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집논문 : 북한도시사연구에서 시각·영상자료의 분석적 활용

        박희진 ( Park, Hee Jin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2 북한학연구 Vol.8 No.2

        이 글은 시각·영상자료를 3가지 형태의 지도(일반지도, 위성지도, 심상지도)와 보도·기록사진, 그리고 TV방송물 중 일반편집물로 한정하여, 북한 도시사연구에서 시각·영상자료의 방법론 활용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시각·영상자료는 대상을 인식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자, 가장 위험한 앎이라는 ‘시각작용의 불완전성’에 대한 충분한 고려를 전제한다 하더라도 몇 가지 측면에서 분석적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북한의 제2 도시, 함흥시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 고찰해 보았다. 첫째, 시각·영상자료는 문헌자료 속에서 찾아낼 수 없었던 공간을 구성하는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둘째, 시각자료 중 3가지 지도의 누적분석은 도시공간의 배열과 위계를 명확히 보여준다. 셋째, 시각자료 중 보도사진, 기록사진은 당국이 부여하는 도시 정체성과 행위자가 인식하는 도시 정체성의 관계를 규명할 수 있게 한다. 넷째, 영상자료는 입체화된 장소화면을 통해 공간적 상상력을 확대하고, 영화적 스토리 구성과 인물 인터뷰를 통해 문헌의 행간읽기를 통해 파악해야만 했던 사실관계를 인식할 수 있고 해석할 수 있게 해준다. 다섯째, 그러나 모든시각·영상자료가 다 유의미한 것을 아니기 때문에 매체별, 유형별, 주제별 자료의 선택과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 시각·영상자료는 도시사연구에 기초가 되는 문헌자료와 구술자료와의 관계 속에서 선택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review utilization of methodology regarding visual and image data for research on North Korean urban history. Visual data were divided into maps (normal, satellite, and image maps) and report and record photographs, and the image data were restricted to normal edited material in North Korean TV broadcast. First, visual and image data provide position information that composes the space which cannot be found in literature. Second, accumulative analysis of three maps clearly suggests the arrangement and hierarchy of urban spaces. Third, report and record photographs enable clarific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urban identity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and one perceived by actors. Fourth, image data enable expansion of spatial imagination through 3D location image and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o furban population`s social behavior through cinematic story composition and character interview. Fifth, however, as not all visual and image data are significant, it is very important to choose and use databased on media, type, and heme. The conclusion is that visual and image data must be used selectivel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literature and oraldata which are basis of research on urban history.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실린 시각자료의 종류, 역할, 그리고 사회-기호학적 특징 분석

        오지연 ( Oh Ji Yeon ),박지선 ( Park Ji Sun ),박일우 ( Park Il Woo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시각자료의 종류와 그 역할, 사회-기호학적 특징을 알아보고, 향후 교과서 개발 및 개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3∼6학년 1학기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교과서 분석 결과에 대해 학생 설문 및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자료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사진이나 그림과 같은 1차적 시각자료가 도표와 같은 2차적 시각자료에 비해 그 비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만화의 비율이 2007년 개정 과학 교과서에 비해 증가하였다. 둘째, 시각자료의 역할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시각자료가 예시적 또는 설명·보충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또한 5, 6학년의 장식적 역할의 시각 자료의 비율이 2007년 개정 과학 교과서에 비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시각자료의 사회-기호학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대부분의 시각자료가 학생과의 인식론적 거리감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면과의 구분에 따른 분석 결과만 예외적으로 인식론적 거리감이 먼 유형의 시각자료가 많이 사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s, roles, and socio-semiotic features of the visual material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gi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or revising the textbooks. To investigate the types, roles, and socio-semiotic features,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for the first semester course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 of textbook analysis, student survey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how the features of visual materials in the textbook affect student learning. The result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primary visual materials such as photographs or pictures has a higher than that of second visual materials such as diagrams. Especially the proportion of cartoons was increased compared to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The result that analyzed the role of visual materials showed that most of visual materials has either an exemplary or complementary role. The visual materials that has a decorative role has increased compared to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The result of analysis in socio-semiotic features showed that most of visual materials presented in the textbooks has less epistemological isolation between readers and images. However, the proportion of the visual materials that has no background is higher than that of the visual materials that has its own background. The visual material that has no background has strong tendency in epistemological isolation.

