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말기 瀟湘八景圖의 제작양상과 의미 - 소상팔경도와 시의도의 조합을 중심으로

        장계수(Jang kye-su)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1 No.3

        본고에서는 조선말기에 제작된 소상팔경도 가운데 瀟湘八景圖와 詩意圖가 조합된 형태의 작품에 대해 살펴보았다. 瀟湘八景圖와 詩意圖는 문학과 회화가 조화를 이룬 대표적인 회화로서 서로 통하는 부분이 있지만, 각각의 회화 전통을 지니고 그려져 왔다. 그런데 조선말기에는 각각의 산수화로 그려졌던 소상팔경도와 시의도가 함께 조합을 이루어 하나의 병풍으로 제작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오랜 역사를 지닌 만큼 각각의 제작 전통으로 인해 쉽지 않은 변화였다. 특히 소상팔경도의 경우는 제재가 되는 瀟湘八景이 거의 定型化되어 그려져 온 제작관습의 변화는 회화사적으로도 의미 있다. 이런 제작 양상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조선후기의 소상팔경도와 시의도의 제작 경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소상팔경도는 조선중기부터 유입된 다양한 畵譜를 참고하여, 이전시기와는 다른 소상팔경도의 定型이 완성되었다. 시의도는 중국 明代에 활발했던 시의도 제작과 畵譜의 영향으로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 두 산수화가 새로운 유형의 완성을 이루고 유행을 이끈 인물이 겸재 정선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또한 소상팔경도는 청화백자의 산수문양으로 시문되었는데, 시의도가 함께 그려지기도 했다. 청화백자에 그려진 시의도는 唐詩가 많았다. 청화백자에 소상팔경도와 시의도가 함께 그려진 점과 시의도에 주로 唐詩가 차용된 점은 조선말기 소상팔경도 제작양상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말기에 소상팔경도로 수용된 시의도 역시 唐詩가 가장 많고, 산수문양의 화제가 된 시는 대부분 소상팔경도와 시의도 합작품에서 확인되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있다. 조선말기에 보이는 소상팔경도와 시의도가 조합된 작품의 구성은 소상팔경도 7폭과 시의도 1폭, 소상팔경도 6폭과 시의도 2폭, 소상팔경도 8폭과 시의도 2폭, 소상팔경도 4폭과 시의도 4폭 등 다양하다. 이러한 조합은 조선후기에 시의도가 유행하면서 소상팔경을 대신하는 시의도를 수용하고, 이로 인해 점차 확대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후기에 유행한 시의도가 조선말기에 이르러 소상팔경도에 수용되어 함께 향유된 것은 이전 시기의 소상팔경도와는 구별된다. 조선말기에는 시의도가 조선후기만큼 애호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소상팔경도와 시의도가 조합되는 형태로 제작되는 양상은 향유층이 넓혀지고, 대중화되는 현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시의도로 제작된 시는 조선후기부터 사랑받았던 唐詩가 가장 많았다. 또한 연행에서 불린 노래 가사에도 唐詩가 많이 차용되었던 현상을 통해 당시가 대중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말기에는 이런 다양한 문화변동의 영향을 받아 소상팔경도와 시의도가 조합되는 새로운 유형의 작품이 제작되었다.

