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한 예술적 시민 교육 방안 탐색: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중심으로

        최진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rtistic citizenship education methods for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Methods After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artistic citizenship to global citizenship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cepts of global citizenship and artistic citizenship, and designing the content system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o educate artistic citizenship in schools, based on this, the methods reconstruction of music curriculum for the the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as presented. Results The content system of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for artistic citizenship is based on three areas: artistic responsibility, artistic competence, and participatory art. Artistic competence is the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of oneself/others through artistic expression, artistic responsibility is imagining, reflecting and empathizing with the world through art, while participatory art is expressing a voi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through bonding, caring, and service through ar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in connection with art subjects, subject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in the process, self/other understanding, imagination, reflection, empathy, care, and service have values. Conclusions Artistic citizenship enables global citizenship to be cultivated through empathic and a divergent approach. however to this end, flexibility in curriculum operation, collaboration and empowerment of teachers, and provision of school facilities for participatory arts, and continuous research on artistic citizenship is requir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한 예술적 시민 교육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세계 시민성과 예술적 시민성의 개념을 비교⋅분석하여 예술적 시민성이 세계 시민성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확인하고, 예술적시민성을 학교 안에서 교육하기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의 내용 체계를 설계한 후,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음악과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예술적 시민성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의 내용 체계는 예술적 책임, 예술적 역량, 참여적 예술의 세 영역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예술적 책임은 예술을 통해 세계를 상상하고, 공감하고, 성찰하기, 예술적 역량은 예술 표현을 통한 나/타자의 탐색과 이해, 참여적 예술은 예술을 통한 유대, 배려, 봉사로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목소리를 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술 교과,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연계한 교육과정 재구성이 필요하며, 그 과정에서 자기/타자 이해, 상상, 성찰, 공감, 배려, 봉사라는 가치를 갖는다. 결론 예술적 시민성은 공감적⋅확산적 접근으로 세계 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운영의 유연성, 교사들의 협업과 역량 강화, 참여적 예술을 위한 학교 기반 시설 마련 그리고 예술성 시민성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예술교육의 정치: 시민성 개념을 중심으로

        심보선(Bo-Seon Shim) 한국문화사회학회 2020 문화와 사회 Vol.28 No.3

        본 연구는 예술교육 및 그 이념적 토대로서의 문화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를 “시민성” 개념을 통해 살펴본다. 기존의 연구가 문화 정책의 타당성이라는 견지에서 예술교육을 살펴보았다면 본 연구는 민주적 주체성을 구성하는 문화정치적 동학의 관점에서 예술교육을 살펴본다. 역사적으로 문화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는 예술을 둘러싼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사이의 헤게모니와 저항을 반영하며 두 이념이 표방하는 예술교육은 그러한 상징투쟁에 관여하는 주체성을 구성하는 프로그램으로 제안되었다. 이때 문화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에 상응하는 예술교육은 “예술적 시민성”과 “문화적 시민성”이라는 민주적 주체성의 개념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예술적 시민성과 문화적 시민성을 각각 문화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의 예술교육이 구성하는 주체성으로 개념화하면서 부르디외의 사회학 이론과 랑시에르의 미학 이론을 통해 그 가능성과 한계를 가늠해본다. 예술적 시민성과 문화적 시민성 개념은 예술에 잠재하는 주체화의 정치적 지평을 밝힘으로써 예술교육 내부에 존재하는 긴장과 모순을 드러낸다. 나아가 본 연구는 그러한 긴장과 모순을 단순히 해소할 것이 아니라 제도적이고 행위적인 “성찰성”의 토대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예술교육은 민주적 주체성이 실험되고 실현되는 “논쟁적 공론장”으로 재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democratization of culture and cultural democracy as the ideological basis of art education drawing on the notion of citizenship. Whereas the existing studies have discussed art education in terms of validity of cultural policy, this study explores 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cultural politics that construct the democratic subjectivity. Historically, democratization of culture and cultural democracy respectively reflect hegemony and resistance around art. Art educations that derives from the two ideologies has been proposed as programs to construct subjectivities involved in the symbolic struggles. The notions of artistic citizenship and cultural citizenship as democratic subjectivities can shed a light on art education programs of democratization of culture and cultural democracy. This study utilizes the sociological theory of Pierre Bourieu to understand artistic citizenship and the aesthetic theory of Jacque Rancière cultural citizenship, which reveal the tensions and contradictions inherent in political subjectification of art and art education. This study argues that art education should not simply resolve the tensions and contradictions but take them as the basis of institutional and practical reflexivity. As such, art education can be redefined as contentious public sphere where democratic subjectivity is experimented and performed.

