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직 고경 평가법의 임상적 적용: 문헌 고찰

        선민지,문홍석,김재영 대한치과보철학회 202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0 No.4

        광범위한 전악 보철 수복 시 적절한 교합 수직 고경(occlusal vertical dimension)의 설정은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 매우 중요한 단계이자 치료의 시작점이 된다. 수직 고경의 변경을 통한 술식은 치료가 침습적일 수 있으며, 환자 및 임상의들의 많은 시간과 비용, 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진단 및 치료 진행 과정에 다각적인 분석과 심도 깊은 고찰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 문헌들의 검토를 통해 수직 고경의 개념과 관련된 여러 쟁점들에 대해 정리하고, 다양한 수직 고경 평가법들을 정리하여 전악 구강 회복 치료 시 적절한 수직 고경을 설정하기 위한 임상적 방법과 이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In an extensive oral rehabilitation, determining a proper occlusal vertical dimension is a critical step and the starting point for successful treatment. Since changing th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could be time-consuming, financially challenging, and physically demanding for both clinicians and patients, multi-faceted analysis and careful consideration are essential in the diagnosis and further treatment process. The purpose of this narrative review is to discuss th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nd its current issues, and to summarize previous methods of evaluat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to propose clinical guidance for determining a viabl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for full-mouth rehabilitation.

      • KCI등재

        가상적 수직 교합 고경 증가 시 안모의 유형에 따른 하안모 변화에 관한 연구

        김남우,이긍철,문철현,배정윤,김지연,Kim, Nam-Woo,Lee, Gung-Chol,Moon, Cheol-Hyun,Bae, Jung-Yoon,Kim, Ji-Ye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4 No.1

        목적: 수직 교합 고경 증가 시 발생하는 하안모의 변화가 안모의 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 지 평가하여, 임상적으로 유의하여야 할 안모 유형을 알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진단을 위해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촬영한 환자 중 261명을 추출하여 그 대상으로 하였다. 시상적 안모 패턴은 Class I, II, III로 분류하였고, 수직적 안모 패턴은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hyperdivergent로 나누어 환자를 9가지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환자를 가상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악 중절치 기준 2 mm 수직 교합 고경을 증가시킨 후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량, 연조직 Menton의 하방 이동량을 측정한 후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량/연조직 Menton의 하방 이동량의 비율을 구하여 9가지 집단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 지 서로 비교하였다. 비교분석은 2-way ANOVA로 검정하고 사후 분석은 Tukey test를 이용하였다. 모든 검정은 유의수준 5%에서 수행되었다. 결과: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량은 Class I, II, III 간의 비교에서는 Class III 집단에서,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hyperdivergent 간의 비교에서는 모든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연조직 Menton의 하방 이동량은 Class I, II, III 및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hyperdivergent 집단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량 대 연조직 Menton의 하방 이동량 비율은 Class I, II, III 및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hyperdivergent 집단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9가지 집단 중 Class II & hyperdivergent 집단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결론: 수직 교합 고경의 증가 시 시상적 안모의 패턴 및 수직적 안모의 패턴에 따라 하안모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lass II & hyperdivergent 얼굴 패턴을 가진 환자는 수직 교합 고경 증가가 동반되는 치료 시 다른 유형에 비해 하안모의 변위량이 클 수 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on lower facial changes by facial type. Materials and methods: Lateral cephalograms from 261 patients were obtained and classified by sagittal (Class I, II, and III) and vertical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and hyperdivergent) facial patterns. Retrusive displacement of soft tissue Pogonion and downward displacement of soft tissue Menton were measured in each group after 2 mm of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was increased at the lower central incisor using a virtual simulation program. The ratio of both displacements was calculated in all group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2-way ANOVA and Post hoc was done by Tukey test (5% level of significance). Results: Retrusive displacement of soft tissue Pogonion in Class III group was statistically different compared to Class I and II, and in vertical facial groups all 3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5). Downward displacement of soft tissue Ment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sagittal groups and vertical groups (P<.05). The ratio of both displacem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agittal groups and vertical groups (P<.05), and Class II hyperdivergent group had the highest value. Conclusion: Lower facial change was sta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facial type when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increased. Class II hyperdivergent facial type showed the highest ratio after increase in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 KCI등재