      • KCI등재

        李澄의 詩意圖 연구

        조인희 동악미술사학회 2011 東岳美術史學 Vol.0 No.12

        李澄(1581-1674 이후) 은 조선 중기 畵壇을 대표하는 畵員으로 산수, 영모 등 모든 畵目에서 고른 기량 을 발휘하였다. 특히 이징의 기량은 시를 화제로 그리는 詩意圖제작에도 발휘되어 조선 중기 시의도의 양상과 특징을 보여준다. 이징의 시의도는 조선중기 文人들의 문집 등을 통해 제작에 관한 기록과 현존하는 작품으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문헌 자료를 통해선 이징이 명나라의 朱之蕃(?-1624)이 조선에 전한『千古最盛帖』을 臨 摸했고, 成宗(재위 1469-1494)이 지은〈소상팔경시〉를 화제로 한〈소상팔경도〉를 제작했으며 羅萬甲 (1592-1642)이 소장했던 石敬(16세기 중엽 활동)이 그린『畵帖』을 복원 했다는 기록이 전한다. 이러한 기 록을 바탕으로 이징이『千古最盛帖』을 통해 詩意圖의 구체적인 형태와 이 화첩의 주요 화풍이던 중국 吳派의 화풍을 익혔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현존하는 이징의〈소상팔경도〉가 여러 폭 있어 이 화제가 그에게는 익숙한 화제였을 것이다. 따라서 성종의〈소상팔경시〉를 화제로 한〈소상팔경도〉역시 현재 전 하는 다른 작품들과 유사한 형식이었을 것으로 본다. 석경이 그린『畵帖』을 복원했다는 기록을 통해 이 징은 李荇(1478-1534)의 시를 비롯해 한 시대를 풍미한 시를 화제로 시의도를 그렸음을 알 수 있다. 현존하는 이징의 시의도로는 趙光祖(1482-1519)의 題畵詩를 화제로 그린〈蘭竹屛〉과 鄭汝昌(1450-1504) 의 시〈岳陽〉을 화제로 하여 그린〈花開縣舊莊圖〉가 있다〈. 난죽병〉은 후학들이 조광조의 학덕과 곧은 절 개를 기릴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화면에 표현된 난과 대나무는 강약이 절제되어 유연하며, 농묵과 담 묵의 혼용으로 먹색의 변화를 주어 조선 중기의 시대 양식을 보여준다. 〈난죽병〉을 통해 이징은 詩가 갖 는 관념성을 극복하기 위해 시각적 이미지는 물론 청각, 후각적 이미지도 시각화하며 화가로서의 역량을 발휘했다. 〈화개현구장도〉는 정여창의 시〈악양〉을 화제로 그의 옛 주거지를 그린 것이다. 특히 實景을 詩句에 의존해 勝景의 관념 산수의 틀로 환치해 그려졌다는 점에서 문학과 회화의 주된 소재였던‘瀟湘 八景’에 대한 이징의 인식과 이와 관련된 도상적 친연성을 찾을 수 있다. 이상에서 논의 한 이징 시의도의 특징은 첫째, 시의도의 화제가 된 시들은 조선 문인들의 시와 제화시 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畵題가 된 시들은 개인적인 상념이나 감상등의 서정적인 표현을 넘어 당시의 사 회상을 보여준다. 셋째, 왕공 사대부의 주문에 의해 그려졌다. 넷째, 시의도의 화면 형태는 시와 그림이 각각의 화면에 분리된 것이 많다. 다섯째, 시의도의 화목은 산수화, 사군자가 주를 이루었다. 戰亂, 朋黨, 士禍등을 겪으며 변화하는 사회, 그 혼란과 폐해를 딛고 새로운 틀을 짜는 시대의 중심에 서 李澄은 그림을 통해 시대를 대변했다. 특히 이징의 시의도는 조선 중기 시대상을 알 수 있는 작품일 뿐만 아니라 이어지는 조선 후기 화단에서 다양한 화제로 활발하게 그려진 시의도의 초기 형태를 보여 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Lee Jing(1581-1674 after)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artists in the middle era of the Joseon Dynasty who displayed similar strength in every field of painting such like landscape and animals. Especially, he had onstanding capacity of making‘ poetry-based-paintings’demonstrating the patterns and trends of paintings in the period. This article aim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trybased- paintings through deep review on those works. By literatures and documents by Confucian scholars of the period, we can recognize that Lee tried to copy the 『Qian-gu-zui-sheng-tie』for learning its style and mentality which was followed the tradition of the Oh painting school and imported into the Joseon society by Ju Jee-Bun(?-1624) of the Ming Dynasty, painted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which was based on the poem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of the Chinese emperor Sung-Jong(1469-1494), and recovered 『Picture album』which was originally painted by Suk Kyung(about 1500s). These facts means that he would have learnt the details of the painting pattern and style of the Oh school by the practice of copying their works. Drawing the painting based on the landscape poem,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and the work of recovering 『Picture album』could make him to a great extent familiar to making the poetry-based-painting. The existing poetry-based-paintings of Lee are two; one is <Orchids and Bamboos> based on the poem for painting by Cho Kwang-Jo(1482-1519), the other is <A Country House on Whagae- Prefecture> took Chung Yeo-Chang(1450-1504)’s poem, <Akyang>. <Orchids and Bamboos>, which was promoted to praise the scholastic virtue and strong fidelity of Cho Kwang-Jo by his disciples, was having shown the typical style of the middle era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constrained but tender expressions and harmonious changes of density of the inky black. Lee demonstrated the competency as a excellent painter, visualizing auditory and olfactory images, which made him able to overcome the ideality of the poetry through it. <A Country House on Whagae-prefecture> is what he portrayed the old dwelling site of Chung Yeo-Chang on the base of his poem <Akyang>. We can find out Lee’s ideas on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which was the main object of literature and arts and the compositional affinity deeply involved with those in that real landscape was painted as a ideal one of beautiful scenery following the meaning of poetry. The characteristics of Lee’s poetry-based-paint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t first, it is clear that the main object of his poetry-based-paintings was the poems of the scholars of the Joseon . Secondly, the poems portrayed the social aspect of the period as well as describing the romantic expressions of individual emotions. Thirdly, the poetry-based-paintings was mainly ordered by the royal family and power elites of the Joseon society. Forth, many paintings is divisional in the composition of picture and poem. which composition. Last, the main themes of the poetry-basedpainting are landscape and four honourable plants.

