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주의의 중국화’: 쉬지린(许纪霖) 사례를 중심으로

        유은하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2020 중국지식네트워크 Vol.16 No.-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 중국의 대표적 자유주의 지식인 중 한 명인 쉬지린(许纪霖)의 사례를 통해 반(反)유가에서 친(親)유가로의 전환을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개혁개방 이후 소위 자유주의의 중국화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에 있다. 1980-90년대에 유가와 현대 중국사회의 역사적 맥락은 단절되었다고 비교적 강한 어조로 반(反)유가를 설파했던 쉬지린은 2000년대 중반 무렵 이후 유가를 포용하는 논조로 전환하였다. 즉 유가를 전면적으로 수용한 것은 아니지만 현대 사회에서 유가가 독자적으로 회생되기는 어렵고, 자유주의도 자체의 불완정성으로 인해 중국에서 독자 생존이 어렵기 때문에 양자의 ‘제휴’가 필요하다고 하였는데, 이를 자유주의의 중국화 혹은 유가의 자유주의화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쉬지린이 유가를 핵심 문화코드로 하였던 전통사회의 가치 질서에 대해서도 전반적인 부정적 인식을 보였다가 상당히 긍정적으로 돌아선 것을 알 수 있다. 그동안 자유주의의 중국화에 대해서는 거의 하나의 ‘현상’으로 접근하여 일부 자유주의 지식인들의 최근 논의를 병렬식으로 제시한 경우가 많은데, 본 연구는 대표 학자의 논의에 대해 개혁개방 초기부터 통시적(通 時的)으로 살펴봄으로써 시대의 흐름에 따른 중국 현대 자유주의 사조의 변화를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밝히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so-called localization of liberalism in China by revealing specifically the conversion process from anti-Confucianism to pro-Confucianism through the case of Xujilin who one of a representative liberal intellectual in contemporary China. Xujilin who had an anti-Confucian view, advocating quite strongly that the historical context between Confucianism and modern China was cut off during 1980s-1990s has turned his view to embracing Confucianism since the mid-2000s. In other words, although Xujilin did not fully embrace Confucianism, he said that a partnership between the two―Liberalism and Confucianism―was necessary because it is difficult for Confucianism to revive independently in modern society and liberalism is also difficult to survive independently in China because of its own imperfections.

      • KCI등재

        현대 중국에서 담론 지형의 구조와 역사주의 : 특집기획논문

        김수영(Kim, Sooyoung) 한국사학사학회 2011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3

        현대 중국의 담론 지형에서 역사주의는 극히 미미한 양적 영역을 차지한다. 그러나 이는 역사주의가 현대 중국의 사상지형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작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담론계에서 역사주의 용어의 사용이 극히 저조했던 이유는 중국정부와 학술계 모두에서 이념적 용어를 그다지 반기지 않는 경향이 강했기 때문이다. 인민일보와 학술 잡지에서 기타의 이념적 어휘들 - 민족주의, 자유주의, 보수주의, 급진주의 - 역시 모두 저조한 사용빈도수를 보이고 있는 것이 이를 반증해 준다. 이념적 어휘들이 정치투쟁과 연결되어 일으킨 사회적 폐해는 아직도 중국인들로 하여금 이념적 어휘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결국 현대 중국의 담론지형에서 역사주의는 역사주의 자체를 둘러싼 담론을 형성함으로서 영향력을 행사하기 보다는 다른 주요 담론들 속에서 사고의 패턴을 결정하는 (보이지 않지만 중요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의 학술담론 지형에서 역사주의와 연결되어 논의를 전개시키는 담론 중 가장 많은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은 현대성이다. 현대성 담론은 중국 전체 담론지형에서 (15개 관건사 중에서) 제 4순위를, 인문학내 담론지형에서는 제1순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역사주의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도 제 1순위를 차지한다. 다시 말해 현대 중국의 역사주의를 분석함에 있어 현대성 담론과 연결하여 살펴보는 것이 역사주의의 위상을 가장 보여 줄 수 있다는 말이다. 이런 점에서 현대성과 역사주의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논하고 있는 장루룬과 쉬지린의 글은 중국의 역사주의를 이해하는데 상당히 적절하다. 흥미로운 것은 이 두 저자의 글이 10년의 간격을 두고 쓰여졌고 두 저자가 주목하는 역사주의의 기능 역시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에도 이들은 중요한 부분을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 장루룬과 쉬지린 모두 중국의 역사주의의 현재 모습을 비판하면서도 동시에 역사주의를 버리지 않는다. 이들은 모두 서구 계몽가치의 보편주의에 대한 신념을 버리지 않으면서도 역사주의가 인류역사에 가져다준 이점을 수용하려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역사주의를 포함하는 보편주의 또는 다원주의를 포함하는 보편주의를 만들어나갈 것을 주장하면서 중국 역사주의의 지평을 다시 써 내려가고 있다는 말이다. Historicism occupies small portions in the geography of academic discourses in China. But this does not mean that its influence on the geographical formulation of Chinese academic discourses is also meager. Since the Open Door Policy the word of historicism has seldom appeared not only in the newspapers and but also in the academic works. The reason for the low frequency is less to do with the idea of historicism itself but rather with the strong reluctance of the government and the academic field of China to use it. This reluctance is not applied only to historicism but also to other vocabularies such as nationalism, liberalism, conservatism, radicalism, etc. All of these words including the suffix ‘ism’ appear very little both in the People’s Daily and in the academic journals of China since the Open Door Policy.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distortions and social damages brought by the excessive use of the ideological vocabularies in the early Chinese socialist history still impacts the minds of Chinese people to tighten their guard against using them. Therefore historicism in China exerts its influence, not in the discourse of historicism itself, but in other powerful discourses by determining the logic of their thinking. The idea of modernity has been one of the most powerful themes in the academic discourses of current China. The discourse on modernity in China produces the fourth largest numbers of academic papers (analyzed on the basis of 15 major keywords), and the first in the field of the liberal art, and also the first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the word of historicism involved in the discourse.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power of historicism in Chinese academics it is appropriate to discuss historicism in its relationship with the idea of modernity. The articles of Xu Jilin and Zhang Rulun, written in the year of 2000 and 2010 respectively, are two of the very few academic papers that directly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ity and historicism. The articles manifest differences of Xu and Zhang in understanding the function of historicism in current China but at the same time they shares a very significant element. Even though Xu and Zhang criticize the recent development of historicism in China differently, both of them do want to cherish the beneficial effects of historicism to human history. While firmly holding their belief in universalism of the western Enlightenment values, both Xu and Zhang make a great effort to appreciate the freedom that historicism has bestowed on modern history. After all, the history of historicism in China is being rewritten to be incorporated into the meaning of universalism by the scholars such as Xu and Zhang.