      • KCI등재

        전쟁, 이미지 그리고 역사

        김은지(Eunji Kim) 서양미술사학회 2015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3 No.-

        전쟁은 이미지로 기록 되는가, 아니면 전쟁은 이미지를 통해 설명되는가? 세계 1차대전은 전례에 없던 인명살상(殺傷)률을 기록하는 무력의 갈등상태로 간주된다. 이러한 역사적 참상에 큰 역할을 한 것은 참호전이며, 여기엔 다시금 화학무기(독가스)와 기관총 등 새로운 무기를 생산하게 한 참호에 의한 전쟁전략이 그 원인 이었음이 강조된다. 100여 년이 지난 현재, 역사적 과거의 이러한 참혹한 참상들은 사진 이미지들에 의해 보다 직접적으로 설명되어 진다. 여기엔 사진이라는 매체가 지닌 특성 중, 현실을 그대로 기록하 듯 재현한 것처럼 보이는 사실적 현상이 자리한다. 그래서 그 어떤 시각적 결과물 보다 현실성을 더 반영한 것처럼 여겨진다. 하지만 사진은 현실을 재현하지 않는다. 기록하지도 않는다. 다만, 어떤 시간과 공간 속에서 일어났던 사건과 상황에 대한 유추와 재구성을 도모하게 할 뿐이다. 이것은 사진 만이 아니라, 시각화된 모든 상태 즉 이미지화 된 모든 존재가 지니는 특성이다. 본 연구의 핵심은 바로 이러한 이미지의 존재적 특성에 대한 재고찰에 있다. 본 연구는 가시화 된 모든 상태에 있는 대상물들을 이미지로 정의 내리는 미술사적 방법론의 한 과정에서 영글어진 결과물이다. 이미지는 다른 것으로 대체될 수 없다. 또한 이미지는 그 자체가 아니고서는 설명해 낼 수 없는 사실적 요소로, 실질적인 시각적 증명을 이루어 낸다. 이것은 이미지의 기능에 속한다. 이에 의해 이미지는 과거의 사건 즉 전쟁과 같은 상황을 기록하거나 단순히 상황을 시각적으로 재현해 내는 것이 아니라, 당시 상황을 재구성하게 하며 이를 통해 참사 혹은 전쟁을 설명하며 그 의미를 시대사적으로 해석하게 하는 대상물로 고찰하게 한다. 위의 사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과거를 연구하는 학문인 ‘역사학’과 이미지를 연구하는 ‘미술사’와의 학술적 연구의 접점관계를 조명한다. 이미지 즉 시각적 자료는 역사학을 위한 연구대상물 자체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지는 역사연구를 위한 주요한 시각자료로 간주되며, 조사연구를 위해 다양한 의미부여를 받는다. 이는 19세기 현대 역사학의 출현 이 후의 결과이다. 그림과 조각, 기념물, 건축물 그리고 사진과 필름 등의 다양한 시각적 자료들은 과거를 연구하는 역사학에서 의미 있는 연구 자료 및 출처로서 지난 시간 속에서 일어난 인간사의 사건과 정황들을 요약하고 개념화 해내는 역사연구와 조사 방법에 중요한 의미로 간주된다. 이미지가 역사학적 정보력을 지니는 주요한 자료인 사실에 착안하여, 역사학과의 불가분의 관계를 이루는 근본적인 배경에 이미지의 직접적인 전달력과 대체될 수 없는 그 힘에 대한 고찰을 이루는 본 연구는, 이미지를 통한 정보지식 전달의 가능성에 대한 제시가 될 것이다. 또한 이는 이미지에 잠재된 가능성에 대한 고찰인 동시에, 국제적으로 학제간의 융합을 도모하는 “이미지 학(Image, Knowledge, Gestaltung ? Bildwissenschaft)" 연구에 대한 의미부여 일 것이다. Is war documented by images or is war explained and reconstructed by images? The First World War is considered an armed conflict which brought casualties and destruction to a hitherto unknown level. Trench warfare in conjunction with the newly invented machine gun and the first time use of chemical agents a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re mainly responsible for this terrible devastation. Our perception and notion of this war is widely influenced by photographs which were made in large numbers by all participating war parties. The terrible devastation is more directly mediated by photography than by any other visual material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of photography, it seems to represent reality as a factual phenomenon. Therefore, it seems that images by photos are reflecting the reality more than other media and intended for representation. But photographic images are no reproduction of reality nor do they document reality. However, images allow analogies and reconstructions of situations and provide substantial information of past times. These characteristics are not only for photographs but also for all visualized material. Images are not replaceable and exchangeable. The core of this paper is an investigation into reconsidering and rethinking the characteristics of imagery. Images of past events or situations do not reproduce or document scenes, but help visually to reconstruct past times. Thereby wars or disaster can be interpreted and explained and at the same time images will become more important objects for contemporary historical interpretation. This study attempts to highlight crossroads in Historical Studies and Art History. Images are not objects themselves of Historical Studies, nevertheless, images are regarded as important visual materials for historical research since the emergence of modern historical research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large variety of visual materials such as paintings, sculptures, monuments, architectures and also photos and films constitute irreplaceable sources for historical research. Due to the significance of visual materials as historical information this article discloses the power of images, their inherent immediacy and irreplaceability. This essay tries to give an understanding of the possibilities of medi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images. The aspect of yet latent and undetected possibilities of images allows a gaining of international importance to Bildwissenschaft (Image Knowledge Gestaltung; Visual Studies) a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topic in art history.

