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서구식 대학교육의 수용과 대학문화의 전통

        박삼열 숭실사학회 2019 숭실사학 Vol.0 No.43

        This paper summarizes the social status and the contents and traditions of university culture that universities had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Soongsil University, Korea's first modern university. The contents are as follows. Since its opening, the Korean society has shared the view that modern university education is necessary as a way to protect national sovereignty in the face of Japanese imperial rule, and Soongsil University was a Christian universit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 national university founded by the dedicated efforts of missionary Beard and enthusiastic participation of Pyongyang citizens. The academic status of the university was in the position of social respect and praise as the highest academic department of Joseon until the school voluntarily closed in March 1938 in protest of Japanese oppression. In addition, Soongsil University played a role as a window for actively accepting modern advanced culture through Western-style university education and continued its development towards a comprehensive university. In addition, the curriculum of Soongsil University was found to have provided courses boasting the best standards in humanities, natural sciences and agriculture, and was rapidly accepting the new classes through music, sports, missionary and various new academic activities Soongsil University served as an organization of ethnic teachers who formed a constant tension with Japanese colonial rule until the end of the school, and its social responsibilities through many activities such as and the 'Pyongyang Hurray Movement' in which the Joseon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the Gwangju Student Movement was launched. 본 논문은 한국 최초의 근대 대학인 숭실대학의 설립을 전후하여 대학이 가지게 되었던 사회적 위상과 대학문화의 내용 및 전통에 대해 정리하였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개항 이후 한국사회는 일제의 국권침탈 앞에서 국권을 지키는 방법의 하나로 근대식 대학 교육의 실시가 필요하다는 상황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으며, 숭실대학은 이 같은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선교사 베어드의 헌신적인 노력과 평양 시민들의 열성적인 참여에 의해 창립된 민족대학으로서의 성격을 갖는 기독교대학이었다. 대학의 학문적 위상은 1938년 3월 학교가 일제의 탄압에 저항하여 자진 폐교할 때까지 조선의 최고학부로 사회적 존경과 찬사의 위치에 있었다. 숭실대학은 일제시기에도 서구식 대학교육을 통해 근대적 선진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창구였다. 농과 설치와 종합대학을 지향하는 등의 발전 계획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숭실대학의 교과과정의 내용을 살펴보면 인문학과 자연과학과 농학 등에서 당대 최고의 수준을 자랑하는 강좌를 개설했다. 음악이나 스포츠, 선교활동 및 다양한 강연회 등을 통해 신학문도 빠르게 수용하였다. 숭실대학은 폐교될 때까지 일제와 끊임없이 긴장관계를 형성하는 민족교육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했다. 조선국민회사건이나 광주학생운동이 발단이 된 ‘평양만세운동’ 등에서 많은 활동은 사회적 책무를 다하는 교육현장이었다.

      • KCI등재

        미국장로회선교사 윌리엄 뉴튼 블레어(邦緯良)의 한국선교와 숭실대학

        吳淳邦(Soon-Bang Oh) 중국어문논역학회 2017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0