      • KCI등재

        문화시민성 개념의 탐색 :문화예술교육의 시민교육적 의의

        김재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concept of ‘cultural citizenship’ and also to understand cultural-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itizenship education. For the sake of it, the study formulated the purpose of cultural-art education as ‘cultivating cultural citizen and fostering the cultural citizenship.’ Then we explored the concept of ‘cultural citizenship’ to better understand the cultural citizen as well as cultural-art education. Cultural citizenship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ultural citizenship as membership’ is the first category. Traditionally, this type of membership was cherished as a key for the social cohesion. But in the era of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citizenship which embraces multiple identities and memberships carry higher importance. Second category is ‘Cultural citizenship as basic rights’. This includes a freedom from the oppression of art and cultural expression, a right to practice art and cultural activities, and a right to enjoy art and cultural works. Last category is ‘Cultural citizenship as virtues’. It requires cultural citizen to voluntarily as well as critically participate in an art and cultural community. Creativity, openness to the others, and ethical responsibility are also parts of the citizenship as virtues. The concepts proposed here, however, need to be challenged and revised consistently as the society changes. Researches that inquire into the contexts of cultural-art education as citizenship education, that further elaborate the concepts of cultural citizenship need to be conducted in the following researches. 본 연구에서는 ‘문화 시민성’의 개념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시민교육적 의의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문화시민성의 개념은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지위와 자격으로서의 문화시민성(cultural citizenship as membership)이다. 전통적 의미에서 이러한 멤버십은 문화공동체의 통합과 결속을 가져올 수 있었지만, 다문화사회에서는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을 포용하는 다문화적인 시민성 개념이 요구된다. 두 번째는 시민의 기본적 권리로서의문화시민성 (cultural citizenship as basic rights)이다. 소극적 의미에서 문화예술적 표현에 대한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울권리, 그리고 적극적 의미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요구할 권리, 문화예술활동을 실천할 권리, 문화예술작품을 향유할권리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자질과 덕목으로서의 문화시민성 (cultural citizenship as virtues)이다. 문화시민에게는주체적이며 비판적인 문화공동체에의 참여, 문화예술적 독창성과 창의성, 그리고 타자에 대한 열린 태도와 윤리적책임 등이 요구된다. 그리고 시민교육적 맥락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은 이와 같은 문화시민성을 담지한 문화시민을양성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삼아야 한다. 후속연구들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시민교육적 맥락을 보다 깊이 있게탐구하려는 시도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로서 문화 시민성의 개념을 보다 정교화 시키고자 하는 연구들이 이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현황과 전망: 예술꽃 씨앗학교,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문화파출소를 중심으로

