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쇄골 골절 환자의 변형된 사방향 촬영법의 유용성

        백상현(Sang Hyun-Baek),구홍욱(Hong Wook-Koo),이태영(Tae Young-Lee),유승민(Seung Min-Yoo),하영재(Young Jae-Ha)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4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4 No.1

        목 적 :쇄골 골절은 성인 골절의 2~5%를 차지하는 비교적 흔한 골절 중 하나로 중간 부위에서 약 69~82%가 골절되며, 외측 부위에서 약 21~28%, 내측 부위에서 약 2~3% 정도 발생 한다. 쇄골의 정규검사인 전후방향, 사방향 검사와 비교하여 중간부, 원위부 쇄골골절 환자의 변형된 사방향 검 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5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원위부 쇄골골절로 인해 응급실에 내원한 초진 환자와  쇄골골절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쇄골 정규 검사인 쇄골 전후방향, 쇄골 사방향을 기본으로 하고 변형된 사방향 촬영을 비교하여 정형외과 교수 2명, 전공의1명외 방사선사 2명이 블라인드 테스트를 통해 총 5점 척도로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변형된 검사법은 환자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골절된 부분의 체간을 약 40도 거상하였다. 입사각은 머리 쪽으로 약15도 입사하여 촬영하였다. 결 과   : 서울대병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쇄골골절의 정규검사인 전후방향, 사방향으로 검사한 영상과 비교하여 변형된 검사방법을 시행한 결과 간부, 원위부 쇄골골절의 경우 정규검사에 비해 간부 1.25 ± 0.24, 원위부 1.25 ± 0.12, 골절의 형태와 전위상태는 0.95 ± 0.14, 내 고정술 수술환자의 경우 쇄골의 정렬 상태, 플레이트와 스크류의 위치 는 1.25 ± 0.24정도의 진단적 유용성을 보였다. 반면에 근위부에서는 –1 ± 0.12 으로 정규 검사에 비해 진단적 유용성이 저하됨을 보였다. 결 론 : 일반적으로 쇄골골절은 비수술적 방법으로 대부분 치료되어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기존에 추산되었던 것보다 많은 수의 불유합, 부정유합 발생이 보고되면서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중간부, 원위부 골절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변형된 사방향 촬영법은 쇄골 골절의 수술 전 후 평가에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근위부의 골절 환자의 경우 체간과 겹쳐서 묘사가 어려워 진단을 내리기에 부적합 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Purpose : Fractures of clavicle is relatively common fractures accounting for 2~5% of adults fractures, it occurs 69~82% on middle site, 21~28% on outer region, 2~3% on inner site. For investigating the usefulness of modified oblique method for patients with fractures of clavicle on proximal and distal region, comparing test was done to regular X-ray method of clavicle which is AP, Oblique and the modified oblique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 Clinical research has been done from the May, 2013 to December, 2013. Among the Patients who had been in emergency department with clavicle fractures surgery and new patients. They had an examination of regular clavicle series order and the modified one. Two orthopedists, a resident and 2 radiation technologists had evaluated the usefulness of the research and taken marks by criterion on 5 point through blind tests. Patients fractures site was lifted 40 degree at AP position level. An incident angle of X-ray was 15 degrees to cranial. Result : The modified method showed 1.25±0.24 of diagnostic usefulness on proximal region, 1.25±0.12 on distal region, 0.95±0.14 on the form of fractures and displacement, 1.25±0.24 on the location of the plate, screw and alignment condition of clavicle for internal fixation. On the other hand, on the proximal site couldn t make it progress, it appeared – 1±0.12 compared with regular clavicle series. Conclusion : In general, nonoperative method was done for clavicle fractures. However, nonunion and vicious union have been more reported than estimated before, operative method is being extended. Therefore, for making an accurate diagnosis of clavicle fractures on proximal distal site, modified method is considered useful evaluating operative management. But, in case of proximal site, it is hard to describe specific clavicle conditions because clavicle’s body is overlap with proximal site.

