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체부자유 학생의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행동

        정재권 ( Jae-kweon Chung ),이혜숙 ( Hea-suk Lee ),정미영 ( Mi-young Chu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2

        본 연구는 지체부자유 학생의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행동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전국 지체부자유학교에서 중.고등부가 설치되어 있는 3개 학교 1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스트레스 척도와 스트레스 대처 척도를 사용하여 스트레스 실태는 성별, 과정별, 장애유형별, 장애등급로 평균과 표준 편차를 구하고 유의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스트레스 대처 방식은 성별, 과정별, 장애유형별, 장애등급로 빈도와 %를 산출하여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스트레스 수준은 약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변인별에 따라다양하게 나타났다. 변인별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대인관계나 당면과제에 스트레스를 더 받고 있다. 지체부자유 학생이 뇌병변 학생보다 당면과제에 스트레스를 더 받고 있다. 1급이 2급보다 당면과제에 스트레스를 더 받고 있다. 둘째,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법은 변인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변인별로 남학생은 스트레스 대처로 음식이나 TV/비디오시청을 하는데 비해 여학생은 음악을 듣는다. 과정별에서 중.고 공히 음악을 듣고 있으며, 장애유형별에서는 지체부자유학생은 음악을 듣는데 비해 뇌병변 학생은 음식물 섭취나 TV/ 비디오 시청을 하고 있다. 장애급수별로는 1급, 2급 공히 음악을 듣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대처하고 있다. This research was done to study the actual conditions of stress levels and coping actions of physical handicapped students. The source is from the 136 students in three different high schools and middle schools where there are special educations. The stress scale and stress coping scale were used for the measuring tool. Furthermor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stress condition was obtained through sex, process, handicap types, and handicap levels. t-verification was used to get the significance differences. And Stress coping method was obtained with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resulted from sex, process, handicap type, and handicap level. The conclusion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handicapped students get little stress, but they vary depending on different class. Female students get more stress from personal relationships and confrontations than male students. The physical handicapped students get more stress from confrontations than students with mental paralysis. 1st degree handicaps get more stress than 2nd degree handicaps in confrontations. Second, the method of coping actions for the stresses of handicaps varys depending on the class. For stress coping, male students eat or watch TV/videos, but female students listen to music. In the proces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ostly listen to music. For handicap types, handicapped students listen to music while students with paralysis mostly eat or watch TV/videos. As for the handi level, 1st and 2nd degrees listen to music to cope with stress.

      • KCI등재

        Stress-induced Neuroimmuno Alterations in the Rat

        Hyun-ju Lee,Kyung Soo Kim,Insop Sh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2

        스트레스는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중추신경계, 내분비계 그리고 면역계에 영향을 준다. 구금스트레스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로 이어지는 축(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HPA-axis)을 활성화시키고 전 염증성, 항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에도 변화를 초래한다. 청반(locus coeruleus)은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뇌간의 부분으로 시상하부의 뇌실곁핵에 투사하므로 HPA-축의 활성화에 영향을 끼친다. 본 논문에서는 구금스트레스로 인한 HPA-축 호르몬과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4의 발현 변화를 관찰하고 HPA-축의 최종 호르몬인 코르티코스테론을 주입하였을 때 인터루킨-4의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스트레스 하에서 HPA-축과 인터루킨-4의 상호작용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면역조직화학법을 통해 청반에서 인터루킨-4를 발현하는 신경세포를 동정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급성 구속 스트레스에 의해 증가되었던 HPA-축 호르몬들은 반복 구속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유의하게 감소하여 지속적인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급성 또는 반복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와 코르티코스테론을 반복적으로 주입하였을 때 청반에서의 인터루킨-4 발현이 감소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활성화 된 HPA-axis가 청반과 상호작용을 하여 인터루킨-4 발현을 감소시킴을 시사한다. Severe stress such as immobilization (IMO) affects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e endocrine system and the immune system that interact each other. IMO-induced responses are activation of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HPA) axis and pro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 The locus coeruleus (LC), which is known to play a role in modulating stress response, innervates the paraventricular neucleus (PVN) of the hypothalamus thereby activating HPA-axis. In this study, IMO-induced alterations of HPA-axis hormones and interleukin-4 (IL-4) were investigated. The final hormone of HPA-axis, corticosterone (CORT) was injected to clarify the interaction of the HPA-axis and IL-4 in the stress response. Single exposure of stress resulted in an increase of corticotrophin-releasing factor expression in the PVN, adrenocorticotropin hormone and CORT levels in the serum. Increased expressions of HPA-axis hormones in the acute stressed group were decreased in repeated stressed group. IL-4 level in the LC of the brain was decreased in both stressed group and repeated CORT injec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stress-induced interplay of HPA-axis and IL-4 in the LC.