      • KCI등재

        열화상 사진기를 활용한 열전도 현상 시각화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이가람,주은정,박일우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2 현장과학교육 Vol.16 No.3

        비가시적 현상인 열전도 현상을 시각화하기 위해 교육과정 변천에 따라 여러 종류의 실험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기존에 도입된 실험은 열전도 현상을 연속적으로 시각화하지 못하거나 열원으로부터의 온도 차이를 시각화하지 못하는 등의 제한점이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필요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화상 사진기를 활용하여 열전도 관련 교수학습에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초등과학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을 통해 열전도 현상 시각화를 위한 중점사항을 도출하고, 2015 국정 초등과학 교과서에 도입된 실험이나 교수학습 자료의 한계점을 분석하였다. 열전도 현상 시각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 열화상 사진기의 원리와 특성을 고려하여 여러 차례의 사전실험을 거쳐 개선된 열전도 현상 시각화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 KCI등재

        시각적 자료를 통한 이미지 트레이닝이 골퍼의 퍼팅 방향성에 미치는 영향

        신재광,김재환,송관조 한국골프학회 2021 골프연구 Vol.15 No.2

        [목적] 본 연구는 시각적 자료를 통한 이미지 트레이닝이 골퍼의 퍼팅 방향성인 패스(path) 및 페이스앵글(face angle)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파악하여 효과적인 퍼팅 수행능력 향상방법 제시에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 소재 K대학교 내 골프분석실의 인조매트에서 퍼팅 측정 장비인 퀸틱(Quintic Ball Roll v4.4 Research System)을 사용하여 KPGA 또는 KLPGA 이상의 프로골퍼 10명과 핸디캡 18-27의 아마추어 골퍼 10명을 대상으로 측정한 후, 결과로 도출된 데이터를 SPSS 21.0을 사용하여 실험 처치에 따른 사전·사후와 집단 내 차 이를 확인하였다. [결과] 시각적 자료를 통한 이미지 트레이닝이 골퍼의 퍼팅 방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 니, 프로골퍼의 경우 시각적 자료를 통한 이미지 트레이닝 여부가 퍼팅의 방향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마추어 골퍼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아마추어 골퍼의 경우 퍼팅 연습 시 시각적 자료를 활용한 이미지 트레이닝을 하는 것이 퍼팅의 방향성을 개선하고 궁극 적으로 스코어를 개선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ective putting performance improvement method by grasping the effect of image training through visual data on the path and face angle, which are the putting directions of golfers. [Method] For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by 10 professional golfers with KPGA or KLPGA or higher and 10 amateur golfers with a handicap of 18-27. After measuring using a putting measurement device, Quintic Ball Roll v4.4 Research System, the resulting data were check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and intra-group differences using SPSS 21.0. [Result] When analyzing the effect of image training through visual data on the putting direction of golfers,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 golfe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utting direction, but in the case of amateur golfers’ results were markedly improved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direction. [Conclusion] Therefore, when practicing putting by amateur golfers, the practice through image training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direction of putting and ultimately improving the score,

