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강중류 남부 송국리유형 상한 재고- 송국리유적과 그 주변 유적을 중심으로

        禹姃延 호서고고학회 2010 호서고고학 Vol.0 No.23

        In Korean Bronze Age archaeology the Songgungni assemblage is important. It demarcates the Early Bronze Age (EBA) and the Middle Bronze Age (MBA). It is also associated with a sudden increase in social complexity. As for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onggungni assemblage, there are two conflicting hypotheses. One is that the Songgungni assemblage developed from EBA assemblages, most likely in the Gum River basin. The other is that the Songgungni assemblage was introduced from somewhere outside the basin. However, none of the two positions has paid enough attention to the southern part of the midstream of the basin, the research region of this paper, where Songgungni-type materials are most densely clustered in the basin. Since EBA-type materials are rarely found in the research region, this area has been regarded as ‘no-man’s land’ in the EBA in previous studies. In opposition to these tendencies, this paper re-examines absolute- and relative-dating results of Songgungni-type sites in this area. For that purpose, diverse kinds of materials, not just typical Songgungi-type ones, from the sites are compared.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at least part of the Songgungni assemblage in this area appeared in the late EBA. On the basis of this, it is argued that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is area in order to establish a reliable chronology for the emergence of the Songgungni assemblage in the Gum River basin. 송국리유형은 남한 청동기시대 전기와 중기 구분의 지표이자 본격적인 복합사회의 등장과 관련된 물질자료로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송국리유형의 등장과정에 대해서는 외부유입설과 내부자생설이 대립하고 있다. 이 두 입장 사이의 간극을 좁혀보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본고에서는 송국리유형 외부유입설과 내부자생설에 대한 기존의 여러 견해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송국리유형의 핵심권임에도 불구하고 송국리유형 등장과정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소홀히 취급된 금강중류 남부 송국리유형 유적들의 편년 특히 그 상한을 재검토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층위적 기록 및 유물이나 유구의 형식에 기반하여 전기 후반부터의 점유 가능성이 제기되어 온 송국리유적의 형성과정을 재검토한다. 다음 기존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온 이 지역 송국리유형 유적들의 절대연대 측정치와 송국리형 무덤들도 편년 기준 및 대상으로 포함하여, 이 지역 송국리유형 유적들 서로간의 구체적인 시간적 위치를 고찰해 본다. 이를 통해, 송국리유형 내부자생설 지지자들이 가락동유형권 또는 역삼동유형권에서 선/송국리유형 일부가 등장한 시기라고 주장하는 전기 후반에, 금강중류 남부지역은 공백지대로 남아 있었던 것이 아니라, 이 지역에서도 송국리유적 및 그 주변 유적들을 중심으로 하여 유구경식 비파형동검 및 송국리형 무덤과 같은 송국리유형 요소가 일부 출현하였고 새로운 수준의 노동력 조직을 필요로 하는 대규모 토목공사인 대지평탄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청동기시대 조기 설정과 송국리유형 형성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형원(Lee, Hyungwon) 중부고고학회 2010 고고학 Vol.9 No.2