        윌리엄 뉴튼 블레어(William Newton Blair, 방위량(邦緯良), 1876-1970)는 1901년 9월 내한하여 1949년 대구선교부에서 은퇴하기까지 48년 동안 한국에서 사역했던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이다. 그는 1907년 “평양대부흥회” 당시 부흥회의 설교자이며 인도자였고, 1909년부터 일어난 “백만인 구령운동”과 1919~1935년의 “기독교 진흥운동”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는 한국교회의 개척사업과 기독교 교육사업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으니 장로회 평양선교부를 중심으로 한 서북지역의 5개군을 관할하며 순회전도사역을 하면서 57개의 교회를 개척하였고, 1901년부터 숭실학당(Soongsil Academy)과 평양신학교, 교회의 주일학교에서 교육사업에 헌신하였다. 1930년대 후기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따른 탄압과 박해를 받는 가운데에도 블레어는 결연히 신사참배를 거부하다가 1942년 일제에 의해 강제로 출국 당해 미국으로 송환되었다. 그는 1902년부터 숭실학당에서 체육과 음악을 가르쳤고, 1908년과 1920년에는 미국에서 모금활동을 전개하여 숭실대학(Soongsil Union College)과 평양신학교의 건물을 신축하였으며, 1930년대에는 숭실대학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후학을 양성하였고, 숭실대학이 신사참배를 거부하고 자진 폐교할 때에는 재단이사장으로 학교 운영과 폐교절차를 진행하는 등 숭실대학의 교육, 행정에 직접 참여한 경영자이기도 하였다. 그는 5권의 저작과 30여 편의 논문을 저술하였고, 대부분 영어로 기술한 저술 중에 2권의 한글 번역본이 출간되었지만, 아직 블레어의 한국선교사역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저작은 나오지 않았다. 본 논문은 국내외의 관련 논저를 수집 조사하여 모두 5장의 편폭으로 48년간 한국에서 진행된 블레어의 선교사역과 숭실대학에서의 교육사역에 대해 전반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An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ary William Newton Blair(1876-1970) served in Korea for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He played a key role in Korean church planting movement and Christian education. As part of the mission work, he planted 57 churches in the area of North West Korea, and led movements such as The Pyengyang Revival(平壤大復興會), The Evangelization Movement for Millions of Korean(百萬人救靈運動) and The Forward Movement(基督敎振興運動). He also dedicated his life to Christian education: he raised funds to build Soongsil Academy and Pyongyang Theological Seminary and served as a professor of Soongsil Union College. While he was a chief director of Soongsil foundation, he and the school participated in protests against Japanese colonialism which was ended up with school shut down. There has been no dedicated academic research on the trace of his activities so far.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his missionary and educational works based on analysis of his 5 books and over 30 papers.

      • KCI등재

        숭실대학 학생들의 4·19민주혁명 참여와 현실인식

        황민호 숭실사학회 2023 숭실사학 Vol.- No.5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ituation of the Soongsil University that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April Democratic revolution to see how the university society was participating in the revolution at the time and how it recognized and tried to respond to social problems after the revoluyion. So,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approach specific examples of university society and perception of society that particiapted in the April Democratic revolution in detail through the case of Soongsil university. First, the participation of Soongsil University students in the April Revolution began in connection with the campaign to win fair elections, and activity externally linked to the Democratic Party. And also after April 19, they participated in the “April Revolution student countermeasures committee” and particiapted in the protests led by members of the countermeasures committee at the Hanyang University on the 22th and 24th. Second, Some of the student council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the demostration contacted other universities to conduct activities to maintain order and security as the police fled after President Rhee’s resignation. Third, The perception of the revolution by the members of Soongsil university was the April revolution was the first civil revolution in Korean history, and there was a moment that young people became patriotic. In addition, students were strongly dissatisfied with sluggish social reform of the Democratic Korean Government of the 1960s. And they strongly felt the need to participate in reality. However, over time, public opinion in the school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evolution, but was conducting critical discussions on various problems created by the leading forces of the movement in the democratization of academies and the New-Life movement. In addition, it seems that he expressed strong opposition to the theory of neutralization and unification on the premise that he had no choice but to distrust the communists. 이 논문은 4·19민주혁명의 전개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숭실대학의 상황을 검토해봄으로써 당시 대학사회가 어떻게 4·19민주혁명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혁명 이후의 사회문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해 가고자 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4·19민주혁명에 대한 대학사회의 참여와 현실 인식의 구체적인 상황을 숭실대학의 경우를 통해 보다 세밀하게 접근 해보는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첫째, 숭실대학교 학생들의 4·19민주혁명 참여는 외부적으로는 민주당과 연계된 공명선거 쟁취를 위한 선거운동과 관련을 맺으면서 시작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4·19 이후에는 4·19학생대책위원에 참여하여 22일과 24일 한양대학교에서 대책위원회 구성원들이주도한 시위에 참여하였다. 둘째, 시위에 참여했던 학생회 간부들 중에는 이승만대통령 하야 이후 경찰의 도피로 치안부재의 혼란상황 야기되자 다른 대학과 연합하여 치안본부를 점거한 후 질서유지와 치안유지에 협조를 당부하는 선전·홍보활동을 전개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숭실대학의 학생들은 치안본부의 질서유지를 담당하였다. 이밖에 숭실대학의 구성원들을 4·19義擧學生對策委員會, 四月革命負傷學生同志會, 4·19위령탑 건립위원회에서 활동하였으며, 신생활운동과 7·29 總選擧啓蒙을 위한 하기유세대, 학생계몽대에 참여하였다. 이밖에 학생회 종교부에서는 농촌계몽을 위한 전도활동을 전개했던 것으로 보인다. 셋째, 4·19민주혁명에 대한 학내의 구성원들의 인식은 4·19혁명이 우리 역사상 처음 가져본 시민혁명이며, 젊은이들이 애국하는 모멘트가 마련되었다고 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민주당 정권 지지부진한 사회개혁에 강한 불만을 가지면서 현실참여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는 태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내의 여론은 4·19민주혁명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학원민주화와 신생활운동에서 운동의 주도세력들에 의해야기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해 비판적 논의를 전개하고 있었다. 또한 중립화 통일론에 대해서는 공산주의자들을 불신할 수밖에 없다는 전제 하에 강력한 반대의견을 나타내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기독교대학 발전을 위한 복음과 문화 ― 숭실대학교를 중심으로