      • KCI등재후보

        여대생의 자기애 및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심리적 스트레스

        서경현(Kyung-Hyun Suh),양승애(Seung-Ae Y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자기애 성향과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서의 스트레스 및 심리적 스트레스와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지를 검증하였고,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기애의 상호작용효과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여대생 454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만 18세에서 31세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자기애성 성격질문지,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척도 그리고 스트레스반응척도이다. 분석 결과, 여성의 자기애는 자아존중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상관분석에서 여성의 자기애는 대인관계 스트레스나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 중에 공격성 및 분노와는 관계가 없었으나 우울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런데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자아존중감에 더해 여성의 자기애가 추가적으로 대인관계 스트레스나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들 모두를 유의하게 정적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이는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영향을 보정할 경우 여성의 자기애가 스트레스를 조장할 수 있다는 결과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기애의 상호작용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여성의 자기애와 자아존중감의 특성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narcissism and self-esteem are related to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in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The participants were 454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ges ranged from 18 to 31.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Rosenberg"s Self-Esteem Scale,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and Stress Response Inventory. Results indicated that women"s narcissistic trai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Women"s narcissism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interpersonal stresses and some of the psychological stresses, such as aggressiveness and anger in correlational analysis, while it wa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However, if it was adjusted by self-esteem in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es, women"s narcissism accounted variance of interpersonal stresses and all of the psychological stresses, positively. This means women"s narcissism may aggravate some stresses if adjusted the positive effect of self-esteem factors. There were no interac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in women"s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It was discussed roles of women"s narcissism and self-esteem with previous studies. (Korean J Str Res 2010;18:371∼378)

      • 기숙사대학생의생활스트레스요인에따른예술치료프로그램설계

        김나경(Nakyoung kim),이에스더(Esther Rhee)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6 예술과 인간 Vol.2 No.1

        본 연구는 대학기숙사 생활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생활 스트레스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음악치료와 미술치료를 활용한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초기, 중기, 마무리 3단계의 총 12회기로 구성되어있다. 프로그램 회기별 목표는 기숙사 생활로 인해 발생되는 룸메이트 스트레스, 규율 스트레스, 공용시설 사용 스트레스, 환경 스트레스 이 4가지 요인에 대한 스트레스 감소로 설정하였다. 초기단계는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와 라포 형성, 중기단계는 참여를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생활 스트레스 요인 4가지에 대한 스트레스 감소, 마무리단계는 활동 후 생활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목표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기숙사 내에서 겪는 다양한 스트레스로부터 예술치료를 직접 경험하면서 부정적인 부분을 해소시키고 삶의 질, 기숙사 생활의 만족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을 기대한다.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diverse causes of stress that arises from living in a university dormitory, and outlines an arts therapy program that will alleviate said daily stress. The program, as described in the thesis, consists of 12 sessions, which constitute the three steps of first, second and conclusion. The goal of each session is to reduce stress caused by the following four causes encountered in dormitory life: roommate stress, rule stress, common use of facility stress and environmental stress. The goal of the first step is to help participants understand the program and build rapport. The goal of the second step is to reduce stress brought on by the four sources by encouraging the participants to engage in program activities. The goal of the conclusion step is to reshape their perception on the causes of daily stress following the end of the program. This thesis has been to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the Foundation material. And university dormitory students spend a lot of time direct experience of the art therapy within a dormitory and alleviating the negative part due to stressors Positive and hope for the dormitory, the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직무스트레스 연구의 동향과 향후 방향

        문형구,최병권,고욱 한국인사관리학회 2010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4 No.3

