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제강점기 공주 송산리고분의 조사

        정상기(Jung,Sang-Ki)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중앙고고연구 Vol.0 No.10

        宋山里古墳群은 공주시 錦城洞에 위치하고 있다. 이 지역에는 발굴된 고분 7기를 포함하여 모두 20여기 이상의 백제고분이 자리잡고 있었는데, 현재는 7기가 복원되어 있다. 1971년 武寧王陵이 발견됨으로써 이 지역이 熊津時代 백제의 왕릉지구였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고분은 표고 130m의 宋山을 북쪽의 主山으로 한 남쪽 경사면에 분포되어 있는데, 구릉 윗부분의 1~4호분이 한 그룹을, 그 남쪽사면에 무령왕릉과 5·6호분이 한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그 구조는 크게 한성도읍기의 전통을 이어받은 穹窿狀天井을 가진 횡혈식석 실분과 새로이 중국 남조로부터 수용한 전축분으로 대별된다. 이중에 전축분은 무령왕릉과 6호분인데, 처음에 왕묘는 횡혈식석실분이었으나 남조의 영향으로 전축분으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밖에 서울의 석촌동 적석총과 유사한 方 形 유구가 2기 조사되었으나 구체적인 매장시설이 확인되지 않아 祭壇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 고분군의 대부분은 일제강점기때 도굴과 발굴조사에 의해 그 존재가 알려졌는데, 발굴보고서가 간행되지 않았거나 疏略하여 그 실상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하지만 현 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유리건판 38,000여매 중에서 송산리고분군의 1920 ~1930년대 모습을 담은 80여매와 『昭和二年度古蹟調査報告』, 2002년 간행된 有光敎一 등의 『朝鮮古蹟硏究會遺稿』Ⅱ권, 輕部慈恩의 『考古學雜誌』에 수록된 「公州に於ける百濟 古墳」 논문 등을 참고하면 일제강점기 송산리고분군의 대략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웅진 백제시대 최초의 벽돌무덤으로 알려진 송산리 6호분과 지금은 사라진 송산리 29호 분의 자료들이 확인된다. 약 80여매의 유리건판 중 상태가 불량한 것과 능산리고분군 관련 자료를 잘못 판단한 것을 제외하면 총 72매의 송산리고분군 관련 유리건판이 확인되었다. 이를 고분군 별로 확인하여 보면 제1호분 건판이 12매, 제5호분 건판이 9매, 제6호분 건판이 18매, 제29호 분 건판이 31매, 기타 송산리고분 출토 유물 2매 등이다. 제1호분 건판은 1927년 촬영되 었는데, 연도와 배수구 모습, 천정모습, 도랑모습과 함께 출토 유물로 허리띠 장식과 영락 장식품, 철정 등 철기류들의 모습이 확인된다. 제5호분은 1927년 촬영되었는데, 遺構인 연도와 배수로 위주로 촬영되어 있다. 제6호분은 전축분으로 일찍부터 네 벽에 표현된 사 신도로 유명하였는데, 벽면의 사신도와 함께 전축분의 발굴모습, 각 벽면과 고분내의 전 돌 모습 등이 비교적 자세히 촬영되어 있다. 제6호분은 1932년 가루베지온(輕部慈恩)에 의해 확인되었으나, 정식 조사는 1933년 조선총독부박물관에 의해 실시되었다. 그러므로 벽돌무덤인 제6호분 관련 유리건판은 조사를 실시한 1933년 촬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제29호분은 발굴 조사전의 모습과 함께 조사 진행과정, 석실의 내부 모습과 함께 연도와 배수구 모습 등이 자세히 촬영되어 있는데, 이는 1933년 조사 당시에 자료들을 촬영했 기 때문인 것 같다. 이상으로 일제강점기의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모습과 발굴경과 등을 간단히 알아보았다. 지금은 송산리고분군에 7기의 고분이 복원되어 있지만 일제강점기만 하더라도 송산리 고분군에는 약 20여기의 고분들이 산재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송산리고분군 중 29호분의 경우에는 학술적으로 조사되어 많은 자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래 고분이 소 재하던 현재의 송산리 6호분 부근에서는 흔적도 확인할 수 없다. 일제강점기에 발굴되어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전 공주 송산리고분 출토유물들은 대부분이 송산 리고분군에서 출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 수많은 도굴과 일본인에 의해 발굴되었으나, 보고서 미발간과 소략한 보고로 인해 송산리고분군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한 현실에서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약 80여매의 유리건판은 송산리고분군 중 제1·5·6·29호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일제강점기 여러 자료와 유리건판에서 확인된 중요한 자료를 소개하여 웅진 백제시대 고분문화에 대한 실질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고자한다. Songsan-ri Tumulus is located in Geumseong-myeon, Gongju. In this area there are more than Baekje tombs including the 7 excavated tombs. As of now, a total of 7 tombs are restored. When the Tomb of King Muryeong was discovered in 1971, it was revealed that this area was a royal tomb district in the age of Woongjin. The tombs are located on the south slope of Mt. Songsan with a altitude of 130m, the main mountain to the north. Tombs No. 1~4 on the upper part of the hill form a