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광』의 시조 연구

        안영길(Ahn, Yeong-Gil) 한국시조학회 2016 시조학논총 Vol.44 No.-

        일제 강점기 간행된 『동광』 잡지에 게재된 시조를 분석하여 당대 시조의 특징과 문화현상을 파악하려 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순서로 진행하였다. 『동광』에 게재된 시조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는데, ①임에 대한 정한의 표출 ②역사 회고 ③농촌의 정취 ④思鄕 ⑤삶에 대한 성찰과 각오 ⑥신의에 대한 성토 ⑦이별의 정한 ⑧계절 예찬 ⑨귀전원과 정감 등으로 대별할 수 있었다. 이중에서도 당대의 특징을 잘 반영하는 주제로 선별하면 대체로 세 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그 근거는 통계적 기준(작품 수)과 당대 시대상(일제 강점기)을 고려해서 나눈 것이다. 즉 농촌의 정취, 귀전원과 정감, 역사 회고 등이다. 먼저 농촌의 정취를 살펴보면 표면적으로는 평화롭고 정감서린 농촌의 정경을 읊조렸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세금을 내고나면 남는 것이 없는 소작농의 궁핍한 생활을 토로하고 있다. 또 감각적인 표현을 활용하여 농촌 특유의 정감을 유감없이 그려냈다. 다음으로 귀전원과 생활의 정감에 관한 것을 담고 있는데, 전원에서의 정취와 낭만을 노래했다. 즉 1930년대는 전원으로 돌아가는 사회 현상을 시조문학을 통해 살펴 볼 수 있었다. 특히 先景後情의 작법을 활용하여 쉽고 평탄하게 내용을 전개하였으며 이따금 탈속적 정취를 노래했다. 또 도연명의 ‘採菊東籬下’의 배경을 활용하고 농촌 정착의 의지를 표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역사회고 시조인데, 현실에 움추린 조선인들을 일깨우기 위해 위국충절과 호연지기를 노래했다. 그리고 여전히 국권회복의 가능성을 갈망하고 있다. 특히 종장에서 밑줄 처리를 통해 고조된 감정을 표출하고 종래에 없던 새로운 시조의 작법을 보여주기도 했다. 역사 회고 시조는 부당한 현실에 대한 반감을 전제한 것이며, ‘애달프다’라는 시어는 당대를 바라보는 지식인들의 심정을 압축적으로 대변한 것이다. 1930년 이후는 시조는 이전의 감성적 낭만적인 시조와 달리 논리적이고 사회문제를 전달하려는 스토리를 갖고 있는 것도 있다. 즉 기존의 음악적 요소나 감정에 호소하는 성향보다는 이치적이고 산문적 성향을 갖고 있다. 『東光』의 시조를 통해 당대의 시의성을 반영하고 동시에 우리 문학의 전통성과 정감을 여전히 발산하고 있는 시조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e studies on SiJo to be published Dongkwang magazine. Dongkwang magazine was published from 1926 to 1933 but in the concrete it proceeded for three years two month. It was published a little SiJo and SiJo would reflected a phenomenon of society and a character of literature. A representative characters of the Si-Jo in substance at that time was summed up three. First it described a warmth of farm village. Expecially make full use of a sensuous description expressed a landscape of farm village. Otherwise it revealed a life of austerity in farming area. Second it reflected a phenomenon of return to their home village. People who was familiar with their country loved to come back their old home. To relax their mind and body they came back home and they pursuit romantic life. Third it was a poetry of historical retrospect. Although their country was colonial situation they longed fot their country’s independence. Because of this anxiety they expressed their heart by means of old sijo. Mainly using old castle, ring, historic site they revealed a hidden feelings thst they had. It was a sorrow, an eager, remembrance etc. In spite of a poor surroundings they sang hope, romance, an possibility of independence. and so SiJo reflected the phases of the times.