      • KCI등재

        동아시아 당시의도(唐詩意圖) 비교 연구 -16-19세기 왕유, 두보 시의도를 중심으로-

        조인희 ( Cho Inhee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7 동양예술 Vol.34 No.-

        본 논의는 16-19세기 동아시아 3국에서 동일한 화제로 그렸던 왕유시의도와 두보시의도비교를 통해 양상과 특징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작품에 내재된 공통 인식과 표현의 독창성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중국 한자 문화의 영향권에 있던 조선 후기와 에도시대는 시화일률이란 문예적 지향, 왕유와 두보 작품의 문학적 탁월성과 시가 지닌 회화성, 시인에 대한 역사적 평가 등에 긍정적 인식을 같이한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왕유의 『망천집』의 일련의 시들과 「종남별업」, 「종남산」 두보의 「南隣」, 「秋興八首」, 「飮中八仙歌」, 「登高」, 「春夜喜雨」 등의 詩句가 공통의 시의도 화제가 되었다. 화제가 된 시의 내용은 은일자의 삶을 읊은 것, 산수자연의 경치나 사계절의 정서를 표현한 것, 중국 유명인의 故事를 표현한 것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화제는 산수 인물화의 형태로 화면에 표현되었다. 명청대 화가들은 화면 가득 경물을 배치하는 치밀한 필법으로 시 내용의 배경이 되는 산수 표현에 보다 적극적임을 알 수 있다. 조선후기 화가들의 보다 간략한 필선으로 시의를 표현하고 있다. 특히 조선후기 시의도에서 주목되는 것은 중국에서 전래된 『개자원화전』 등 화보의 화면을 적극적으로 차용해 중국의 시의도와는 다른 화면을 보이고 있다. 또한 화제의 詩意표현에 인물을 자세, 동작 등을 강조하며 산수표현보다 중시한 경향을 보인다. 에도시대 시의도의 경우 일부 漢學派를 중심으로 그려졌고 중국화보에 소개된 준법을 사용해 경물을 유기적으로 화면에 배치하고 있다. 명청대에는 조선후기나 에도시대에 비해 시의도가 화첩형태로 전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의 논의 결과 명청시대의 화가들은 시의도를 통해 宋代부터 이어진 詩畵一律의 예술적 지향을 이루려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의 화가들은 조선 치국의 이념이 된 성리학적 理想像과 自然觀을 바탕으로 시의도를 통한 詩畵一律이란 문예적 성취를 추구했다. 반면 에도시대 화가들에게 왕유 시의도와 두보시의도는 중국문화에 대한선호의 대상으로 인지되며 시도되었다. 문인계급의 부재라는 사회적 특성은 당시의도의 제작을 적극화하는데 쉽지 않았고 시를 그린다는 형식적인 면을 자국화해 일본의 정형시인 하이쿠(俳句) 화면에 옮기는 하이가(俳畵)의 발달로 이어진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동아시아 3국에서 공통된 화제로 그린 왕유, 두보시의도 비교는 시의도가 발생국에서 발달되는 과정은 물론 주변의 동일 문화권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수용하는 지역의 사회 이념과 미적 취향을 담으며 변화하고 자국화되며 더 나아가 독자적 회화 영역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oem- based paintings of China(Ming dynasty & Qing dynasty), Korea(Joseon dynasty), and Japan(Edo dynasty) in the 16-19 centuries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these countries` paintings based on the similar lyrics of Wang Wei(699-759) and Tu Fu(712-770). They seems to be sharing the literary aesthetics of paintings and the special respects on the excellent picturesqueness of their poems. Meanwhile the point is that each country had developed its idiosyncratic traits while they chose the same lyrics of Wang Wei and Tu Fu as the subjects of their paintings. Chinese painters tried to achieve the aesthetic goal of “the homogeneity of painting and poetry” continued from the Song Dynasty. Joseon` painters had an orientation to stress the ideological nature of the confucian philosophy called Sung Confucianism. In the Edo Dynasty of Japan, the arts for the literati were less salient with the political and cultural dominance of the Samurai class, which was resulting in the premature in the poem-based painting genre. Rather the concern with literature was developed into the blooming of its ingenious poem style called “Haiku.” In conclusion, the three countries of the East Asia developed their unique style while sharing the oriental tradition of the poem-based paintings.

      • KCI등재

        단원 김홍도의 시의도(詩意圖) 연구

        조동원 ( Cho Dongwo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7 동양예술 Vol.37 No.-

