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표현활동 영역에서스마트러닝(Smart Learning) 적용가능성 탐색

        안양옥,박상봉,황숙영 한국초등체육학회 2013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표현활동 수업의 교육적 가능성을 확대하기 위한 방법으로 스마트러닝을 적용해보고, 이를 통해 스마트러닝이 표현활동 수업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그것이 갖는 교육적 함의는 무엇인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Y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표현활동 영역 중 꾸미기체조를 선정하여 8차시의 스마트러닝 수업을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러닝을 통해 학생들은 풍부한 자료에 쉽게 접근하며 지식을 스스로 확장시켜나갔고, 학생간 또는 학생-교사간 활발한 상호작용을 하며 시공간을 초월한 소통을 하였다. 또한 스마트러닝은 동기를 유발하고 흥미를 지속시키면서 학습자로 하여금 수업에 몰입하도록 해주었고 결과적으로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촉매로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스마트러닝의 구현에 있어 기술적 측면의 한계, 학습자 주도 수업에서 교육적 제한의 설정 미흡 등으로 동영상의 용량 초과와 그에 따른 제한적인 피드백, 대중가요에 치우친 음악선정 등이 개선되어야 할 문제로 지적되었다.

      • KCI등재

        스마트러닝에서 모바일 증강현실의 효과적인 활용 방향성 제안

        이인숙 ( Lee In-so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40 No.-

        급속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체험 중심의 학습경험이 가능한 디지털 사용자 환경이 구축되고 있다. 한편 지식을 스스로 구성해나가는 구성주의 패러다임이 대두되면서 풍부한 학습체험이 가능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을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차세대 학습 환경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한 방안의 하나로 현실세계에 가상 객체를 부가하여 제공하고 가상객체를 실물처럼 조작하면서 체험학습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의 학습 환경 구축이 시도되고 있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이란 실제 현실세계에 가상의 사물이나 정보 등을 합성하여 현실 세계에서 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는 기술을 의미한다.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PC와 같은 모바일 기기의 비약적인 발전과 급속한 확산에 따라 그동안 PC를 이용해 수업을 듣던 이러닝은 접근성과 이동성, 개인성을 앞세운 `스마트러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이 본질적으로 갖고 있는 `일체성`과 `이동성`이 증강현실의 활용도를 매우 높여줌에 따라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모바일 증강현실 기술은 3차원 입체영상을 통해 현실감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자의 직접적인 조작활동을 통하여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학습 경험을 확장시킬 수 있는 교육매체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새로운 스마트러닝 콘텐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제공되고 있는 대부분의 스마트러닝 서비스는 기존의 이러닝 서비스를 스마트폰으로 옮겨온 형태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스마트러닝의 특성은 시뮬레이션 학습의 체험과 효과를 더욱 풍부하게 하여 실감나는 체험학습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는 방식인 모바일 증강현실과 상호작용성, 체험을 강조하는 이동성, 맥락성, 상황성이 강조된다는 측면에서 그리고 공통적으로 스마트폰을 주요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스마트러닝과 모바일 증강현실과의 상호 연계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연계성을 바탕으로 현 스마트러닝에 모바일 증강현실이 적합하게 활용될 경우 비로소 진정한 스마트러닝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므로 모바일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러닝 콘텐츠를 개발,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전반적인 스마트러닝과 모바일 증강현실에 대해 살펴보고, 증강현실을 활용한 교육용 콘텐츠의 국내외 사례 연구를 통해 스마트러닝에 모바일 증강현실 활용 가능성 탐색과 적절히 활용했을 시 기대할 수 있는 학습효과에 대하여 알아본 후 향후 스마트러닝에 모바일 증강현실을 적용하고자 할 때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할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그 제안에 대하여 FGI(Focus Group Interview) 전문가 조사를 통해 분석해봄으로써 타당성 검증과 객관성 확보를 하였다. Thanks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there has built the digital user environment enabling the learning around real experiences. Meanwhile, as the paradigm of constructionism which the knowledge is constructed in itself emerges, there increases the demands on the next learning environment where the users can enable abundant learning experiences and perform their learning initiatively through various interactions with others. As a way to meet the demand, some tries to build the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enabling the experience learning as well as manipulating a virtual object like a real thing. Augmented Reality means the technology giving additional information which is hard to get in the real world by synthesizing virtual objects or information. Recently as high-tech mobile devices like smart phone or tablet PC are dramatically developed and rapidly expanded to the public, the e-learning that the users have used through only a PC is also changing into the `smart learning` emphasizing the advantages of mobility and individuality. Besides, as the `integrity` and the `mobility` of essential elements of smart phone shows the utilization level of augmented reality very reliably, the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newly paid attention gives information with more real sense through 3D images. This technology is paid intensive attention as an educational medium to expand the learner`s range of new learning experiences. As there emerges the creative learning which an individual makes the experience learning and the knowledge around his/her own experiences under this trend, the necessity for the contents suitable for new smart learning is increased. However, most smart learning services currently provided are rarely different from existing e-learning services except the fact that such services are transferred into the smart phone system. In terms that the smart learning emphasizes the interaction with the mobile augmented reality which is the technology enabling more realistic experience learning by reinforcing the simulation learning`s experience effects, and it also focuses on the mobility emphasizing the experience, the contextuality, the situationality, and in terms of that the smart learning and the mobile augmented reality are commonly based on the smart phone technology mainly, it can be said that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smart learning and the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very high. If the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suitably utilized in the current smart learning technology based on the both technologies` interrelation, there will be accomplished to provide truly practical smart-learning services. Therefore, it is time to actively find out the ways to develop and utilize the contents for smart learning which utilizes the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general smart learning and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d researched the possibility for the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o be utilized in the smart learning, and the learning effects to be expected at suitably utilizing the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then this study proposed what direction would generate more learning effects at utilizing the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the smart learning in the future. And this study verified the proposal`s validity and secured the objectivity by analyzing the proposal in using the FGI (Focus Group Interview) expert investigation.

