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문학의 통속화, 통속의 문학화 : 아속(雅俗)의 교차, 석북신광수가한시(石北申光洙家漢詩)에 나타난 "속(俗)"의 활용 방향

        김동준 ( Dong Jun Kim ) 근역한문학회 2014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9 No.-

        본고는 石北申光洙家[申光洙, 申光淵, 申光河, 申禹相등]에서 남긴 漢詩가운데 ‘俗’의 활용 양상을 검증할 수 있는 작품을 택하여 그것의 문학적 가공 방식과 예술사적 맥락을 탐색한 것이다. 제1장에서는 <문학의 통속화>라는 학회의 기획 논제가 한문학 영역에서는 적용되기 곤란함을 근거로 삼아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雅-俗담론을 분석의 도구로 삼았다. 그리하여 ‘상층과 대비되는 민간의 삶과 언어적 유산, 그리고 범속한 사람이 욕망하는 통속적 정서’를 ‘俗’의 개념으로 설정하고, 제2장에서 신광수가의 한시에서 주목되는 俗의 성분과 현전하는 자료를 검토하였다. 제3~4장에서는 ‘속’의 성분을 활용하여 형상화된 신광수가의 한시를 두 갈래로 나누어 조명하였다. 첫째는 俗의 雅文學化경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생활현장에서 취재한 속의 소재들을 활용하여 실감과 공감을 보유한 시 작품으로 전환해내었다는 것이 그 요지이다. 두 번째로는 艶情코드가 강화된 風流공간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삼아, 그 속에 담긴 통속적 욕망과 향유층 확장의 시적 전략을 고찰하였다. 우아한 풍류로 포장된 채 출발했으나 결과적으로는 통속적 욕구를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이는 雅의 俗文學化현상이라 간주될 수 있었다. 마지막 제5장에서는 신광수가의 한시가 俗의 雅化와 雅의 俗化를 모두 보여준 사례였음을 확인한 뒤에, 이들의 시도가 金弘道·申潤福의 풍속화와 미의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 민간의 문학적 자산을 예술적 자산으로 활용한 결과라는 점, 나아가 민간의 삶과 욕망에 주의했던 이전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성과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chose works that can be verified about the application of ‘security’ among Chinese poems left by poets from the Seokbuk Shin Gwang-su’s family to explore its literary processing method, way of realization, and art historical context. In the first chapter, changing the society’s subject_‘popularization of literature’, discussion of grace-secularity was used as the tool for analysis. By doing so, ‘people’s life contrasted with the upper class and vulgar sentiment desired by the common crowd’ were set as the concept of ‘secularity’. In the second chapter, components of secularity notable in Chinese poems of the Shin Gwang-su’s family were reviewed. I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aspects embodied by using components of ‘secularity’ were divided into two prongs to be illuminated. First, this researcher focused on the tendency of secularity’s turning into the graceful literature, whose gist is that they made use of materials in life to change them into the literary works that holds realistic and sympathetic feelings. Second, being targeted at the works in the space of having taste for arts where romantic feelings were strengthened, this researcher contemplated vulgar desire in it and poetic strategy of expanding the class enjoying it. Its substance is that they started by claiming to stand for grace, but resulted in embodying common desire. And in the last chapter, after diagnosing that Chinese poems of the Shin Gwang-su’s family that utilized secularity were sharing aesthetic sense with genre paintings of Kim Hong-do and Shin Yun-bok, it is suggested that they used folks’ literary asset as the artistic one and that they reflected the art historical flow of the former times when artists had paid attention to the people’s life and desire.

      • KCI등재

        신부용당(申芙蓉堂)의 삶과 문학 연구

        박영민 ( Young Min Park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8 No.-

        본고는 부용당의 시와 산문, 주변 인물들의 기록을 통해 신부용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고찰하여 부용당의 삶과 의식 세계 및 작품 세계를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결혼 전 부용당은 조카들에게 도가 같은 벗으로 인정을 받을 만한, 조카들이 ‘벗이 되는 데에는 여성인가 남성인가가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한 특별한 존재였다. 부용당은 다섯 조카들과 함께 책을 배우고 글을 짓고 장난을 치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특히 신광수는 직접 아들들을 가르쳤는데 이때 부용당도 함께 공부를 배워 문학에서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결혼 이후 부용당은 남편을 먼저 떠나 보내고 어린 자식들을 키우며 殉節을 명분으로 품고 사는 고단한 생을 살았다. 부용당은 조선시대의 사대부 가문에서 과부로 살아가는 자신의 삶을 天命으로 받아들였다. 그의 천명의식이 그의 삶을 비관적인 방향으로 이끈 것은 아니다. 오히려 부용당은 일상의 노동과 주변의 환경을 즐기고, 주변의 친인척들과 함께 생활하며, 진솔한 감정과 경험을 나누고 충고와 격려를 주고 받으며 사는 데에서 삶의 의의를 찾았다. 부용당의 삶은 그의 한시와 산문으로 고스란히 살아났다. 신석상은 부용당의 문학에 대해 “문장에서는 한·위의 고시를 배웠으며, 그의 오언과 칠언은 한나라의 당산부인의 「安世房中歌」의 유음이 있었다.”라고 하였는데, 부용당의 한시가 내용적인 측면에서 사대부가문의 부녀자가 지켜야할 덕목을 실현하는 전아함을 구사하였음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는 신광수 형제와 아들이 염정체나 옥대향렴체의 한시를 다수 창작하여 분방하고 개방적인 성격을 표출한 것과 다르다. 한편, 부용당은 친인척들과 함께 살아가는 일상의 가치와 규범을 소중하게 여기고 그 속에서 일어나는 갖가지 사건을 격려하고 반성하는 서간문과 제문을 남겼다. 지금까지 부용당의 삶과 문학에 대한 단독의 깊이 있는 연구가 없었다. 부용당의 삶과 문학 연구는 18세기 사대부가문의 여성의 삶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여성 문인의 문학 수련 과정과 작품의 특징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할 것이다. In this writing, the life and literary world of Shin-Buyongdang will be inquired by looking at her poems, proses, and other people`s records about her. Her nephew Shin-Suksang`s funeral oration for her implicitly shows her life and literature. “She have studied classical poems of Han·Wei. And her five words poems and seven words poems were deeply influenced by Lady Tangshang (唐山夫人)`s ‘Ansebangjungga’ (安世房中歌).” Especially her literary world is represented by poem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which were a part of self-expression, and proses which were the message to the relatives. However, the substance of those two different genres were same in the way that it is about worthily fulfilling sadaebu`s norms in everyday life. Shin`s literary world reflects her way of life. As a woman from a sadaebu, noble family, she accepted norms at that time as a value, and put emphasis on norm-keeping life. Shin asked her relatives to keep those social norms in their daily lives not to speak of her own life. She wished to share her life with her relatives and intimates. Hitherto, there have not been much in-depth researches on Shin-Buyongdang especially ones exclusively deal with her life and literature. Even though theacademic interests on female authors are gradually rising, there have not been much in-depth studies on Shin. Reconstructing Shin`s life and consciousness will deepen the understanding about female life of sadaebu family in the 18th century, and studying on her literary world will deepen the understanding about female authors` literary training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outputs, I ex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