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관광도시 발전을 위한 공법적 과제

        鄭南鎬(Namho Chung),金度承(Doseung Kim) 미국헌법학회 2021 美國憲法硏究 Vol.32 No.1

        최근 관광산업도 4차산업혁명의 거대한 물결에 온라인 중심으로 산업구조와 서비스 방식이 개편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전세계를 비대면으로 강제변환시킨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관광 서비스 모델은 물론 소비 방식이 변화되고 있다. 관광학계에서는 이러한 관광산업이 정보통신기술과 접목하여 진화·발전되는 현상을 ‘스마트관광(Smart Tourism)’이라 정의하고 관광의 미래 모델로 주목하고 있다. 스마트관광은 지능정보기술을 중심으로 한 스마트기술을 관광분야에 적용하여 관광객이 숙박, 교통 또는 플랫폼서비스를 경험하고 기존의 환대산업(hospitality industry)과 여행업을 통합하여 지능화하고자 하는 관광의 방식 또는 관광비즈니스 모델이다. 감염 위험으로 대외 활동 자체가 금기시되는 상황에서 관광의 위축은 자연스러운 귀결이지만 한편 이러한 미증유의 상황에서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관광은 코로나 팬데믹시대 관광의 새로운 대안으로 또 다른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사회적 거리 두기가 장기화되고 관광지 출입통제, 외출 자제 등이 권고되면서 간접경험을 통한 대리만족을 위해 관광지의 영상이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등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 더욱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각국 정부는 스마트관광을 새로운 관광 모델로 주목하면서 스마트관광도시(Smart Tourism Cities)를 가능하게 하는 지능정보기술의 개발과 활용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의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한편 그 역기능을 방지하기 위한 법적 장치 또한 마련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국내에서 최근 새로운 관광 모델이자 스마트도시 모델로 주목받는 스마트관광도시의 형성과 발전을 위한 공법적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지능정보기술의 확산을 도모하고, 데이터 활용과 보호를 위한 법제, 공공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법제, 스마트관광의 필수적 기반인 교통과 숙박에 있어 공유서비스의 전략적 수용을 위한 법제 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Recentl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ourism industry is also reorganizing its industrial structure and service methods, focusing on online. In particular, COVID-19 pandemic, which has recently forced the world to be non-face-to-face, is changing tourism services and consumption methods. The contraction of tourism is a natural consequence in a situation where external activities itself is taboo due to the risk of infection, but on the other hand, in this unprecedented situation, smart tourism using smart technology opens up another possibility as a new alternative to tourism in the pandemic era. Governments of each country not only support the development and use of smart technologies that enable smart tourism cities, but also establish legal and institutional grounds for various services based on such technologies, while preparing legal mechanisms to prevent side effects. In this paper, we look at the legal tasks for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 smart tourism cities that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tourism model and reviewed the legal system for safe use of data. In addition, legal tasks for revitalizing the use of public data and the legal system for strategic acceptance of sharing economy services were reviewed.

      • KCI우수등재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에 따른 여행 서비스 만족도와 행복 및 재방문 의도

