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만 연계물류를 위한 스마트 기술에 관한 연구

        원승환(Seunghwan Won),이언경(Eonkyung Lee)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1 전자무역연구 Vol.19 No.2

        연구목적: 싱가포르항,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독일 함부르크항과 같은 세계적인 선진 항만들은 스마트 기술의 적용을 위해 경쟁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항만은 해운, 항만, 내륙 물류 이해 관계자 간의 정보 공유가 부족하다. 디지털화된 물류 데이터의 수집과 연계가 어려워서, 전체 공급사슬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분석과 개선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항만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사슬의 디지털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스마트 기술을 제안하여 적용을 지원하고자 한다. 논문구성/논리: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항만 관련 물류 프로세스를 조사한 다음 주요 문제점을 도출한다. 이후 항만 연계물류를 위한 주요 스마트 기술의 개념과 사례를 소개한다. 위의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 도입이 필요한 항만 물류 스마트 기술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전체 연구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미와 향후 방향을 논의한다. 결과: 항만 연계물류의 문제점, 항만 연계물류의 스마트 기술과 적용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항만을 중심으로 공급사슬의 디지털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스마트 기술을 도출해보았다. 도입이 필요한 항만 연계물류 관련 스마트 기술을 화물 지능화, 연계운송 효율화, 연계운송 자동화의 세 영역으로 나눈 후, 영역별로 기술을 제안하였다. 독창성/가치: 지금까지 스마트 항만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국외 항만의 상황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는 스마트 항만 관련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항만은 선진 항만에 비해 자동화뿐만 아니라 해운-항만-내륙 물류 주체 간 정보 공유가 미흡하다. 디지털화된 물류 데이터의 수집과 연계가 어려워, 공급사슬 전체의 운영 효율화를 위한 분석과 개선에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항만 연계물류 문제점을 기반으로, 항만을 중심으로 공급사슬의 디지털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스마트 기술을 제안한다. Purpose: Advanced global ports, such as Singapore Port, Port of Rotterdam in the Netherlands, and Port of Hamburg in Germany, are competing for the application of smart technologies. Contrastingly, Korea s ports have insufficient information sharing between shipping, port, and inland logistics stakeholders. It is difficult to collect and link digitized logistics data;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analysis and improvement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entire supply chai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ort the application by proposing core smart technologies that enabl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port-centric supply chain. Composition/Logic: In this study, first, we investigate the port-related logistics processes, and then establish the main problems. Second, we introduce the concepts and examples of major smart technologies for port-centric logistics. Based on the above analyses, we propose smart technologies for port-centric logistics that need to be introduced in Korea. Finally, the study is summarized, and the implications and opportunitie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Findings: Through the problems, smart technologies and application examples for port-centric logistics, we derive core smart technologies that enabled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port-centric supply chain in Korea. After dividing the smart technologies related to port-centric logistics into three areas: intelligent cargo, efficient port-centric transportation, and automated port-centric transportation, technologies are proposed for each area. Originality/Value: As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smart ports so far have been conducted in overseas ports, studies related to smart ports suitable for Korea are lacking. Compared to advanced ports, Korean ports have insufficient autom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between shipping, port, and inland logistics stakeholders. It is difficult to collect and link digitized logistics data;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analysis and improvement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entire supply chain. This study proposes core smart technologies that enabl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port-centric supply chain, based on the problems of port-centric logistics in Korea.

      • KCI등재

        스마트항만의 해외사례 분석과 정책 시사점: 유럽과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이태휘(Lee, Tae-Hwee) 한국항만경제학회 2020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6 No.1