      • KCI등재후보

        다발성 손상에서 발생한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의 보존적 치료

        신현대,이광진,김영모,우세민,송호섭 대한골절학회 2004 대한골절학회지 Vol.17 No.4

        목적 : 보존적 방법으로 고에너지 손상에 의한 다발성 손상에서 발생된 쇄골 간부 골절을 치료하는 것이 저에너지 손상에 의한 쇄골 간부 단독 골절에서 만큼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쇄골간부 단독 골절과 쇄골 간부 골절을 포함한 다발성 손상으로 진단받고 쇄골 골절에 대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성인 환자들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쇄골 간부 단독 골절만 있는 경우가 12례, 다발성 손상에서 쇄골 간부 골절이 동반된 경우가 36례였다. 골절 정도에 따라 단순 전위만 있는 골절을 A형(단순 방사선 사진상 골절면의 접촉 비율이 50% 이상인 경우를 A1, 50% 미만인 경우를 A2), 그리고 분쇄 골절을 B형으로 분류하여 단독 골절군과 다발성 손상군에서의 골유합 시기, 불유합 비율, 임상적 결과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 쇄골 간부 단독 골절군에서 골절 양상은 A1형 7례, A2형 4례 그리고 B형이 1례였고, 다발성 골절군에서는 A1형 8례, A2형 16례 그리고 B형이 12례였다, 쇄골 단독 골절군 12례 중 1례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였고, 11례는 평균 2.91개월에 골유합 소견이 나타났다. 쇄골 골절을 포함한 다발성 손상군에서는 36례 중 7례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였고, 29례는 평균 3.58개월에 골유합 소견이 나타났다. 임상적 결과는 우수 이상인 경우가 쇄골 단독 골절군에서 8례 (67%), 다발성 손상군에서 19례 (53%)였다. 추후 불유합으로 수술을 시행한 8례 모두 골유합 소견을 보였다. 결론 : 쇄골 골절의 치료는 전위가 있더라도 보존적 치료가 원칙이지만, 성인의 다발성 손상에서 발생안 쇄골 간부 골절에서 불유합의 발생 가능성은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으나 (P value=0.183 Fisher's exact test), 쇄골 단독 골절에 비해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보존적 치료시 불유합 발생 가능성 항상 염두해 두어야하며, 따라서 조기에 수술적 치료를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Purpose : To analyse the comparative clinical results between adults with multiple injury including the clavicular shaft fracture and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who had supportive care through retrospective aspect. Materials and Methods : We had 48 adult patients in this hospital with simple fracture and multiple injury including the clavicular shaft whom we were able to evaluate at leat more than a year. 12 of 48 patients were with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and the rest of them were with multiple injury. We classified patients into two groups those who had fracture with displacement for group A(A1 for the cases with over 50% of fracture surface contact rate and A2 for less than 50% from the images of simple X-ray) and those who had comminuted fracture for B. We compared the time of bone union, nonunion rate of only davicular fractures and multiple injury, clinical results for patients who had supportive care with retrospective aspect. Result : A1 (7 cases), A2 (4 cases), B (1 case) were prevalent in the group of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and A1(8 cases) and A2 (16 cases) and B (12 cases) were prevalent in the group of multiple injury. For the case with supportive care, we could find 1 nonunion case (8%) and 11 union cases on average 2.91 months in the group of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and 7 nonunion cases (19%) and 29 union cases on average 3.58 months in the group of multiple injury. The best clinical results had occurred in 8 cases (67%) of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group and 19 cases (53%) of multiple injury group. We could find out the from all 8 nonunion cases that took operation afterward. Conclusion : Although the choice of treatment of clavicular fracture is supportive care, but multiple injury including the clavicular fracture is a high-energy injury, so the possibility of comminuted and displacement is high, so that nonunion rate is high. The possibility of early surgery must be considered seriously.

      • KCI등재

        견봉 쇄골 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강호정(Ho-Jung Kang),고일현(Il-Hyun Koh),주종환(Jong-Hwan Joo),천용민(Yong-Min Chun),김형식(Hyung-Sik K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4 No.1