        교모 환자에서 안면 스캔을 활용하여 교합 평면을 재설정한 전악 보철 수복 증례

        김은경,오세은,김지환 대한치과보철학회 202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2 No.1

        전악 보철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이 적절한지 평가하는 것이며, 필요시 교합 고경 거상을 통해 회복해 주어야 한다. 수직 교합 고경이 낮으면 저작력이 감소되며 심미적인 문제 뿐만 아니라 저작근의 과수축이나 과두의 후방 변위가 일어난다. 본 증례는 수차례에 걸쳐 전악에 이르는 보철 수복 치료를 받은 후 부적절한 수직 교합 고경으로 인해 발음 및 심미에 불만족스러워 하는 환자에게 수직 교합 고경 거상을 동반해 전악 보철 수복 치료를 했다. 디지털 진단 장비를 활용해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 교합 평면, 보철물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치료계획을 수립했다. 3D 안면 스캔으로 얼굴의 해부학적 구조를 파악하고 교합 평면을 설정한 다음 이에 맞추어 디지털로 진단 왁스업 했다. 전치부 기준 약 5 mm의 수직 교합 고경 거상을 결정하였으며 기존 식립된 양측 상하악 구치부의 임플란트의 상부 보철과 상악 4전치를 제외한 모든 잔존 치아를 수복하였다. 치료 순서는 양측 구치부의 임플란트 보철물을 먼저 제작하여 안정적인 교합 접촉을 형성한 뒤 자연치의 보철물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적응된 임시 수복물을 반영하여 동일한 순서로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전악 보철 치료에서 안면 스캔을 이용해 환자의 facial landmark와 조화를 이루는 교합 평면을 설정하고 디지털 진단 왁스업 과정을 통해 적절한 치료계획을 수립하였고, 거상된 교합 고경을 유지하기 위해 구치부 임플란트를 이용한 결과 복잡한 기공 과정을 줄이고, 치료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The most critical aspect of full-arch prosthodontic treatment is evaluating whether the patient’s vertical occlusal dimension is appropriate, and if necessary, restoring it through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If the vertical occlusal dimension is too low, it can lead to reduced chewing efficiency, as well as not only aesthetic concerns but also potential issues like hyperactivity of muscles and posterior displacement of the mandible. This report is about the patient dissatisfied with pronunciation and aesthetics due to an inappropriate vertical occlusal dimension resulting from prior prosthetic interventions, underwent full-arch prosthodontic restoration treatment. Through the utilization of digital diagnostic apparatus, a comprehensive evaluation was undertaken for patient’s vertical occlusal dimension, occlusal plane orientation, and the condition of prosthetic restorations. Through 3D facial scanning, the facial landmarks were discerned, and subsequently, the new occlusal plane was established. This provided the foundation for a digitally guided diagnostic wax-up. An elevation of 5 mm from the incisor was determined. Comprehensive dental rehabilitation was then executed for all remaining teeth, excluding the maxillary four incisors. The treatment protocol followed a systematic approach by initially creating implant-supported restorations on both sides of the dental arch to establish a stable occlusal contact. Subsequently, prosthetic restorations for the natural dentition were generated. Diagnostic and treatment planning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utilization of facial scanning. This subsequently led to a reduction in treatment complexity and an expedited treatment timeline.

      • KCI등재

        광범위한 치질 상실로 인해 수직 고경 감소 환자의 전악 수복 증례

        윤아영,심혜원,안진희,Yun, Ah-Young,Shim, Hye-Won,An, Jin-Hee 대한치과보철학회 201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2 No.1