        고은실,김형숙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2 미술과 교육 Vol.23 No.1

        본 연구는 서울아젠다, 문화예술교육 지속발전지수(SAEI)와 2015개정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에서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여덟 가지 지표인 정체성과 자존감, 사회정의와 평등추구, 공감능력, 예술적 소통, 창의적 능력ㆍ사고, 글로벌 이슈 해결능력, 환경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심, 공동체 역량을 기준으로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실천사례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예술꽃 씨앗학교>,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문화파출소>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들에 관한 자료들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아카이빙 및 참여 예술강사의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 및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해서는 정체성과 자존감, 사회정의와 평등추구, 공감능력, 예술적 소통, 창의적 능력사고, 글로벌이슈해결능력, 환경과 지속가능발전 관심, 공동체 역량의 여덟 가지 세계시민성 역량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교과교육과정 전반에 교수-학습내용방법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모든 참여자들이 자유롭고 존중하며 평등하게 참여하고 활동하도록 보장받아야 한다. 이를 위해, 예술강사가 교사와 협력하고 협업하여 교육목표와 내용을 교육과정과 연계하고 팀티칭으로 실행하여 융합연계교육으로 개발하고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고, 학교관계자 및 교사들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강사가 교육대상자에 대해 이해하고, 흥미와 관심사, 학년 학습내용과 미술 이해도를 고려한 미술작품 선정과 내용 설명과 소통이 중요하다. 협력관계기관들 간에 분명한 역할과 협력 기준을 정하고, 기관 구성원들이 새로운 관계를 만들고 함께 참여하는 문화예술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세계시민역량 함양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이 학교교육과정과 함께 학교와 기관, 지역사회에서 교육되고 실천되어야 오늘날 전지구적 이슈와 문제에 대응하고 해결할 수 있는 세계시민을 기를 수 있다. 본 연구는 세계시민교육과 문화예술교육의 실행을 접목한 드문 연구로서, 정부의 세계시민성 함양의 문화예술교육의 구체적 실천방안 및 중ㆍ장기 정책방향 수립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예술 경험은 민주적 시민성에 어떻게 관계하는가? : 누스바움의 관점에 기초하여

        이은영(Lee, Eun Yo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3

        본 연구는 예술 경험과 민주적 시민성 사이의 관계를 미술교육적 측면에서 해명한다. 인성과 시민성의 동시적 고양을 추구하는 민주시민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고, 민주주의를 위한 ‘시민성’의 발현에 예술 경험이 유의미하게 관계할 수 있는지 탐색한다. 본 연구에서 예술은 미술에 초점을 두며 탐색의 이론적 틀은 누스바움의 철학을 바탕으로 하였다. 이익을 위한 교육 모델의 위험을 경고한 누스바움은 민주주의를 위한 인간성 계발 교육 모델을 제시하면서 시민교육에서 예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자는 누스바움의 관점에 기초하여 예술 경험과 민주적 시민성 형성 사이의 관계성을 1) 미학적 주체성을 통한 상호문화적 주권 형성 2) 감정이 개입하는 질적 사고와 윤리적 판단 3) 예술적 상상력에서 사회적 상상력으로의 전이 4) 차이의 다원성과 공공성의 관계 맺음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예술 경험은 개인의 주관적 경험을 넘어 공동체적 가치를 내포함을 밝힌다. 민주시민의 사유는 개인의 감각적 차원에서부터 공동체로 나아가며 예술은 미학적 주권자인 학생이 자유와 공공성의 지각적 균형을 유지하는 데 주요하게 관계한다. 예술은 인간다움에 대한 사유를 자극하며 시민의 세계를 만나게 하고, 시민의 세계는 예술을 통해 시민성의 진보를 거듭할 수 있다. The study elucid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on arts and democratic citizenship. It is to review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pursuing simultaneous enhancement of personality and citizenship, and to explore that experiences on arts can be meaningfully related to revelation of ‘citizenship’ for democracy. The theoretical base for exploration is based on Nussbaum’s philosophy. Nussbaum warns the risk of educational models for profits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rts and liberal arts for citizen education by presenting an education model to develop humanity for democracy. The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experiences on arts on the form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based on Nussbaum’s ideas in the aspects of 1) formation of intercultural sovereignty between the aesthetic principal agent and others 2) qualitative knowledge and ethical judgment that emotions intervene, 3) transition from artistic imagination to social imagination and 4) having a relationship between multiplicity of differences and publicness. Through this, it is to cast light upon experiences on arts having values beyond subjective experiences in the individual level. Experiences on arts are mainly related to maintaining freedom of students who are aesthetic sovereigns and perceptual balance of publicity. Democratic citizens’ thoughts and changes are originated from individual’s sensible level and move towards a community. Experiences on arts stimulate thoughts on humanity and make it possible to meet the world of citizens, and the world of citizens makes progress over and over again through arts.

