of high school teacher who majored in model.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high school students, grades 1 to 3, who major in modeling at Hanlim Arts School in Seoul. The questionnaire was sampl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which is one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he questionnaire was prepared reading and fill out by himself, through an evaluation instrument. A total of 158 copie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instructional trust and instructional efficiency of model major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gender differences indicate that male students have higher level of instructional trust and instructional guidance than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the grade level, the first grade showed higher instructional trust and instructional guidance efficiency than the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Second, the instructional types of teacher who majored in model are affecting instructional trust. The low level of Instruction type, question map and positive feedback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struction trust, Negative feedback was found to have an inadequate effect on the sub - variables of instruction trust, cognitive trust. Third, the instruction type of the model majors' leaders influenced instruction efficiency. The low level of the instruction type, instruction by question and the positive feedback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struction efficiency, and the negative feedback affected, the low level of the map efficiency, the perceived function performance improvement negatively. Fourth, Instruction trust was found to affect Instruction Efficiency. Instruction trust and emotional trust which is the low level of Instruction trust, positively affect instruction effectiveness. Behavioral trust has a positive effect only on the improvement of perceived function performance which is low level of instruction trust

      • Duane 모델과 AMSAA 모델을 이용한 신뢰성 성장 예측 방안 비교 연구

        이안성,김무영,조일훈 한국신뢰성학회 2015 한국신뢰성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5

        신뢰성 성장 프로그램은 미국, EU 등 선진국의 군수 및 민수산업에서 오래 전부터 제품개발 기간 단축과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적용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신뢰성 성장 이론 및 적용 사례를 조사하여 OO무기체계에 적합한 성장 예측모델을 도출하고, 도출된 모델을 FAT/DT/OT 등 단계별 시험 결과에 대해 적용하여 OO무기체계의 신뢰성 성장 예측을 진행하였다. OO무기체계의 FAT 및 DT/OT 시험 결과로 발생할 수 있는 72가지 경우에 대해 AMSAA 모델과 Duane 모델을 적용하여 비교예측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채적으로 AMSAA 모델의 신뢰도 추정치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OO무기체계의 신뢰성 성장 예측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무기체계에 대해서도 충분히 적용 가능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기 때문에 해당 무기체계들에 대한 신뢰성 성장 예측 방안들이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소프트웨어 결함 발견 및 제거 노력 기반 신뢰성 추정 모델

        강명묵(Myungmuk Kang),구태완(Taewan Gu),백종문(Jongmoon Baik)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7 No.7

        최근 소프트웨어는 고성능의 많은 기능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복잡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신뢰할 만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신뢰할 만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신뢰성을 초기단계에서부터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지만 대부분 신뢰성 추정 모델의 경우 시스템 또는 운영 테스트 단계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신뢰성 높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초기 테스트 단계에서부터 개별 유닛의 신뢰성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기에 이 단계에서의 특징을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초기 테스트 단계에서는 개발자와 테스터가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개발자가 테스트뿐만 아니라 디버그까지 함께 수행을 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테스트 시간과 디버그 시간을 모두 고려하는 신뢰성 추정 모델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 테스트 단계에서부터 개별 유닛의 신뢰성 관리를 지원하고자 새로운 신뢰성 모델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실제 산업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한 모델이 실제 데이터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그리고 기존 모델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Relative importance and complexity of recent software is getting increased because the software is needed to provide considerable amount of functions and high performance. Therefore, developing reliable software is importantly issued. In order to develop reliable software, it is necessary to manage software reliability at the early phases, but most reliability estimation models are used at system or operational test phases. In order to develop highly reliable software, it is necessary to manage software reliability at the early test phases based on characteristic of the phases that is developers and testers are not separated and developers perform test and debug activities together. Therefore, a new reliability estimation model considering test and debug time together is necessarily need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reliability estimation model to manage reliability of individual units from the early test phases and in order to show how to fit the model to actual data and usefulness, we collected industrial data and used it for the experiment.