group, and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s No. 5 and 6 further south form another group. Their structure is largely divided into the tunnel-entrance stone chamber tombs with a vault, which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Hanseong Period, and the brick chamber tombs fresh from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Among them,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b No. 6 are brick chamber tombs. At first, royal tombs were tunnel-entrance stone chamber tombs with a vault, but under the influence of Southern Dynasties of China, they changed to brick chamber tombs. In addition, two square-shaped historical relics, resembling the stone-mound toms in Seokchon-dong, Seoul, were investigated, but specific burial facilities were not confirmed. So some view them as altars. The presence of most of these tombs was known by tomb robbery and excavation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but as no excavation report was published, or the reports were so poorly written that it is difficult to know what they were really like. Currentl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about 38,000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80 or so of them are the images of the Songsan-ri tombs photographed in the 1920’s and 1930’s. It is deemed that if related research is furthered by utilizing the gelatin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reference material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y contain materials regarding Songsan-ri tomb No. 6, known as the first brick tomb of the age of Woongjin Baekje, and Songsan-ri tomb No. 29, which does not exist anymore. Some of the 80 or so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were in bad condition, or pertained to Neungsan-ri tombs, which were mistaken as Baekje tombs. Excluding them, it was confirmed that a total of 72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were related to Songsan-ri tombs. Looking at the tombs one by one, 12 of the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pertain to tomb No. 1; 9 of them pertain to tomb No. 5; 18 of them pertain to tomb No. 6; 31 of them pertain to tomb No. 29; and 2 of them pertain to relics excavated from Songsan-ri tombs. The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pertaining to tomb No. 1 were photographed in 1927. The shape of chimneys and drains, the shape of ceilings and the shape of ditches were verified, and the excavated relics included ironware like belt ornaments, bead-necklace ornaments and iron nails. Tomb No. 5 was photographed in 1927 with focus on relics like the chimney and the drain. Tomb No. 6 is a brick chamber tomb. It has been famous for the ‘Painting of the Four Gods’ drawn on the four walls. Along with the ‘Painting of the Four Gods’ on the walls, the excavation of the brick chamber tomb, and the clay bricks on each of the walls and inside the tomb are photographed in detail. Tomb No. 6 was confirmed by Karube Jion in 1032, but formal investigation was conduc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Museum in 1933. Therefore, the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pertaining to tomb No. 6, a brick tomb, are deemed to have been photographed in 1933 when the investigation began.