      • KCI등재

        시조의 혁신, 어떻게 할까

        김학성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1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term “Sijo” reflects both the process of constant change of text and that of innovating its form. I noticed two forms of Sijo, musical forms and poetic forms, and explored how we should innovate contemporary poetry in form. In this paper, the poems of Jeong Wan-young and those of Jo O-hyeon were used for analysis. It is quite obvious that Sijo adhered to the standard of poetic form and rarely showed any deviations from it. Sijo firmly observed its unique styles by choosing Pyeongjo as a music form and confronting it with two other forms, Ujo and Gaemeunjo. Modern poets mostly tried to escape the clichés of Sijo, ignoring the standard of poetic form. Instead, they attempted to use various types of poetic forms: (1) the two-stanza form (the first and third stanzas); (2) the one-stanza form (the third stanza only); (3) the four-stanza form (one to four stanzas). They tried to represent modernity, avoiding using the three-stanza form. Contemporary poetry should comply with a necessary condition for conforming to the three-stanza form. If it violates this type of form, it may lose its identity as a poem. However, it is also required to have a sufficient condition to be equipped with modernity, which may provoke the sympathy, aesthetic taste and sensitivity of modern people. Eventually, a poem may be recognized as an excellent masterpiece, if it is equipped with its poetic form and shows its modernity to represent modern life and world. 이 논문은 ‘시조’라는 용어가 당대의 실정에 맞는 텍스트의 끊임 없는 변화와 혁신의 길을 모색해온 과정을 반영하는 개념어라는 점에 주목했다. 그리하여 그 구체적 양상이 어떠한지를 고시조의 음악적 향유와 시적 형식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조는 음악의 악조 면에서는 평조를 중심기조로 하면서 우조와 계면조를 대립시키는 길을 택함으로써 시조의 풍격(風格)을 유지해 왔다. 시적 형식의 면에서는 주어진 정격의 표준형을 엄격히 고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면서 아주 드물게 ‘가벼운 파격’, ‘과도한 파격’, ‘가벼운 일탈’, ‘과도한 일탈’ 등을 보였다. 하지만 이런 경우 도(道)를 넘는 일탈은 보이지 않음으로써 다른 장르와 변별되는 시조의 품격(品格)을 완강하게 견지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고시조의 혁신의 선례를 외면한 채, 현대시조는 고시조의 진부함을 벗어나 현대성을 확보한다는 점을 구실로 삼아 시조의 3장 구조를 벗어나는 여러 가지 형식실험을 시도한 바 있다. 초장과 중장에 이어 종장으로 완결하는 3장 구조(초장, 중장, 종장)를 완전히 갖추지 않고 초장에 이어 곧바로 종장으로 마무리하는 2장 구조(초장, 종장)를 시도하거나 종장 하나만으로 완결하는 1장 구조를 시도하거나, 3장의 길이를 넘어서는 4장 구조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3장 완결의 형식은 곧 시조의 시조다움-시조성-을 집약적으로 드러내주는 시조만이 갖고 있는 특유의 형식 장치이므로 그것을 위반하는 경우 시조의 정체성을 상실한 것이 되고 만다. 그래서 현대시조는 그것이 아무리 현대시로서의 현대성을 구현하기 위함이라 하더라도 시조로서의 정체성 곧 ‘시조성’을 확고히 갖추는 것이 필요조건이 된다. 그렇다고 시조성만 갖추어 현대의 삶과 세계를 드러낸다고 해서 현대시조가 자동적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자유시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현대인의 미적취향과 감수성에 공감력과 호소력을 갖는 ‘현대성’도 아울러 갖추어야 하는 충분조건이 요청된다. 결국 현대시조는 시조성과 현대성을 아울러 갖출 때 비로소 온전한 명편이 탄생한다고 보았다. 여기서는 정완영과 조오현 시인의 작품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현대시조의 올바른 혁신의 길을 탐색해 본 것이다.

      • KCI등재

        현대시조에 나타난 형식 실험 연구 - 박기섭을 중심으로

        김보람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1 No.1

        This study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modern Sijo through the 'form experiment' which is far from the formalized problem of 'norm' or 'rate (rhythm)'. In the meantime, most of the researches related to Sijo focused more on Kosijo(古時調), and modern poetry was relatively marginalized. Modern Sijo, which originated from Kosijo, was evaluated as not suitable for modern society except for the justification of traditional poetry. Of course, Sijo is a poem form that has been created and enjoyed for the longest time in our history. Modern Sijo created his own rhythm by reading the trend of the times. It has also been conducted in a way that emphasizes linguistic competence. In particular, Park Ki-seob, who was at the center of the period of spread in modern Sijo in the 1980s, tried to escape the old form of Sijo through new techniques and formal experiments. While focusing on the rhythm of Sijo, he presented a visual rhythm obtained by repetition of power and order, The effect of discernment was sought with the free line and the separation of the kite. In addition, he continued his aesthetic achievement with the personal variation of last line of sijo called the Sijo identity. Now, modern Sijo is the ultimate question to read the change of the times and the space of possibility. 본 논문은 정형화된 ‘규범’ 혹은 ‘율(리듬)’의 문제에서 최대치로 멀어지는 ‘형식 실험’을 통해 현대시조의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그동안 시조와 관련된 연구의 대부분이 고시조에 보다 집중하면서 근대적인 시형은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다. 현대시조는 시조의 발원을 고시조에 두면서 전통시라는 명분을 제외하면 현대사회에 적합한 시 형식으로 보기 어렵다는 평가를 받았다. 물론, 시조는 우리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에 걸쳐 창작되고 향유되어온 시 형식이자, 현대시조는 시대의 흐름을 읽어가며 독자적인 리듬을 구축하면서 언어적 역량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어 왔다. 특히, 1980년대 현대시조 확산기의 중심에 있었던 박기섭은 새로운 기법과 형식 실험을 통해 낡은 시조의 형(形)에서 탈피하고자 했다. 그는 시조의 리듬에 집중하면서 힘의 반복과 질서에 따라 얻어지는 시각률을 제시하였고, 자유로운 행과 연의 가름으로 분행의 효과를 모색했다. 또한 시조의 정체성으로 불리는 종장의 개성적 변주로 미학적 성취를 이어갔다. 이제, 현대시조는 시대의 변화를 읽어가는 궁극의 질문이며, 가능성의 공간이다.