      • KCI등재

        스마트러닝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이연승 ( Lee Yeonseung ),양다경 ( Yang Dakyo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를 통해 스마트러닝 환경의 어려움과 문제점 및 기대에 대해 알아보고, 미래사회의 유아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유아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16개 구군 내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무선표집하여 최종 251부를 분석하였다. 설문내용은 스마트러닝 교육환경,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 경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 경험, 유아의 스마트 기기 활용, 스마트러닝활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자료 보급, 스마트러닝의 학습 효과, 스마트러닝의 필요성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스마트 TV와 휴대용 태블릿 사용이 높았고, 교사 1명이 다수 유아를 대상으로 일반교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당 스마트러닝 일수는 매일 또는 일주일에 1∼2회가 가장 높았고, 일일 스마트러닝 수업 시간은 30분미만이 가장 높았다. 스마트러닝 활용이 유아의 호기심과 흥미를 통한 수업집중도를 높이기 위해서 음악, 동영상 시청이 가장 높았고, 쌍방소통의 교육보다는 일방적인 교육이 가장 높았다. 또한 스마트러닝 활용을 위한 자료보급과 같은 기반이 적다고 인식하였고, 스마트러닝 활용을 위해 다양한 학습 자료의 개발과 기기 및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study the recognition of the use of smart-learning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o learn about the challenges and problems and expectations of the smart-learning community, thereby providing basic data for promoting next generation kindergarten education in the future. To understand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f the study subject, random sampling was done by targeting 16 kindergarten and nursery teachers in Busan and 251 final responses wer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survey included smart-learning environment, earning experience utilizing smart devices, classroom experience using smart devices, children using smart devices, application and data dissemination, effect on learning in smart-learning, and need for smart-learning.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devices mainly used were portable tablets and smart TVs and one teacher used the smart device targeting a group of children. The number of days of smart-learning of everyday or twice a week is the most, and the class hours of daily smart-learning is in under 30 minutes is the most. To increase the curiosity and interest of the children during smart learning lessons, listening to music and watching videos watching constituted a large part of the education. Smart-learning education was one-sided rather than frequent communication between two parties. In addition, there was an inadequate platform for using smart-learning such as data dissemination. To better use smart-learning, various education materials and learning devices and facilities need to be expanded.