      • KCI등재

        공주 송산리 고분군의 지형 환경과 입지적 특징 −백제 왕릉 입지와의 비교를 통한 검토−

        허의행(Heo Ui-haeng),이창호(Lee Chang-ho)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20 고문화 Vol.96 No.-

        송산리 고분군은 왕릉 조성 지역으로서 인근 왕성(공산성)과의 관계로 보아 백제 웅진 시기에 조영된 능원과 능역의 전체 모습을 볼 수 있는 곳이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 이후 송산리 고분군과 주변 지형은 산림 벌목과 경작지 개간, 건물 축조 등으로 인해 지형 훼손이 많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관련한 고고학적 조사가 미미하여 송산리 고분군이 지닌 왕릉으로서의 입지 특성을 명확히 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과거 지형의 모습을 파악하고 여기에 현재의 지리 지형적 환경 연구, 한성과 사비시기 왕릉 입지 지형 자료와 입지 연구성과 등을 검토하여 송산리 고분군의 입지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송산리 고분군은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풍수지리적 모습을 갖춘 지형을 우선 선택하였고, 송산의 여러 분지된 지형을 적절하게 공간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백제 각 시기의 왕릉급 고분 입지, 인근의 왕도로서 공산성과 추정 대통사지 지역과의 관계를 종합비교해 보면 그 입지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즉 송산리 고분군은 송산이라는 지형 자체를 묘역 전체로 구성하였고 능원의 성격으로서 능침과 제향, 진입 공간 등의 공간 배치를 지형에 맞추어 조성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송산리 고분군은 한성기와 사비기의 왕릉 입지로 변화하는 과정에 나타나는 과도기적 형태의 풍수지리적 지형 모습을 갖추고 있다. 또한 인근의 왕도와 추정 대통사지 지역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도성 공간의 장소로서 현재의 위치를 선택한 것으로 파악된다. 당연 이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경관의 장소적 의미가 확립되어 갔을 것이다. The Songsan-ri tomb is considered to be a place wher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the existence of facilities related to the tombs built during the Woongjin period of Baekje, due to the existence of the royal tombs of Baekje and surrounding ruins such as the communist castle. However,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terrain surrounding Songsan Rigogun was a constant loss of terrain due to deforestation, cultivation of farmland, and construction of buildings. Therefore, by analyzing the topographical approach and the current geographic topographical environment and comparing it with the various data left behind,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Songsan-ri Tumulus Cluster were materialized. Songsan-ri’s burial mound was selected from the viewpoint of Feng Shui geography influenced by Namjo, and it seems that it utilizes several branched terrains centered around Songsan.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Songsan-ri’s burial mounds become clearer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ruins of the nearby royal roads and Gongju city, especially the estimated Daetongsaji. The arrangement of ridges, scents, and entry spaces as ridges wa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terrain. In other words, Songsan Rigobungun selected the current location as a terrain that could encompass both the nearby royal roads and the estimated Daetongsa Temple along with the selection of Feng Shui geographic location, and they are thought to have formed a landscape that is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일제강점기 자료로 본 송산리와 능산리 고분군

        정상기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9 동원학술논문집 Vol.10 No.-

        공주 송산리 고분군과 부여 능산리 고분군은 웅진과 사비 백제시대의 대표적인 왕릉으로 알려져 있다. 이 고분군은 대부분 일제강점기 때 도굴과 발굴조사에 의해 그 존재가 알려져 있는데, 발굴보고서가 간행되지 않았거나 소략(疏略)하여 그 실상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웠다.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 공주 송산리와 부여 능산리 고분군의 모습과 그 출토 유물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다. 지금은 두 고분군 모두 7기의 고분군으로 복원되어 있지만 일제강점기 때만 하더라도 송산리와 능산리 고분군에는 약 20여 기의 고분들이 산재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송산리고분군 중 29호분은 학술적으로 조사되어 많은 자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송산리 6호분 부근에서 흔적도 확인할 수 없다. 또한 1937년 발굴된 능산리의 7호분과 8호분 역시 복원되지 않고 사라졌다. 하지만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유리건판 사진과 일제강점기의 참고자료 등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척시키면 백제사 연구에 새로운 활력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생각된다. I have briefly examined images of Songsanri Tombs in Gongju and Neungsanri Tombs in Buyeo photograph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s well as their excavated artifacts. It is deemed that if related research is furthered by utilizing the gelatin dry plates own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reference material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t will revitalize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Baekje Kingdom, which has been given a new impetus with the excavation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Neungsanri Temple site.

      • KCI등재

        공주 송산리 6호 벽화고분 보존을 위한 온열환경 분석 연구

        김대운,정선혜,이민영,정용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6 보존과학회지 Vol.32 No.4