        In this study, we critically analyzed 56 studies on job stres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behavior in Korea. Three analytical procedures were used to analyze, derive key features and limitation and provide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es regarding job stress in Korea. First is to general overview of the studies, hence we overally examined the number of studies per year, antecedents and consequence studies,study method. Second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aspects of a definition and dimensions, theory and type of study, and research method such as measures. Finally, we analyzed major findings of empirical studies, focused on antecedents,consequences and moderating variables of job stress. We discovered a few limitations through our analyses. First, related to definition and dimension, many researches did not clearly define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job stress and job burnout. Also there is no discussion on the distinction and relation between these two terms, and hypotheses are verified without considering the subordinate dimensions of job stress and job exhaustion. A few studies did not use the exact terms of antecedents of job stress, job stress, and outcomes of job stress. Second, related to theory and research type, there were many studies that fragmentarily listed previous studies that used similar variables or hypotheses,without applying various theories related to job stress and job burnout. Many studies were repetitions of previous studies, using different models or theories or situations, and even those that verified new variables or models added new variables or models to existing research models. Also, there were studies that verified the relation between antecedents and outcomes of job stress without considering job stress itself. Thirdly, related to research method, while foreign studies are conducted on a wide range, including theory, term, measurement tools,sub-dimensions, qualitative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domestic researches are limited to empirical researches that conduct surveys based on foreign job stress theories and models, and therefore do not reflect the situations of Korea. Also a longitudinal study is need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ause and effect of job stress, but all domestic empirical studies use a cross-sectional analysis. Fourth,related to the level of analysis, there were no studies on groups or organizations and all empirical studies were limited to a personal level. There were various measurement tools for job stress, which made it difficult to combine the research results. Also a few studies negle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measurement tools and measurement methods. Finally related to substantive analysis, many domestic studies on job stress were limited to examining the antecedents related to job or role. They were also more focused on examining antecedents and moderators of job stress rather than outcomes. Most researches presumed that job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attitude and behavior of organization members,and there seemed to be a lack of consideration on whether this was true. Unlike foreign researches, domestic researches showed an insufficiency on personal and organizational methods on coping with job stress.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following research directions for domestic researches on job stress. (1) Concept and dimension - A determination on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job stress and job burnout, researches that examine the conceptual differ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burnout,researches that consider the sub-dimensions of job stress and job burnout,researches that clarify the antecedents and outcomes that affect the sub-distentions of job stress and job burnout, researches that verify the effects of outcome variables, and a accurate use of job stress related terms. (2) Theory and research type - In-depth researches that apply various theories rel...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학술지에 발표된 총 56편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연구에 대한 고찰은 전반적 현황 분석, 개념․이론․연구형태․연구방법 분석, 그리고 실질적 분석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국내 직무스트레스 연구의 주요 한계점들로 1) 전반적 현황 분석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선행요인 중 주로 직무 및 역할 관련 요인들에 치중, 직무스트레스의 개념과 차원에 대한 개념적 연구의 부족, 종단면적 연구의 부족 등, 2) 개념․이론․연구형태․연구방법 분석에서는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개념적 정의 부족,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의 미흡,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하위차원에 대한 연구 부족, 직무스트레스 이론의 다양성 및 심층적 분석의 부족 등, 3) 실질적 분석에서는 직무스트레스의 조직 수준에서의 조절변수에 대한 연구 부족, 직무스트레스의 결과변수에 대한 연구 부족, 직무만족․조직몰입․이직의향 등 몇몇 결과변수에 치중 등을 지적하였다. 직무스트레스의 향후 연구방향으로, (1) 개념 측면에서 직무스트레스․직무소진의 개념적 정의의 명확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개념적 차이 및 이 두 개념간의 관계의 심층적규명,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하위차원에 따른 선행요인 및 결과변수의 규명과 관련한 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2) 이론․연구형태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이론을 활용한 직무스트레스 연구, 직무스트레스의 결과변수 및 매개변수 규명 연구의 활성화, 직무스트레스 연구 시에 직무스트레스 직접 측정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3) 연구방법과 관련해서는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지속적인 활용, 측정도구와 측정방법에 대한 충실한 정보 제공, 직무스트레스 연구방법의 다양화, 한국적 상황을 고려한 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4) 실증 연구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직무스트레스의 선행요인 및 결과요인 규명 연구, 직무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대한 연구, 조직 차원에서 직무스트레스의 완화 방안에 대한 연구, 연구의 표본 선정에의 주의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전략,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신지연(Shin Ji-Yeon)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0 청소년상담학회지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겪는 생활스트레스를 낮추고 대학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스트레스가 적응에 이르는 구조를 탐색하였다. 이에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처,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파악하여 스트레스가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변인인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처방식, 환경적 변인인 사회적 지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7개 시․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생 51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19.0을 사용하여 기초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LISER8을 사용한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하고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에 이르는 모형에서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처방식, 사회적지지는 생활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적응에 영향을 주는 매개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활 적응을 높이고 부적응을 조력할 수 있는 매개변인의 상호 연관성을 확인하여 예방 및 개입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the effect of the parameters of ego-resilience and coping strategy, social support in the context of adaptation to life stress and on adjustment in college lif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 In relation to the adaptation to life stress and on adjustment in college life, and to deal with negative stress and positive stress management and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is, how can the role of the parameters? For this reason, we conducted a survey of 510 students from four-year college, located in seven cities. For the analysis of data, basic statistical analyzes were performed by using of SPSS 19.0, and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through the covariance structure model were performed by using of LISREL 8, and the fitness was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stress and on adjustment in college life, ego-resilience and positive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has been found to act as a parameter. Therefore, for counseling students unable to adapt to college life, we have to focus not only the strategy to reduce college stressors but also ego resilience due to high stress of college life, and positive coping strategies, even the reduction of social support.