      • KCI등재

        스마트러닝 관련변수에 관한 메타분석

        강금만,장신애,송영수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4 인적자원관리연구 Vol.31 No.1

        With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smart devices, smart learning has become popular, and as a result, research on smart learning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nd research results are accumulating.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 size of smart learning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on papers that included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among existing smart learning studies. In this process, previous research results were reviewed and smart learning characteristic factors were categorized as motivation, system, content, and service, and outcome variables were defined as satisfaction, performance, and attitude. As a result of the meta-analysis, the effect size of smart learning was found to be at a significantly medium level not only from the overall perspective of smart learning, but also from all aspects of each characteristic factor such as motivation, system, content, and service. Smart learning outcome variables also showed that the effect size of smart learning was significantly medium in all aspects of satisfaction, performance, and attitude, except for the effect size of content on performance, which was found to be exceptionally insignificant. In terms of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research object, office workers showed the highest effect, and in terms of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amples, those from 300 to 999 showed the highest effect. The smart learning meta-analysis attempted in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erms of timeliness and the expanded number of papers covered by the study, and is significant in that it classified numerous smart learning characteristic factors and outcome variables and measured the size of their effect.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 기기의 확산으로 스마트러닝이 보편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러닝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구 성과가 축적되고 있다. 이에 기존의 스마트러닝 연구 중에서 상관계수 결과를 포함한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스마트러닝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선행연구 결과를 검토하여 스마트러닝 특성요인으로 동기유발, 시스템, 콘텐츠, 서비스로 유목화하고, 결과변수로는 만족도, 성과, 태도를 정의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스마트러닝 전체 관점뿐 아니라 각 특성요인인 동기유발, 시스템, 콘텐츠, 서비스 모든 측면에서 스마트러닝의 효과크기는 유의하게 중간 정도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일하게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성과에 대한 콘텐츠의 효과크기를 제외하고는 만족도, 성과, 태도 모든 측면에서 스마트러닝 각 특성요인의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중간 정도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에 따른 효과크기 측면에서는 직장인이 가장 높은 효과를 유의하게 보였다. 표본수에 따른 효과크기 측면에서는 300명에서 999명까지가 유의하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논문이 시도한 스마트러닝 메타분석은 시의성으로나 확장된 연구 대상 논문 수 측면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수많은 스마트러닝 특성요인과 결과변수를 유목화하고 분류한 뒤 이에 대한 효과크기를 측정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각 연구자들의 시각과 필요에 따라 다양한 표현을 동원한 스마트러닝 특성요인과 결과변수를 본 연구의 연구자들이 종합적인 관점에서 분류한 것은 향후 스마트러닝 연구를 위한 하나의 새로운 밑거름이 될 수 있다.