        박흥순,연요한 한국대학선교학회 2010 대학과 선교 Vol.18 No.-

        한국 사회와 한국 교회 그리고 세계를 위한 지도자를 교육하고 양성하기 위해서 기독교 정신의 이념을 바탕으로 설립한 교육기관 가운데하나가 기독교대학이다. 기독교대학의 교육 목적에 적합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것은 대학교의 중요한 구성원인 비기독교인 대학생을 포함한 모든 대학생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첫째로 기독교대학의 교양필수 과목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숭실대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기독교 교양필수 과목 <현대인과 성서>에 대한 수강생의 “강의 만족도결과 보고서”를 분석할 것이다. 2008년 2학기에 실시한 “강의 만족도결과 보고서”를 토대로 부정적 평가와 긍정적 평가를 구분하여 기독교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의 관점을 조사하고자 한다. 둘째로 본교에서 운영하는 대학 채플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점검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대학 채플 운영을 위해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할 것이 무엇인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셋째로 기독교대학 기독교 교양필수 과목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기독교 교양필수 과목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수와 학생의 상호이해가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넷째로 기독교대학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요소가 ‘대화’와 ‘공존’을 위한 ‘쌍방향 소통’이라는 것에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비기독교인 대학생 선교를 위해서는 ‘상호존중’에 근거한 인식의 전환, 변화 가능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자한다. Christian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the educational institution based upon Biblical teachings in order to foster potential leaders for Korean society and Korean churches. It should be indicated that Christian colleges and universities intend to deliver Christian principles to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who are not Christians and even have harbored ill feelings against Christianit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and students to communicate each other. In this paper, firstly, we intend to investigate attitude survey from students about “Contemporary Person and the Bible” which is the compulsory subject related to Christianity before graduating university. Secondly, we will look at perspectives from students who should participate in a chapel at Soongsil university. Students must keep a chapel during six semesters once a week. Thirdly, I would like to suggest an alternative insight for the compulsory subject related to Christianity. We should pay attention to improving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order to conduct a 32compulsory subject, “Contemporary Person and the Bible”, run by Soongsil University. The term “two-way communication” is an essential concept for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colleges and universities. It should be stated that faithful dialogue between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and students is a primary task in order to educate appropriate leaders in the light of Christian world-view.

      • KCI등재

        대학 통일교육 현황과 사례-숭실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조은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1