        목적: 견쇄관절의 손상이나 원위 쇄골 골절의 치료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으나, 견쇄관절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치료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다. 저자들은 견쇄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및 결과, 예후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견쇄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쇄골 외측단에서 2.5 cm 내를 침범한 원위 쇄골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21명 (21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단순 방사선 사진과 CT상 원위 쇄골의 골절선이 견쇄관절로 연장 (5예)되어 있거나, 7 mm 이상의 견쇄관절의 이개 (separation)가 있는 관절내 골절 (9예), 또는 건측과 비교해서 50% 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는 관절내 골절 (7예)을 견쇄관절의 손상이 있는 경우로 분류하였다. Craig 분류상 III형이 16예, V형이 5예였다. 금속판 (9예), 소형나사 (1예), K 강선 및 긴장대 강선 (10예) 및 경 견쇄관절 K 강선 (1예)을 사용하여 골절을 고정하였다. 건측에 비해 100%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었던 1예 및 골편이 작아 고정력이 약하다고 판단된 1예에서 경 견쇄관절 (transarticular AC joint) K 강선 고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견봉 쇄골 인대 또는 오구쇄골 인대의 봉합이나 재건술은 시행하지 않았다. 결과: 21예 중 20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까지의 기간은 평균 8.4주이었다. 최종 추시시 5예에서 견쇄관절의 외상성 관절염이 관찰되었고, 4예에서 견쇄관절의 이개가, 2예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50% 이하의 상방전위가 남아 있었으나 견쇄관절의 이개 및 상방전위가 술전보다 증가된 예는 없었다. Kona 등의 기준에 따른 기능적 평가상 19예에서 우수, I예에서 양호, 1예에서 보통의 결과를 얻었다. 견쇄관절 손상의 분류에 따른 UCLA 점수는 I형에서 32.6점, II형에서 34점, III형에서 34.1점이었다. 술전 견쇄관절 손상 종류, 술후 잔여 관절의 이개 및 전위, 외상성 관절염의 유무와 임상 결과간에 유의한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p>0.05). 합병증으로는 K 강선 및 긴장대 강선 고정술로 고정한 1예에서 불유합이 관찰되어 술후 3개월 금속판 고정술 및 골이식술을 시행하여 골유합을 얻었으며,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1예에서 추시 관찰 중 내고정물의 이완이 있었으나 추가적인 치료 없이 골절이 유합되었다. 결론: 견쇄관절로 연장된 골절이 있거나 관절내 골절이 있으면서 견쇄관절 간격이 7 mm 이상 벌어진 경우 또는 정상측과 비교하여 50% 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는 견쇄관절의 손상이 동반된 경우라도 원위 쇄골의 정확한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을 통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수술 전 견쇄관절의 손상 종류 및 수술 후 경도의 외상성 관절염이나 이개, 상방전위와 임상적 기능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and the prognosis of various surgical treatments for the distal clavicle fracture with an acromioclavicular joint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21 patients with a minimum of 12 months follow up was done. We classified acromioclavicular (AC) injury into type I (only intra-articular fracture (IAF), 5 cases), type II (IAF with widening of the AC joint > 7 mm, 9 cases) and type III (IAF with AC joint superior subluxation > 50%, 7 cases). The distal clavicle fractures were fixed using plate (9 cases), mini screws (1 case), K wire and tension band wiring (10 cases) and transarticular pinning (1 case). Acromioclavicular or coracoacromial ligament reconstruction was not done in all the cases. Results: In 20 of 21 cases, bone union was achieved at an average of 8.4 weeks. Traumatic arthritis (5 cases), AC joint widening (4 cases) and AC joint subluxation (2 cases) were noted at the last follow up. The average UCLA score was 32.6 in the type I AC joint injuries, 34 in type II and 34.1 in type III.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clinical outcomes and the preoperative AC joint injury pattern, postoperative traumatic arthritis, AC joint widening or AC joint subluxation (p>0.05). Conclusion: Satisfactory results were achieved by acute reduction and firm fixation of the distal clavicle fracture with AC joint injury.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 of AC joint injury, the residual radiologic findings and the functional outcome.