        Ancient tombs are typically comprised of confined rooms, which have different spatial characteristics than the external environment because they are covered by heavy layers of soil.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thermal energy flow from the outside to inside of Songsan-ri tomb No. 6. External heat flows slowly to the inside because of heavy soil layer, and the presence of several rooms and entrances. For this reason, it takes about two months for the air temperature to travel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tomb. Interestingly, the gradational inflow of thermal energy from outside the tomb leads to delicate horizontal and vertical variations in the wall temperature. These micro-environmental differences occur in the inner tomb every year, so we can expect them to cause condensation with regularity. In addition, we show that the previously installed forced circul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risks fatal damage to the mural wall paint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an optimal air conditioning system and optimized space planning to conserve Songsan-ri tomb No. 6 and its mural painting. 고분은 구조적 특성상 대부분 좁고 밀폐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분을 둘러싼 높은 봉분으로 인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일부 차단된 공간적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공간적 특성은 연중 낮은 온도와 높은 상대습도가 유지되는 환경적 특성으로 이어진다. 연구 대상인 공주 송산리 고분군은 외부로부터 고분 내부로 유입되는 열에너지가 고분을 덮고 있는 토양층과 다수의 연결된 출입구로 인해 열의 흐름이 차단되거나 지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열흐름의 특이성(특수성)은 고분 내부 환경과 외부 환경 사이에 약 2개월의 시간적 격차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또한 고분 외부에서 차등적으로 유입되는 열에너지로 인해 고분 내부의 환경은 수평적, 수직적으로 미세한 환경적 차이가 발생되었다. 고분 내부에서 발생된 미시환경의 차이는 매년 규칙적으로 발생되고 있었으며 ,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방위 및 공간에 따른 환경조건과 결로현상 발생위치를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최적 보존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강제순환식 항온항습기의 고분 벽화 손상 위험성과 기계적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송산리 고분과 고분 벽화를 보존하기 위한 최적의 공조 설비 방안 및 공간계획수립에 있어 기반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공주 송산리 고분군 활용방안 연구 - 전시시설물을 중심으로 -

        장충희 ( Jang Choong-hee )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5

        이 글은 백제역사유적지구 활성화를 위하여 공주 송산리 고분군 모형관 및 웅진백제역사관의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했다. 역사문화자원 활용의 대상은 대중이다. 그렇기 때문에 흥미위주의 표상과 상품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하지만 역사적인 배경과 가치가 함께하지 않으면 역사왜곡을 가져올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먼저 송산리 고분군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인 배경과 가치에 대한 검토를 선행하였다. 그 결과, 송산리 고분군의 세계유산적 가치는 웅진시대 역사전개의 배경, 단독으로 조성된 고대왕릉의 집단묘역, 고대 동아시아 문화교류의 증거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역사문화자원 활용의 배경이 되는 역사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진행하였다. 역사문화콘텐츠란 ‘역사적 가치를 뚜렷하게 지니고 있는 역사문화자원이며 또한 대중들을 대상으로 활용가능성이 다양한 자원’으로 정의내릴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기 위한 스토리텔링은 ‘가치전달과 동기화’, ‘쌍방향 상호작용’, ‘청자중심의 전개’, ‘청자의 능동적 체험’과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활용방안 제시를 위하여 송산리 고분군 방문객 현황을 분석한 결과 가족단위, 유소년 및 청소년 단체가 주된 방문객임을 확인하였다. 위의 이론적 배경을 통해 제시한 송산리 고분군 스토리텔링 모형은 다음과 같다. ‘불타는 한성, 웅진천도 이후 흔들리는 백제’, ‘무령왕대 정치적 안정화와 국력회복’, ‘갱위강국, 대백제의 부활’, ‘무령왕, 신화가 되다.’와 같은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시각적 자료를 활용한 전시기법, 모형과의 연계, 체험에 기반한 근거리통신기술 및 증강현실을 통해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역사적 가치와 대중들의 흥미, 상품성을 갖춘 활용방안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ought to discuss the utilization status and alternative proposals regarding the Miniature Hall of Gongju Royal Tombs·Ungjin Baekje Historical Museum in songsan-ri with the aim to vitalize the Baekje Historic Areas. The targe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utilization is the public. Therefore, it should be based on interesting representations and marketable. However, the absence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values could lead to controversy over historical distortions. To overcome this, the paper preceded a review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values of the Royal tombs in Songsan-ri. As a result, the world heritage value of the Royal tombs in Songsan-ri was found to be based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Ungjin era, Single-handed The collective tomb of the ancient royal tomb, evidence of cultural exchange in ancient East Asia. Next, we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on History-Culture Contents and storytelling, which are the background of utilizing historical cultural resources. History-Culture Contents is 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that has a strong historical value and can also be defined as a possible resource for the public to utilize and Storytellings have characteristics such as ‘value transfer and synchronization’, ‘two-way interaction’, ‘developments around the listener’, and ‘active experience with the listener.’ Next, a survey of the status of visitors to the ancient tombs in Songsan-ri to show the main visitors were family members and youth groups. Contents of Gongju Royal Tombs in songsan-ri is shown below. ‘Burning Hansung, Baekje shakes after Capital City Relocation to Ungjin’, ‘Political Stabilization and the Recovery of National Powers in the Age of King Muryeong’, ‘becoming a powerful nation again, The revival of the Great Baekje’. These storytelling contents are implemented through exhibition techniques, linkage with models, experience-based NFC technologies and augmented reality using visual aids. It will also enable the establishment of a utilization plan with historical values and interesting representations and marketable.