      • KCI등재

        부분 데이터를 이용한 신뢰도 성장 모델 선택 방법

        박용준 ( Yong Jun Park ),민법기 ( Bup Ki Min ),김현수 ( Hyeon Soo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4 No.1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은 고장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프트웨어 출시일 또는 추가 테스트 노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을 사용할 때 특정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을 모든 소프트웨어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이미 많은 수의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특정 조건에 맞는 최적의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을 선택하는 것은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기존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 선택 방법에서는 수집된 고장 데이터 전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초기에 수집된 고장 데이터는 미래 고장 예측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미래 고장 예측 과정에서 왜곡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 논문에서는 부분 고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합도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에 기반을 둔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 선택 방법을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는 고장 데이터에서 과도하게 불안정한 데이터를 제외한 부분 데이터를 사용한다.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 선택에 사용될 부분 데이터는 전체 고장 데이터와 고장 데이터의 일부를 제외한 부분 고장 데이터의 미래고장 예측 능력의 비교를 통해서 찾는다. 연구의 타당성을 보이기 위하여 실제 수집된 고장 데이터를 사용해서 전체 데이터를 적용한 경우보다 부분 데이터를 사용한 경우의 미래 고장 예측 능력이 더 정확함을 보인다.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s (SRGMs) are useful for determining the software release date or additional testing efforts by using software failure data. It is not appropriate for a SRGM to apply to all software. And besides a large number of SRGMs have already been proposed to estimate software reliability measures. Therefore selection of an optimal SRGM for use in a particular case has been an important issue. The existing methods for selecting a SRGM use the entire collected failure data. However, initial failure data may not affect the future failure occurrence and, in some cases, it results in the distorted result when evaluating the future failure. In this paper, we suggest a method for selecting a SRGM based on the evaluation goodness-of-fit using partial data. Our approach uses partial data except for inordinately unstable failure data in the entire failure data. We will find a portion of data used to select a SRGM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entire failure data and the partial failure data excluded the initial failure data with respect to the predictive ability of future failures. To justify our approach this paper shows that the predictive ability of future failures using partial data is more accurate than using the entire failure data with the real collected failure data.

      • KCI등재

        신뢰가 동네공동구매 플랫폼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위챗 미니프로그램 사용자를 중심으로

        학가위,양성병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22 서비스경영학회지 Vol.23 No.3

        Community group-buying has been prevalent in China and has tremendous market potential. At the same time, the WeChat ecosystem not only provides a huge user base for community group-buying, but also offers an opportunity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it. This study, based on the trust-building model, reflects the recent trend of using the WeChat mini-program in China. After classifying trust into WeChat mini-program trust, community group-buying platform trust, and community group-buying participant trust, this study identifies trust-building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and empirically tests their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307 people who have used the community group-buying platform embedded in the WeChat mini program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afety and stability/product economics and platform awareness/social presence and interactivity a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eChat mini program trust/community group-buying platform trust/community group-buying participant trust, respectively. Each trust is again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latform attachment and intention to continuous use of the platform. This study has theore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apply the trust-building model to the context of community group-buyi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prepare guidelines for activating the platform attachment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users in community group-buying environments. 동네공동구매는 중국에서 매우 인기가 있고 잠재력이 큰 사업모델이다. 동시에 위챗 생태계는 동네공동구매를 위한 거대한 사용자 기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동네공동구매가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신뢰구축모델을 기반으로, 위챗 미니프로그램을 많이 활용하는 최근의 경향을 반영하여, 신뢰를 위챗 미니프로그램 신뢰, 동네공동구매 플랫폼 신뢰, 동네공동구매 참여자 신뢰로 구분한 후, 각각의 신뢰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을 도출하였으며, 다시 각 신뢰가 플랫폼 애착 및 플랫폼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위챗 미니프로그램에서 동네공동구매 플랫폼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30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안전성과 안정성, 제품 경제성과 플랫폼 인지도, 사회적 존재감과 상호작용성은 각각 위챗 미니프로그램 신뢰, 동네공동구매 플랫폼 신뢰, 동네공동구매 참여자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신뢰는 다시 플랫폼 애착 및 플랫폼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신뢰구축모델을 동네공동구매 맥락에 적용한 첫 번째 연구라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동네공동구매 이용자의 플랫폼 애착 및 지속사용의도 활성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지방정부조직에서 직속상관에 대한 부하의 신뢰 : 메이어 등의 모델 검증