      • KCI등재

        문화도시를 위한 시민예술교육의 융복합 프로그램 고찰

        조정은 유럽문화예술학회 2020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도시를 위한 시민예술교육의 내용과 활동의 사례를 통하여 시민예술교육의방향성을 찾고 우리 공동체에서 구현할 수 있는 융복합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이다. 문화도시의형성을 위해서는 시민의 삶 속에서 향유하는 예술이어야 하고 바람직한 시민성 함양이 무엇보다중요하다. 문화도시로 대표되는 유럽의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토대로 고찰할 때, 개방성과 소통으로전 세대를 포괄하는 시민예술교육에서는 융복합적인 사고와 내용에 공통적인 시사점이 있다. 시민예술교육에서 ‘버스킹’과 ‘스토리텔링 콘서트’와 같은 연주방법은 이러한 특성을 잘 구현할 수 있는방법이다. 하지만 ‘버스킹’과 ‘스토리텔링 콘서트’가 도시의 문화로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공공예술의 개방성을 고려하여 무분별한 거리연주를 지양하고 지역의 정체성에 기초한 전문가 및 지자체와의 협업을 통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irection for the citizen arts-education aimed at creating culture city and propose convergence art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realized in our community through a case study on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the existing citizen arts-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culture city, enjoying of art in life and desirable citizenship is important. This paper searches for the direction for the citizen arts-education by examining the representative art education programs in European culture cities. Because citizens from various backgrounds of the society are the leading subjects of the citizen arts-education, expression of convergence art becomes a common factor, along with openness and rapport. The implication lies in the contents that express artistic ideas and imaginations that cover diverse generations. In citizen arts-education, performance methods of busking and storytelling concert are some of the skills that can implement these attributes well.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busking and storytelling concert as the culture of a city, continued interests and development through a collaboration with experts and local government based on the regional identity is required by considering the openness of public art, while rejecting from rash street performances.

      • KCI등재

        카니발 페다고지 관점에서의 시민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평가 루브릭 개발

        이현민(Hyun-Min Lee),강인애(In-Ae Kang) 한국문화교육학회 201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4 No.2

        시민문화예술교육은 주체성을 가진 지역주민이 자발적으로 문화 활동에 참여하여 지속가능한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표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평가도구의 부재로 인해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이나 개선에 제한점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카니발 페다고지의 관점에서 시민문화예술교육 단체가 보유한 문화예술 컨텐츠의 장르나 분야에 관계없이 자체 진단 및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분석적·과제 일반적 형태의 루브릭을 개발하고자하였다. 우선 전문가 FGI를 통해 평가요인을 도출하였고,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각 평가요인에부합하는 문항을 개발하였다.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2회의 델파이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루브릭의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실제 시민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평가에 적용, 평가자간 평가 일치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 .891의 Cronbach’s ɑ값이 산출되었으며 평가자간 일치도 측정 결과, 평가자들에게 생소한 개념을 다루고 있는 4개 항목을제외했을 때 일치도 통계는 .85 이상, Kappa값은 .75 이상의 높은 수치가 산출되었다. 시민문화예술교육은 하향식 지원 정책에 의해 이루어지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이나 일반적인사회문화예술교육과는 달리 단체에 따라 교육 환경이나 방법 면에서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도출된 루브릭의 표준화 및 보급을 위해서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반드시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ivic culture and art education has the goal of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community by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cultural activities by local residents with their own identity. However, it is true that the absence of the evaluation tool limit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rubrics of analytic and general forms that can be used for self - diagnosis and evaluation regardless of genre or field of culture and arts contents held by civic arts and cultural education organiz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Carnival Pedagogy. Expert FGI was used to derive the evaluation factors, and the items that corresponded to each evaluation factor were developed by referring to the previous research.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items, two delphi studies were conducted and the final rubrics were confirmed.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it was applied to the actual civic arts and culture education field, and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evaluators was measured. As a result, the Cronbach s α value of .891 was calculated and the four items The agreement statistic was higher than .85 and Kappa value was higher than .75. Therefore, a continuous follow-up study must be performed to standardize and disseminate the rubrics derived from this study.