      • KCI등재

        윤금초 시조의 형식 실험과 현대시조 리듬 연구

        김보람(Kim, Bo-Ram) 한국어문학회 2020 語文學 Vol.0 No.149

        본 연구는 윤금초 시인의 시조를 대상으로 현대시조의 리듬 문제를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시조가 가지고 있는 형식적 전통은 ‘정형(定型)’이다. 그러나 시조의 형식은 현대성을 확보하기 위해 스스로 수정하고 변혁해야 한다. 윤금초는 1960년대 현대시조 정립기를 구축하면서 기존의 시조 형식을 답습하지 않고, 시에 적합한 리듬을 찾기 위해 다양한 형식 실험을 시도하였다. 특히 현대시조의 리듬이 이미지와 밀접하게 조응한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시조라는 장르의 가능성을 최대한으로 넓히고자 했다. 그는 시조가 가진 기존의 형식적 제약을 극복하는 ‘열린시조’ 양식을 제시했으며, 시행 분절의 방식을 유형화하여 시의 의미를 시각화하였다. 또한 기존의 평시조 리듬에서 이탈하여 장형화를 이루는 사설시조를 통해 텍스트를 증식시키는 역동성을 보여주었다. 이 글은 기존의 시조가 가진 ‘정형’이라는 전통적 리듬에서 최대한 멀어지고자 하는 윤금초의 시조를 통해 어떻게 시조가 ‘리듬’을 획득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현대시조는 ‘전통’이라 일컫는 ‘정형’에 대한 한계를 분명히 인식하면서, 일정한 형식에서 시적 리듬을 확보하고자 끊임없이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hythm issue of modern verse in Sijo poems with poet Youn Kum-Cho"s verse in Sijo. In general, the traditional form that Sijo possesses is ‘the fixed form’. However, the form of Sijo must be modified and itself transformed to secure the modernity. Yun Kum-Cho attempted a variety of experiments with the form to find a suitable rhythm for poems without following the existing Sijo format while establishing the period of constitution with the modern verse in Sijo of the 1960s. In particular, while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rhythm of modern Sijo closely matches the image, he tried to maximize the possibility of the genre of Sijo. He presented the “Open Sijo” style that overcomes the existing formal constraints which Sijo have, and visualized the meaning of the poem by grouping the method of the line segment. Also, it showed the dynamics of multiplying the text through the Saseol Sijo, which deviates from the existing rhythm of conventional Sijo and forms the lengthenization. This paper confirms how Sijo acquired the rhythm through the Youn Kum-Cho"s verse in Sijo, which gets as far as possible from the traditional rhythm of ‘the fixed form’. Modern Sijo is constantly raising questions in order to secure a poetic rhythm in a certain form, while clearly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the fixed form" called "tradition".

      • KCI등재

        한국 현대시조 리듬론 비판적 검토-김상옥을 중심으로-

        김남규(Kim, Nam-Kyu)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6

        김상옥의 시조 형식 실험은 시조와 시의 경계, ‘시조’와 ‘시조가 아닌 것’이 어떤 기준으로 경계가 나눠지는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는 시조의 기본형이라 할 수 있는 3‘장’(章) 구성이 아닌 3‘행’(行) 구성을 의도하면서, 시조의 일정한 리듬이 얼마든지 행으로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에 따르면, 시조의 장과 시의 행이 크게 다른 것이 아니다. 또한 그는 3행 3연의 형식을 시도하면서 시조의 ‘구(句)’가 단순히 분절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가 점층의 형식을 취하여 특정한 효과가 발생하도록 의도하였다. 그러나 같은 패턴의 구 운용은 시조 종장의 미학을 무너뜨리게 되었고, 이제 장은 병렬 구조의 연으로 기능하게 되면서 시조는 보다 안정적인 ‘3의 구조’를 갖게 된 것이다. 이러한 그의 시조 형식 실험은 ‘시조가 아닌 것’을 시조로 편입시키면서, 시조는 과연 무엇인지를 되묻게 한다. Kim Sang-ok"s modern Sijo, through its form experiment allows us to check the boundary between Sijo and poem, and the criteria for “-Sijo-” and “-not Sijo-”. He intended to construct three lines instead of a three Jang(章), which is the basic form of Sijo, and showed that the rhythm of Sijo can be stretched to any number of lines. According to him, the Jang of Sijo and line of a poem are not very different. In addition, while attempting the format of the three lines and three verses, he intended it to be more than a mere division of Sijo"s Gu(句), and have a specific effect by taking the form of a Gu. However, the Gu of Sijo operation of the same pattern broke down the aesthetics of the founder of Sijo, and as the Jang of Sijo now functions as a v erse o f poetry in a parallel structure, S ijo has a more stable three-structure. Thus the experiment with Sijo"s form, which incorporates “-not Sijo-” as Sijo, asks what Sijo is.