      • KCI등재후보

        일개 지역사회주민의 생활사건 스트레스 인지수준과 그 관련요인

        한금선(Kuem-Sun Han),추진아(Jina Choo),오연재(Youn-Jae Oh),추일한(Il-Han Choo)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2

        산업화와 세계화로 인한 생존경쟁의 증가로 현대인들은 정신건강에 위협을 받고 있다. 생활사건 스트레스(Stress of life events)는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산시 지역사회 주민 933명을 대상으로 생활사건 스트레스 인지수준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남녀별로 규명하기 위함이었다. 생활사건 스트레스 인지수준은 국문번역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GARS)를 사용했으며, 개인적 특성으로서 인구학적 요인으로서 연령과 성별을,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결혼상태, 교육정도, 직업, 종교, 월가구 수입을, 정신적 요인으로서 가족구성원의 정신과문제 유무를, 사회지지 요인으로서 동거가족수를 조사하였다. 총스트레스 인지수준의 독립변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안산시 지역주민의 약 3분의 1정도(32%)가 중간정도 이상의 스트레스를 인지하고 있었다. 그 중 재정적 스트레스 인지수준이 가장 높았다. 남성에서는 이혼/별거/사별과 높은 총스트레스 인지수준은 독립적으로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으며, 여성에서는 월가구수입 그리고 가족구성원 중 정신과문제와 높은 총스트레스 인지수준과 독립적으로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 중심 정신건강 사업은 남녀 별 스트레스에 취약한 특성이 상이하고 이에 남녀별 표적집단을 중심으로 차등을 둔 중재개발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As society is getting industrialized and globalized, competitive endeavor for survival has been rising and being a threat to mental health toward people living in modern society. Perceived stress of life events may be a contributing factor to mental illness as well as physical illness.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perceived stress of recent life events and to determine its gender-specific correlates among 933 residents in Ansan city. The Korean version of th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GARS) was administrated to assess the perceived of recent stress. A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oeconomical variables, age, sex, marital status, education, job, religion, household income per month, the presence of family members having mental illness, and the number of cohabitants were collected as candidate correlates of total GARS scores. About one third of the residents (32%) showed the moderate or severe levels of total GARS scores and the highest levels of perceived stress in financial pressure among eight domains of GARS. Divorced/separated/widowed status was a significant and independent correlate for men, whereas both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the presence of family members having mental illness were significant and independent correlates for women. Therefore, when planning a community-based program, identifying target groups vulnerable to stress and creating gender-specific strategies for promoting mental and physical health are needed. (Korean J Str Res 2009;17:91∼98)

      • 스트레스관리와 기독교상담

        한숙자 ( Han Sook Ja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07 복음과 상담 Vol.8 No.-