        김우식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6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7 No.2

        Trust is important for organizations and organizational productivity. This article aims to empirically testify Mayer et al.’s trust model(1995) which is largely acknowledged as integrating interpersonal trust relationships in organizations. Some researchers have tested partly their model for trust. My job is to test empirically their whole construct of subordinate’s trust in his or her supervisor. Data were collected from 271 public officials in Choung-ju City.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two parts(trust and outcome of trust) of their model were accomplished,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nalyses show the validity of their model, except for functions of two moderators(trust propensity and risk perception). So they are redefined as functioning dependently, in this study. 조직 구성원 간의 신뢰는 조직의 성공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공공조직에서도 신뢰의 중요성은 민간조직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공공 관료제조직(청주시)에서 상관에 대한 부하(청주시 공무원 271명)의 신뢰에 초점을 두고, 지금까지 연구자들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검증된 신뢰에 관한 메이어 등의 모델(Mayer et al., 1995)의 전 개념구조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그들의 모델은 연결된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한 부분은 상관의 능력, 호의, 성실성으로 인한 상관의 신뢰성이 부하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며, 그 관계를 신뢰주체(부하)의 신뢰성향이 조절 기능을 한다. 다른 하나는 신뢰가 모험행동(신뢰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며 그 관계를 신뢰주체의 위험지각이 조절한다. 분석결과 그들의 모델이 전체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다만 두 조절변수(신뢰성향, 위험지각)의 조절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향과 위험지각이 조절요인이기 보다는 각자 독립변수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었다.

      • KCI등재

        고장 데이터의 플롯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의 성능평가

        정혜정,양해술,박인수,Jung, Hye-Jung,Yang, Hae-Sool,Park, In-So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0 No.5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은 다양하게 연구되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에서 정확한 모수를 측정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특히 고장 데이터에 대하여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의 추정이 정확히 이루어져야만 모델을 설명하는 모수의 추정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테스팅을 통해서 얻어진 소프트웨어의 고장 데이터의 정규확률점수를 구해서 두 개의 값에 대한 플롯을 그려보고 그려진 결과를 이용해서 분포를 예측하여 예측된 분포에 적합한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을 적용한다면 상당히 정확한 테스팅 결과론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장 테이터의 플롯을 통한 결과를 통해서 분포를 예측하고 모델을 성능평가 척도에 따라서 모의실험을 하여 그 결과를 통해서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의 적합성을 검정하는 연구이다. 연구결과 고장데이터의 정규점수를 이용한 플롯을 보고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을 예측할 수 있었고 이러한 예측을 통해서 모델 선정한다면 모델의 성능평가에서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 that have been studied variously. But measurement of correct parameter of this model is not easy. Specially, estimation of correct model about failure data must be establish and estimation of parameter can consist exactly. To get correct testing, we calculate the normal score and describe the normal probability plot. Use the normal probability plot, we estimate the distribution for failure data. In this paper, we estimate the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 for through the normal probability plot. In this research, we applies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 through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ailure data. If we see plot, we determine the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 we can make sure superior in model's performance estimation.