      • KCI등재

        《校本歷代時調全書》의 편찬 의도와 과제

        李景瑛(Lee, Kyoung Young)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0 No.-

        모산 심재완 선생은 1972년에 드디어 《校本歷代時調全書》를 출간하게 된다. 《校本歷代時調全書》는 20여 년에 걸친 모산 선생의 대표적인 과업으로 누구나가 인정하는 방대하게 집대성한 力著임을 인정이다. 이 글은 선생이 《校本歷代時調全書》를 편찬하게 된 배경을 살피고 이 저술이 갖는 편찬 의도와 과제를 살펴보았다. 《校本歷代時調全書》는 《靑丘永言》이 있은 이후 당시까지 알려진 1700수의 고시조의 두 배에 가까운 총 3,335수의 시조작품을 망라하여 하나의 궤로 꿰어 정리하였다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현전하는 작품들의 이본과 각종가집 이를테면 국내에 있는 甁窩歌曲集, 靑丘永言 등 43종의 가집 등은 물론 판본. 寫本, 심지어 한 조각의 紙片 및 해외자료까지를 모두 가나다 순으로 1점1자까지도 이본과 交合하고 作家曲目의 對比 및 소개를 하고 있다. 각종문헌의 서발 및 한역시조까지도 전재하고는 아울러 중종장의 색인도 일목요연하게 달아놓은 점, 또한 노래가사의 내용에 따라 연주현장에 주목하게 함으로써 작가, 문학작품의 의미가 중요한 주석사전의 성격을 넘어서서 대교사전으로서의 의미, 곧 작가, 문학작품의 의미뿐만 아니라 각 작품의 다양한 변주에 주목까지 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校本歷代時調全書》가 남긴 과제들로는 새롭게 발굴된 자료들을 계속 보완하고 업데이트하면서 대교 본래의 연구 성과를 축적해가는 일, 발굴된 자료를 한두 연구자가 향유할 것이 아니라 다수 연구자가 공유하여 연구에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하는 점, 시조 미학에 관한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 시조 작품을 문화콘텐츠화하거나 스토리텔링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현대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적극적으로 강구해나갈 필요가 있다는 점, 보다 넓은 의미에서 문학 작품의 정본 확정에 따른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는 점, 현대시조와 연계화하는 작업과 대중화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e compilation of The Revised Edition of Sijo Collection of the Past (《校本歷代時調全書》) is a project representing the effort of Mr. Shim Jae-Wan (慕山沈載完) for over a period of 20 years. For the study of Sijo works, he recognized the urgency of the study not only on the ideas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eriod concerned but also on the Sijo authors. Further, he realized that the revision of Sijo works is an urgent and important task, and completed his projects for this one by one. This volume has the significance that it collected Sijo pieces that had been scattered around the country for the long period of a thousand years and compiled them into a coherent volume. The focus of the book is on the revisions rather than annotations on Sijo works collected. The musical information packed in the edition is hard to find in any other dictionary. The volume has the character of “a collection of the history of Sijo” by arranging all the Sijo selections [editions] collected in chronological order. Now the key tasks ahead of us are as follows: (1) To continue to supplement and update newly discovered materials; (2) To build a database of discovered materials available to many researchers for immediate use for research; (3) To promote research on Sijo authors through the confirmation of the definitive version of Sijo texts; (4) To examine the special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aesthetics of Sijo as well as the minute differences in the style of the first stanza, the second stanza, and the third stanza of a Sijo; (5) To actively seek ways to contribute to contemporary society by using Sijo works as cultural contents or by making use of the medium of storytelling; (6) To link old Sijo works with modern Sijo works and make Sijo more accessible to the general public. As a unique and original genre of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Sijo is still vividly alive in modern times, and the form of Old Sijo has been handed down to Modern Sijo through the Sijo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work that started with The Comparative Edition of Sijo Collection of the Past (《校本歷代時調全書》) continued with The Great Dictionary of Old Sijo (《古時調大全》), followed by Sijo in Our Times; Poems of 100 Poets, Goyoachim Series of Young Sijo Poets(〈現代時調 100人選〉), and The Great Dictionary of Modern Sijo of Korea. On the strength of these ceaseless and painstaking efforts, I sincerely hope to see the popularization and revival of Sijo in our age.