        성경적인 관점에서 스트레스의 근본원인은 인간의 타락으로 인한 죄로부터 온다. 또한 스트레스에서 당장 벗어나고자 잘못된 삶을 선택해 더 큰 스트레스에 빠지게 된다. 기독교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스트레스가 근본적으로 죄로부터 시작됐음을 인식하고 회개의 과정에서 하나님의 뜻에 어긋난 것이 아닌 올바른 방법을 선택해서 스트레스에 대처하도록 내담자를 격려한다. 누구나 스트레스를 겪으며 스트레스 자체는 피할 수 없다. 기독교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스트레스는 없애는 것이 아니라 관리하고 조절하는 것임을알도록 돕는다. 스트레스는 피하지 말고 직면하는 것이 좋지만 통제불가능한상황에서는 자기를 격려하거나 긴장이완하는 방법을 배우거나 소망적 사고를 갖는 것, 또한 상황을 다르게 바라보는 관점, 문제를 재정의하는 등의 인지상담적 관점을 갖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 사람일수록 정신적으로 건강하다. 상담자는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내담자의 강점이나 사회적 지지체계가 있는지 파악해서 이를 계발하도록 격려한다. 내담자는 스트레스에 수반되는 분노의 감정을 적절한 자기대화로 학습해서 분노감정을 조용하고 주장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스트레스를 고난의 의미로 받아들이고 고난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꾸도록 돕는다. 내담자가 스트레스를 준사람들을 용서하고 과거에서 벗어나려고 애쓰지 않아도 된다. 왜냐하면 내담자가 스트레스를 받을 때 하나님도 함께 하시고 언젠가 하나님과 함께 나눌 영광에 비하면 지금의 고통은 아주 작은 것이며, 용서능력은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직접 나오기 때문이다. 스트레스관리를 위해서는 사고, 감정뿐 아니라 행동적으로도 욕심을 버리고 절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균형있는 음식, 규칙적인 운동, 이완과 명상, 적당한 휴식도 필요하지만 이 모든 것은 순종하는 삶의 선택으로부터 온다. 작은 일에 순종하고 즉각적으로 온전히 순종하며 고요히 머물러서 항상 기도하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관리할 능력을 얻는다. In biblical approach, stress is stemmed from the sin of human being. And those morally degraded are to suffer from profound feeling of guilt. Furthermore, any hasty efforts to escape from suffering would cause rather serious stress. On the contrary, bible shows how great people overcome their stress by recovering the relationship with God, repenting their sin. It means stress should be cured in the course of recovering the relationship with God as a matter of sin and salvation. Anybody can suffer from stress, and stress itself is unavoidable. In some sense, if it weren`t for stress, there wouldn`t be any vitality of life. Therefore, it`d be desirable for counselors to let their clients know the fact that stress is no matter to get rid of, but a matter to control. For those having negative thoughts on stress as a disaster, Christian counselors can help, through cognitive dispute, to change their thoughts so as to accept the stress positively. Undoubtedly, it`s desirable to face stress directly. However, if not possible for clients to control the stress, the cognitive counseling method is recommended, which helps clients to have self-encouragement, to relaxation training, to have hopeful thoughts, and to redefine the problem. The more one gets social supports, the safer from stress. Therefore, counselors should figure out and encourage each client`s strength or social supports which are helpful in coping with stress. By using adequate self-talk method, Christian counselors can help clients to express their anger caused by stress in a calm and much objective manner. Above all, it`s the most important for counselors to guide their clients understand the meaning of suffering as a trial and view the suffering from a different standpoint. In the meantime clients express their anger, there`s no need to forgive those who harm them or to try to escape from the past. Since God is there when they are in stress, and the suffering they have to endure now is nothing but a dust when compared with the glory they will share with God in the future. And the ability to forgive only belongs to Jesus. For better management of stress, to stay away from excessive desire and to be moderate in everything including thought, feeling, and behavior is needed, together with well-balanced food, regular exercise, relaxation/meditation, and adequate rest. All theses are quite possible by following the life of obedience. The ability to control and release stress is accompanied with the life obeying God fully, promptly, and completely while praying all the time in humble mind.