      • KCI등재

        청소년기에서 제 4형 견봉 쇄골 관절 손상과 유사한 쇄골 원위부 골절 : 2예 보고

        박태우,조성도,이채칠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2

        목적 : 소아에서의 원위 쇄골 골절은 견봉 쇄골 탈구와 유사한데 견봉 쇄골 관절은 정상이나 골절 부위의 쇄골 간부가 파열된 골막을 통하여 전위가 일어난다고 하며 이에 대한 치료는 보존적 치료가 권장되고 있다. 전후방 및 45도 상방 경사 방사선 촬영에서 심한 전위를 관찰할 수 없어 초기에는 인지하지 못하였으나 추가적으로 실시한 액와 촬영상 제 4형 견봉 쇄골 관절 손상과 유사한 후방 전위를 보이는 2예에서 관혈적 정복 및 K 강선 고정 후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 증례 1: 15세 남자 환자가 넘어지며 발생한 우측 견관절의 동통 및 종창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내원 당시 인지하지 못하였으나 지속적인 통증을 호소하여 실시한 액와 방사선상에서 골절 부위의 쇄골 간부 근위부의 후방 전위가 관찰되어 K 강선 고정술을 시행 후 만족할만한 운동 범위 및 통증의 소실을 보였다 증례 2: 17세 여자 환자가 오토바이 교통사고로 발생된 좌측 견관절의 동통 및 종창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전후방 및 45도 상방 경사 방사선 촬영 결과 전위가 심하지 않은 우측 쇄골 원위부 골절이 있었으나 액와 방사선상에서는 골절 부위의 쇄골 간부 근위부가 후방으로 전위되어 있어 관혈적 정복 및 K 강선 고정술을 시행 후 만족스러운 동통의 소실을 보였다. 결론 : 천소년기에서의 쇄골 원위부 손상은 유합 부위가 아직 약하여 소아의 골단 골절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전후방 및 45도 상방 경사 방사선 뿐만 아니라 액와 방사선 촬영을 반드시 시행하여 제 4형 견봉 쇄골 손상과 유사한 후방 전위를 보이는 원위 쇄골 골절의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하여 전위의 정도를 파악하여 치료의 방법을 정하는 것이 유익할 것으로 생각된다. Distal clavicle fracture in children may mimic acromioclavicular joint separation, but have very different prognosis and treatment. We are reporting two cases of distal clavicle fracture in adolescenece mimicking type IV acromioclavicular injury. This report demonstrates the imprtrance of shoulder axillary view, computerized tomography as well as physical examination on diagnosis of the distal clavicle fracture in adolescence.

      • KCI등재
      • KCI등재

        전위가 심한 부유견의 내고정술 후 임상적, 기능적 결과

        고상훈 ( Sang Hun Ko ),최창혁 ( Chang Hyuk Choe ),조성도 ( Sung Do Cho ),서재성 ( Jae Sung Seo ),김종오 ( Jong Oh Kim ),유재두 ( Jae Du Yu ),신상진 ( Sang Jin Shin ),전인호 ( In Ho Jeon ),정광환 ( Kwang Hwan Jung ),우종근 ( Jong K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1

        목적: 동측의 쇄골 골절 또는 견봉 쇄골 관절 탈구가 동반된 전위된 견갑골 경부 골절은 고에너지 손상이며 불안정하다. 이런 부유견에 대한 쇄골 또는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 금속내고정술 및 견갑골 경부의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한 11예에 대해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다기관 연구로 1997년 8월부터 2004년 7월까지 쇄골 골절 또는 견봉 쇄골 관절 탈구가 동반된 견갑골 경부 골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견갑골 경부 골절은 수평 전위 (translational displacement) 25 mm 이상, 각형성 전위 45도 이상의 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견갑골 경부 골절은 3.5 mm 재건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하였고 쇄골 골절 또는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 대한 내고정술을 각각 시행하였다. 9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모든 예에서 골유합을 얻었다. 미국 견주관절학회의 기능 평가법 (ASES) 기능 평가 점수상 평균 89.2 (75∼95)점을 있었다. Rowe기능 평가 점수상 평균 89.1 (75∼100)점을 얻었다. 합병증으로 1예에서 외회전 근력약화가 있었다. 결론: 고에너지 손상에 의한 전위가 심한 부유견은 견갑골 경부와 쇄골 또는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 대하여 각각 내고정을 시행 후 좋은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follow-up result of 11 cases that were operated with internal fixation of scapular neck and internal fixation of clavicle or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for severely displaced floating shoulder which was high energy injury and unstable. Materials and Methods: We examined the scapular neck fracture with clavicle fracture or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by multidisciplinary research from August 1997 to July 2004. The scapular neck fractures were operated in the case of translational displacement of more than 25 mm and angular displacement of more than 45 degrees with 3.5 mm reconstruction plate fixation and internal fixation for clavicle fracture or acromioclavicular joint perpormed simultaneously. And we evaluated 11 cases that can be followed up for more than 9 months. Results: We achieved bony union in all cases. In ASES functional score, we got average 89.2 (75∼95) points. In Rowe functional score, we got average 89.1 (75∼100) points. In complication, there was external rotation weakness in 1 case. Conclusion: In severely displaced floating shoulder due to high energy injury, we got good clinical and functional result after internal fixation for scapular neck and clavicle or acromioclavicular joint.