        경기지역의 고고학은 2000년대에 구석기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룩하였다. 본고는 이 가운데 청동기시대를 대상으로 하여 발굴성과를 정리하고,최신 발굴자료를 토대로 청동기시대 조기실정과 송국리유형 형성 논쟁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발굴성과로는 첫째,충청 이남의 남부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송국리식주거지와 관련 유물이 경기지역에서도 화성 천천리유적을 필두로 하여 여러 유적에서 빈번하게 확인되었다. 둘째,81기의 주거지가 발굴된 평택 소사동유적과 같이 대규모 유적의 조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취락의 양상이 자세히 밝혀졌다. 셋째,경기지역의 고인돌이 종합적으로 집성되었으며 화장묘가 다수 검출되었다. 넷째,돌대문토기 출토 유적이 증가했으며, 기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비파형동검이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되었다. 다섯째,점토대토기단계의 고지성 취락이 여러 유적에서 모습을 드러냈으며,마지막으로 삼각형점토대토기를 비롯하여 동착용범,동사,동착,중국식동 검,철촉 등과 같은 금속유물이 출토된 것도 중요하다. 이와 같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발굴성과 중에는 청동기시대 조기를 둘러싼 문제나 송국리유형 형성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자료가 다수 있으며, 학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두 주제 모두 인식론적인 측면도 있지만,근본적으로는 편년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 필자는 조기와 전기의 구분이 여러 가지 물질자료로 설명될 수 있지만,특히 마제석검과 유경식석촉의 등장이 유효한 기준이 될 수 있으며,이는 요령지역 비파형동검문화권의 영향과 관련되는 것으로 파악했다. 송국리유형의 형성과 관련해서는 자체발생설과 외래 기원설이 평행선을 달리는 가운데,경기 남부지역의 장방형주거지로부터 송국리식주거지가 계기적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형식학적으로 설명했다. 이를 통해 송국리유형 출현의 자체발상설을 보완했으며 발생지역의 유력한 후보지 가운데 하나로 경기 남부지역을 새롭게 주목했다. This study compiled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result of Bronze Age during 2000s in Gyeonggi area and discussed research issues. Regarding archaeological results, firstly, Songguk-ri type residence, concentrated in southern area lower than Chungcheong area, and related artifacts were found for the first time in Cheoncheon-ri site at Hwaseong-si in Gyeonggi area. Secondly, investigation on the large scale sites, such as Sosa-dong site in Pyeongtaek-si with 81 residence units, was done. Thirdly, dolmens in Gyeonggi area were comprehensively compiled and multiple cremation-tombs were found. Fourthly, sites have pottery with jutted band increased and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were unearthed from excavation for the first time in Gyeonggi province. Fifthly, high-land type residences were found in multiple sites. Lastly, me excavation of pottery with triangle clay, bronzeware and ironware required attention. Compared to explosively increased excavation data, there were relatively less research arguments. Research interests were concentrated on the issue of Bronze Age early period and formation theory of Songguk-ri assemblage. Both subjects have the aspects of epistemology; however, essentially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chronological arrangement issue. I can explain the classification of early period and former period with various material data; however, me appearance of polished stone sword and stone arrowhead with root can be valid criterions,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y are related to the impact of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al area. Regarding the formation of Songguk-ri assemblage, the phenomenon, where rectangle type residence of Gyeonggi southern area is linked to Songguk-ri type residence back to back, is explained from typology. Through this, the self¬occurrence theory of Songguk-ri assemblage appearance was complemented and Gyeonggi southern area became the most likely occurrence area among candidates.

      • KCI등재

        청동기시대 중심취락의 지역적 양상 -송국리유형 시기의 대규모 기념물을 중심으로-

        이형원 호서고고학회 2021 호서고고학 Vol.- No.49

        This paper examines the regional aspects of central settlement in the Bronze Age in South Korea. To this end, it was noted that large-scale monuments like round ditch and wooden barrier, giant stone monuments as grave like dolmen, and public ceremonial buildings among the various elements constituting the central settlement. The central settlements are divided into Songguk-ri culture distribution area(Hoseo,Honam and South Yeongnam),Geomdan-riculture distribution area(east Yeongnam) and Cheonjeon-ri culture distribution area(central Yeongseo). There are the largest number of ruins in the Songguk-ri culture distribution area. However, the ruins in Yeongnam region where the Songguk-ri culture and Geomdan-ri culture co-exist are excellent while they are relatively dominant in the western area in Yeongnam region.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settlement are divided into those located in the hills such as Songguk-ri site in Buyeo and the Gwanchang-ri site in Boryeong, and those formed on the alluvial riversides such as Daepyeong-ri in Jinju and Jungdo site in Chuncheon, while the latter is mostly large in terms of size. The central settlement which are equipped with round ditch or wooden barrier aiming for defending or comparting the everyday living space are mainly distributed in Yeongnam region, where Daepyeong-ri site in Jinju and Geomdan-ri site in Ulsan are located. As an exception, it is remarkable that the round ditch was built in Jungdo site in Chuncheon and the wooden barrier in Songguk-ri site. There are many sites that are mentioned as central settlement in the western regions of Yeongnam and leading ones are dolmen tombs as a type of compartment grave while the large tombs are mostly distributed in the western regions of Yeongnam and Honam region. Large-scale ground buildings with the features of ceremonial spaces can be found at Songguk-ri site in Buyeo, Igeum-dong site in Sacheon and Jungdo site in Chuncheon. 이 글은 청동기시대 송국리유형 시기의 중심취락의 지역적 양상을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중심취락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가운데 환호 및 목책과 같은 대규모 기념물적 구축물이나 지석묘와같은 분묘로서의 거석기념물, 그리고 공공 의례 건물의 존재에 주목하였다. 중심취락의 분포를 큰 틀에서 보면 송국리유형 중심분포권역과검단리유형 분포권역, 그리고 천전리유형 분포권역으로 나뉜다. 유적의 수는 문화유형의 구분에서는 송국리유형 중심분포권역이 가장 많으며, 지역적으로는 송국리유형과 검단리유형이 병존하는 영남지역이탁월하다고 볼 수 있다. 영남지역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서부지역이 우세하다. 중심취락의 지형적 특징은 부여 송국리, 보령 관창리유적과 같이 구릉에 입지한 취락과 진주 대평리, 춘천 중도유적과 같이 강변 충적지에형성된 유적으로 나뉘는데, 규모면에서는 대부분 후자가 큰 편이다. 일상생활의 영역인 거주지를 방어하거나 구획하는 시설인 환호 또는 목책을 갖춘 중심취락은 주로 영남지역에 분포하는데, 진주 대평리, 울산검단리유적이 대표적이다. 예외적으로 춘천 중도유적에서 환호가, 부여송국리유적에서 목책이 구축된 것은 특기할 만하다. 거대분묘는 대부분 영남서부지역과 호남지역에 분포하는데, 중심취락으로 거론되고 있는 유적은 영남서부지역이 많으며, 구획묘의 한 종류인 묘역식지석묘가 주류이다. 의례공간으로 추정하고 있는 대형지상건물은 부여 송국리, 사천 이금동, 춘천 중도유적에서 볼 수 있다. 중심취락의 대규모 기념물은 거대 분묘와 같은 매장시설이거나 환호와 목책과 같은 방어나 구획시설로서, 혹은 의례용 지상건물과 같은제의시설로서 만들어진 것이지만, 이것은 공동체의 결속과 번영을 위해서, 또는 다른 취락 공동체와의 차별성을 강조하면서 자신들의 권위를 과시하기 위해서 조영되었다는 데에 더 큰 의미가 있다. 이 거대기념물의 축조와 운영에는 중심취락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시설로서 랜드마크의 성격을 갖는 동시에, 중심취락 내부에서는 공동체 전체를 통합하면서도, 그 이면에는 일반 구성원과의 차별화를 시도하고자 하는상위계층의 조직 운영 원리가 중요하게 작동했을 것이다.