      • KCI등재

        직무 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표준화 연구 (Ⅰ) : 신뢰도와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이동수,김지혜,한우상,우종민,강동우,고영건,연병길,김이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5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하게 직무 스트레스(job stress)를 측정하고자 Osipow와 Spokane(1992)의 이론적 모형에 기초한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방 법 : Osipow와 Spokane(1992)의 이론에 근거하여 한국판 직무 스트레스 검사(The Korean Version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를 제작하였다. 문항분석을 거쳐 최종적으로 직무 역할(Occupational Role Questionnaire ; ORQ), 개인적 긴장(Personal Strain Questionnaire ; PSQ), 개인적 자원〕(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 ; PRQ) 등 세 가지 하위 영역의 총 140문항으로 검사를 구성하였다. 한국직업사전의 직업분류에 기초하여 총 7개 직종군의 805명(남성 76.5%, 여성 23.5%)에게 검사를 시행한 뒤 직무 스트레스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1) 직무 스트레스 검사의 신뢰도에 대한 분석에서 직무 역할(ORQ), 개인적 긴장(PSQ), 개인적 자원(PRQ) 각 하위 영역에 대해서는 .89∼.92 14개 하위 척도에 대해서는 .70∼.88의 높은 내적 일관성 신뢰도계수 α를 얻을 수 있었다. 8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를 실시하였을 때의 신뢰도 계수는 .62∼.79였으며, 2개 언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국어판 검사와 영어판 검사를 모두 실시하였을 때의 상관 계수는 .82∼.96으로 나타나서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2) 타당도 분석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직무 스트레스의 수준은 대처 자원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γ=-.29)를 나타냈고,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γ=.69)를 나타냈으며, 개인의 대처 자원은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γ=-.40). 전체 직무 스트레스 검사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전반적인 스트레스 요인과 그에 따른 반응,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대처기술,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심리적, 신체적, 행동적 반응 등 세 가지 요인이 추출됨으로써, 이론적 모형에 따른 구성타당도가 입증되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검사는 그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됨으로써,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 경험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향후 직무 스트레스의 구체적 원인과 그 대처방법을 규명하고 나아가 직무 스트레스와 각종 정신적 신체적 질환의 관련성을 과학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스트레스로 인해 고통받는 일반 직장인 및 환자의 치료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our newly constructed job stress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K-OSI). Methods : Through preliminary item-analysis, we constructed 140 items of the Korean version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K-OSI). K-OSI consists of three subscales measuring three sections, 'ORQ'(Occupational Role Questionnaire), 'PSQ'(Personal Strain Questionnaire), and 'PRQ'(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 respectively. The normative group consisted of 805 adult workers who represented six major job classes in Korea. Results :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of 'ORQ', 'PSQ', and 'PRQ' ranged from .89 to .92, and of those 14 subscales ranged from .70 to .88.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s of 8 week duration ranged from .62 to .79, and bilingual's consistency coefficient ranged from .82 to .96. The validity of the K-OSI was investigated by factor-analysis, yielding 3 factors of overall job stress and its responses, personal stress coping, psychological, physical, and behavioral responses of job stress. Conclusion :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K-OSI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of job stress.

      • KCI등재

        엘리트 사격 선수들의 시합 전 · 후 스트레스와 코티졸의 변화가 시합점수에 미치는 영향

        박상혁,김영숙,박인혜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2 체육과학연구 Vol.33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stress before and after elite shooting athletes participate in a match, and to find out the effect on the match score. METHODS Thirty-wight elite shooting athletes were sampl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easure psychological stress before and after the match, and saliva was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match to measure cortisol. In addition, psychological stress and changes in cortisol before and after the game were investigated, and how psychological stress before and after the game and cortisol affect the score of the game were investigated. Accordingly, a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RESULTS The pre-match analysis of psychological stress and cortisol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both post-match stress and cortisol decreased compared to before the match. Increased psychological stress and cortisol both before and after the match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match score. CONCLUSIONS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shooters experience very strong psycho-physiological stress before the match, and the stronger the psychological stress, the lower the game score. [목적] 본 연구는 엘리트 사격 선수들이 참가하는 시합 전·후 스트레스의 변화를 알아보고, 시합점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알아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이에 38명의 엘리트 사격 선수를 표집하여 시합 전과 시합 후 2회에 걸쳐 심리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시합 전·후 타액을 채취하여 코티졸을 측정하였다. 또한 시합 전·후에 따른 심리적스트레스와 코티졸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시합 전·후의 심리적 스트레스와 코티졸이 시합 점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에 자료분석에 기초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결과] 심리적 스트레스와 코티졸에 대한 시합 전-시합 후 분석결과 통계적 유의차가 발견되었으며, 시합 전에 비하여시합 후의 스트레스와 코티졸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합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스트레스와 코티졸을 알아본 결과 시합 전 · 후 스트레스 모두 시합 점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격 선수들은 시합 전 심리적-생리적 스트레스를 매우 강하게 경험하고 있으며, 특히 심리적 스트레스를 강하게 경험할수록 시합 점수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