        최근 여러 연구에서 스마트항만에 대한 정의로, IoT 기술을 바탕으로 통찰력을 가진 완벽하게 통합된 항만(Deloitte, 2017)이나 유일한 생존 수단으로서 시·공간 및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항만(Port Technology, 2016)이라는 모호한 정의가 인용되고 있다. 또한, 많은 항만들이 스마트화 추진방안과 같은 연구용역이나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왜 우리 항만이 스마트항만이 되어야 하는지, 모든 항만이 스마트항만이 될 필요가 있는지, 왜 선진 항만은 서둘러 스마트화를 추진하고 있는지, 우리나라 스마트항만의 미래상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답을 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스마트항만의 개념을 탐색하고 네덜란드, 독일, 영국, 이탈리아, 싱가포르 항만의 스마트항만 추진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해외 항만이 왜 스마트항만을 추진하는 지에 대해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마지막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항만의 스마트화를 위한 유용한 정책을 제언하고 우리 항만이 진정한 의미의 스마트항만이 될 수 있는 정책 방향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고민을 해 보았다. Recent studies have offered ambiguous definitions of smart ports. These include smart ports being the only way that fully integrated ports can survive (Deloitte 2017) or ports that have a design based on Internet-of-Things technology to minimize waste of urban space and resources (Port Technology 2016). In addition, many port authorities are creating smart port strategies and have held research seminars focused on smart port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following questions: Why do we need smart ports? Why should all ports be smart ports? Why are overseas advanced ports promoting smartization as soon as possible? What does the future look like for smart por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concept of smart ports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examined the trends in smart port policies in the Netherlands, Germany, the UK, Italy, and Singapore. Finally, this study proposes useful policies for smart ports and also discusses policy directions that could make our ports truly smart ports.

      • KCI등재

        Industry 4.0 시대의 스마트 항만 효율성 평가

        이수현(Soo-Hyun Lee),김재윤(Jae Yun Kim) 한국산업경제학회 2022 산업경제연구 Vol.35 No.5

        본 연구에서는 세계 각국의 스마트 항만 구축 사례를 조사하고, 이를 포함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항만들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한다. 주요 연구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항만 구축 사례로 Shanghai, Singapore, Qingdao, Rotterdam, Los Angeles, Hamburg, Long Beach 항만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둘째, 이들을 포함하여 컨테이너 처리량을 기준으로 글로벌 Top 20 항만들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4개 산출지향 DEA 모형을 이용하여 각 모형별 효율성 값을 분석하였고, 하나의 유일한 통합 효율성 값을 도출하기 위하여 엔트로피 모형을 적용하였다. 셋째, 스마트 항만 중 Shanghai 항만의 효율성이 비교적 높고, Singapore와 Qingdao 항만의 효율성 값은 0.5 이상으로 분석되었으며, 스마트 항만이 아닌 Guangzhou 항만은 대부분의 DEA 모형에서 효율적으로 평가되었다. 넷째, 20개 항만들의 기술 효율성은 낮고, 규모 효율성은 높으며, 순수기술 효율성 값의 편차는 크고, 17개 항만이 규모수익체감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스마트 항만들이 낮은 효율성을 보인 이유를 분석하고, 스마트 항만의 가시적 성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경쟁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며, 스마트 항만의 효율성 평가에 적절한 평가지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스마트 항만의 경쟁력을 파악하고, 효율성 평가에 필요한 항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carry out the case study of smart ports and analyze the relative efficiency of container ports with global competitiveness. The main research contents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examples of smart port construction, the current status of Shanghai, Singapore, Qingdao, Rotterdam, Los Angeles, Hamburg, and Long Beach ports was investigated. Second, the efficiency of the global Top 20 ports based on container throughput including smart ports was evaluated. At this time, the efficiency values for each model were analyzed using four output-oriented DEA models, and the Entropy model was applied to derive an integrated efficiency value. Third, among smart ports, the efficiency of Shanghai port was relatively high, and the efficiency values of Qingdao and Singapore ports were analyzed to be 0.5 or higher, and Guangzhou ports, not smart ports, were evaluated efficiently in most DEA models. Fourth, the technical efficiency of 20 ports is low, the scale efficiency is high, the deviation of the pure technical efficiency value is large, and only 17 ports were analyzed as a decrease return to scales. Overall, an effective competition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analyze the reasons for the low efficiency of smart ports and to derive tangible results of smart ports,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appropriate for the efficiency evaluation of smart ports is require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competitiveness of smart ports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orts required for efficiency evaluation.