        Uniform Survey results of recent 20 young people (including college students) may appear indifferent to the growth and spread of doubts about unification. Currently 20s of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receive less experience in training for unifi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a small middle and high students for unification preparation, of course, college students of unity consciousness is sympathy to be the most important in the future of a unified process, it wa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the university unification educa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case study of Soongsil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way of the future of a unified education. The result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at university students into the university did not offer a structure that may be of interest with respect to unification. In order to improve this, structurally ① Unification education expands opportunities and target ② diversification of the Unification curriculum ③ unification education must seek new ways. Soongsil was able to confirm the change of attitude to the unification of the results Soongsil students attempted to diversify teaching content and how to reform the education courses required of <Korean peace and Unification> continuously each semester. In order to change the university Unification consciousness requires a new approach, such as Unification Audience expansion, diversification of the Unification educational content, format diversific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expensive and takes considerable force for this purpose. Since unification of the university education, as well as continued interest and support of the government it is urgently required. 최근 대학생을 포함한 20대 젊은이들의 통일의식조사 결과는 통일에 대한 무관심 증대와 회의적 시각의 확산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대학생들을 포함한 20대의 경우 초·중·고 시기에도 교육과정 중 통일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적었고 대학의 통일교육현황을 살펴 본 결과 대학생들이 통일에 대하여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일준비를 위해서는 초중고 학생들은 물론 대학생들의 통일의식이 향후 통일과정에 가장 중요하다는데 공감하고 대학 통일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숭실대학교의 통일교육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통일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대학 내 통일교육 현황을 살펴본 결과 전공생 중심의 이론교육이 진행되는 제한적 교육이 실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구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① 대학생들의 통일교육 기회와 대상이 확대 ② 통일교육 내용의 다양화 ③ 대상에 맞는 통일교육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숭실대학교는 교양필수 교과목인 <한반도 평화와 통일>를 매학기 지속적으로 개편하여 수업 내용과 방법의 다양화를 시도한 결과 숭실대학교 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태도 변화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대학생 통일의식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대학 내의 통일교육 대상 확대, 통일교육 내용의 다변화, 통일교육 형식의 다양화 등 새로운 시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당한 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때문에 미래 통일시대 주역인 대학생의 통일의식 고취와 대학생 스스로 통일에 대한 긍정적인 미래를 준비하게 하기 위해서는 통일교육을 하는 대학은 물론 통일교육원을 포함한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

        '대학문제(The College Question)'를 통해 나타난 배위량(William M. Baird)의 교육선교사상 및 역사적 의의

        배도환 기독교학문연구회 2010 신앙과 학문 Vol.15 No.2

        The Union Christian College (Soong Sil) had been run successfully, which had been started with the union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and the Methodist Church in 1906. However, in 1912, a new argument was triggered when the Methodist Church proposed to set up an union college for all Koreans in Seoul to an Educational Senate. Since then, the issue kept being discussed until 1914, which is now called the College Question. The Southern Presbyterian Church, the majority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and Australian Presbyterian Church supported Pyongyang as the place to set up a new union college, while the Southern and Northern Methodist Churches, and som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es supported Seoul. Meanwhile, in the beginning of 1913, American Mission headquarters decided to establish a new union college for all Koreans in Seoul. Pyongyang Missionary Department and William M. Baird refused this decision and protested it to the last, but Pyongyang Soong Sil College was degraded to a junior college in the end. This essay has been written to help people know and understand the educational thought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William M. Baird, which was revealed in the process of his supporting a union college in Pyongyang. First, he and Pyongyang Missonary Department confronted with the traditional mission strategy of the Church and tried to devise new ones. Second, they strived to bring up christians for Korean people. Third, they confronted with the regional tradition of Korea and made an effort to achieve the balance of development between regions. Finally, they confronted with Japanese colonial rule and fought against the ruling power of Japan. 1906년 한국의 북장로교와 감리교의 연합으로 시작된 합성숭실대학(the Union Christian College)은 성공리에 잘 운영되고 있었다. 그런데 1912년 감리교가 서울에 하나의 연합 대학을 세우려고 교육위원회(an Educational Senate)에 제안을 하면서 논쟁이 시작되었다. 이후 1914년까지 열띤 논쟁을 벌이게 되었는데, 이 일련의 사건을 대학 문제(The College Question)라고 한다. 한국의 남장로교와 호주장로교, 그리고 북장로교의 다수는 평양을 지지하였고, 한국의 남감리교와 북감리교, 그리고 북장로교의 일부는 서울을 지지하였다. 그런데 1913년 초 미국선교본부는 서울에 새로운 연합대학을 세우는 것으로 결정해버렸다. 평양의 선교부와 배위량은 이 결정에 거부하고 끝까지 항의하였지만, 결국 평양 숭실대학은 초급대학(Junior college)으로 강등되어 버렸다. 이 글은 평양의 숭실대학을 지지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배위량의 교육선교사상과 역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했다. 배위량과 평양선교부는 첫째 구 선교정책의 전통에 맞서 새로운 정책을 시도하였고, 둘째 민족을 위한 기독교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였다. 이 과정에서 드러난 역사적 의의는 첫째 지역주의 전통에 맞서 균형발전을 도모하였다는 점, 그리고 일제 통치 권력에 대항하였다는 점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910년대 기독교계 고등교육의 특성