        문예부흥기라 불리는 조선후기(1700-1850)는 남종문인화풍이 본격적으로 유입되면서 詩畵가 一律을 이루는 詩意圖가 유행하였다. 그에 따라 화원화가였던 檀園 金弘道(1745-1806?)는 文藝一致의 문인화형식을 통해 문사의식을 표출하였고, 특히 詩意圖에서 더욱 志趣가 넘치는 개성을 드러내었다. 다양한 시대정신을 독창적 심미의식으로 창출하는 단원의 화풍은 당대의 전형이었고, 남종문인화풍인 詩意圖를 주도하고 있었다. 그동안 단원에 대한 연구는 부단하게 이루어져왔지만, 詩書畵 三絶로서 단원의 詩意圖를 독자적으로 연구한 경우는 미미하다. 이에 본고는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화가 단원의 철학적 사유와 문예적 기량이 발휘되고 있는 詩意圖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당대의 회화미학에 대한 논의로 이어가고자 한다. 18세기의 새로운 회화양식인 詩意圖는 다양한 시대정신과 美意識을 반영하고, 화가의 철학과 인품을 반영하였다. 특히 자율적인 심미의식으로 창출된 단원의 詩意圖에는 儒·佛·仙과 실학, 그리고 양명학 등 다양한 사유들이 내재되어있다. 즉, 成敎化助人倫的사유를 詩意圖에 반영하였고, 성리학적 이상을 實景山水 詩意圖에 담아내었다. 그리고 당대에 널리 애송되던 唐宋詩와 朝鮮詩등의 詩的 情趣를 서정적 詩意圖로 형상화했다. 文以載道的 詩言志가 있고, 詩로써 心象을 표현하며, 畵로써 형상을 이루었다. 나아가 단원의 詩意圖는 정조의 정치적 理想과, 隱逸處士들이 동경하던 儒家的 理想鄕과 초월적 자유로움으로 펼쳐지는 仙佛的 仙境을 개성있게 구현해내고 있다. As Nanzong literary painting style flowed in earnest upon the Joseon Renaissance in late Joseon period(1700-1850), paintings - When Nanzong literary painting style was introduced in the Joseon Renaissance, late Joseon period (1700-1850), Shieuido paintings. Thus, Danwon Kim Hongdo (1745-1806?), a painter in painting art academy, expressed awareness of a literary man through the literary painting form of literature and art being one and particularly exhibited his individuality with more will and taste on paintings expressing poetic ideas. Danwon’s painting style was the then archetype that created various spirits of the times through original aesthetic awareness and that was leading the Shieuido, the Nanzong literary painting style. Studies on Danwon had been consistently made but independent studies on Danwon’s Shieuido as three excellencies of poem, calligraphy and painting had been insignificant so far. This study, therefore, is to examine Shieuido on which philosophical thinking and literary ability of Danwon, the representative late-Joseon painter, and made a discussion on pictorial aesthetics of that period. Shieuido, a new painting form in 18thcentury, reflected various spirits of the times and aesthetic sense and the painter’s philosophy and character as well. Diverse idea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Zen, Silhak(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and the doctrines of WangYangming are inherent particularly in Danwon’s painting expressing poetic ideas created by voluntary aesthetic awareness includes. In other words, the idea that art should educate people and help with the irmorality was reflected to his painting expressing poetic ideas and Neo-Confucian ideals were expressed with paintings expressing poetic ideas in real scenery landscapes. Poetic taste of poems of Tang, Song and Joseon that people loved to recite that time was given shapes with lyrical Paintings expressing poetic ideas. They demonstrate idea so poetry speaking one’s will while the writing so fhismind(文以載道的 詩言志); express imagery with poetry and; had a shape with painting. Furthermore, Danwon’s Shieuido embodied political ideals of King Jeongjo; Confucian utopia that scholars living in seclusion longed for and; enchanted land of Zen Buddhism with transcendental freedom.

      • KCI등재

        謙齋 鄭敾의 寫意山水畵 연구

        박은순(Park, Eunso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7 美術史學 Vol.- No.34