        광범위한 치아 상실과 마모로 인한 교합면의 파괴로 수직고경이 감소된 경우 안모의 변화, 전방 유도의 상실로 인한 반대 교합을 보일 수 있으며, 또한 턱관절의 문제를 발생 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교합 수직 고경의 증가를 통한 전악 수복을 고려할 수 있으며, 적절한 환자의 수직 고경 평가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80세의 남자 환자로 전반적인 보철계획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치아상실 및 마모에 따른 전치부의 반대 교합과 교합 수직 고경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진단 모형과 방사선 사진, 임상적 검사를 이용하여 교합 관계를 분석하여 교합 수직 고경 증가를 결정하였다. 진단 wax up을 시행하였고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3개월의 적응 기간 후 상악 고정성 보철물과 하악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로 최종 수복하였다. 장착 후 8개월경과 관찰 중이며 양호한 심미적 기능적 개선을 보였다. Decrease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OVD) due to loss of teeth structure and destruction of the occlusal plane by severely worn dentition may cause cross bite 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by following change of facial feature or the loss of anterior guidance. Full mouth rehabilitation via an increase of the OVD can be considered to avoid this problem and proper evaluation of patient's OVD is essential. An 80 year old male visited for overall prosthodontic treatment, cross bite due to continuous wear and following decrease of the OVD were observed. We analyzed the existing occlusal relationship using the diagnostic cast, the radiographic evaluation and clinical test, and then proper increase of OVD was selected. The new OVD on diagnostic wax up was placed by the temporary restoration. After 3 months of observation period, final restoration with fixed partial dentures and implant overdenture were made. Throughout the follow-up period of 8 months, the aesthetic and functional improvement can be obtained.

      • KCI등재

        심한 마모를 가진 환자에서 수직 고경 증가를 동반한 구강회복 증례

        이기영,김치윤,정지혜,김유리,Lee, Ki-Young,Kim, Chi-Yoon,Jung, Ji-Hye,Kim, Yu-Lee 대한치과보철학회 2015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3 No.3

        심한 마모를 가진 환자의 치료에서 광범위한 보철 수복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마모의 원인과 수직 고경의 변화 유무 등을 판단하여 현재 구강상태의 회복과 장기간의 안정성을 이루어야 한다. 수직 고경을 증가시킬 때는 임시 수복을 하고 장기간의 관찰을 통해 환자의 적응을 평가해야 한다. 본 증례의 환자54세 남자 환자로 전반적인 치아 마모와 심미적 불만족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의 구강 내 소견 상 교모와 부식이 동반되어 과도한 마모가 발생한 것으로 진단하였다. 수직 고경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안정위시 악간공극, 발음, 안모, 심미, 임상적 치관 길이, 중절치 절단과 순측 전정과의 수직거리 등을 평가하였고, 교합기의 incisal pin기준으로 수직 고경을 2.5 mm 증가하기로 하였다. 임시 보철물을 이용하여 8주의 안정화 기간 이후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6개월 간 경과 관찰 결과 기능적, 심미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Treating patients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often requires comprehensive prosthetic treatments. Oral rehabilitation and long-term stability could be achieved by analyzing the cause of the wear and changing vertical dimension. The temporary restoration procedure is executed and patient's adaptation is evaluated by long-term observation when treatment is accompanied with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In this case, 54 year-old male presented with worn dentition and esthetic dissatisfaction. In oral manifestations, severely worn dentition with attrition and erosion is diagnosed. To evaluate change of vertical dimension, interocclusal rest space, facial appearance, pronunciation, clinical crown length, distance from incisor edge to labial vestibule are evaluated. Consequently, 2.5 mm increase of vertical dimension that based on articulator incisal pin is determined. After 8 weeks stabilization period with temporary prostheses, definitive prostheses are fabricated. After 6 months follow up period, satisfactory outcomes were achieved both in functional and esthetic aspects through this procedure.

      • KCI등재

        심한 치아 마모를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 고경 증가를 동반한 전악 구강 회복 증례

        김성용,김나홍,염경연,Kim, Sung-Yong,Kim, Na-Hong,Yeom, Kyeong-Ye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7 No.1