      • KCI등재

        「혈죽가」 소고

        신웅순(Shin, Woong-Soon) 한국시조학회 2013 시조학논총 Vol.39 No.-

        「혈죽가」가 현대 시조 효시로 보는 견해가 있다. 견해는 상당하는 논중이 있을 때 비로소 설득력을 갖게 된다. 그렇지 않으면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그것이 정설처럼 굳어지면 시조의 정체성이 혼란을 줄 수 있다. 한국시조시인협회는 2006년에 「혈죽가」를 현대시조의 효시로 보고 ‘현대시조 100주년’기념 행사를 치루었다. 이 작품이 현대시조의 효시로 볼 수 없다면 공식행사는 아무런 의미가 없을 것이다. 천여년의 시조 전통에 하나의 오점을 남길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 「혈죽가」가 현대시조의 효시로 볼 수 없다는 견해를 제시한 논문이다. 이를 증명하는 데에 본고의 목적이 있다. 현대 시조의 효시가 되려면 현대시조의 특성이 얼마간이라도 검출되어야하는데 「혈죽가」는 이에서 거리가 멀다. 「혈죽가」는 개화기 시조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 작품이 현대 시조의 효시라면 고시조, 개화기 시조, 현대 시조의 특징 중 어느 쪽에 위치해 있는가를 검토해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의 부합 정도를 종장 셋째 음보의 주제어로의 끝맺음, 종장 넷째 음보의 제거, 초 · 중 · 종장의 행배열이 없는 한 줄 글, 「혈죽가」제목의 ‘~歌’, 한자 투어와 고투어, 연작 시조, ‘위국충절’ 노래, 제목의 유무, 작가의 실명 유무, 인쇄 매체의 유무, 고어표기 등 11가지 측면에서 검토해 보았다. 11개 항 중 7개 항은 현대시조의 특징이 검출되지 않았다. 나머지 4개항은 고시조, 현대시조에서 공히 나타나고 있으며, 그 중 2개항은 개화기 시조, 현대시조에서 공히 나타나고 있다. 그렇게 본다면 「혈죽가」는 현대 시조의 효시라고 볼 수 있는 대목이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혈죽가」는 고시조와 더 가깝게 위치해있다고 보아야 한다. 현대시조는 내용면에서 적어도 보편적 질서를 통한 개인적 질서의 획득, 개인적 질서를 통한 보편적 질서가 구현되어져야 한다. 「혈죽가」는 형식은 차치하더라도 이러한 현대적인 특징을 찾을 수가 없다. 현대시조의 효시 작품은 「혈죽가」이후나 1920년대 들어와서야 찾아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증명되지도 않고 일반화되어 있지도 않은 작품을 명분도 없이 기념 행사를 치룬다는 것은 시조 정체성에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현대시조와 출발점은 학계에서나 시조계에서 충분한 토론을 거친 위 일반화 되었을 때 비로소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라고 사료된다. There is a view that regard 「Hyeoljukga」as the precursor of modern sijo. A view becomes persuasive only when there are proper proofs. If not, it can cause a problem and cause confusion to the identity of sijo when it becomes established as though it is a widely-accepted theory. Korea Association of Sijo Poets held and event in commemorat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f Modern Sijo’ in 2006, officially taking the view that accepts 「Hyeoljukga」 as the precursor of modern sijo. If this poem is not regarded as the precursor of modern poem, the official event would not have any meaning for it can stain the thousand-year-long tradition of the sijo. This study suggests the view that this 「Hyeoljukga」cannot be regarded as the precursor of modern sij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is point. To become the precursor of modern poem, the sijo must manifes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ijo eve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however, 「Hyeoljukga」does not. The general view is that 「Hyeoljukga」is the sijo from the time of enlightenment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t would be possible to discern whether this is truly the precursor of modern sijo by examining if its characteristics belong to ancient sijo, sijo of the enlightenment period, or modern sijo. This study reviewed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regard 「Hyeoljukga」 as the precursor by 11 aspects such as the ending of the third metre in the last verse into the theme word, elimination of the fourth metre in the last verse, single-line poem without the layout of first, second, and last verses, ‘~ga’ in the title 「Hyeoljukga」. Chinese style word and old style word, series sijo, song about ‘serving the country and the loyalty’, whether it has a title or not, whether the name of the poet is real or not, whether the poem is printed or not, the notation of old words. 7 out of 11 aspects did not manifes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ijo. The rest, the 4 aspect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sijo and modern sijo, and 2 out of 4 are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the sijo written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and modern sijo. In other words, 「Hyeoljukga」does not have any characteristics that can be regarded as the precursor of modern sijo. Rather, 「Hyeoljukga」 is closer to the ancient sijo. A modern sijo must acquire individual order through universal order and realize the universal order through individual order at least in the aspect of the contents. 「Hyeoljukga」does not have these modernistic characteristics not to mention the form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look for the precursor of modern sijo after 「Hyeoljukga」 or among those written in the 1920’s. Holding a commemorative event for a poem that is not verified nor generalized can be a serious issue for the identity of sijo.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sijo shall be dealt with only after it became generalized through sufficient discussions in the academic or sijo circles.