      • KCI등재

        전남지역 선송국리~송국리단계의 인구분포 변동

        황재훈 호서고고학회 2009 호서고고학 Vol.0 No.20

        Challenging traditional approaches of Korean archaeology, which have explained culture change simply as a consequence of diffusion, migration, influx or contact without justification, this paper proposes a testable model that can explain the spread of the Songgukri Culture of the Korean Middle Bronze Age to Jeonnam area where human occupation had not been evident in the previous Early Bronze Age. I first compare distribution and ratio of various types of houses and burials with those in adjacent Jeonbuk and Chungcheong areas. Then, spatial distribution of dolmens and houses are analyzed to monitor changes resulting from the spread. Analyses show that change in the number of dolmens covaries with change in the ratio between pre-Songgukri style houses and Songgukri style houses, as well as with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dolmens. This suggests that the spread of new material culture into Jeonnam area took place twice; the first spread of the pre-Songgukri material culture and the second spread of the Songgukri material culture into the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es, I discuss the spread of the Songgukri material culture, focusing on population of meeting and parting, fluctuation, concentration, influx. 본고는 전남지역 선송국리물질문화의 확산~송국리유형의 재유입과정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지석묘, 선송국리물질문화, 송국리유형의 실체 파악이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보고, 충청지역과 호남지역 무문토기시대 물질문화의 양상에 대해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전남지역 물질문화의 분포와 출토유물의 양상을 통해 볼 때, 전남지역 지석묘 대다수는 선송국리단계에 본격적으로 축조되었으며 전남 동부에 집중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송국리식 원형주거지의 등장과 함께 전남 동부지역의 지석묘수는 급감하는데 이에 반해, 전남 서부지역 지석묘와 주거지의 수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 같은 현상은 시기에 따른 전남지역 인구결집지의 변동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전남지역 선송국리물질문화의 확산이 충청지역으로부터의 이주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가정 하에, 처음 유입이 이루어지던 시기의 중심지는 전남 동부였던 것이, 이른바 완성된 송국리유형의 재확산이 일어난 시기에의 중심지는 전남 서부로 바뀌면서 인구결집지의 변동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송국리유형의 재확산 시기에 전남 동부의 인구가 감소하고, 늦은 시기 지석묘와 송국리형 묘제가 전남 서부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고고자료 양상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와 같이, 전남 서부지역 인구의 이합집산 양상은 송국리유형의 중심지인 충청지역으로부터의 물질문화 확산과 전남 동부로부터의 인구유입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결과이다.