      • 스포츠스타 광고모델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나준희(Na june-hee),김영조(Kim yeungjo)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3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스포츠 분야에서 조화가설(Match-up Hypothesis)을 바탕으로 스포츠스타 모델과 제품의 일치성을 통해서 모델의 매력도와 신뢰성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집단은 스포츠스타 모델과 일치성이 높은 제품이 제시된 집단과 일치성이 낮은 제품이 제시된 집단 등의 두 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사전조사를 통해 채택한 실험 자극물과 설문지를 통해 두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자극물로 사용된 스포츠스타는 한국인 최초의 메이저리거 타자인 최희섭 선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두 집단간의 평균차이 검증(t-test)에서 모델과 일치성이 낮은 제품에 비해 일치성이 높은 제품에 대한 태도가 더욱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델의 매력도, 신뢰성이 제품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제품에 대한 태도에 있어 모델의 매력도 및 신뢰성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델과 제품과의 일치성이 높은 경우, 제품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모델의 매력도와 신뢰성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모델과 제품과의 일치성이 낮은 경우, 모델의 매력도만이 제품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신뢰성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포츠스타 모델이 스포츠 제품광고에 출연하는 경우, 스포츠를 통한 모델의 신뢰성과 매력도가 높은 모델이 광고효과에 효과적이며, 스포츠스타 모델과 일치성이 낮은 제품에 대해서는 스포츠스타의 매력도 고려가 중요한 요소임을 밝히고 있다. The present research has empirically examined in sports whether the attractiveness and credibility of a celebrity endorser could make influences on attitudes toward products by matching between a sports star endorser and products, Match-up Hypothesis. For that purpose, current research consisted of two groups (high vs. low match) and explore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ith exposing to the stimuli acquired in a pretest. In the research, the sports star we used was a major-leaguer, Choi, Hee-sup. As a result, the present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e high-match group has shown favorable attitudes toward the product relative to the low-match group. In addition, 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ports star endorsers' attractiveness and credibility on attitudes toward the products. The result showed that both the attractiveness and credibility of the sports star endors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attitudes toward the product. Specifically, for high-match group, the attractiveness and credibility of sports star endorser were significant. Yet, only the attractiveness of the sports star was significant for low-match group. In conclusion, high attractiveness and credibility of sports star endorsers should be effective for sports-related products' advertisements. For low-match products' advertisements, the attractiveness of sports star endorser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 KCI등재

        전자기록의 신뢰가치 확립을 위한 증거능력 구현체계 연구 우리나라 공공 전자기록의 신뢰가치 모델 개발을 중심으로

        현문수 한국기록학회 2022 기록학연구 Vol.- No.73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trustworthiness model for public digital records, as an admissibility framework for establishing trust. The trustworthiness model is deemed to used to identify the qualities of the digital records in their lifecycle, including the identity that could be identified at the time of the creation, integrity obtained from the chain-of-custodial management, the evidence of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activities and records, and the technical or cognitive accessibility. 전자기록의 신뢰가치 확립을 위한 증거능력 구현체계 연구 7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QADEP model, it was decided to develop a model that could measure the trustworthiness of public digital records in the external measurement type, which are authenticity, reliability, and usability. In line with this direction, the model expanded measurement areas and indicators of the QADEP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ISO 16175-1:2020, and measuring metrics was also proposed so that it could be a measuring instrument for public digital records in Korea, after analysing NAK 19-3. It would be useful to expand the model and to test the approach of the trustworthiness model for public digital records. 이 연구는 기록관리 영역에서 공공 전자기록의 증거능력을 근거할신뢰가치 모델(안)을 개발할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연구가 목표로 하는 ‘공공 전자기록의 신뢰가치 모델(안)’은 전자기록의 생산과 함께 확보되어야 하는 속성에서부터, 연속적인 기록관리과정에서 확인될 무결성, 기록 생산 업무 활동과의 관계에 관한 증거, 생산 시 의도된 대로얼마나 전자기록을 재현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가의 정도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된 모델이다. 이를 위한 모델 개발과정에는, QADEP 신뢰가치 측정 모델을 기초로 활용하였다. QADEP 모델 분석 결과, 진본성과 신뢰성 및 이용가능성의 외적 측정영역 유형의 범주에서 공공전자기록의 신뢰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영역과 지표 및 측정기준을 설계할 것을 결정하였다. 이 방향에 맞추어, ISO 16175-1:2020의 분석을통해 기초 모델의 측정영역과 지표를 확장 및 구체화하였으며, 공공표준을 샘플로 분석하여 도구화할 수 있도록 측정 체계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선행 연구성과에 토대를 두어, 전자기록의 신뢰가치 확립을위해 갖춰야 할 증거능력 확보에 적용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