        박재은,이은지,정남호,구철모 한국관광학회 2021 관광학연구 Vol.45 No.4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ntegration of technology and tourism in the tourism industry can be easily seen. Smart tourism can be understood as tourism that connects to the Internet at anytime, anywhere, and obtains and utilizes necessary information for travel using technology and smart devices. This study considered accessibility, informativeness, interaction, and personalization as attributes of smart tourism technology (STTs). It verified the impact of these attributes on tourists' cognitive (travel service satisfaction) and affective evaluations (tourist happiness) and, by extension, behavioral changes (intention to revisit).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on-site surveys of foreign tourists at tourist attractions in Seoul and was analyzed based on 191 valid response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STTs informativeness, interaction, and personalization impact tourists’ satisfaction. Additionally, it was verified that service satisfaction and user happi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revisi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eoretically, we explored the attributes of smart tourism technology in response to the social interest in technology and further explained tourists’ behavioral change process based on prior research and the hierarchy of effects of the ABC model of attitude. In practice, tourism developers were given insight into the quality of tourism information before, during, and after tourism and service design.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관광 산업에서 기술과 관광의 접목은 쉽게 볼 수 있다. 스마트관광은 기술 및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과 연결하고, 여행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활용하는 관광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의 속성으로 접근성, 정보성, 상호작용, 개인화로 고려하였으며, 이러한 스마트정보기술의 특성이 관광객의 인지적 평가(여행 서비스 만족도) 및 정서적 평가(행복), 나아가 행동 변화(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관광 분야에서 관광을 통한 감정에 관한 연구는 특정 관광 활동과 행복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 연구는 관광 활동에 있어 스마트관광기술의 속성과 관광객의 인지적, 정서적 평가 및 행동의 변화를 예측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는 서울의 관광 명소에서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현장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91개의 유효 응답을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속성 중 접근성을 제외한 정보성, 상호작용, 개인화는 여행 서비스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였다. 또한, 여행 서비스 만족, 행복 및 재방문 의도의 관계에 있어, 재방문 의도에 대한 행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먼저, 학문적으로 기술에 대한 사회적 관심에 부응하여 스마트관광 기술의 속성을 탐색하고 나아가 관광객의 행동 변화과정을 선행 연구 및 ABC 모델(ABC Model of attitudes)을 바탕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실무적으로 관광 개발자들에게 관광 전, 중, 후의 관광 정보의 품질 및 서비스 설계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관광 정보기술과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MTE)이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수용모델(TAM)을 활용하여

        석윤지,윤병국 한국관광연구학회 2022 관광연구저널 Vol.36 No.3

        본 연구는 스마트관광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 시대에 그 기반이 되는 정보기술의 속성에 대해 탐구하고, 관광객의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 그리고 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태도에 MTE가 어떠한 영향관계로 작용하는가에 대해 실증을 통해,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의 사용을 통해 여행의 편리를 더하고, 그 기억을 풍부하게 하며, 그러한 기술의 지속적 사용을 통해 추천, 재방문의도를 높이는 콘텐츠 구축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중 유효표본 277부를 채택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속성인 접근성, 정보성, 개인화는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또한,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은 태도에, 태도는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MTE의 요소 중 즐거운 경험, 독특하고 이국적인 경험, 자아발견 경험이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속성의 구성 여부와 그 결과를 재확인하고,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태도와 MTE 간 영향관계를 살펴 기존의 스마트관광과 관광경험 관련 연구와 차별점이 있으며, 관광객의 기억에 남는 경험을 한층 높이는 측면의 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 KCI등재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이 지각된 품질, 지각된 가치 및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윤성욱,김정수 동북아관광학회 2020 동북아관광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quality and value of tourism consumers when choosing a travel destination and the consumer perception on tourists’ attachment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attributes of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Nin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0 users who travelled to travel destinations in Korea within the last year.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all the factors of the attributes of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including informativeness, accessibility, and personaliz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quality. As for the perceived value, informativeness was adopted, while accessibility and personalization were rejected.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perceived quality had a direct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and both the perceived quality value showed a positive effect on place attachment. Based on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quality and value experienced in a travel destination using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create place attachment to the tourist destin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revealing the effects of the factors of information technology attributes on a dependent variable, place attachment,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quality and perceived value, which has not been dealt with in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attributes of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Finally, this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based on the conclusion. 본 연구는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속성을 바탕으로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속성이 관광지 선택에 있어서 관광소비자의 지각된 품질 및 가치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소비자 지각의 상관관계가 관광소비자의 관광지에 대한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9개의 가설을 설정하였고, 최근 1년 이내 국내여행지를 경험한 이용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후 구조모형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의 정보성, 접근성, 개인화 요인 모두 지각된 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가치에는 정보성은 채택되었으나, 접근성과 개인화는 기각되었다. 또한 지각된 품질은 지각된 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가치 모두 장소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여행지에서 경험한 지각된품질과 지각된 가치는 관광지에 대한 장소애착을 형성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속성에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속성과 장소애착 사이에서 지각된 품질, 지각된 가치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기존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속성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정보기술속성요인들이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통해 종속변수인 장소애착에 대한영향관계를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시사점,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스마트관광을 활용한 순천 도시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전상현,유민태,박태원 한국지역개발학회 2016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Vol.2016 No.3