        본고에서는 겸재 정선이 제작한 詩意圖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시의도는 조선 후기 화단의 새로운 경향으로 주목되는 회화분야로서 크게는 사의산수화의 한 경향이다. 정선은 진경산수화의 대가로서 높은 명성을 누렸지만, 평생동안 꾸준히 사의산수화도 제작하면서 진경과 사의의 경계를 넘나드는 畫境을 추구하였다. 본고에서는 먼저 정선이 제작한 시의도의 전반적인 면모를 확인하기 위해서 현존하는 시의도 관련 기록과 작품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서 정선이 陶潛의 「歸去來辭」를 토대로 한 시의도를 지속적으로 제작하였고, 그 이후의 시로는 唐詩를 자주 인용하였으며, 宋詩나 明詩, 朝鮮詩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으로 인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당시 중에서도 半官半隱을 추구한 王維의 시를 가장 자주 인용하였는데, 이는 관직에 있으면서도 脫俗을 추구했던 왕유의 삶을 추앙하고, 이를 현실 속에서 실천하려고 하였던 이 시기 조선 사대부 선비들의 心想을 시사하는 현상이다. 이후에는 정선의 생애 주기에 따른 시의도의 제작양상과 시의도의 시기별 특징을 정리하였다. 정선의 시의도 관련 활동은 3,40대 중년기로부터 확인되는데, 왕유와 관련된 기록이 많았다. 이 시기의 시의도로서 현존하는 작품은 거의 없지만, 30대부터 진경을 그릴 때 시적인 畫意를 담아내려고 하였던 만큼 시의도에 대한 관심은 젊은 시절부터 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선의 시의도와 관련하여 가장 많은 작품과 기록이 전해지는 시기는 개성적인 화풍과 화경이 정립된 5,60대인 노년기이다. 이 시기에 정선은 진경산수화를 그릴 때 시 의도의 성격을 가미하거나, 시의도를 그릴 때 진경산수화적인 요소를 가미하는 등 진경과 사의의 경계를 넘나들며 자유롭게 창작에 임하였다. 시적인 이상이 곧 현실적 속에서 이루어진 것을 시사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정선은 말년기에도 독자적인 경지를 모색하며 시의도를 꾸준히 제작하였다. 《사공도시품첩》, 王守仁의 明詩 등 중년기나 이후 다른 화가들이 다루지 않은 시를 표현하는 등 독창적인 면모를 드러내었다. 말년기에는 화풍이 도식화되었는데, 이러한 특징은 진경산수화와 사의산수화 양 방면에서 모두 나타났다. 특히 진경산수화의 화풍과 기법이 시의도 속에 혼효되는 일이 잦아졌다. 정선은 진경과 사의를 넘나들면서 현실 속의 이상, 이상에 대한 지향을 지속적으로 모색하였던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si-eui-do, 詩意圖(poetic painting) by Jeong Seon(1676-1759). Though Jeong Seon is well recognized as a master of the true-view landscape painting, his imagery stretched beyond it. The preceding contents of this article is a catalogue of existing records and works on poetic painting by Jeon Seon. It suggests that Jeong Seon quoted preferably from poems of Tang period, and quite reluctantly from Sung, Ming, and Korean poems. Wang Wei’s poems were most often quoted. The liking of such mirrors the images of the mind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18th century, valuing the lifestyle of Wang Wei. In the latter part of this article Jeong Seon’s poetic painting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specific time periods. Considering that his effort to dissolve poetic images to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started in his 30’s, it can be assumed that Jeong Seon had interest in poetic painting from his earlier days. In his elderly years from 50’s to 60’s, Jeong Seon firmly established his imagery and painting style. His works of true-view landscape were imbued with attributes of poetry, and of course, the reverse as well, an implication of poetic ideals taking place in reality. Jeong Seon’s dedication to poetic paintings did not wither in his 70’s and 80’s, more later years. Though his effort, as referencing poetry neglected by other painters, resulted originality, both Jeong Seon’s true-view landscape and poetic painting started to show stereotyped painting styles. Jeong Seon yearned for realization of ideals, through his imageries of true-view landscape and poetic painting. His life was a tireless search for the ideal which was expected to be realized in reality.

      • KCI등재

        王維 詩意圖를 통해 본 朝鮮 文人들의 理想

        조인희 동악미술사학회 2015 東岳美術史學 Vol.0 No.17

        唐代시인 왕유(699~759)의 시는 조선시대 시의도의 화제로 애용되어 현재 30여점의 작품 이 전하고 있다. 그가 隱逸했던 輞川에서 쓰여진 『輞川集』의 10편, 「終南別業」, 「田園樂」 등 의 시는 조선 초부터 그려져 감상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특히 조선후기에 이르면 화가 윤두서 (1668~1715), 정선(1676~1759), 강세황(1713~1791), 심사정(1707~1769), 김홍도(1745~?), 이 방운(1761~?) 등의 작품에 화제가 되었다. 왕유 시의도는 산수 자연과 사계절의 정취를 표현 한 杜甫(712~770) 시의도와는 달리 문인들의 理想鄕과 理想像, 즉 중국 絶景에 대한 동경이 이상향으로 전환되어 추구된다는 점과 儒者의 이상상인 은일자의 삶과 서정을 표현한 것이 주를 이룬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왕유의 시 「도원행」과 『망천집』등은 ‘도원’이라는 관념적인 장소는 물론 ‘망천’이라는 중 국 실경에 이상향을 기탁해 지향한 조선 문인들의 문화적 수용과 조선 정착의 예를 보여준다. 따라서 《천고기관첩》의 <도원도>, 정선의 <초객초전>, 이방운의 <망천십경도> 등 시의도 는 중국 작품을 바탕으로 정형화된 산수 표현으로 이상향의 모습을 보여준다. 조선 문인들에게 은거지로 인식된 망천에서의 삶은 왕유의 시 「終南別業」, 「田園樂」, 「망 천한거」 등의 구절을 그린 시의도를 통해 이상적인 은일자의 삶이 묘사되었다. 윤두서의 <좌 간운기시>, 정선의 <좌간운기>, 김홍도의 <고사관수도>, <산거한담> 등은 왕유의 시구를 화 제로 하여 유학자가 지향하는 은거의 일상을 그린 시의도이다. 따라서 화면에서 인물의 표현 에 중점이 주어지고 이 과정에서 『개자원화전』과 같은 중국화보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조선시대 문인들은 王維 詩意圖를 통해 지향했던 理想鄕과 隱逸 추구의 理想像 을 표현했음을 알 수 있다. Poems of Wang Wei(699-759) of Tang Dynasty was used regularly as objects of poetry- based paintings in the Joseon period, 30 works of which remains until now. Especially, leading painters such as Yoon Du-seo(1668-1715), Chung Sun(1676-1759), Kang Se-whang(1713-1791), Shim Sa-jung(1707-1769), Kim Hong-do(1745-?), Lee Bang-un(1761-?) made their works using Wang’s poems as painting’s objects. It is interesting in that Wang’s poetry-based paintings mainly express utopian ideas of Joseon literati and the life and lyricism of hermits, contrary to poetry-based paintings of Tu Fu(712-770) which focus on the emotional feeling of nature and seasons. As Joseon literati passionately desire to see the superb scenery in China, the scenery had gradually become their ideal place, or utopia. <Peach Blossom Spring>of 《Album of Wonderful Ancient Stories》, Chung Sun’s <Peach Blossom Spring>, and Lee Bang-un’s 《Ten Views of the Wangchuan Villa》 are the paintings that show us how Joseon literati culturally accepted chinese real or ideal scenery as their utopia and that reveal standardized expression of ideal nature based on chinese scenery and poems. Yoon Du-seo’s <Sit and watch the time When clouds rise, Chung Sun’s <Sit and watch When clouds rise, Kim Hong-do’s <Sage having water watched> represent the daily life which literati looked for using as painting’s objects Wang’s poem 「My Cottage at Deep South Mountain」, 「Joy in the countryside」, 「Living Lazily by the Wang River」, 「Written at Wang River Estate in the Rain」 etc. It would be the case that there were some influence on the paintings by Chinese pictorial books like 『Mustard Seed Garden Manual of Painting』. We can find out that Joseon literati pursued their utopia and hermit-like life through Wang’s poety-based paintings and it will be useful to understand their life and the nature of their aesthetic spirit.