      • KCI등재

        ‘문명’의 발견과 해석, 그리고 중국의 비전

        송인재 ( Song Injae )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8 No.-

        중국의 4부상’에 힘입어 ‘문명’이 중국지식계의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때 ‘문명’은 세계가 주목하는 경제성장으로 일군 중국의 자신감을 유지ㆍ보완할 수 있는 가치로 간주된다. 쉬지린은 ‘부강’과 4문명’이라는 벤자민 슈워츠의 근대화 해석 도식을 도입한다. 그는 중국이 경제적 ‘부강’만으로는 세계적 대국이 될 수 없고 여타 세계 각국이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문명’을 창출할 때만 진정한 세계적 대국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한다. 간양은 역사적 연속성과 특수성에 기반을 둔 ‘문명’을 중국의 시대적 과제로 제시한다. 그는 이를 ‘민족-국가에서 문명-국가로’라는 슬로건으로 정식화해서 국가적 고유성이 국가 존립의 필수요소라고 지적하고 그 고유성의 원천으로 중국의 고전문명을 제시한다. 역사적으로 볼 때 19세기에 ‘문명’은 서양에서는 진보의 실현에 대한 자신감의 표현이었고, 동양에서는 서양에 열등한 동양이 따라서 배우고 실현해야 할 지향태였다. 그런데 현대세계에 와서 ‘문명’은 세계대전 등 각종 부작용을 거치면서 진보 실현의 대명사로 추앙되는 대상이 아닌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쉬지린과 간양은 이러한 ‘문명’ 개념의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그것을 세계사적 보편성, 중국의 고유성을 대변하는 개념으로만 사용한다. 그런데 오늘날 중국이 실현한 성장은 서양에서 한 차례 근본적인 비판을 받은 문명을 낳은 세계질서에 적극적으로 편입한 결과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고려 없는 ‘문명’에의 지향은 그 개념적 기초부터 흔들리고 있으며, ‘부강’을 넘어서는 것이 아닌 ‘부강’이 이룬 결과나 그 행위를 포장하는 가치에 머물 가능성이 있다. Going along with the rise of China, ’Civilization’ rise as the new topic of the society of intellectuals in China. In this time Civilization means the value which can the confidence of the strong China. Xu juin introduced the diagram of Benjamin Schwartz’s interpretation on the modernization. He consist that China cannot be the powerhouse only with the power of economy in the world, and only when China construct the universal ’Civilization1 she can be the real powerhouse in the world. Gan Yang proposes that the Civilization which is based on the continuity and uniqueness can be the purpose of this times. He developed this thoughts to the slogan of 'From nation states to civilized state' and insisted that uniqueness is necessary to the maintain this country. He also proposes that the uniqueness is originated from the classical civilization of China. In the vision of the Historical view, Civilization was the presentation of the confidence of the realization of progress in the western society. It was also the purpose that eastern society which was inferior to the western society must fellow and realize. By the way, ’Civilization’ was changed to the object to criticize not to fellow. Xu Jilin and Gan Yang didn't consider this contexts of the concept of 'Civilization', just use this concept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university and uniqueness of China. But Chinas development is the result of the incorporation to the world-order which is criticized in this times. Therefore, if they don't consider this aspect, the concept of civilization must be agitated and it cannot go beyond wealth', but can just glamorize the activity or the result of 'w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