        순천시 도시관광의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관광의 도입을 주장하며 그에 따른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스마트관광은 현 시대의 패러다임이라고 볼 수 있다. 관광분야의 공공데이터 양 적 확대 및 관광 플랫폼 구축을 통해 관광객 확보를 위한 홍보전략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스마트관광 분야의 성장을 위해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성화해야 한다. 스마트관광의 민간 부분의 개발도 중요하지만 플랫폼 구축, 콘텐츠 개발 또는 촉진할 수 있는 공공의 지원도 필요하다. ICT는 동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서비스 정 보를 일관성 있게 제공하려면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민관의 협력이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ICT 강국임에도 불구 하고, 이를 활용해 연계 시스템은 미흡하다. 국내 스마트관광 관련 인프라는 미비하고, 정부 및 지자체에서 주도하 는 부분은 서비스 제공보다 정책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민간의 경우 수익을 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넷째, 관광객들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 도입이 필요하다.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및 SNS 상의 관광 정보를 찾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모바일 관련 서비스가 다양해지고 있다. Starwood Hotel의 ‘Keyless’ 스마트 키 서비스를 통해서도 순천시 관광 목적지인 숙박에 적용을 검토할 수 있다. 순천시 또한 증강 현실, 가상현실, 3D, GPS 등 정보통신기술(ICT)를 접목하여 적극적인 시도를 한다면 혁신적인 관광 부가가치 및 기대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고 본다.

      • KCI우수등재

        스마트관광 경쟁력 강화를 위한 스마트관광 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스마트관광도시, 서울을 사례로-

        이선영,정남호,구철모 한국관광학회 2018 관광학연구 Vol.42 No.5

        Smart tourism, which results from the combination of tourism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concept that includes tourist behavior, tourism ecosystems, and customer performan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ntecedents affecting customer satisfaction with smart tourism, which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recent years.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attributes (informativeness, accessibility, interactivity, and personalization), the perceived quality of tourism destination attributes (5A's), and tourist satisfaction with smart tourism. A survey was conducted to Seoul tourists who had experienced smart tourism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attribut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quality of tourism destination attributes and tourist satisfaction with smart tourism. Based on this study, we examined the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and smart destination attributes of Seoul as a smart tourism destination and tried to analyze the smart tourism competitiveness of major cities in the world. 스마트관광은 관광과 정보통신기술의 결합으로 인해 야기되는 관광객의 행동, 관광생태계의 변화, 고객성과 등을 모두 포함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스마트관광도시의 고객만족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살펴보고자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속성, 관광도시의 관광상품 및 서비스의 지각된 품질, 스마트관광 만족 간 영향관계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스마트관광의 중요요소인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의 특성인 정보성, 접근성, 상호작용, 개인화가 관광목적지 속성인 숙박, 교통, 관광명소, 레스토랑, 스마트서비스의 지각된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관광목적지 속성에 대한 지각된 품질이 스마트관광 만족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최근 1년 내에 서울관광을 다녀온 내국인 중 스마트관광 경험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속성은 스마트관광도시 속성의 지각된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관광도시 속성의 지각된 품질은 교통, 레스토랑을 제외하고 스마트관광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서울의 관광정보기술, 스마트관광도시 속성 등을 평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주요 도시의 스마트관광 경쟁력을 비교해 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스마트관광을 활용한 순천 도시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전상현,유민태,박태원 한국지역개발학회 2016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순천시 도시관광의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관광의 도입을 주장하며 그에 따른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스마트관광은 현 시대의 패러다임이라고 볼 수 있다. 관광분야의 공공데이터 양적 확대 및 관광 플랫폼 구축을 통해 관광객 확보를 위한 홍보전략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스마트관광 분야의 성장을 위해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성화해야 한다. 스마트관광의 민간 부분의 개발도 중요하지만 플랫폼 구축, 콘텐츠 개발 또는 촉진할 수 있는 공공의 지원도 필요하다. ICT는 동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서비스 정보를 일관성 있게 제공하려면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민관의 협력이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ICT 강국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활용해 연계 시스템은 미흡하다. 국내 스마트관광 관련 인프라는 미비하고, 정부 및 지자체에서 주도하는 부분은 서비스 제공보다 정책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민간의 경우 수익을 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넷째, 관광객들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 도입이 필요하다.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및 SNS 상의 관광 정보를 찾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모바일 관련 서비스가 다양해지고 있다. Starwood Hotel의 ‘Keyless’ 스마트 키 서비스를 통해서도 순천시 관광 목적지인 숙박에 적용을 검토할 수 있다. 순천시 또한 증강현실, 가상현실, 3D, GPS 등 정보통신기술(ICT)를 접목하여 적극적인 시도를 한다면 혁신적인 관광 부가가치 및 기대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스마트 관광 발전을 위한 사례 분석 연구