      • KCI등재

        정선(鄭敾)의 `시의도(詩意圖)`를 통해 본 `시(詩)`와 `그림(畵)`의 상호작용에 대한 고찰

        강여울 ( Kang Yoewool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동방학지 Vol.179 No.-

        동아시아 회화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시(詩)`와 `그림(畵)` 사이의 유기적이면서도 역동적인 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 시와 회화 간의 밀접한 관계는 당말(唐末)에서 송대(宋代)를 거치며 성립된 문인화(文人畵)의 전통 속에서 더욱 확고해져 갔으며, 시를 주제로 창작된 회화인`시의도(詩意圖)`는 점차 동아시아 회화의 대표적 장르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이처럼 그림과 글을 예술적 총체로서 결합하여 보는 전통은 조선시대 문인들의 회화 창작에도 반영되었다.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759)은 조선 후기에 들어서며 더욱 활발하게 제작된 `시의도`의 유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 화가들 중 한 명이다. 이 글에서는 정선의 구체적인 작품들을 통해 동아시아의 `시화일률(詩畵一律)`의 전통이 함축하는 철학적, 미학적 논의들에 대해 고찰한다. 동아시아 예술에서 시와 회화 두 예술 장르들이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반으로 통합되거나 상호 확장하며 새로운 은유와 상징을 만들어 내는 방식들을, 작품 분석뿐 아니라 서양 예술관과의 비교를 통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정선의 시의도 작품들을 통해, 시적 이미지에 근거해 만들어진 도상화된 이미지의 활용, 시의(詩意)와 화의(畵意)의 상호 전환과 확장, 현실의 경험을 통한 시정(詩情)과 그림의 통합 등, 동아시아 회화 전통 속에서 시와 그림의 상호작용이 지닌 특수성과 가치들을 밝혀보고자 한다. One of the most significant qualities of East Asian painting lies in the organic and dynamic interplay between “poetry” and “painting.” This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painting was firmly established in the tradition of literati painting that was formed in the years from the late Tang Dynasty to the Song Dynasty. A great number of paintings based on poems - called “poetry paintings” - were created from the Song Dynasty onward, and this holistic view of poetry and painting also influenced the artistic creation of the Joseon Dynasty`s literary circles. Gyeomjae Jeong Seon (1676-1759) was one of the most prominent painters who led the trend of “poetry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essay explores the philosophical and aesthetic implications of the integration of poetry and painting in East Asian art through Jeong Seon`s works inspired by poetry. The process by which these two different art forms were fused and expanded based on their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to create new metaphors and icons is discussed through an analysis of Jeong Seon`s art works as well as a comparison with Western theories.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the interplay between poetry and image in East Asian painting - including the appropriation of poetic images, the interchange between poetic implication and visual expression, and the interweaving of personal experiences, poems, and images - are illuminated.