      • KCI등재

        지형분석과 GIS분석을 이용한 충남 "공주 송산리 고분군" 입지 연구

        박지훈 ( Jihoon Park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5 백제문화 Vol.1 No.52

        본 연구에서는 지형분석과 GIS분석을 이용하여 ``공주 송산리 고분군(이하 고분군)`` 입지의 지형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분군은 송산(표고 86.5m)의 정부사면에 입지하며, 금강과 그 지류인 제민천으로부터 각각 약 1.1km, 약 0.5km 떨어져 있다. 조사범위를 ``고분군과 주변지역(조사A지역)``으로 한정할 경우, 고분군은 연구A지역에서 가장 높은 송산의 준완경사지에, 그리고 조사범위를 송산으로 한정할 경우(연구B지역), 고분군은 연구B지역에서 비교적 높은 곳에 입지한다. 고분군(연구C지역)의 최저표고, 최고표고 및 평균표고는 54.1m(5호분), 73.5m(2호분), 66.3m이다. 고분군의 최소경사도, 최대경사도 및 평균경사도는 4.7°, 12.7°, 9.1°이다. 고분군이 입지하는 지표면의 사면향은 연구A지역→연구B지역→연구C지역으로 갈수록 점점 남향계열의 사면이 넓어진다. 이상과 같이 고분군은 송산에서 가장 높은 표고구간(80.0~81.8m), 가장 낮은 0° 경사도의 사면(평탄지), 일조량이 가장 좋은 남향(또는 남향계열)에 모두 입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고분군 조성 당시에 비교적 넓은 규모의 공간이 필요했기 때문에 송산에서 비교적 면적이 좁은 ``가장 높은 표고구간``은 고분군 입지터로 선택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상대적으로 경사도가 완만한 ``평탄지~준완경사지(특히 완경사지)``와 일조량을 고려한 남향(또는 남향계열) 사면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곳이 선택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고분군이 당시의 지형환경을 고려하여 조성되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증명한 최초의 자료이다. 따라서 본 분석자료는 향후 고분군 연구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of the ancient tombs in Gongju Songsan-ri by using the geomorphological analysis and GIS analysis. The result is as below. The ancient tombs located on the slope of the summit on the Songsan mountain(altitude of 86.5m), about 1.1km and about 0.5km away respectively from Geumgang River and the Jemin Stream which is a branch of it. When the scope of examination is limited to the ancient tombs and their neighboring area(``A`` examination area), the ancient tombs located on the Sub-gentle slope of the Songsan mountain which is highest in ``A`` examination area, and when the scope is limited to the Songsan mountain(``B`` examination area), the ancient tombs are situated on a rather high place in ``B`` examination area. The lowest, highest and average altitudes of the ancient tombs(``C`` examination area) are 54.1m(Tomb 5), 73.5m(Tomb 2), and 66.3m respectively. The least, biggest, and average gradients of the ancient tombs are 4.7°, 12.7°, and 9.1° respectively. The slant orientations of the ancient tombs face gradually toward south from ``A`` examination area, ``B`` examination area, and ``C`` examination area. Like this, the ancient tombs are not situated 100% on the highest altitude section (80.0~ 81.8m), the lowest altitude - 0° gradient slope(Flat), and toward south(or facing south) where the amount of sunlight is the most. This was because that the formation of the ancient tombs needed quite a large size of area, so the area of highest altitude which has rather a small area in the Songsan mountain was not selected, but the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which can satisfy the needs of flatness or slight slope and the area facing south with a good amount of sunlight was selected. This study is the first material that demonstratively proved that the ancient tombs were formed by considering the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to the most.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for future archeological studies of ancient tombs.