      • 방송대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콘텐츠 서비스 중장기 전략 개발

        김보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5 정책과제 Vol.14 No.-

        본 연구는 방송대에 적합한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규명된 성인학습자를 위한 스마트러닝의 가치와 특성이 어떻게 콘텐츠에 반영되어야 하는 지, 즉 스마트러닝 콘텐츠가 어떻게 설계, 개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되는 1)스마트러닝 콘텐츠 설계모델을 개발하고, DMC와 전산원이 이를 효과적으로 서비스하기 위하여 필요한 2)스마트러닝 콘텐츠 서비스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분석,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콘텐츠 모델 개발, 모델에 따른 교과목 적용 시나리오 개발, 그리고 시나리오 구현을 위한 개발/서비스 전략 도출의 네 가지 주요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위해 선행연구분석, 사례연구, 현황분석, 전문가 자문, 교수 간담회, 학생설문, 개발자 간담회, 그리고 연구진 논의 등의 방법이 활용되었다. 각각의 방법들은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진행되었으며 매 단계에 관련 분야의 전문가 및 담당자들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첫 번째,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분석 단계에서는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실시하여 지금까지의 이러닝 콘텐츠의 유형과 콘텐츠 관련 모델이 어떤 것이 있었는지, 그리고 이러한 모델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확인하여 본 연구의 모델개발을 위한 이해를 도왔으며, 담당자 인터뷰 및 자료리뷰를 통한 현황분석을 통해 우리대학의 콘텐츠 활용 현황 및 모바일러닝 서비스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4개의 사이버대학 사례분석을 통해 각 대학의 스마트러닝 추진현황, 모바일 러닝 서비스 현황, 그리고 클라우드 시스템 등과 같은 스마트테크놀로지 활용현황 등이 분석되었다. 이처럼 기초분석 단계에서는 스마트 콘텐츠 관련 문헌과, 우리대학 현황, 타 대학 사례를 통해 우리대학 스마트 콘텐츠 모델의 방향에 대한 기초 논의가 이루어졌다. 두 번째,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콘텐츠 모델 개발단계에서는 앞서 진행된 기초분석 단계의 결과를 기반으로 대규모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방송대 특성을 고려하여 단계적 접근을 취하고 교수자가 쉽게 다양한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유형을 중심으로 하는 모델 개발 구성(안)이 도출되고 이를 기반으로 3단계를 거쳐 점진적으로 스마트러닝을 추진하는 모델 초안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초안은 교수간담회, 학생설문, 그리고 전문가 자문 질문지와 인터뷰를 통한 검증 및 보완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1단계는 학습자들의 접근 용이성에, 2단계는 인간적 소통 및 학습네트워크 형성에, 마지막으로 3단계는 맞춤형 및 지식의 실제화 추구에 중점을 두고 점진적으로 진화 발전하는 스마트 콘텐츠 최종모델이 개발되었다. 세 번째, 모델에 따른 교과목 적용 시나리오 개발단계에서는 실제 콘텐츠가 어떤 모습으로 단계별로 개발, 서비스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를 제공하고, 중장기 서비스 전략 개발의 기반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제 2015년 개발을 앞둔 교과목을 대상으로 단계별 모델의 내용이 반영된 강의계획서 및 구체적인 학습활동에 대한 시나리오를 교과목 담당 교수와 함께 개발하였다. 네 번째, 시나리오 구현을 위한 개발/서비스 전략 도출의 단계에서는 개발된 교과목 시나리오에 따라 콘텐츠를 개발, 서비스하기 위해 필요한 개발전략 및 서비스 전략이 연구진, DMC 담당팀, 전산원 담당자와 함께 하는 10여 차례의 논의와 부서별 간담회를 통해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친 연구결과 2015년 반응형 웹을 적용한 모바일 콘텐츠 시범 개발, 2016년 전 교과에 확대 적용(2016년 2학기부터는 PC에서 제공하는 동일한 콘텐츠-연습문제, 웹페이지 등 포함-를 모바일을 통해서도 학습할 수 있음), 2017년 모바일 LMS 개발/활용, 2018년 이후 학사시스템 연계, 학습자 프로파일 데이터 활용 등을 통한 맞춤형 학습 제공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방송대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콘텐츠 모델의 각 단계별 구체적 개발, 서비스 전략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스마트 콘텐츠 모델을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 정책적으로 고려해 보아야 할 사항들이 1) 모델 적용 및 확장을 위한 시범연구 실시, 2) DMC 콘텐츠 모델의 변화, 3) 평가제도와 정책의 변화를 포함한 총체적 접근, 4) 선택적 적용, 그리고 5)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대한 상시적 연구 및 활용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 KCI등재

        한국의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 현황과 향후 과제

        노선옥 ( Roh Seon-ok ),우이구 ( Woo Yi-gu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4