      • KCI등재

        조선 후기의 杜甫(712-770) 詩意圖

        조인희(Cho, Inhee)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4 美術史學 Vol.- No.28

        중국 최고의 시인이라 불리우는 杜甫(712-770)의 시는 조선 후기 시의도의 화제로 가장 많이 쓰여 주목된다. 본 연구는 조선 후기에 그려진 唐詩意圖중 가장 다양한 시가 화제로 그려진 杜甫詩意圖를 논의의 초점에 두었다. 조선후기에 두보시의도가 특히 많이 그려진 요인으로는 憂國憂民의 시인이란 두보의 위상과 충효를 중시하는 조선의 성리학이 맥을 같이 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두보의 시가 가지는 문학적 탁월함 또한 시의도 표현에 주요한 요인이 되었다. 즉 두보 시에 보이는 회화성 짙은 표현과 색채미는 시의도 화제로서 적합한 요인이 되었다. 그 결과 두보의 시 중 ?小寒食舟中作?, ?春夜喜雨?, ?秋興八首?, ?登高?, ?飮中八仙歌?, ?南隣?등 20 여편의 詩가 시의도의 화제가 되어 강세황, 이인상, 심사정, 이방운 등의 문인화가는 물론 김홍도, 이인문 등 화원들에 의해 다수 그려졌다. 두보 시의도의 유형은 四季의 풍광을 담은 것, 산수의 정취를 담은 것 그리고 중국의 고사 인물을 표현한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조선후기 화가들은 이를 표현하기 위해 시의 전문을 화제로 하지 않고 일부 구절만을 화제로 하는데, 이때 화제가 된 시구는 시의 全文에 담긴 정서와는 무관한 화면으로 드러나기도 한다. 한편 두보시의도의 경우 화가들의 역량을 바탕으로 畵意가 표현되었으나, 일부 화면에서는 『唐解元倣古今畵譜』와 같은 중국화보 화면의 차용도 이루어졌다. ?飮中八仙歌?와 같은 연작시를 화제로 하는 경우, 중국의 횡권 형식과는 달리 단일 화면으로 표현하는 것을 선호 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두보 시의도는 두보에 대한 추앙과 杜詩에 대한 선호를 바탕으로 조선 후기에 활발히 그려졌던 시의도의 주요한 양상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poetry of Tu Fu(杜甫, 712-770), who was called the best poet of China, were especially much borrowed as objects of the poetry-based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paintings which were based on Tu Fu’s poetry. In the late Joseon period, painters had drawn the paintings based on Tu Fu’s poetry. The reason seems that Tu Fu‘s reputation as a poet of patriotism and loyalty corresponded to the request of Neo-Confucianism stressing the value of allegiance at that time. The additional secret of his popularity is the excellent lyricism and colorful expression which his poetry reveal. Consequently, the 20 and more poems of ?Written Aboard a Boat on the ‘Little Cold Food’ Day(小寒食舟中作)?, ?Enjoying Rain on a Spring Night(春夜 喜雨)?,?Eight poems of Autumn Meditations (秋興八首)?, ?Climb up High Mountain(登高)?, ?Song of Eight Immortal Drunkers (飮中八仙歌)?, ?Neighbor at the South(南隣)? etc among his poems had been drawn as poetry-based paintings by the literati painters such as Kang Se-whang(姜世晃, 1713-1791), Lee In-sang(李麟祥, 1710-1760), Shim Sa-jung(沈師正, 1707-1769), Lee Bang-un (李昉運, 1761-?) etc as well as the official painters affiliated in a royal institution such as Kim Hong-do(金弘道, 1745-?), Lee In-moon(李寅文, 1745- 1821) etc. The verses used as painting objects are mostly the expression to be easy for visualization and to reveal human sentiments. Therefore, many Tu Fu’s poetry-based paintings aim to deliver the sentiments on the natural scenary of four seasons. What is expressed in a poetry-based painting is no coincident with the contents of the whole poem because just a few verses, not a full poem, are selectively used for painting. While some Tu Fu’s poetry-based paintings were drawn just according to the Chinese pictorial books, we can identify that there were excellent painters in the late Joseon period who were able to express independent pictorial meanings, which distinguished clearly from the Chinese.