      • KCI등재

        송산리 고분군 벽돌의 생산과 수급

        장성윤,이찬희 한국상고사학회 2013 한국상고사학보 Vol.82 No.-

        The bricks from the Songsanri tomb complex were examined by the physical,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analysis to understand the making techniques and interprete differences of each bricks in production and supply. The study was implemented on the bricks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he Songsanri tomb No. 6, and some of nearly 100 bricks of unknown origin, which have been assumed to be excavated from the Songsanri tomb complex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lthough all bricks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he Songsanri tomb No. 6, and the unknown Songsanri tomb bricks were produced with soil from Jeongdongri and fired at the Jeongdongri kiln sites, Buyeo, the results were shown that the bricks were produced by different techniques for different usage. Bricks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the Songsanri tomb No. 6 were made compactly by removing macrocrystallines and it is assumed to be fired at a temperature from 1,000 to 1,200℃. In spite of the different patterns, it can be assumed that these bricks were produced with same material and techniques and supplied appropriately by usage because they are showing similarities in sizes,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degrees of refinement and firing temperatures. In addition, to prevent disfiguring, the patterns were made with separated-type cast and applied on bricks simultaneously with their production. Observing through X–ray radiography, the patterns were identified to be created by applying pressure on to the edges and the pattern surfaces of the casts after filling them with clay. Although the unknown Songsanri tomb bricks were made with same soil as others, their body was determined to be microstructurally loose containing macrocrystalline particles and fired at a temperature from 900 to 1,000℃. Since the shape of casts, methods of refinement process and firing temperature we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bricks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the Songsanri tomb No. 6, these largesized, patternless unknown bricks are considered to be produced from a different workshop or at a different period and for different purposes. The result can raise the possibility that the provenance of these unknown bricks can be other brick chamber tombs, besides Songsanri tomb complex. 이 연구에서는 송산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벽돌의 제작기법을 추정하고 생산과 수급 관계를 해석하기 위해 물리적, 광물학적, 지구화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벽돌은 무령왕릉, 6호분 그리고 일제 강점기에 조사되어 정확한 출처는 알 수 없지만 송산리 고분군 출토로 전하는 백여 점의 벽돌 일부이다. 이 결과 무령왕릉, 6호분 및 송산리 고분군 출토로 전하는 벽돌은 부여 정동리 일대의 고토양을 사용하여 정동리 가마터에서 제작된 것으로 판단되나 용도에 따라 제작기법이 달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무령왕릉과 6호분 벽돌은 거정질 입자를 제거하고 치밀하게 제작되었으며 소성온도는 1,000~1,200℃로 추정된다. 이들은 전문과 연화문을 띠고 있지만 벽돌의 크기, 재료의 화학적 및 광물학적 조성, 수비의 정도, 소성온도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나 같은 재료와 제작기법으로 제작되어 각 용도에 맞게 공급된 것으로 추정된다. 문양벽돌은 문양을 훼손하지 않고 성형하기 위해 분리형 성형틀을 사용하고, 제작과 동시에 시문되는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X–선 투과 촬영 결과로 볼 때, 문양벽돌은 점토 주입 후 가장자리와 문양면에 압력을 가하여 시문하고 탈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송산리 고분군 출토로 전하는 벽돌은 동일한 지역 토양을 사용하였으나 거정질 입자가 남아 있으며 느슨한 조직에 소성온도는 900~1,000℃로 낮게 나타났다. 이들은 무령왕릉과 6호분 벽돌보다 다소 큰 무문 벽돌로서 성형틀, 토양의 수비방법, 소성온도 등이 다르게 나타나 제작공방이나 제작시기가 달랐고 사용처도 달랐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은 송산리 이외의 벽돌고분 축조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백제 벽화고분의 조영과 문화 계통