      • KCI등재

        쇄골 간부 분쇄골절에서 골편간 나사고정과 금속판을 이용한 치료 결과

        고경환 ( Kyoung Hwan Koh ),손민수 ( Min Soo Shon ),이승원 ( Seung Won Lee ),김종호 ( Jong Ho Kim ),유재철 ( Jae Chul Yoo ) 대한골절학회 2012 대한골절학회지 Vol.25 No.4

        목 적: 전위된 골절편을 동반한 쇄골 간부 골절 환자에서 모든 골절편을 해부학적으로 정복한 후 골절편간 나사못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추가적으로 금속판을 이용하여 고정하여 치료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6월부터 2011년 8월까지 Edinburgh 분류상 IIB2에 해당하는 전위된 골절편을 가진 쇄골 간부 분쇄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연속적인 13예에 대하여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골절편을 해부학적으로 정복하였으며 이에 대한 골편간나사고정을 먼저 시행한 후 금속판을 적용하였다. 골절편의 수, 골절의 전위 정도와 쇄골의 단축 정도를 평가하였다. 유합의 여부와 유합까지 걸린 기간, 그리고 합병증의 유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골절편은 7예에서 2개, 5예에서 3개, 그리고 1예에서 5개였다. 쇄골의 평균 단축은 1.1 cm였고 주요 골편간 전이는 평균2.6 cm였다. 모든 환자에서 방사선학적 유합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평균 유합기간은 10.8주(8∼14주)였다. 불유합과 감염을 포함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 론: 모든 골절편을 해부학적으로 정복하고 골절편간 나사못으로 고정한 후 금속판 고정을 시행하여 여러 개의 골절편을 동반한 전위된 쇄골 간부 골절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Purpose: To report the treatment results of anatomical reduction of all fracture fragments and internal fixation using an inter-fragmentary screw and plate in displaced mid-shaft clavicle fracture with comminutio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ne 2005 and August 2011, 13 consecutive displaced clavicle fractures with comminution (Edinburgh classification IIB2) treated by anatomic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using inter-fragmentary screw and plate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re were 11 male and 2 female patients with a mean age of 37.4 years (15∼55 years). The right clavicle was injured in 4 patients and the dominant arm was involved in 46%. The mean duration from trauma to surgery was 7.0 days. The cause of injury was a traffic accident in three, a fall in two, and sports activity or direct injury in eight patients. All of the fracture pieces were anatomically reduced and fixed with inter-fragmentary screws. An additional plate was applied to maintain and reinforce the reduction of the fracture. Radiographic assessments for the numbers of fragments and the amount of shortening and displacement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fracture healing and determine the time from fracture surgery to union and complications, all of the radiographs taken after surgery were evaluated. Results: The number of fragments was 2 in 7 cases, 3 in 5 cases, and 6 in one case. The mean shortening of the clavicle was 1.1 cm (0.3∼2.1 cm) and mean displacement between the main fragments was 2.6 cm (1.3∼4.5 cm).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16.5 months (8∼26 months). Radiographic union was achieved in all patients with a mean time to union of 10.8 weeks (8∼14 weeks). There were no complications including metal failure, nonunion, or infection. Conclusion: Anatomical reduction of all the fracture fragments and fixation using inter-fragmentary screws in addition to the usual plate fixation showed good fracture healing in displaced clavicle fracture with comminution.