        전반적인 치아의 심각한 마모는 교합 부조화, 심미문제, 턱관절 장애 등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직 고경에 대한 세심한 평가가 필요하고, 이를 고려한 치료계획을 세워야 한다. 본 증례의 환자는 다수 치아 마모가 있는 58세 남환으로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하여 고정성 보철물로 전악 수복을 하였다. 임시 보철물을 장착하고 4개월 동안 새로운 수직 고경에 대한 환자의 적응도를 평가한 후에 최종 보철물을 장착하였으며,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Generalized severely worn dentition causes occlusal disharmony, esthetic problems,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make a precise analysis of vertical dimension and treatment plans considering it. This case report demonstrates the complete mouth rehabilitation of a 58-year-old male patient with a lot of worn teeth by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Provisional restorations were cemented and after 4 months of evaluation for patient's compliance, permanent prostheses were fabricated. With these treatments, functionally and esthetically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 KCI등재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severely worn dentition with implants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s

        이신언,이원섭,이철원,이수영,Lee, Shin Eon,Lee, Won Sup,Lee, Cheol Won,Lee, Su Young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itics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1

        과도한 치아 마모는 수직 고경 감소를 초래하고 구강 환경과 저작계의 병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수직 고경과 교합을 회복시켜주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과 분석이 필수적이다. 본 증례에서는, 75세 여성환자로 구치부 지지 상실로 인한 치아 심한 마모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 재건 수복을 계획하였다. 정확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 수직 고경 평가 후 진단 납형을 제작하였고 임시보철수복을 통해 환자의 적응여부를 평가하였다. 최종 수복은 환자의 경제적 상황을 고려하여 가철성 국소의치를 제작하였으며 하악 좌우측 구치부에 임플란트를 한 개씩 식립하여 국소의치의 지지와 유지를 보강하였다. 최종 수복물 장착 후 1년 간의 경과관찰 기간 동안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Excessive tooth wear can lead to decrease in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nd can cause pathological changes in the oral environment and masticatory system. When recover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nd occlusion, accurate diagnosis and analysis are essential. This clinical case describes a 75-year-old woman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due to loss of the posterior support.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occlusal vertical dimension increment was planned.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s, occlusal vertical dimension evaluation, and diagnostic wax-up were performed and patient adaptability was evaluated using provisional restorations. As for definitive restoration, considering economic condition of the patient, removable partial denture was fabricated and solitary implants were placed in the mandibular left and right posterior region to increase support and retention of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 During one year of follow-up, functional and esthetic outcomes were observed satisfactory.

      • KCI등재

        심한 마모로 인하여 교합 고경이 감소된 환자의 완전 구강 회복술

        김민정,김형섭,우이형,Kim, Min-Jung,Kim, Hyeong-Seob,Woo, Yi-Hyung 대한치과보철학회 201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1 No.1

        구치부 지지가 붕괴되면 전치부 마모, 교합 고경 감소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이로 인하여 측두 하악 관절 장애나 저작근의 문제, 비심미적인 안모, 저작 효율의 감소 등의 문제가 초래되기도 한다. 광범위한 수복을 요하는 이러한 환자에서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의 수립을 통하여, 기능과 심미 회복 및 근신경계와 악관절의 안정과 적응을 이루어 주어야 한다. 본 증례의 환자는 63세의 남자 환자로 전반적인 치아 마모로 인한 저작 곤란과 심미적 불만족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구강 검사, 방사선 검사, 모형 검사 결과를 종합한 수직 고경 평가를 통하여 수직 고경의 증가를 동반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을 결정하였다. 진단 wax-up을 통해 잠정적으로 4 mm 거상하여 12주간 overlay 형식의 가철성 임시 보철물을 장착하였으며 만족할 만한 적응을 보여 치아 삭제 후 임시 치관 장착 및 새로운 임시 가철성 국소의치를 장착하였다. 16주 후 안정적인 적응을 보여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7개월 간 경과 관찰 결과 안정적인 교합을 이루고 있는 것을 관찰하였고, 이를 통해 환자의 기능적, 심미적인 만족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The loss of posterior support may cause attrition of anterior teeth, and loss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OVD). The collapse of the posterior support will eventually cause the pathologic change of the TMJ and masticatory muscles, unesthetic facial appearance and decreased masticatory function. Patients with destroyed dentition need extensive prosthetic treatments. Proper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are necessary for the stability of the neuromuscular system and the TMJ, and esthetic and functional definitive restorations. In this case, 63 year-old male presented with decreased masticatory force and esthetic problems due to pathologic destruction of teeth structure on entire dentition. Based on assessment of OVD including intraoral findings, radiographic examination and diagnostic cast, full-mouth rehabilitation with increase of OVD was planned using fixed partial denture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 Diagnostic wax-up was done after 4 mm increase of OVD determined by assessment of OVD. The OVD was maintained with the overlay type removable interim prostheses for 12 weeks to ascertain his comfort and adaptation to the new OVD. After the adaptation period, second interim prostheses with tooth preparation maintaining the established OVD was delivered. After 4 weeks, final prostheses were fabricated and delivered. After 7 month follow-up period, occlusal stability is maintained. Through this procedure, satisfactory outcomes were achieved both in functional and esthetic aspects.