      • KCI등재

        세계시민성 신장을 위한 역량 및 미술 교육과정

        김형숙(Kim, Hyung 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3

        본 연구는 오늘날 사회, 정치, 경제, 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의제로 다루어지는 세계 시민성에 대해 논의하여 이를 미술교육차원에서 적용하고 그 교육적 효과에 대해 세 가지 역량(융합, 예술, 사회)를 중심으로 지표를 개발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국가 간, 집단 간, 개인 간에 상호 연결되어 있는 현실 속에서 세계시민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국가수준 교육과정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드러나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속에서 대학미술교육의 차원에서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세계에서 나아가야 할 인재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세계시민성 예술역량의 하위지표는 정체성과 자존감, 사회정의와 평등추구, 공감능력, 예술적 소통, 창의적 능력・사고, 변화를 이끌 수 있는 문제해결능력, 환경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관심, 공동체 역량으로 개발하였다.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은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설계를 필요로 하고 전통적 미술을 영역을 체험하고 이를 넘어서 새롭고 낯선 예술의 경지를 개척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global citizenship, which is currently a critical issue in the field of sociology, politics, economics, and education, to arts education, and in order to develop three competencies (integrated, artistic, and social) on its educational effect. In this world when countries, groups, and individuals are interconnected, the importance of global citizenship could be easily found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2015. In such a contex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rt curriculum for developing global citizenship at the college level in order to present future directions for the education of global talents. The sub-indices of art competencies for global citizenship are identity and self-esteem, the pursuit of social justice and equality, empathy, artistic communication, creative ability and thinking, problem-solving ability to make changes, interest in the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mmunity competence. Developing an arts curriculum for global citizenship requires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ers would likely be able to overcome the traditional realm of arts and pioneer a new, unfamiliar world of art.

      • KCI등재

        지역사회 평생교육 맥락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총 공급 및 참여 패턴 연구: 10년간(2008-2017) <평생교육통계>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양은아 한국예술교육학회 2019 예술교육연구 Vol.17 No.1