      • KCI등재

        쇄골 간부 골절의 수술 후 합병증

        유정현(Jeong Hyun Yoo),정수태(Soo Tai Chung),박정환(Jung Hwan Park)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4 No.2

        목적: 저자들은 고에너지성 쇄골 손상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쇄골 간부 골절 환자에서 수술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인자들을 분석하여 수술 후 합병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쇄골 간부 골절 환자 332예 중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6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후 및 추시 관찰 시 촬영한 평면 방사선 사진과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골절 양상, 분쇄 정도, 전위 정도와 쇄골 골절부 길이 단축을 분석하였고, 기저 질환의 여부, 성별 및 연령, 수술 시간, 고정 방법 등 합병증의 발생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결과: 총 62예 중 최종 추시 시 62예 (100%)에서 완전한 골유합을 얻었고, 7예 (11.2%) [감염 3예 (4.8%), 내고정물 파손 3예 (4.8%), 재골절 1예 (1.6%)]에서 불량한 임상 결과를 보였다. 성별은 모두 남성이었고 이는 골절의 분쇄, 골절의 전위가 심한 경우에 발생하였다. 합병증으로 감염이 발생하였던 3예 모두 수술 시간이 지연된 경우에 해당되었고 당뇨,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기저질환을 갖고 있었다. 쇄골 윤곽의 재건 금속판을 사용한 경우에 내고정물 파손 2예, 동적 압박 금속판을 사용한 경우 재골절 1예, 유관 나사못을 사용한 경우 내고정물 파손 1예 발생하였다. 결론: 심한 골절의 분쇄나 분리, 장시간의 수술 시간,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쇄골 간부 골절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이 많았으며 특히 활동성이 좋은 남성의 경우 수술 후 완전한 골유합이 확인될 때까지는 내고정물 파손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활발한 활동의 금지 및 수술 시 더욱 강력한 강도의 금속판 사용이 필요하다. Purpose : Because of increasing high energy traumas such as traffic accidents and industrial injuries, operative treatments in midshaft fractures of clavicles are increased. With analyzing factors that make an effect 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mpatibilities of current treatment techniques and fixation devices should be discussed. Materials and Methods: Sixty two patients with fractures on the midshaft of clavicles underwent operative treatment between 2004 and 2009. Many factors such as age, gender, type of fractures, underlying disease, operation time, fixation technique were analyzed for the evaluation of effects on developing postoperative complications. Plain radiography and/or computerized tomography were used. With a minimum 1 year follow-up, postoperative function were assessed by means of a ASES scoring system. Results: 7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developed. All of these belonged to male and severe fracture pattern. 3 infections, 3 metal failures, and 1 refracture were developed. All of 3 patients with infection were concerned with underlying diseases. Metal failures were developed in 2 of 15 patients with anatomical reconstruction plates fixation and 1 patients with cannulated screw fixation. Refracture were developed in 1 of 46 patients with LC-DCP fixation. Conclusion: Severe comminuted or displaced fractures, long operation time and underlying disease were related with postoperative complications, especially such as infection. For male patients or athletes with high activity, the stronger fixation device than usual fixation device such as the anatomical reconstruction plate is needed, and vigorous activities should be postponed until complete bone union.

      • KCI등재

        동측 쇄골의 내측 및 외측 동시 골절: 이중 쇄골 골절 - 증례 보고 -

        박경준,손훈상,백경영 대한골절학회 2011 대한골절학회지 Vol.24 No.1

        쇄골 골절은 임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상지 손상의 하나이나, 동측 쇄골의 내측, 외측 혹은 간부 골절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7예가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낙상 후 발생한 쇄골 외측 골절과 동반된 쇄골 내측 골절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손상 기전과 진단 및 치료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증례 보고 : 동측 쇄골의 내측 및 외측 동시 골절: 이중 쇄골 골절

        박경준 ( Kyoung Jun Park ),손훈상 ( Hoon Sang Sohn ),백경영 ( Kyoung Young Baek ) 대한골절학회 2011 대한골절학회지 Vol.24 No.1

        쇄골 골절은 임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상지 손상의 하나이나, 동측 쇄골의 내측, 외측 혹은 간부 골절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7예가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낙상 후 발생한 쇄골 외측골절과 동반된 쇄골 내측 골절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손상 기전과 진단 및 치료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Clavicular fracture is common injury in the upper extremity, but ipsilateral proximal, distal or middle-third clavicular fractures which occur simultaneously are an extremely rare. Seven cases have been reported in the English and Japanese literatures, but it has never been reported in Korea. We report a case of ipsilateral proximal and distal clavicular fracture caused by fall from height and describe its presumed mechanism, diagnosis, treatment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