      • KCI등재

        <석암제> 반각시조의 악곡별 비교 연구-음악적 구조와 특징을 중심으로-

        배희민 한국국악학회 2020 한국음악연구 Vol.67 No.-

        반각시조는 넓은 의미로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가락이 섞여 있는 시조를 뜻한다. 그 중에서도 석암제(石菴制) 반각시조는 다른 지방제와는 달리 그 종류가 반각․선반각․후반각으로 나뉜다. 본 연구에서는 석암제 시조보에 수록되어 있는 반각과 선반각․후반각시조를 석암제의 평․사설시조와 비교하여 배자(排字) 및 선율 등을 분석하고, 나아가 지방제별 평․사설시조와 대조하여 악곡별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첫째, 석암제 시조의 자수(字數)를 살펴본 결과 악곡에 따라 선반각의 초․중장은 평시조, 종장은 사설시조의 형태와 유사하고, 반대로 후반각의 경우 초장과 중장은 사설시조, 종장은 평시조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반각은 초장에서 <일년이>가 사설시조, <어제>는 평시조와 유사하므로 곡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중장과 종장은 사설시조와 근사하였다. 이를 통해 반각은 선반각과 후반각에 비해 사설 자수의 유연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석암제 반각시조의 배자를 살펴보면 초장에서 선반각시조의 악곡들은 동일한 자수임에도 배자 형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종장에서도 선반각 <초당에>와 반각 <어제>, 후반각 <낙양삼월>이 각각 여타 악곡들과는 다른 배자 형식을 보였는데 이러한 차이는 사설붙임보다는 악곡 또는 사설에 따른 특성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출현음과 음계 및 음역은 초장에서 대부분의 악곡들이 ‘㑖~林’까지의 음을 사용하였으나, 사설시조의 경우 ‘潢’이 출현하여 변별된다. 음계는 모두 ‘黃-太-仲-林-南’이며, 악조는 황종평조이다. 다음으로 중장은 평시조가 ‘黃, 仲, 林’의 3음만이 출현하여 가장 적고, 선반각 <초당에>와 반각 <어제>가 ‘黃~汰’까지 청성(淸聲)을 사용하여 차이를 보였다. 이 외의 곡들은 ‘㑖~林’ 또는 ‘南’까지의 음을 사용하였다. 악조의 경우 대부분 황종평조로 일치하지만 반각 <어제>가 ‘無’를 사용하여 악조의 혼재 양상을 보였다. 종장은 대체로 ‘㑖’부터 ‘潢’까지의 음을 사용하였는데 선반각 <초당에>와 후반각 <낙양삼월>, 반각 <어제>는 ‘汰’까지 출현하여 다른 악곡들과 차이를 보였으나, 악조는 황종평조로 모두 동일하다. 넷째, 석암제 반각시조의 선율은 초장과 중장의 경우 평시조와 선반각, 반각이 유사하고, 사설시조와 후반각이 비슷하였다. 또한 종장은 평시조와 후반각이 유사하고, 사설시조와 선반각 및 반각이 서로 근사한 형태로 진행하지만, 후자의 경우 악곡에 따라 서로 섞여 있는 양상을 보였다. 이외에도 기존 연구에서 석암제 반각시조는 초․종장의 가락에 따라 반각시조의 종류를 구분하였을 뿐 중장의 선율 형태는 다뤄지지 않았다. 그러나 비교를 통해 중장의 악곡별 선율은 반각과 선반각이 평시조, 후반각은 사설시조와 닮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초․중․종장의 제1각은 악곡별로 여타 각에 비해 대부분 유사한 선율로 진행한다는 특징을 보였는데 이는 판소리의 내드름과 비슷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중장과 종장에서 악곡에 따라 청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선반각 <어제>와 반각 <일년이>는 평시조 및 여타 반각시조들과 다른 선율진행을 보였다. 즉, 두 악곡은 ‘潢’ 또는 ‘潢-汰’로 진행하지만, 평시조 및 여타 반각시조는 ‘林-仲’ 또는 ‘仲’, ‘㑖-黃-仲’으로 진행하여 차이점이 나타난다. 다섯째, 석암제 반각시조와 지방제별 평․사설시조를 비교하여 음악적 구조와 양상을 살펴본 결과 석암제 반각시조는 경제(京制)와 내포제(內浦制)․영제(嶺制)․완제(完制) 등 다양한 지방제의 음악적 특징들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중장은 초장과 종장에 비해 다양한 선율의 진행양상을 보였는데, 먼저 제1각은 후반각 <바람은>이 완제 사설시조와 유사하고, 여타 악곡들은 경제의 사설시조와 비슷하였다. 제2각부터 제4각까지는 평시조와 선반각 및 반각이 경제와 석암제를 포함한 지방제별 평시조와 유사하며, 초․종장에 비해 다양한 지방제의 선율 형태가 섞인 양상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장은 여타 장에 비해 좀 더 유연하고 자유로운 선율의 형태를 구성한다고 볼 수 있으며, 시조의 종류에 따라 지방제별 시조창의 특징을 가장 다양하게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반각시조는 평시조 및 사설시조와는 다르게 청성의 사용 양상에서 차이를 보였다. 다만 이와 같은 특징은 일부 반각시조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이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각 지방제별 반각시조의 다양한 악곡들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논의가 보다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사설의 자수가 유사할 경우 해당 사설의 선율까지 동일하게 차용되지는 않았다. 즉, 반각시조의 음악적 구성은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사설 및 선율적 특징들이 악곡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In a broad sense, Bangak-Sijo means a Sijo in which the melodies of Pyeong-Sijo and Saseol-Sijo are expressed together. Out of them, Seokamje’s Bangak-Sijos are divided into Bangak-Sijo, Seonbangak-Sijo, and Hoobangak-Sijo in the kinds, which are different from other regional styles. In this study, it analyzed the word arrangement and tunes in Bangak-Sijo, Seonbangak-Sijo, and Hoobangak-Sijo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Seokamje’s Sijos by comparison with the ones in Seokamje’s Pyeong-Sijo and Saseol-Sijo, and furthermore, looked into what are common and what are different by musical pieces in contrast with the ones in Pyeong-Sijo and Saseol-Sijo by regional styles. First, as the result from looking at the number of words in Seokamje’s Sijos, it showed in the type that the first & second parts of Seonbangak were similar to Pyeong-Sijo, while the last part was similar to Saseol-Sijo, and on the contrary for Hoobangak, it showed in the type that the first & second parts were similar to Saseol-Sijo, while the last part was similar to Pyeong-Sijo, depending on the kinds of