        This research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ducational program provision patterns in arts and culture area. The research used the official annual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for last 10 years (2008-2017). Major findings are listed as follows. First, during the last ten years, the number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provided in the area of arts and culture has been increased about 265%, significantly exceeding the average of all areas and second to the vocation and workforce education area among all six areas. Second, more than a half(58.8%) of the entire provision was concentrated in Seoul, Gyeonggi-do, Busan, and Daegu. The key educational institutions leading the provision was both “culture centers” in private department stores and “lifelong learning centers” in public sector. Third, the majority of programs were being operated by corporate institutions(79.2%) without financial support( 86.6%) through paid courses(89.6%); most had been run without public support and relied entirely on tuition fees. Fourth, aside from the theme of culture and arts, the area where the most programs using culture and arts content were provided was vocation and workforce education area improvement( 47.5%); more and various professional certificate programs are being provided b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connected to universities, distance learning organizations, etc. Fifth, an analysis of changes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s for the last decade according to the sub-classification system revealed that the leisure and living sports program(359.3%) and the advanced art and culture program(307.1%) were the areas with the most growth, confirming that the bas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based on local communities has continuously been expanded. In the context of realizing cultural rights for citizen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equipped with different professionalism need to be connected in multifaceted cooperation system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cosystem of local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지향점으로 설정되고 있는 평생교육 맥락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총공급 및 참여 패턴을 다각적으로 분석한 거시적 접근으로서, 지난 10년간(2008-2017)의 <평생교육통계> 데이터(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445,133개)를 활용하여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공급은 지난 10년간 265.4%, 학습자 참여는 216.9% 성장함으로써 평균 성장률(193.5%)을 크게웃돌았으며, 평생교육 프로그램 6대 영역 가운데 직업능력향상교육 다음으로 많이 공급된 분야로서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을 견인하는 영역으로 드러났다. 둘째, 시·도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급패턴을 분석한결과, 서울, 경기, 부산, 대구 지역에 전체 공급량의 절반이 넘는 58.8%가 집중되어 있었으며, 이를 인구 만명당 프로그램 기준으로 환산하면, 울산, 대전, 서울, 대구가 주요 공급의 축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 같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급을 주도하는 기관유형은 민간영역의 사업장부설기관과 공공영역의 평생학습관으로 상호 대칭되는 구도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의 운영특성을 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프로그램은 민간법인(79.2%)을 통해, 재정지원이 없는(86.6%), 유료강좌(89.6%)로 운영됨으로써, 상당수가 공적지원이 부재한, 학습자 수강료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운영구조를 드러내었다. 넷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6대 영역 가운데 문화예술교육 주제영역을 제외한 타 영역에서 ‘문화예술’을 결합한 프로그램이 가장 많이 공급된 영역은 ‘직업능력향상’ 부문(47.5%)이었으며, 대학(원)부설기관 및 원격형태기관 등을 통한 다양한 전문자격 프로그램의 공급이 확대되고 있었다. 다섯째, 지난 10년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하위 분류체계에 따른 세부영역의 변화추이를 분석한 결과, 레저생활스포츠 프로그램(359.3%) 및 문화예술향상 프로그램(307.1%)이 가장 많이 증가한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 기반 문화예술교육의 저변이 꾸준히 확대되어 왔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시민 문화권이 실현되는 맥락으로서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다양한 전문성을갖춘 평생교육기관과의 협력적·공생적 연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었다.

      • KCI등재

        시민문화예술교육 분석틀로서의 카니발 페다고지(Carnival Pedagogy) 탐색

        강인애,이현민,윤혜진 한국문화교육학회 2016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1 No.3

        ‘Global Citizenship Education’aims to develop competencies which enable to perform critical awareness not only on personal but also on social issue, playing his/her practical role as an active citizen in a community. Lately,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citizens has appeared as its methodology to foster citizenship through activities of culture and art, yet, few studies examine to its specific featur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oposes ‘Carnival Pedagogy’as the analytic frame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citizens, which is a new learning theory emerged from and based upon both carnivalesque of Mikhail Bakhtin and critical pedagogy of Paulo Freire. To prove the potential of the analytic frame, first, FGI with experts in the related fields was conducted, and then, followed by analysis of two cases among several culture and arts programs for civilians, The selected cas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four process of the Carnival Pedagogy.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and staffs of the programs. As a result, these two cases presented common outcome of personal growth of the participants as independent and autonomous agents equipped with critical awareness of themselves and their society. Therefore, Carnival pedagogy has proven its potentials appropriate for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feature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citizens. ‘세계시민교육’은 공동체 안에서의 역동적 시민으로서 개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의 문제에 관해서도 비판적인 시각을 지니고 실천적 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 시민적 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근 그 방법론으로써 문화예술을 접목한 시민문화예술교육이 주목받고 있으며, 그 목표는‘문화예술 활동을 통한 시민성의 함양’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여러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특성을 살펴볼 이론적 분석틀은 아직 존재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민문화예술교육 분석틀로써 Bakhtin의 카니발 이론과 Freire의 페다고지를 결합한‘카니발 페다고지(Carnival pedagogy)’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그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우선 전문가집단과의 회의를 통해 본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된 시민문화예술교육 분석틀로서의 ‘카니발 페다고지’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이후 그 틀에 의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시민문화예술교육 사례들 중, 우수 사례로 추천된 두 가지 사례를 선별하여 해당 프로그램 참여자들과의 인터뷰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의 자발적 주체성에 입각한 개인적 성취와 발전이라는 공통적 특성이 관찰되었다. 이 같은 결과를 통해 카니발 페다고지가 지닌 시민문화예술교육 분석틀로서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