        정선이(Joung, Sun-Ei) 교육사학회 2009 교육사학연구 Vol.19 No.2

        본 논문에서는 1910년대 기독교계 고등교육의 성격 및 교육전략에 관해, 연희전문학교와 숭실대학(전문학교로 인가받기 전 명칭)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당시 조선인 기독교계지식인들은 선교사업의 일환으로 설립되는 고등교육기관에 대해 어떤 인식과 전략을 가지고 있었는가를 검토하였다.<br/> 1910년대에 들어서 기독교 선교사업에서 고등교육의 문제가 새로운 대학의 설립을 둘러싸고 본격적으로 대두되었을때, 당시 선교사들과 조선인 기독교계 지식인들의 고등교육관, 즉 고등교육을 통해 길러내고자 하는 엘리트 상이 무엇인가, 기독교계 고등교육기관에 비기독교인 학생의 입학을 허가할 것인가, 그리고 고등교육기관으로서 college를 세울 것인가, university를 세울 것인가와 관련한 고등교육 목표 및 모델, 운영 정책의 방향성 문제을 살펴보았다.<br/> 지식인 양성은 1910년대 식민지 조선의 긴박한 요구이며 과제였고, 북장로교와 감리교의 교육 전략의 차이는 기독교계 조선지식인들에게 예민하게 수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미 문명정도에서 ‘교육이 이미 많이 보급된 나라에는 장로교 정책이 가합하나 조선인민의 수준에는 감리교의 정책이 부합한다’고 인식하였다. 지도자와 지식인 양성을 절실히 요구하였던 식민지 조선의 시대적 상황은 기독교계 지식인들로 하여금 세속적 교육 지향 및 사회 참여적 성격, 청년교육에 힘써온 감리교와 보다 더 전략적, 심정적으로 결속하게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br/> 감리교의 교육전략이 반드시 민족주의적 성격을 더 띠고 있다고는 말할 수 없으며 감리교 역시 장로교와 마찬가지로 최선의 목표는 복음 선교이고 비정치화와 정교분리 원칙을 지키려고 하며 식민지권력과 일정 부분 타협해 나갔다. 그러나 개정사립학교규칙이나 대학 설립 및 운영 문제, 신사참배와 같은 교육적 중대 안건이나 위기상황에서 선교목적만을 위해 조선인의 교육기회를 폐쇄하지 않고, 열어두었다는 점은 분명한 사실일 것이다.<br/> 위의 논쟁에서 드러나는 성격은 이후 연희전문의 설립 및 운영과정에서 북장로교 소장파이며 서울지역 선교사였던 언더우드의 선택에도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고등 교육의 성격 및 방향에도 영향을 끼친 바 있다. 일제말기 신사참배를 둘러싼 연희전문과 숭실대학의 대처방안의 차이는 이미 1910년대 논쟁에 깊숙이 연루되어 있었던 것이다. In this study, I have studied the chracteristics and it’s strategies of the christian colleges, Yunhee and Soongsil college in 1910s. The major materials of this paper are the KMF, Keedoksinbo, the diary of Yoonchiho, Annual Report of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Korea Mission and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1910s the education of the christian(mission) schools had come to the crisis according to the schrinkage in christian mission and activated competition with the government and public school. Second, the issues on higher education related christian mission’s activities had been activated on 1910s. The dean of Soongsil college, W.M.Baird, the principal of Paechai academy, H.Heung. Wo Cynn and the concerned peoples were engaged in the debate on the issues that the education of christian college aimed to what type of elites; the problem related to the admission of students who are not the christian ; and what type of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must be established, university or college. Third, the dean of Soongsil college, W.M.Baird who were representative of North presbyterian had thought that the christian higher college aimed to educate the teachers who could work for christian mission in church, and were positively against the admission of students who are not the christian and also thought the college must be established for christian mission. Forth, H.Heung. Wo Cynn thought the university must be established, in which there could be educate the broad field elites for christian mission, and also not reasonable for the admission restriction of students who are not the christian. Fifth, the chracteristics of the debate on the issues that the education of christian college had influenced on the choices of Underwood related to Yunhee college, and the following situation of higher education. The differnce in policy on worshipping the shrine between the Yunhee and Soongsil college were connected to the debates on 1910s.