      • KCI등재

        스마트 항만 구축에 따른 시사점과 정책적 제언에 대한 연구

        전용민(Yong-Min Jeon),홍재성(Jae-Sung Hong) 한국국제상학회 2021 國際商學 Vol.36 No.4

        선박의 대형화, 환경 및 에너지 문제, 효율성과 초연결성 등 다양한 요구사항을 수용할 수 있는 스마트 항만이 전 세계 항만의 표준이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미 스마트 항만을 추진하고 있거나 시행할 예정인 사례들을 검토하여 현재와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이슈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우리나라의 스마트 항만 구축에 필요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우리나라 스마트 항만 추진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스마트 항만을 추진하는 배경에 대한 재검토와 함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와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자체적인 기술로 된 스마트 항만 운영 플랫폼과 시스템을 만들되, 구축 후에도 새로운 제도나 인력들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과 인적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항만산업의 위기의식 고취와 인적구조 변화에 대한 신속한 협의를 통해 스마트 항만 도입이 지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넷째, 경제성, 신속성, 정확성, 선박 대형화, 환경, 에너지 등 다양한 이슈에의 대응이 가능한 다목적, 다기능 항만이 되어야 한다. 다섯째, 스마트 항만의 국제표준화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정책적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스마트 항만 구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요구사항으로 정부, 산업계, 연구소, 학교 등은 네트워크를 형성해 협력 플랫폼을 구성하고 적극 추진해야 할 때이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policy suggestions for building smart ports in Korea so that they can respond to issues that may arise in the future as well as currently introduced.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research was set up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is was prepared by deriving problems and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ituation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references, and making policy suggestions for them. Results : Regarding the promotion of smart ports in Korea,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background of promoting smart ports, as well as participate and research by various stakehold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mart port operation platform and system with its own technology, but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smoothly introduce a new one even after construc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introduction of smart ports is not delayed through rapid consultations on raising awareness of crisis in the port industry and changing the manpower structure. Fourth, it should be a multi-purpose port that can respond to various issues such as economy, speed, accuracy, ship enlargement, environment, and energy.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olicy system that can respond quickly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smart ports. Conclusions : It’s time to form a cooperative platform and promote the construction of smart ports, government, industry, research institutes and schools together.

      • KCI등재

        스마트항만 도입에 대한 항만 운영자와 이용자 간의 인식차이에 관한 실증연구 - 광양항을 중심으로 -

        최성희(Choe, Song-Hui) 한국항만경제학회 2020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6 No.3

        해외 선진항만들은 컨테이너 터미널을 중심으로 터미널의 완전자동화뿐만 아니라 스마트화를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항만은 항만 자동화를 포함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도입으로 항만 운영의 효율성 증대 및 이익 극대화,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및 친환경 항만 구축 등을 지향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항만에 도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해외 선진항만에 비해 다소 미흡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비용, 서비스, 시간, 안전·환경 등 스마트항만의 도입 결정요인을 도출하여 광양항 컨테이너부두 운영자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항만의 도입 결정요인과 도입의 찬성과 반대의견에 있어 항만 운영자와 이용자의 조절변수가 투입되었을 때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용, 시간, 안전·환경요인에서 항만 운영자와 이용자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서비스 요인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항만 운영자의 경우 스마트항만 구축으로 효율적인 작업 및 시간 관리, 안전사고 감소 등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나, 항만 이용자의 경우 스마트 항만이 가져올 부정적인 효과가 반영되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조절회귀분석을 통해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결론에서 스마트항만 도입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verseas advanced ports are promoting smartification, as well as full automation of the terminals surrounding container terminals. A smart port can be defined a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pursues increased operational efficiencies, maximization of profit, efficient use of energy, and construction of eco-friendly ports with the introduction of fourth-industrial-revolution technology, including port automation. However, Korea is making efforts to introduce fourth-industrial-revolution technology into ports, but indications are that they are somewhat insufficient compared to advanced ports abroad.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bout operators and users of container terminals in Gwangyang Port by deriving the factors determining the introduction of smart ports, such as cost, service, time, safety, and environment, from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determining the introduction of smart ports and moderating effects when the adjustment variables of operators and users were applied to the pros and c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ort operators and user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cost, time, safety, and environmental factors, but not on service fact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ort operators try to reduce costs through efficient operation, time management, and by reducing safety accidents by building smart ports, but analysis showed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smart ports have affected port u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through a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introducing smart ports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항만 스마트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차재웅 ( Cha Jae-ung ),김율성 ( Kim Yul-seong ),신영란 ( Shin Young-ran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21 해운물류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활용하여 스마트 항만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항만들의 스마트화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항만 스마트지수(PSI, Port Smartness Index)를 제시하였다. 지표의 정규화는 최소-최대 정규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가중치는 요인분석 기반의 산출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 항만은 기술, 사회, 운영, 정보 등 4가지 측면에서 정의할 수 있다. 항만 스마트지수(PSI)는 스마트 항만의 개념에 따라 기술, 사회 운영, 정보 영역으로 구분되며, 영역별 가중치를 도출하여 산출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 기반의 통계적 방법으로 스마트 항만의 개념을 다각적인 차원에서 정리한 최초의 연구이며, 글로벌 항만들의 스마트화 수준 및 추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한 시사점이 있다. This study established clear concept of smart port by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presented Port Smartness Index (PSI) that can measure the level of smartification of the ports based on the concept. Min-Max normalization was used for normalizing the indicator, and the Weight Estimating Model based on factor analysis was used for the weight. As a result of the study, smart port can be defined in four aspects of technology, society, operation an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concept of smart port, PSI is divided into technology, society, operation, and information section, and the calculation model of PSI is presented using the weight of each sect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 give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summarize the concept of smart port in multiple dimensions through statistical method based on survey results.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the index that can evaluate the levels and progress of smartification of global ports from an objective perspective.