musical pieces. In case of Bangak, it showed differences in the first part by pieces since <The One Year> was similar to Saeol-Sijo and <Yesterday> was similar to Pyeong-Sijo, but its middle & last parts were similar to Saseol-Sijo. Through this review, it was confirmed that Bangak has the flexibility in the number of words for Saseol compared to the one of Seonbangak and Hoobangak. Second, looking at the word arrangement of Seokamje’s Bangak-Sijos, it showed differences in the type of the first part’s word arrangement even though the musical pieces of Seonbangak-Sijo had same number of words. In addition, <At a Cottage> as Seonbangak, <Yesterday> as Bangak, and <March in the Beautiful Old City, Luoyang> as Hoobangak showed differences in the type of word arrangement, respectively, from the ones of other musical pieces even in the last part as well,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se differences are from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usical piece or Saseol, rather than from reading words by punctuating. Third, for the appearance note, the scale, and the range, most of the musical pieces in the first part used the notes from ‘㑖’ to ‘林’, but in case of Saseol-Sijo, ‘潢’ appears, by which it is distinguished. For the scale, all are ‘黃-太-仲-林-南’, and the tone is Hwangjongpyeong’s tone. Next, it appeared the three notes of ‘黃, 仲, and 林’ only for Pyeong-Sijo in case of middle part, which was the smallest, and showed a difference as Chungsung from ‘黃’ to ‘汰’ were used for <At a Cottage> as Seonbangak and <Yesterday> as Bangak. For other pieces, those notes of from ‘㑖’ to ‘林’ or to ‘南’ were used. In case of the tone, most of the pieces are same as they have Hwangjongpyeong’s tone, while <Yesterday> as Bangak used ‘無’, which showed an aspect of mixture. In last part, the notes from ‘㑖’ to ‘潢’ were used in general, and while it showed difference from other musical pieces as even the notes up to ‘汰’ were appeared in case of <At a Cottage> as Seonbangak, <March in the Beautiful Old City, Luoyang> as Hoobangak, and <Yesterday> as Bangak, the tone is all same as Hwangjongpyeong’s tone. Fourth, the tune of Seokamje’s Bangak-Sijo was similar to that of Pyeong-Sijo, Seonbangak, and Bangak, and to that of Saseol-Sijo and Hoobangak in case of first & middle parts. Also, for the last part, Pyeong-Sijo and Hoobangak are similar each other and the one of Saseol-Sijo, Seonbangak and Bangak are proceeding in a similar type, but in case of the latter, it showed an aspect of mixture depending on the kinds of Sijo and musical pieces. In addition, the first-gak in the first, middle and last parts showed the characteristics to proceed mostly with a similar tune by musical pieces compared with other gaks. and this can be considered as a similar type of Naedeureum, which is giving by the singer at the beginning of Pansori. Fifth, as the result from looking at the musical structure and aspects of Seokamje’s Banggak-Sijo compared with Pyeong-Sijo and Saseol-Sijo by regional styles, it was confirmed that Seokamje’s Bangak-Sijos showed in a mixture of musical characteristics from various regional styles, including Gyeongje, Naepoje, Yeongje, and Wanje, etc. In particular, the middle part showed to proceed with a variety of tunes compared to the ones of the first and last parts, and the first-gak in <The Wind is> as Hoobangak was similar to the one of Saseol Sijo in the Wanje style, while other musical pieces were similar to the one of Saseol-Sijo in the Gyeongje style. For the ones from the second-gak to the fourth-gak, Pyeong-Sijo, Seonbangak and Bangak were similar to those of Pyeong-Sijo by regional styles, including Gyeongje and Seokamje, and it showed an aspect in which the tune types from various regional styles were mixed depending on the types of Sijo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and last parts. Through this review,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middle part is comprised of more flexible and free tune types compared to other parts, and it was confirmed that depending on the kinds of Sijo, the middle part involves the most diverse characteristics of Sijo-Chang by regional styles.