      • KCI등재

        숭실창립정신 계승자의 한 모델인 한경직 연구

        오인근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6

        숭실대학은 일제강점기에 근대 고등교육의 선구적 사명을 감당하다가,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저항하여 1938년 스스로 폐교하였다. 이는 기독교 신앙을 지키고 민족의 자존을 지키는 일이었다. 우리 민족의 암울한 역사 속에도 숭실대학은 근대 사학의 효시를 이룩하고, 고등교육의 역사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겼다. 숭실대학은 기독교 전래 때부터 새로운 문화습득의 창구였으며 고등교육, 민족문제, 선교, 문화, 예술 등 전 분야에 걸쳐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반면에 오늘의 한국기독교는 포스트모던 시대에 들어서 대사회적 신뢰도를 상실했고 지도력을 잃어가고 있다. 오늘 현대인의 삶의 의식구조와 문화가 급변하고 있지만, 한국기독교는 시대의 변화를 제대로 분석하지 못하고, 준비하지 못하는 현실이 위기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시대에 있는 한국기독교가 변화와 회복의 근본원리를 붙잡아야 할 것이다. 한국기독교가 당면한 문제의 핵심은 기독교정신의 함양을 위한 교육의 문제와 신뢰성을 가지고 따를만한 지도자의 부재라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 사회와 교회에 귀감(龜鑑)이 되어 따를 만한 지도자상의 제시와 이에 부합하는 지도자를 양성하는 일이 한국기독교와 기독교계 학교의 긴급하고 중요한 시대적 과제이다. 본 논고는 이러한 한국기독교의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 근대 고등교육과 신앙교육, 선교 그리고 민족운동의 산실이었던 숭실의 창립정신을 되새기며, 숭실의 정신을 이어간 진정한 숭실인의 한 모델로 한경직 목사를 상정했다. 그는 한국 그리스도인들의 가슴에 ‘프로토타입(prototype:원형)’으로 남아 있는 ‘준거의 인물(referent person)’이기에 그가 남긴 영적유산은 매우 가치가 있다. 본 논고의 목적은 숭실의 창립정신과 그 정신의 산물인 한경직 목사를 통하여, 오늘의 한국기독교가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의 변화를 모색하고, 잃어버린 신뢰를 회복하고 다음 세대를 위한 새로운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해 줄 것이라고 본다. Soongsil University,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was in charge of the pioneering mission of modern higher education closed itselt in 1938. This was to keep the Christian faith and keep the nation's self-respect. Despite the gloomy history of our nation, Soongsil University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modern history and the history of higher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has been a gateway to new cultures since Christianity and has had a great influence over all areas of higher education, ethnic issues, missions, culture and arts. On the other hand, today 's Korean Christianity has lost social trust and lost leadership in the postmodern era. Today, the conscious structure and culture of modern people are changing rapidly, but Korean Christianity is not able to properly analyze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he reality that it can not prepare for future is heightening the sense of crisis. Korean Christianity in the postmodern era must understand and catch up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change and recovery. The core of the problem faced by Korean Christianity is the lack of a leader who can follow with the problem of education and credibility to cultivate the spirit of Christianity. Therefore, it is an urgent and important task for Korean Christianity and Christian schools to educate leaders who can understand and accept the change of the Korean society and the church. This article can be a new alternative to solving the complex problems of Korean Christianity. Recalling the founding spirit of Soongsil which was the center of modern higher education, faith education, mission and national movement, I decided on Rev. Han Kyung-Chik as a model of a true Sungshin who led the spirit of Soongsil. He is a "referent person" who remains a "prototype" on the hearts of Korean Christians, so the spiritual legacy left by him is of great value.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how that through the founding spirit of Soongsil and the spirit of Rev. Han Kyung-Chik today's Korean Christianity can look for a new paradigm shift, restore lost faith, and present a new direction for Christian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 KCI등재