      • KCI등재

        미술사의 과제와 역사학

        남동신 한국미술사학회 2010 美術史學硏究 Vol.268 No.268

        This paper, written on the occasion of the 50 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Art History, explores tasks facing the discipline of Korean art history – research directions and methods in the 21st century - by looking at Korean Buddhist art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I begin by discussing methodological tasks. One of the recent research trends in Korean art history has been to extend the field of research to include a broader visual culture and even material culture as a whole. In terms of methodology, this trend has been concerned with the active use of not just visual art forms, but also tex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s and texts, I argue that they are different ways of recording one and the same experience, and that when these media are used to transmit religious messages, there is a difference in terms of authoritative value; a fact well understood by Buddhist artists of premodern and modern times. My discussion then moves on to future research directions. As is well-known, the modern discipline of Korean art history was a field transplanted to Korea by Japanese government- sponsored researchers as part of an attempt to legitimize Japan’s colonial rule over Korea, and what was transplanted was not art history as a modern academic discipline,which was created in Europe, but the way it was understood and re-adapted in Japan. This transplanted framework of art history could not properly reflect Korean history and culture,concerning both the selection of research subjects, methods, and terminology. In light of this, I propose, in this paper, the ways in which we conduct research on and interpret Korean art history as well as East Asian art history from various perspectives. To give a concrete example, I have reviewed two records of repair and renovation found inside the Seokgatap Pagoda of the Bulguksa Temple, Mugujeonggwang Jungsugi (Dabotap Jungsugi , 1024)and Seoseoktap Jungsugi (Seokgatap Jungsugi , 1038) and have identified fifteen names of stone pagoda parts that were widely used in the early Goryeo period. I suggest that these names be used to replace or complement the Japanese-style names of pagoda parts that are currently in use. Art history and history are intimately related to each other insofar as they both reorganize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past. No two academic disciplines are as closely linked to each other as art history and history. In this sense, this paper serves to stimulate the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tween these two research fields. 본고는 한국미술사학회 창립 50주년을 맞아, 역사학의 관점에서 불교미술사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의 당면 과제–새로운 세기의 연구방향과 방법론–를 검토하였다. 첫째는 방법론의 과제이다. 최근 한국미술사학의 연구동향은, 연구 영역을 미술에서 시각문화로, 시각문화에서 물질문화로 확장하면서, 방법론에 있어서도 시각자료만이 아니라 문자자료까지 적극적으로활용하는 추세를 잘 보여준다.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시각자료와 문자자료가 동일한 체험을 다른 방식으로 기록하며, 종교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서 종교적 권위에 차이가 있는바, 이 사실을 전근대 불교도들도충분히 인식한 위에서 불교미술품을 제작하였음을 부각시켰다. 둘째는 연구 방향의 문제이다. 주지하다시피 한국근대미술사학은, 서구에서 성립된 근대미술사학이일본식으로 번안되고, 이것이 다시 일본 관학자들에 의하여 일제의 한국 식민지화를 합리화 하려는 의도에 부응하며 한국에 이식된 것이다. 따라서 미술사학의 주제 설정, 방법론, 용어 등에서 한국의 역사 및 문화를 정당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불가피하였다. 필자는 이와 관련하여 한국적 시각에서 한국의 미술사, 동아시아의 미술사를 새롭게 정립할 것을 제언하였다. 구체적으로 불국사 석가탑에서 출토된 「무구정광탑중수기」(다보탑중수기, 1024년)와 「서석탑중수기」(석가탑중수기, 1038년)를 검토하여, 고려 초에 통용된 한국의 전통적인 석탑 부재 명칭 15종을 발굴하였으며, 이것이 현재 통용되고 있는 일본식 석탑 부재 명칭을 수정 보완할 수 있음을 밝혔다. 미술사학과 역사학은 과거의 역사와 문화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다른 어떤 학문분야보다 친연성이 깊다. 그런 점에서 본고는 향후 두 학문 분야간의 소통과 교류를 더욱 활성화시키는 데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번역 수업에서 여행기사 활용하기: 지시적 등가 수립과 시각 자료의 역할

        주진국 ( Joo Jin-koo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4

        여행기사에는 문화적 사물과 개념이 매우 빈번하게 나타나며 이러한 항목들을 나타내는 시각적 이미지는 인터넷과 소셜미디어에서 매우 쉽게 검색하여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특히 초보적인 번역 학습자들이 특정언어 항목이 가리키는 대상의 등가를 의미하는 지시적 등가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목표언어를 통해 실현하는 훈련을 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기초 영한번역의 학습자는 번역 행위가 본질적으로 지식 전달을 위한 적극적인 문화 간 중개 행위가 아닌 기계적 치환과 어휘 간 일대일 대응이라는 단순하고 소극적인 작업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학습자에게 원천텍스트 항목이 지시하는 대상의 시각적 이미지는 번역에서 지시적 등가 실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고는 기초 영한번역 수업에서 활용된 영문 여행기사 두 편에 나타난 대표적인 문화적 개념과 사물에 대한 번역 학습자의 번역을 제시하고 특정 문화적 항목과 관련된 시각적 자료를 활용한 지시적 등가 개념의 교육 가능성을 모색한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각주 등을 통한 번역사의 개입 가능성이 가정되지 않았으며, 본고의 연구 목적이 해당 문화적 항목에 대한 번역의 ‘모범’ 답안을 제시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Articles in the travel sections of newspapers, or ‘travel articles’ in short, contain a lot of objects and concepts that need to be seen from a particular cultural perspective, and visual images related to most of these items can easily be retrieved by searching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These features, not un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articular literary genre, make themselves useful in the translation classroom for beginners. Beginner-level translation learners tend to regard translation process as substituting each ST word with one of its ‘dictionary equivalents,’ disregarding their intra- and extra-textual contexts, hence producing translations that are either ‘nonsense’ or a misrepresentation. In helping these learner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and the ‘objects’ that they refer to in the real world and establish referential equivalence in their translations, travel articles and relevant visual images can guide the learners in understanding what the ST author meant and finding right translation equivalents.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introduces learners’ translations of cultural concepts and objects found in travel articles and discuses ways to establish referential equivalence using some Google images. Meanwhile, this paper assumes that any footnotes designed to provide extra-textual or other supplementary pieces of knowledge deemed necessary for reader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particular item are inappropriate due mainly to genre constrains.