      • KCI등재

        현대 시조시인의「자화상」창작 방법

        권성훈 한국시조학회 2020 시조학논총 Vol.53 No.-

        This article examined the creative methods and meanings of "self-portrait" while looking at the progenitor poet who created the modern self-portrait. In the poem, the "self-portrait", psalms have not only rendered the actual image of the poet, but also embodied narcissism in the symboliz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things. Moreover, the rational and emotional poetry that recognize the world centered on oneself through the self-portrait, is mixed or overlapped. In short, in the poetry of "self-portrait" examines the external as well as the internal problems of the subject.; it is reconstructed through self-reflection and self-examination and portrays the positive and negative consciousness of one's life and world. Unlike free poetry, the self-portrait of the progenitor has a standardized form. The selected symbol is depicted in 3 sheets, 6 sections, and 12 staves and is presented in an array of lines that make the poem verses. At this time, selecting one signifiant means, placing a symbol suitable for signification from infinite possibilities; choosing a signifiant is no different from establishing an incomplete, unconscious signified. In 'self-portrait' poems, writing is accompanied by enlightenment and romance as well as the subject’s narcissistic desire for external and internal things. It was revealed that the peculiar language habits of progenitor poets were expressed through various poetic forms and sequences of poetry lines and verses. However, Lee Eunsang, who created the first self-portrait poetry in the modern poetry, has been researched for his “self-portrait” poetry that appeared in text. After liberation in 1945, he could be regarded as the progenitor poet who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progenitor literature and progenitor paragraph in the history of modern poetry literature. These poetries are morphologically delineated into series poetries, short poetry, and free poetry, and examined for: first, how they create 'the self-portrait' of the progenitor poet, series poetries and the principle of operation in the world in the works of Lee Taekgeun and Park Byeongsun,; second, for short poetry and fundamental existence transcendence in the works of Cho Ohyeon and Yoo Jahyo, and third, free poetry and self-reflection on existence in the works of Lee Geunbae and Lee Jiyeop. 이글은 현대 자화상 시를 창작한 시조시인들을 살펴보면서「자화상」시에 대한 창작방법과 그 의미를 고찰했다. 시에서 「자화상」시편은 시인의 실제 이미지뿐만 아니라 나르시시즘을 기호 속에 용해시키면서 내적이고 외적인 것을 형상화해 왔다. 또한 자화상 시를 통해 자신을 중심으로 세계를 인식하는 시의식이 이성적이고 감성적인 것이 혼합되거나 중첩되어 있다는 것이다. 요컨대「자화상」시에서 주체에 대한 외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내적인 것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에 자기반성과 자아성찰을 통해 재구성되기도 하고 자신의 삶과 세계에 대한 긍정의식과 부정의식을 함의하고 있다. 시조의 자화상은 자유시와 달리 선택된 기호로부터 3장, 6구, 12음보를 통해 규격화되는데, 시행과 시연 등의 배열로 생성된다. 이때 하나의 기표를 선택한다는 것은 무한한 가능성 중에서 기의에 적합한 기호를 배치한다는 점에서 기표의 선택은 불완전한 무의식에 있는 기의를 확정시키는 것과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가령 ‘자화상’ 시 쓰기는 주체의 내적이고 외적인 것에 대한 나르시시즘적인 욕망을 비롯하여 계몽성과 낭만성을 동반하기도 하는데, 그 속에는 다양한 시조 형태와 시행과 시연의 배열 등을 통한 시조시인의 고유한 언어습관이 발현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한편 현대시조사에서 최초 자화상 시를 창작했던 이은상을 필두로 연구방법과 같이 텍스트에 나타난 시조시인들의 ‘자화상’ 시를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1945년 해방이후 현대시조문학사에서 시조문학의 발전과 시조문단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 온 시조시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시를 형태적으로 연시조형, 단시조형, 자유시형 등의 갈래로 구분하고 첫째 연시조형과 세계로의 작동 원리에 대해 이태극과 박병순으로, 둘째 단시조형과 근원적인 존재 초월에 대해 조오현, 유자효로, 셋째 자유시형과 실존에의 자아 성찰에 대해 이근배, 이지엽 시조시인의 ‘자화상’ 창작방법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시조 텍스트를 이용한 효율적인 글쓰기 교육전략

        김상진(Kim Sang-Jean) 우리문학회 2011 우리文學硏究 Vol.0 No.32

        시조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학 양식이다. 이 논문은 그러한 시조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현대 사회로 접어들며 ‘소통’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글쓰기의 필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글은 생각의 표현이다. 그러므로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생각을 키워줄 수 있는 많은 독서량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글쓰기 수업에서 독서에 시간을 할애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랬을 때, 시조는 글쓰기 수업에서 긴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독서를 비롯한 다양한 글쓰기의 텍스트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시조를 글쓰기 텍스트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조의 고유성에 근거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시조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세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하여 글쓰기 텍스트로 삼았다. 모방형 시조, 연작형 시조, 결합형 시조가 그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유형은 글쓰기의 절차와 단계에 따라 활용할 때 더욱 효과적이다. 즉, 모방형 시조는 상상력을 발전시켜 글감을 모으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준비단계의 텍스트로서 의미를 지닌다. 연작형 시조는 계획단계에 적합하다. 즉 개요 및 단락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유용한 텍스트가 된다. 특히 여기서는 시조를 서사물로 변환시키는 요령이 필요하다. 결합형 시조는 실전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이것으로써 모든 단계의 실행이 가능한 종합적 텍스트의 역할을 한다. 결합형 시조는 학습자의 의도에 따라 시조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생각의 표현’이란 글쓰기 본연의 취지에 가장 적극적으로 부합된다. 본고의 주된 목적은 대학에서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시조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시조연구의 지평을 넓힘으로써, 시조의 연구에도 기여하기를 기대 한다. Sijo is the our country's leading literary form. In this paper, the writing class will be on strategies to take advantage of Sijo. In modern society, ‘communic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t is associated with the importance of writing has been emphasized. Writing is an expression of thought. Therefore, to write a good article, should cultivate the power of thought. If you think to raise the power of thought then you should read lots of books. But writing in class is not easy to spend time to read. In this case, sijo can be a good text. To take advantage of the text as a writing Sijo, should be based on the uniqueness of sijo. In this paper, sijo categorized into the three types. So on and I want to be writing of the text. It is that Mimetic sijo(모방형 시조), Series sijo(연작형 시조), Combined sijo(결합형 시조). These three types are the more effective us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writing. In other words, Mimetic sijo is effective in the preparation phase. This step is the process of collecting ideas. Series sijo is suitable for the planning stage. In this step, the constructs to table of contents and paragraph. In particular, the skills are needed that sijo into the narrative. Practical steps that will be used in Combined sijo. This types is combined according to the learner's intentions. So,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writing that is 'expression of thought. And, as this type of writing is to practice all the steps. So, this is a Complex tex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ffective writing instruction in a college courses. However, expected to be useful that research of sijo. That is to say, this study will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founder. In addition to expanding the prospect of sijo study. So, I should expect that this article is to contribute to sijo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