        구철모(Chulmo Koo),신승훈(Seung-Hun Shin),김기헌(Kee-Hun Kim),정남호(Namho Chu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8

        정보 기술은 관광 산업에 있어 중요한 역할로서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관광 산업은 항상 정보기술과의 융합을 실천해왔다. 이는 인터넷의 등장으로 인해 정보원의 규모가 확장되면서 가속화되었다. 특히, 스마트폰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의 등장은 이러한 흐름의 주요한 사례로 볼 수 있다. 한국관광공사는 이러한 상황에 발맞춰 인터넷, 스마트폰 그리고 SNS를 토대로 스마트 관광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국관광공사의 스마트 관광 시스템의 각 플랫폼들을 분석하고 이들 사이의 연관성을 설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For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erefore, tourism has been open to IT. Through internet, the sources of information became extensive. Smartphone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make huge changes in tourism. In line with this, Korea Tourism Organization (KTO) is developing the smart tourism system, composed of internet, smartphone, SNS, as representative of Korea tourism. In this research, KTO’s main channels, internet, smartphone, SNS, of smart tourism system will be analyzed as well as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channels.

      • KCI등재

        ICT 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관광의 추진사례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정병옥(Byeong-Ok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1

        세계 관광트렌드는 스마트 기기라는 새로운 정보유통채널의 출현으로 기존의 대량관광, 단체관광 중심에서 개별관광 중심으로 관광의 패러다임이 급속히 재편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관광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첨단 ICT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선진화된 스마트관광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관광 발전현황 및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해보고 이에 부응하는 정책적 대안을 분야별로 제시하였다. 첫째, 인프라 구축에서는 스마트관광 유통플랫폼 및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구축을 제시하였다. 둘째, 수요자 맞춤형 관광콘텐츠 개발부문에서는 융복합 관광콘텐츠 및 사용자경험(UX) 기반 콘텐츠 개발 등을 주문하였다. 셋째, 거버넌스에서는 스마트관광 민관협의체 구성 및 창조관광기업 육성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관련 실무자에게 스마트관광 활성화 관련 사업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introduction of smart devices as a new channel of information distribution, the mass tourism that has been dominating the travel scene is being transformed into individual tourism. Therefore, it is more than important to establish an advanced smart tourism environment using cutting-edge ICT technologies in order to go into one of tourism developed countries. In line with that, this study draws both local and international cases to show where smart tourism stands now by mapping out problems and solutions by category. Firstly, in terms of infrastructure, establishing distribution platform and big data analyzing systems were suggested. Secondly, to fit the needs of consumers, converged tourism content and user experience based content development are in need. Lastly, in terms of governance forming public-private consultative body and incubating creative tourism companies are suggested. The study results will serve as a fruitful reference to those who want to establish business strategy related to smart tour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