      • KCI등재

        치아 마모 환자에서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완전 구강 회복 증례

        김태연,한중석,김성훈,여인성,이재봉,Kim, Tae-Yeon,Han, Jung-Suk,Kim, Sung-Hun,Yeo, In-Sung,Lee, Jai-Bong 대한치과보철학회 20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4 No.2

        심한 치아 마모는 치질의 손상, 교합면의 부조화, 기능적, 심미적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 치아의 마모로 인해 나타나는 수직 고경의 감소는 악골의 보상성 성장과 치아의 맹출로 어느 정도 상쇄될 수 있지만 심미적 보철물을 제작하는 데 필요한 공간과 보철물의 유지 등을 얻기 위해서는 수직 고경의 거상이 필요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44세 남자 환자로 다수 치아에 마모를 가지고 있고 심미적인 치아를 원한다는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수복을 위한 악간 공간이 부족하여 진단 왁스업을 토대로 전치부 기준 3 mm의 수직고경 거상을 결정하고, 가철성 교합 안정 장치와 임시수복물을 적정 기간 사용하여 환자의 적응도를 평가하였다. 적절한 적응을 확인한 후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로 전악 수복하였고 비기능적 습관으로부터 보철물과 주위 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연질의 교합안정장치를 장착하게 하였다. 이상과 같은 치료 과정을 통해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한 보철 수복을 실시하였고 적절한 심미적, 기능적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Excessive occlusal wear causes loss of tooth structure, occlusal plane disharmony, impaired function and esthetic problems. Although the decrease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may be compensated by the growth of alveolar bone and tooth eruption, minimal increase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may be required for esthetics and retention of prosthesis. In this case, a 44-year-old male patient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with chief complaint of severe tooth wear and shade disharmony. Based on assessment of diagnostic wax-up, 3 mm increase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was determined. Removable occlusal splint and interim prosthesis was used to ascertain patient's comfort and adaptation. After the adaptation period, definitive prosthesis fabricated with full-contour monolithic zirconia were delivered and the patient was recommended to wear a nightguard device for prosthesis protection. This report presents a case of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the elevation of patient's occlusal vertical height, resulting in satisfactory esthetics and functions.

      • KCI등재

        구치부 상실과 과도한 교모가 있는 환자의 수직 고경 회복을 통한 전악 보철 수복

        류정현,이원섭,이철원,이수영,Ryu, Jung-Hyun,Lee, Won-Sup,Lee, Cheol-Won,Lee, Su-Young 대한치과보철학회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3

        과도한 치아의 마모는 심미적인 문제와 치아의 과민성, 수직 고경의 감소 등의 합병증이 발생한다. 본 증례는 20년 동안 류마티스 관절염 기왕력을 가진 환자를 문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마모가 발생한 원인을 분석하고 완전 구강 회복술을 시행한 것이다. 최종보철물 제작 후 보철물 파절 예방과 안정된 측두하악관절의 유지를 위해 나이트 가드를 제작하였다.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Excessive teeth wear may result in the complications such as esthetic problems, hypersensitivity, and loss of vertical dimension. This clinical report focuses on the causes of severely worn dentition and the full-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rheumatoid arthritis for 20 years. An interview, clinical and radiologi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causes and decide the treatment plan. After delivery of the final prostheses, a night guard was used to protect the restorations and temporomandibular joints. The patient was satisfied 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