      • KCI등재

        고고학 자료를 통해 살펴본 여성의 출산

        고일홍 ( Il Hong Ko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論叢 Vol.71 No.1

        이 논문에서는 과거 여성의 출산이라는 주제를 고고학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우선 과거 여성의 출산이 어떻게 유의미한 연구 주제로 성립되었는지를 젠더 고고학의 정착이라는 학사적인 맥락과 함께 검토하고 있다. 아울러 출산 양상의 검토를 통해 과거 사회체계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가능한지를 타진하기 위해 인류학 분야에서 출산 관련 연구 성과들을 살펴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과거 여성의 출산에 관한 실증적인 고고학적 연구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세 가지 범주의 고고학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첫째, 출산 장면의 시각적 표현물을 통해 사회 내에서 여성의 출산이 본인과 가족은 물론 사회에 의해 어떻게 인식되었는지를 타진하고 있다. 둘째, 고고학자가 발굴 현장에서 접할 수 있는 출산 관련 물질문화를 검토함으로써 고고학자들이 과거의 출산에 대해 어떠한 방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 자 하고 있다. 셋째, 출산 중 사망한 여성과 태아의 인골 자료를 살펴봄에 있어서, 임신을 경험했던 과거 여성들의 수가 우리가 막연히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적었을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출산의 보편성이나 빈도에 관한 기존의 시각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issue of childbirth from an archaeological perspective. Firstly, it places the archaeological study of childbirth within a wider intellectual context and examines how childbirth came to be established as a valid research topic in associ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gender archaeology. Secondly, anthropological studies of childbirth are reviewed in order to illustrate how a consideration of the topic can offer further insights on a given social system. Thirdly, in order to illustrate that the archaeological study of childbirth is indeed empirically possible, three categories of archaeological material relevant to childbirth in the past are examined. They are 1) childbirth images, 2) material culture associated with childbirth practices, and 3) mother and full-term fetus skeletons. An examination of childbirth images (in particular their production and consumption contexts) was able to shed light on past social meanings associated with childbirth. An examination of the material remains of childbirth practices that can be identified in the archaeological record resulted in a check-list of sorts that the archaeologist could use to identify childbirth practices when excavating in the field. Finally, the surprising lack of mother and full-term fetus skeletons found in the archaeological record was used as evidence to suggest that, contrary to patriarchical ideas regarding the biological role of women, pregnancy and in particular childbirth in the past may not have necessarily have been a widely experienced phenomenon as previously presumed.

      • KCI등재
      • KCI등재

        게임과 이미지를 활용한 사이버 인지전: ISIS 지하디스트 내러티브분석

        김은영 한국범죄심리학회 2023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9 No.3

        사이버 공간으로의 인간 생활영역의 확장은 테러리스트들과 폭력적 극단주의자들에게 사이버 심리전의 장이라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다양한 시각적 도구들과 게임들에 자신들의 프로파간다 내러티브를 담아 이를 확산시켜 집단 이념, 동기를 정당화 하고 테러조직원, 전투원들을 모집하고 공포의 극대화라는 본질적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테러집단의 사이버프로파간다 위험성은 국가안보의 위협으로 인식되었고 지난 20여 년간 대응을 위한 연구와 분석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게임과 시각자료들에 대한 프로파간다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했다. 이 연구는 시각적 이미지의 사진, 영상자료와 인터넷 게임 등을 활용한 ISIS의 내러티브를 분석하여 프이들의 사이버 로파간다 전략과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논의와 결과에서 연구방법, 연구분석결과와 논의, 그리고 연구의 공헌점, 미래연구에 대한 제안점들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