      • KCI등재

        스마트 항만의 선진사례 분석과 시사점

        정태원 ( Chung Tae-won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8 해운물류연구 Vol.34 No.3

        스마트 항만 관련 프로젝트들은 주로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항만공사와 글로벌 기업 간에 협업에 의해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국내외 저널에 발표된 논문은 많지 않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도 스마트 항만의 기술적 운영계획 및 세부방안들이 마련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유럽에서 가장 앞서가고 있는 함부르크와 로테르담 사례를 검토해보고 우리나라 스마트 항만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먼저 스마트 항만의 장기비전 및 추진전략을 세우기 위해서는 스마트 도시와의 연계, 선박 및 조선의 미래 변화 상황 이해, 선진 항만기술 분야 및 비즈니스 모델 등을 고려해야하며 둘째, 항만관련 주체와 IT업체와의 유기적인 연계, 참여와 소통이 매우 중요하다. 셋째, 친환경 지속가능성 항만, 디지털 항만, 탄소저감 항만,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 항만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KPI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스마트 항만의 운영을 통해 다양한 R&D 사업의 발굴과 더불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체계적인 플랜이 준비되어야 한다. Smart Port projects are long-term plans that are primarily carried out in Europe by the local Port Authority and global companies. Research in Korea on the terms and concepts related to Smart Port is limited and detailed operational plans are abs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Hamburg and Rotterdam― the leading smart ports in Europe―and suggest implications for Korea's Smart Port. The implications are: First, to establish a long-term vision and strategy for a Smart Por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ts connection to a smart city, understand the future changes in the shipping industry, advanced port technology field, and business model. Second, flexible linkage and communication with IT companies are very important. Third, it is necessary to build a KPI that includes eco-friendly sustainable port and efficiency as functions. Fourth, a systematic plan to create high-quality jobs and the exploration of various R&D projects based on the operation of Smart Ports should proceed concurrently.

      •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항만 구현을 위한 정보통합플랫폼 구축 방향 연구

        김석주 한국품질경영학회 2022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울산항만공사는 글로벌 Top 4 액체물류 중심항만인 울산항의 항만·부대시설 건설, 항만서비스 기획·개발·운영, 안전한 물적·인적 작업환경 조성, 항만환경 관리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동북아 에너지물류를 선도하는 SOC(항만) 국가공기업이다. 전국 무역항의 선박 입출항 관리를 위해 Port-MIS(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가 도입·개선되어 왔으나, 자율운항 스마트 선박, 선박-CIQP(C-관세청, I-출입국관리사무소, Q-검역소, P-항만)-민간(물류·유통 등)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공유하는 시스템 부재로 효율적인 자원관리 및 경제/과학적 의사결정이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울산항만공사는 디지털 전환을 통한 새로운 업무방식의 기술수용 필요성에 대한 내부 공감대를 형성하고, 전담조직이 가동하면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스마트 항만 구현을 위한 미래선도·국제표준 기반 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시작하게 되었다. 울산항만공사에서 추구하는 고객정보제공 기반의 항만데이터플랫폼은 디지털 전환을 통한 항만운영의 혁신적 이행 방안이며, 선박의 운항 정시성을 높이고, 체선율을 감소시키며, 고객 서비스 만족을 위해 입출항 수속 시간을 단축, 시설운영 인프라 개선으로 자원관리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중대재해 Zero 유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울산항의 데이터플랫폼 모델은 정부부처, 화주, 해운선사, 항만 운영 파트너사(선사대리점, 도선사, 예선업, 항운노조, 부두운영사, 선용품 납품사, 항만용역사 등) 등에 산재해 있는 데이터를 통합하고, 수작업으로 관리되고 있는 정보를 디지털 전환하여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항만 현장의 운영·관리, 지능형 CCTV 통합관제, 데이터 예측분석, 이상상황 AI감지, 항만 유관업무 표준화를 위한 빅데이터, 지능형 기술기반의 스마트항만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는 융합형 플랫폼으로서 방향성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실증과제를 연구한다.