        연구목적: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과 그 추진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 방향을 발견한다. 연구방법: 장애학생의 스마트러닝 지원과 관련하여 2011년부터 2016년까지 발표된 정부의 정책 중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계획, 교육정보화 기본계획,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장애인종합발전 5개년계획 등 5종을 선정하여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내용을 분석하였다. 정책 수행 현황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정보화 백서, 국립특수교육원 사업계획 및 사업운영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은 2011년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된 후 2014년까지는 주로 국립특수교육원을 중심으로 장애학생의 스마트러닝 지원을 위한 기반 구축 사업이 주로 추진되었으며 현재는 국립특수교육원의 콘텐츠 개발 및 감각장애학생의 지원 강화, 시도교육청의 기기 보급, 스마트교실 설치, 교사 역량 강화 등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강화되거나 확대되어야 할 과제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결론: 장애학생들의 스마트러닝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의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스마트기기의 보급과 스마트교실의 설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교사와 학생 1인 1기기는 물론 인터넷 회선의 확보 및 장애학생을 위한 통신장비 이용료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스마트러닝을 위한 특수교육 영역의 콘텐츠의 개발을 확대하고 강화하여야 한다. 특히 표준화된 콘텐츠의 개발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개발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한편 교과 이외의 활동에 대한 콘텐츠의 개발 역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셋째, 특수교육 교육자들은 보다 적극적인 입장에서 스마트러닝을 통한 교수-학습방법을 정의하고, 그에 따른 추진 전략의 마련 및 지원 노력을 필요로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asks to achieve for smart learning support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study, five policies and three kinds of result reports were to choose and analyze. Results: The policies are knuckling down to from 2011 up to now.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was centered around those policies propulsion from 2011 to 2014 to perform basic researches, to develop contents, to improve web-accessability and to manage the advisory panel. After 2015, the offices of education are taken an active parts in the support. Despite their efforts, more tasks to achieve are still remaining. Conclusion: First, physical environment constructing for activated smart learning will be need by smart devices support to the teacher and smart class establishment. Second, in case the contents for smart learning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ll be developed, the standards for applying the universal learning design will be prepared. Third, contents of special education will be widen and strengthening for smart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nally, the efforts to improving competency of teachers will be needed for successful smart learning support.

      • 학내 온라인 강좌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러닝 이용요인 변화에 관한 연구

        김영애,도현옥 한국산업경영학회 2013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3 No.-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3년까지 K대학의 온라인 과목수강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외부변인인 자아효능감, 학업관련성 및 주관적규범이 스마트러닝의 사용용이성 및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스마트러닝의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이 스마트러닝의 수용태도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고 스마트기기의 일종인 스마트폰의 수용정도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e-러닝이나 모바일러닝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검정되었던 스마트러닝의 모든 요인의 영향력이 검정되었으며, ANOVA와 더미변수를 활용한 회귀분석 및 AHP 분석을 통한 학습기간별 차이 검정에서는 스마트폰을 보유한 횟수나 학습자의 스마트기기 노출의 정도에 따른 수용태도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통해 학습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보유하는 것이 스마트러닝의 효용을 높여 준다고 볼 수 있었다. 이는 결국 학습자의 입장에서 스마트기기를 자주 접하므로 스마트러닝을 쉽다고 느끼고 스스로 사용하고자 하는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스마트러닝의 중요요인으로 고려되어진다고 볼 수 있으며, 스마트기기 도입 초기에는 스스로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낮게 나타났고, 현 시점은 스마트폰의 노출과다로 인해 스마트러닝의 유용성에 대한 효율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설계함에 제언하고자 하는 것은 스마트러닝을 설계함에 있어 스마트러닝의 다양한 속성요인도 중요하지만 사용용이성을 높여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마트기기의 노출이 과다한 현실을 반영한다면 학습관련 컨텐츠를 구축함에 있어 학습자들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러닝의 활성화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스마트 러닝 활성화를 위한 자기주도 학습 전략 연구

        방선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2 평생학습사회 Vol.8 No.1

        최근 스마트 러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스마트 러닝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제안된 스마트 러닝의 개념과 특징을 통해 자기주도 학습이 스마트 러닝 활성화를 위한 핵심적인 사항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러닝 환경이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을 촉진하는 최적화된 환경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자기주도 학습의 개념과 전략을 살펴보고 이것이 현재까지 제안된 스마트 러닝 기술의 지원을 바탕으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 생각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제안된 자기주도 학습의 전략을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 수준에 따라 스마트 러닝 환경에서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s recent interests in Smart Learning are growing, different strategies are suggested to vitalize the Smart Learning. Through concepts and features of Smart Learning suggested until now, this study shows that self-directed learning is the essence to invigorate the Smart Learning. And it confirms that Smart Learning environment is the optimum to facilitat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s. To prove the aforementioned, it covers the concept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its strategies and shows how they can materialize with technological supports of Smart Learning presented so far. The study shows how the Smart Learning environment supports of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learner’s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 KCI등재