      • KCI등재

        대학생 유튜브 브이로그(Vlog) 시청자의 시청동기와 지속시청의도 관계 분석 -시청몰입과 시청만족을 매개변인으로-

        정윤주,김종무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1 No.-

        본 연구는 유튜브(YouTube) 브이로그(Vlog)를 시청하는 대학생들의 시청동기 요인을 파악하고, 시청동기가 시청만족, 시청몰입,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시청동기와 지속시청의도간의 관계에서 시청 몰입과 시청 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9년 8월 14일부터 9월 14일까지 온라인 설문 후 오류가 없는 33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튜브 브이로그 시청동기 요인은 외로움 해소, 매개된 관음증, 시간 보내기, 오락추구 4가지로 구분되었다. 둘째, 유튜브 브이로그 외로움해소 시청동기 요인은 시청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시청만족과 지속시청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튜브 브이로그 매개된 관음증 시청동기 요인은 시청몰입, 시청만족, 지속시청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튜브 브이로그 시간보내기 시청동기 요인은 시청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시청만족과 지속시청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튜브 브이로그 오락추구 시청동기 요인은 시청몰입, 시청만족, 지속시청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시청몰입은 매개된 관음증, 오락추구 시청동기 요인과 지속시청의도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갖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청만족은 매개된 관음증, 오락추구 시청동기 요인과 지속시청의도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고 있었다. 즉, 매개된 관음증, 오락추구 시청동기 요인은 시청만족의 매개효과가 없으면 지속시청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못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 유튜브 브이로그 시청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수용자의 이용과 충족 이론을 기반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연구의 폭을 넓혔음에 의의를 가지며, 기존 선행연구의 전통/뉴미디어의 시청동기에서 파악할 수 없었던 ‘매개된 관음증’동기가 추가되었다는 점이 이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This thesis helps understand viewing motivation factors of undergraduates who watch a Vlog on YouTube, and suggests effects of viewing motivation about viewing satisfaction, viewing flow,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Also, in relation of viewing motiva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It has a purpose to reveal their relationship on viewing flow and viewing satisfaction Empirically do roles as intermediation. For that, we did a questionnaire on the Internet from 14 Aug 2019 to 14 Sep 2019 and analyzed the data of 332 papers were used to an analysis of result except some papers written by unfaithful people and someone who haven't ever watched YouTube. First of all,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viewing motivation of watching a Vlog on YouTube was divided into 4 factors such as loneliness alleviation, mediated voyeurism, killing time, and entertainment motivation. Second, It is represented that loneliness alleviation by watching a Vlog on YouTube has a positive effect to viewing flow, but It doesn’t have positive effect to view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Third, It is shown that mediated voyeurism by watching a Vlog on YouTube has a positive effect to viewing flow, view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Forth, It is presented that killing time has a negative effect to viewing flow, and view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don’t have any effect to killing time motivation. Fifth, It is signified that entertainment motivation by watching a Vlog on YouTube has a positive effect to viewing flow, view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Sixth, viewing flow have a partial mediation about a relationship of mediated voyeurism, entertainment motiva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Finally, viewing satisfaction have a perfect mediation about a relationship of mediated voyeurism, entertainment motivation, and persistent viewing intention. In other words, mediated voyeurism and entertainment motivation doesn’t have any direct effect to viewrs’ satisfaction, if it doesn’t have an mediated effect of viewing satisfaction. Like this results, the research of viewers who watch a Vlog on YouTube has a further significance. Because, there is scarce information about watching a Vlog on YouTube and precedented research was rarely conducted. Based on receiver’s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It has a significance, because this research empirically validities a hypothesis and widens widths of a study. Also,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because ‘mediated voyeurism’was added which couldn’t be grasped by studying viewing motivation of traditional/new media.

      • KCI등재

        TV 및 광고 시청동기가 TV PPL 이용의도와 회피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하나(Ha Na Lee),장병희(Byeng Hee Chang),이선희(Sun Hee Lee),구지혜(Ji Hae Goo),이양환(Yang Hwan 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3 No.3

        이 연구는 수용자들을 세분화하는 방식으로 TV 및 광고의 시청동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기존 광고효과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광고 회피의도와 함께 광고 이용의도를 분석에 투입하였다. 특히 PPL에 대한 태도를 TV 및 광고 시청동기와 PPL 이용의도 혹은 회피의도 간 매개변인으로 투입하여 이론적 정교화를 추구하였다.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TV 시청동기와 광고 시청 동기가 PPL에 대한 태도, PPL 이용의도, PPL 회피의도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TV 시청동기 중 정보획득 및 여가 동기가 PPL에 대한 태도에, 그리고 정보획득, 즐거움, 여가, 관계유지 동기들이 PPL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PL 회피의도에 대해서는 즐거움, 여가, 관계유지 동기들이 유의미하였다. 광고 시청동기들의 경우 PPL에 대한 태도에 대해서는 적절한 설명력을 보였지만 이용의도 및 회피의도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력은 상당히 제약되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V and advertisements viewing motivations in order to segment audience. Also, this study incorporated the intention to use advertisements as well as the intention to avoid advertisements into research models. Especially,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elaborations by assuming attitude toward PPL as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TV or advertisements viewing motivations and intentions to use or avoid PP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of survey data from 500 individuals showed that TV and advertisements viewing motivations were useful in explaining attitude toward PPL, intention to use PPL, and intention to avoid PPL. Specifically, among TV viewing motivations, information acquisition and leisure were related with attitude toward PPL information acquisition, enjoyment, leisure, and relationship maintenance with intention to use PPL, and enjoyment, leisure, and relationship maintenance with intention to avoid PPL. Advertisements viewing motivations appropriately explained attitude toward PPL, but their direct effects on intentions to use or avoid PPL were strictly restri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