        정호섭(Jung Ho-Sub)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1

        백제에서는 송산리 6호분과 능산리 1호분 단 2기밖에 확인되지 않는 벽화고분의 성격과 위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송산리 6호분에 관한 연구에서는 벽돌 제작과 전축분의 축조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벽화의 계통은 어디인지, 피장자는 어떤 사람이었는지 등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기존 연구사를 살펴보면서 축조기법에 있어서 공적법에 대한 비판, 고구려 벽화와의 계통성 확인, 피장자가 무녕왕의 형제일 가능성 등을 제기하였다. 능산리 고분군은 고구려가 북위의 능원제를 도입하여 傳동명왕릉과 정릉사의 조합을 이루고 있는 것처럼 백제가 남조에서 도입한 능원제를 시행한 곳으로 이해된다. 능산리 1호분(동하총)은 대체로 6세기 말~7세기 초반경의 무덤으로 이해된다. 벽화도 연꽃, 사신도, 구름 등의 문양에서 보이듯 6세기 이후의 고구려의 벽화 전통을 고스란히 수용하고 있으나, 제작기술에서의 수준 차이는 존재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양상으로 보아 왕릉급 고분은 아니다. 백제의 벽화고분은 파격적으로 수용한 외래문화의 영향에서 발생된 것이다. 백제에서는 보편적이지 않았던 고분벽화 문화는 6세기 양나라와의 교류나 고구려와의 교류선상에서 이해될 수 있다. 6세기 전반과 6세기 말~7세기 전반에 각각 1기씩만 확인된다는 점에서 백제에는 고분벽화의 전통이 보편화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능산리 1호분의 벽화도 고구려의 석벽화 전통이 고스란히 도상에 반영되고 있어서 고구려와 백제의 문화교류의 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t has been almost 70 years since the discovery of Songsanri Tomb No. 6. Still, however, any substantial conclusions around many debates on it has not been reached. Specifically, the fact that the clear order of the incident between the Songsanri Tomb No. 6 and the Muryeong Royal Tomb has not been reached shows the limit of the research on ancient tombs. The most recommendable way to make the order clear is a reexamination off the soil stratum between them. There remain many tasks such as the process of brick production, tomb construction, origins of the wall paintings, and the person buried in the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researches on the Songsanri Tomb No. 6. Bearing these issues in mind, this paper overviews past researches and indicates new ideas on some of facts such as construction methods, lineage of wall paintings, and person buried in. Neungsanri ancient tomb group is understood as a place where Baekje adopted Tomb Sites system of King, similar to that of Goguryeo from Northern Wei. This point is clearly shown from the fact that it was constructed in contribution to King Seong who died in a battle against Shilla. Donghachong might be concluded to have been built around the 7th century, and the person buried in is speculated to be a member of the royal family, leaving out King or Queen. The wall paintings of it embraces the tradition of Goguryo around 6th century, but there might have been difference in the production skills. The Baekje's wall paintings in ancient tombs had been heavily influenced by foreign cultures. The uncommon culture of wall paintings can be understood to have been derived from interchanges between Baekje and Yang or Goguryeo. Also, this kind of tradition was not widespread because only one tomb with wall paintings is found from 6th and 7th century separately. Moreover, it is thought that the wall paintings of Neungsanri Tomb No. 1.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interchanges between Goguryeo and Baekje due to the tradition of Goguryeo is clearly reflected in the paintings. The person buried in might be speculated to have played certain roles in the interchanges and had ideas about future life based on the Taoism or Buddhism.

      • KCI등재

        輕部慈恩의 공주 송산리고분군에 대한 인식 연구

        서정석 호서고고학회 2019 호서고고학 Vol.0 No.43

        There are two area in the Songsan-ri tomb complex. One Area is consist tomb 1 ~ tomb 4. And the other is consist King Muryeong’s tomb, tomb 5, tomb 6 and tomb 29. There are located tomb 1~ tomb 4 and tomb 7, tomb 8 in first area. And there are located King Muryeong’s tomb, tomb 5, tomb 6 and tomb 29 in second area. The first discovered in the Songsan-ri tomb complex is tomb 1~ tomb 4. Karubejion apprehend tomb 1~ tomb 4 is builed during the Ungjin period. Because it was affected by a tombs of Nangnang and it is distinguished Sabi period’s tomb.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detailed investigation in the Songsan-ri tomb complex. 공주 송산리고분군은 1~4호분을 중심으로 한 구역과 무령왕릉을중심으로 한 구역으로 구별된다. 1~4호분을 중심으로 한 구역에는1~4호분 이외에 7호분과 8호분이 자리하고 있고, 무령왕릉을 중심으로 구역은 무령왕릉을 비롯하여 5호분·6호분·29호분 등이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송산리고분군 중 맨 먼저 발견된 것은 1~4호분이다. 輕部 慈恩은 1~4호분이 낙랑 전축분과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사비기의 석실과는 뚜렷이 구별된다는 점에서 웅진기 고분으로 파악하였다. 아울러『신증동국여지승람』에 나오는 백제 왕릉에 대한 기록을근거로 1~4호분을 백제 웅진기의 왕릉으로 이해하였다. 그런데, 같은『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陵峴’에 대한 기록이 따로있는 것으로 보아 애초 웅진기 백제 왕릉은‘능현’에 자리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그러한 웅진기 왕릉의 집단묘역에서 독립해서 자신만의 전용묘역을 조성한 것이 무령왕릉이 아닌가 한다. 한편, 송산리 1~4호분은 輕部慈恩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약간의궁금증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무엇보다도 발견 경위나 잔존 상태로미루어 볼 때 완전 지하식의 구조가 아닌 반지하식의 구조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만약 그렇다면 전형적인 백제 횡혈식 석실과는 차이가 있는 만큼 앞으로 정밀한 조사와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 KCI등재