        한국어교육의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기초 연구

        홍은실 ( Eun Sil Hong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4 No.-

        이러닝, 모바일러닝을 넘어 ``스마트러닝``이 화두가 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러닝의 개념, 실현 기술, 구현 방식 등 모두 초창기이기 때문에 완전한 정의는 아직 없다. 여러 논의를 종합하면 스마트러닝은 ``정보기술 및 기기를 활용해 자기 수준과 적성, 요구에 맞는 협력 학습 및 개별학습, 형식학습 및 비형식학습을 통해 자기주도적, 창의적 학습역량 개발이 가능한 교육 패러다임이자 이를 실현하는 교육 방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외국어교육이 흔한 것은 아니나 휴대전화, PDAs, 아이팟, 앱 등을 활용한 사례가 있다.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와 구현하는 조건에 따라 학습 성과가 달라지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학습자들은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국어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은 현재 앱이나 팟캐스트 등을 통해 가능하다. 개발되어 있는 앱이나 팟캐스트의 숫자가 적지 않음을 통해 스마트러닝과 한국어교육이 융합되어 성과를 낼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앞으로 학습자의 편의성, 접근성, 사용성을 고려하고,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학습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한국어교육의 스마트러닝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먼저 앱과 팟캐스트의 형식이 다양화되어야 한다. 주교재, 보조교재 등 다양한 쓰임새가 고려되어야 하며, 학습 대상, 학습 목적, 학습 내용이 다양해지고 특화되어야 한다. 또한 현재의 자원을 활용해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러닝의 새로운 유형들을 고민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육 전문가들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 고양과 전문가와의 협업 그리고 관련 정부부처들간 일관된 정책이 요구된다. SMART Learning is emerging. There is no settled definition about SMART Learning yet because it is in the embryonic stage. However, synthesizing various discussions about SMART Learning we can conceptualize it. SMART Learning is a paradigm and learning system at the same time. SMART Learning makes students learn autonomously in compliance with their needs, levels and aptitude through collaborative and individual learning using technologies. Currently SMART Learning for Korean can be implemented with some Apps and podcasts. It is hopeful that there is lots of apps and podcasts for learning Korean as foreign and second language. However, we need to consider some points for the effective convergence of SMART Learning and Korean education as below. First we should develop various formations of apps and podcasts. Also we should think of various uses of contents and specialized contents according to learners` purpose of learning and learning items. New ways of SMART Learning using existing technologies should be devised. Lastly Korean teaching professionals should be award of the age of SMART Learning and should cooperate with SMART Learning professionals while studying deeply into the effects and variables of it continuously.

      • KCI등재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러닝 속성에 관한 연구 - 몰입(Flow)과 상호작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동철 대한경영정보학회 2015 경영과 정보연구 Vol.34 No.5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의 학습을 통해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러닝 속성에 학습정보를 제공하여, 다양한 학습 서비스를 통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 환경을 최적화시키는 방안에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활용하고자 한다. 경영환경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스마트러닝 기술속성들이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관계를 미치는지 종합적으로 고찰해 볼 필요성이 있다. 스마트러닝 속성은 최근 학자들마다 조금씩 다른 의미로 정의되기도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인화(Personalization), 다양성(Variety), 연결성(Connectivity), 복합성(Convergence), 편재성(Ubiquity)의 다섯 가지로 정의 한다. 이에 스마트러닝 학습자의만족도와 스마트러닝 학습 성공 요인들의 관계를 규명하고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러닝의 속성의 다양성, 개인화, 복합성은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다양성, 개인화, 편재성은 상호작용에영향을 미치고, 학습자의 학습몰입과 상호작용성은 학습성과에 유용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스마트러닝을 학습효과의 극대화을 위해서는 스마트러닝의 속성이 중요함의 시사점을 준다. The results indicate that direction of online review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information reliability and product attitude. In addition, consumers’ shopping experience also show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direction of online review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Furthermore, product type also shows a moderating effect on the information reliability, yet not on the product attitude. In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success of smart-learning smart learning and learner analyzes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learning flow results, The smart learning variety of properties, personalization, complexity affects the learning flow variety, personalization, ubiquity affects the interaction, It was analyzed by a useful impact on the learner interactivity and immersive learning outcomes. This gives the implications of the smart learning attributes are important in order to maximize the learning experience for smart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