        근대전환기 서구 근대 식물학의 도입과 확산의 토대 구축

        윤정란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2

        This examines the introduction of Korean modern botanical science and how the foundation of its spread was established. In Korea, modern botanical science was introduced into Korea by way of China before and after 1876, when it was open to Korean trade. Lee Sang-Seol made a manuscript, Botanyology, concerning the Korean version. Since 1905, Japan's protectionist state has weakened the Emperor's right, and then, the activities of patriotic enlightenment activists became active. At this time, several modern botanical textbooks were published along with natural science textbooks. Most of them were mixed Korean, but Annie Baird's books were all written in ‘pure’ Korean. Annie Baird's book was translated by Asa Gray, the greatest American botanist of his day. Asa Gray was Darwin's academic colleague and friend who advocated evolution. Therefore, Annie Baird's book was the best botanical textbook of his time. The textbooks were controlled by the Governor-General due to the forced merging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1910. However, Annie Baird re-published Gray's Botany for young people and common schools as Botany was accredited. Instead of eliminating the biblical verses quoted from Gray's Botany for young people and common schools, the introduction to this book is similar to the article "Botany," written by Yoo Hae-Young, in the Journal of the Northwest Society before the merger of Korea and Japan. In Annie Baird's book, the awareness of the natural sciences of patriotic enlightenment activists since 1905 has been continuously conveyed to Soongsil University students. At that time, the Botany Lecture at Soongsil University was accompanied by hands-on practice. In the late 1920s, Christians established rural enlightenment as part of the national movement, and the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 established at Soongsil College. The natural sciences taught in the department of Natural Science were in charge of agriculture. The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 equipped with excellent faculty and training rooms. This educational environment was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botanists. Kim Joon-Min, Ph.D., graduated four times in agriculture and entered the Department of Biology, Tohoku Imperial University, Japan, became Korea's premier authority on plant ecology. He developed botanical research into plant morphology, which was only a plant classification of higher pla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liberation, he worked as a professor of biolog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here he trained numerous after school students and founded the Korean Botanical Society in 1957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botanical science in Korea. 이 글은 한국근대식물학의 도입과 그 확산의 토대가 어떻게 구축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한국에서 근대식물학은 1876년 개항을 전후로 중국을 경유하여 한역서로 도입되었다. 이상설은 이 한역서를 참고로 하여 필사본 「식물학」을 남겼다. 1905년 이후 일본의 보호국체제가 됨으로써 황제권이 약화되자 애국계몽운동가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이러한 시기에 몇 종의 근대식물학 교과용 도서가 자연과학 교과용 도서와 함께 출간되었다. 대부분이 국한문 혼용체였으나 애니 베어드의 책은 순한글체였다. 애니 베어드가 편역 출간한 책은 당대 최고의 미국 식물학자였던 아사 그레이의 책이었다. 아사 그레이는 진화론을 주창한 다윈의 학문적 동료이자 친구였다. 그러므로 애니 베어드가 출간한 책은 당대 최고의 식물학 교과서였다. 1910년 일제의 강제병합으로 교과서는 총독부의 통제를 받았으나 애니 베어드는 식물도셜을 식물학으로 재출간하여 인가를 받았다. 이 책 서론은 식물도셜에서 인용한 성경구절이 삭제되어 있고 대신에 한일병합 이전 서북학회의 학회지 서북학회월보에 유해영이 쓴 「식물학」 글과 유사하다. 애니 베어드의 책을 통해 1905년 이후 활발하게 전개되던 애국계몽운동가들의 자연과학에 대한 인식이 숭실대학 학생들에게 지속적으로 전해지고 있었던 것이다. 숭실대학에서 식물학 강의는 현장실습과 함께 이루어졌다. 1920년대 후반 기독교인들은 민족운동의 일환으로 농촌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를 계기로 숭실전문학교에서는 농과가 설치되었다. 이과에서 가르치던 자연과학은 농과에서 담당하였다. 농과는 우수한 교수진과 실습장을 완비하였다. 이러한 교육 환경은 식물학자 양성을 위한 토대가 되었다. 농과 4회를 졸업하고 일본 도호쿠제국대학 생물학과에 진학하여 이학박사 학위를 받은 김준민은 식물생태학의 한국 최고의 권위자가 되었다. 일제강점기 고등식물의 식물분류에만 그쳤던 식물학 연구를 그는 식물형태학으로 발전시켰다. 그는 해방 후 서울대학교 생물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수많은 후학들을 양성했고, 1957년 한국식물학회를 설립해서 한국 근대식물학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