      • KCI등재

        국내 스마트 항만 도입 우선순위 도출 연구

        류원형,남형식 한국항만경제학회 2024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40 No.1

        2016년 6월 세계경제포럼인 다보스 포럼에서 4차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어 전 세계적으로 이슈화되었고, 이에 따라 항만산업도 다양한 4차산업혁명 기술을 도입하면서 스마트 항만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현재 세계 주요국들은 해운·항만산업에서 디지털 전환을 실현하기 위해 종합적인스마트 항만을 구축하고 있지만, 국내 항만의 스마트화는 현재 부산과 인천, 광양 등 일부 지역에 항만자동화로 국한되어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스마트 항만 도입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위해 키워드 분석을 수행하여 스마트 항만의 주요 항목들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해관계자별AHP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주요 항목의 경우 대학은 자동화, 지능화, 정보화, 친환경화 순으로 나타났고, 연구소(원)는 정보화, 지능화, 자동화, 친환경화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 기관은 정보화, 자동화, 지능화, 친환경화 순으로 나타났고, 민간기업은 자동화, 지능화, 정보화, 친환경화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세부 항목의 경우 대학은 야드 무인 및 자동화, 안벽 무인 및 자동화, 통합 운영 시스템개발 등의 순으로, 연구소(원)는 통합 운영시스템 개발, 장비/기기 간 상호연계, 야드 무인 및 자동화등의 순으로, 정부 기관은 사고방지 및 안전성 강화, 친환경 에너지 체제 전환, 통합 운영시스템 개발등의 순으로, 민간기업은 안벽 무인 및 자동화, 야드 무인 및 자동화, 사고방지 및 안전성 강화 등의순으로 나타났다. In June 2016, the term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first used at the World Economic Forum in Davos, Switzerland, and it gained worldwide attention. Consequently, the importance of smart ports has increased as the shipping industry has been incorporating variou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Currently,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working to achieve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maritime and port industry by establishing comprehensive smart ports. However, the smartification of domestic ports in South Korea is currently limited to a few areas such as Busan, Incheon, and Gwangyang, focusing on port autom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performed keyword analysis to identify key components of smart ports and conducte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among relevant stakeholders to determine the priorities for the Introduction of smart ports in South Korea. The analysis revealed that universities prioritized automation, intelligenceization, informatization and environmentalization in that order. Research institutes prioritized informatization, intelligenceization, automation and environmentalization. Government agencies prioritized informatization, automation, intelligenceization and environmentalization, while private sector enterprises prioritized automation, intelligenceization, informatization, and environmentalization.

      • KCI등재

        스마트 해운항만물류 인력 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신상훈,신용존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7 No.3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해운항만물류산업의 스마트화에 따른 전문인력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하여 통계청의 2000년∼2020년 기간의 운수업조사 자료와 해양수산부의 한국선원통계연보 2004년∼2021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추세분석과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운항만물류산업의 인력 수요 예측에서 추세분석의 선형회귀모형의 타당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어 이를 적용하였다. 자율운항선 해기인력, 원격선박관리인력, 스마트 해운비즈니스 인력, 스마트 항만인력. 스마트 창고인력, 스마트 해운항만물류 서비스 인력의 2021∼2035년 기간의 인력 수요를 예측한 결과, 스마트 해운항만물류인력 수요는 2023년 8,953명, 2030년 20,688명, 2035년 26,557명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 연구는 스마트 해운항만물류 인력수요에 대한 연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 인력수요를 통계자료에 근거하여 객관적으로 추정함으로써 인력 수요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향후 필요 전문인력 양성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