        공주 송산리 고분군(公州 宋山里 古墳群)에서의 물리탐사와 무령왕릉(武寧王陵)의 구조분석

        오현덕 국립문화재연구원 201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6 No.4

        Songsalli Ancient Tombs of Gongju consists of seven tombs. King Muryeong’s tomb, the seventh tomb, is a brick chamber tomb discovered during the drainage works for the fifth and the sixth tombs in 1971. The excavation at the time focused on topographic surveys of the tomb entrance and the inside of the burial chamber as well as collection of the remains. The burial mount survey confirmed the status of some stone slab remaining and lime-mixed soil layers, but the survey did not examine the exterior structure of the whole tomb as the mounds were removed even more deeply. The excavation revealed damages to the bricks and mural damages due to moisture and fungus in the sixth and the seventh tombs. Between 1996 and 1997, Gongju National University conducted a comprehensive detailed survey of Songsalli Ancient Tombs including a geophysical survey, with an aim to identify the root causes of such degradation. Based on the results, repair took place in 1999 and the fifth, sixth and seventh tombs were placed under permanent conservation to conserve the cultural assets. General public is currently denied ac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three-dimensional resistivity and GPR surveys on the ground surface of the fifth, sixth and seventh tombs of Songsalli Ancient Tombs in order to understand the underground status after repair. The study also aimed to understand the thickness of all the tomb walls and exterior structure based on GPR inside King Muryeong’s tomb. The exploration on the ground surface found that the three tombs and soil adjacent to the tombs had resistivity as low as 5 to 90 , which confirmed that the soil water content was still as high as that prior to the repair work. Additionally, GPR found that the wall construction of the burial chamber of King Muryeong’s tomb was approximately 70cm in thickness, while the structure was of 2B with two bricks, about 35cm in length, put together longitudinally(2B brick masonry). The pathway to the burial chamber was of the 2B structure just like that of the burial chamber walls, while its thickness was 80cm with an eyebrow-type arch connected to it. Also, the ceiling exterior appears to have an arch structure, identical to the shape inside. 공주 송산리 고분군(公州 宋山里 古墳群)은 7기의 무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7호분인 무령왕릉(武寧 王陵)은 1971년에 5호분과 6호분의 배수로 공사 중 발견된 전축분이다. 당시 발굴조사는 무덤의 입구와 현실 내 부의 측량조사, 유물수습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봉토부 조사에서 호석의 일부 잔존상황과 석회혼합토층을 확 인하였으나 봉토를 더 깊이 제거하여 전축분의 외형구조까지는 조사하지 않았다. 발굴조사 후 6호분과 7호분에서 벽돌 손상, 습기와 곰팡이로 인한 벽화 손상이 발견되었다. 그 원인을 규명하 기 위해 공주대학교가 1996년부터 1997년까지 물리탐사를 포함하여 송산리 고분군에 대한 종합 정밀조사를 실 시한 바 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1999년에 보수공사가 이루어지고 문화재보존을 목적으로 5, 6, 7호분은 영구 보존 조치되어 현재 일반인의 출입을 금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송산리 고분군 5, 6, 7호분의 지표 위에서 3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GPR 탐사를 실시하여 보수공사 이후의 지하의 상태를 파악하고 무령왕릉의 내부에서 GPR 탐사를 실시하여 전축분의 벽체의 두께와 외형적 구조를 파악하는 데 있다. 지표에서의 탐사결과, 3기의 고분 주변의 토양은 5∼90 의 낮은 전기비저항 값을 나타내고 있어 토양이 갖는 함수율이 보수공사 이전처럼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PR 탐사결과, 무령왕릉 현실의 벽체 축 조방식은 약 35cm 길이의 벽전을 길이방향으로 두 장 잇댄(2B 벽돌쌓기) 약 70cm 두께임을 알 수 있었다. 반 면 연도부는 약 80cm 두께로 측정되어 현실의 벽체와 같은 두 겹 구조에 눈썹아치가 복합된 구조로 추정된다. 그리고 천장의 외형은 내부의 모양과 같은 아치 구조임을 탐사결과를 통하여 추정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