      • KCI등재

        경기지역 역삼동유형의 정립과정

        김한식(Hanshik Kim) 중부고고학회 2006 고고학 Vol.5 No.1

        청동기시대와 관련된 최근의 연구성과에서 주목되는 점은 흔암리유형에 대한 재검토, 송국리유형이 확인되지 않는 지역권에 대한 중기의 설정 등이다. 이러한 연구성과와 관련하여 경기지역은 흔암리유형의 형성지역으로 인식되어져 왔었으며, 대표적인 중기의 문화양상인 송국리유형이 거의 확인되지 않는 지역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경기지역에서 확인되는 유적별 구성을 검토하여 유형을 설정하고, 각 유형의 변천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경기지역 청동기시대 중기의 문화양상을 좀 더 구체화시키고자 하며, 흔암리유형에 관한 최근의 논의를 재검토해 보고자 한다. 검토 결과 경기지역 청동기시대의 문화양상은 크게 미사리유형, 흔암리유형, 역삼동유형, 송국리유형, 팽이형 토기문화 등으로 구분된다. 각 유형은 크게 1단계(팽이형토기문화, 미사리유형, 흔암리유형, 역삼동 1유형)와 2단계(역삼동 Ⅱ유형, 송국리유형)로 시기구분되며 전자는 청동기시대 전기, 후자는 청동기시대 중기에 해당된다. 이렇듯 청동기시대 전기에서 중기로 이행되면서 여러 문화유형이 역삼동유형으로 단일화되고 지역권의 문화적 통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 변화의 시점은 기원전 10~9세기 경부터 인 것으로 판단된다. The notable things in recent research on the Bronze Age are; further examination of Heunam-ri Assemblages and determining the age or some unidentified regions in Songguk-ri Assemblages as Middle Bronze Age, Regarding the results from these researches, Gyeonggi Area had been recognized as Heunam-ri Assemblages establishment area, and most of the Songguk-ri Assemblages, we typical middle age’s cultural pattern, has remained unidentified.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search intended to determine the assemblages from review of each site’s component identified in Gyunggi Area, and tried to find out the change in each assemblages. On the basis of this, I explored ale way to give more concrete shape to cultural patterns of Gyeonggi Area in Middle Bronze Age, and tried to re-examine the recent discussion on Heunam-ri Assemblages. As a result, the cultural patterns of Gyeonggi Area in Middle Bronze Age are roughly divided into Misa-ri Assemblages. Heunam-ri Assemblages, Yeoksam-dong Assemblages, Songguk-ri Assemblages and Pengyee-type pottery assemblages. Each assemblages are categorized into two time classification; the 1st phase(Pengyee-type pottery assemblages, Misa-ri Assemblages, Heunam-ri Assemblages, Yeoksam-dong I Assemblages) and the 2nd phase(Yeoksam-dong Ⅱ Assemblages, Songguk-ri Assemblages). The former is Early Bronze Age and the latter is Middle Bronze Age. Like this, in the process from Early Bronze Age to Middle Bronze Age, it seems that various cultural patterns unified into Yeoksam-dong Assemblages and a cultural unification was occurred in the region. It is believed that this change was surfaced from B.C. 10~9C.

      • KCI등재

        中部 內陸地域 靑銅器時代 前·中期 文化 轉移過程 硏究 - 美湖川流域聚落을 中心으로 -

        金容乾 호서고고학회 2013 호서고고학 Vol.0 No.29

        Most researches on the transition course from the early to the middle periods in Bronze Age in the central inland region of Korea have been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Yeoksamdong assemblage and Songgukri assemblage in the central west costal area. On the other hands, Garakdong assemblage in the central inland region hasn’t been receiving much attention for the transition course to the middle period.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the transition course from the early to the middle period in Bronze Age of the Miho River Basin where Garakdong assemblage has more uniformity in the early culture in the central inland region. And, through the review, the basis to interpret ‘Prior Songgukri’ related material culture found in entire Songgukri culture area is established. To review the Miho River Basin’s transition course from the early to the middle period in Bronze Age, the time period is set based on the pattern change of the double-rimed short oblique line pattern pottery. According to the result of such period separation, decline of the pottery pattern component and the change of interior structure in the settlements don’t overlap to each other perfectly. Also, in the Miho River Basin’s Garakdong assemblage, no perforated pottery is found. And, the trend shows that the cultural components commonly found in Garakdong assemblage and Songgukri assemblage are started to be confirmed before the advent of Songgukri assemblage. Through this point of view, the cause for the change in cultural components of Garakdong assemblage can be assumed to be based on the necessity rather than the influence of external factors either from Songgukri assemblage or Yeoksamdong assemblage. The change trend such as the decline process of the early period’s cultural components and the advent of other square type settlements is determined to be a general phenomenon usually appeared in the early and the middle periods transition course. Since the time positions of ‘material data in intermediate forms’ found in Asan Bay area and the Miho River Basin are different, the data found in the areas my be weighted more in the possibility to be a cultural assimilation rather than a formation process. However, even if such trend is the result of a cultural assimilation with Songgukri assemblage, the same trend is confirmed in the ‘formation process’ of other Asan Bay areas so that defining the accurate characteristics is difficult currently. Therefore, detail reviews on ‘material data in intermediate forms’ confirmed in the entire Songgukri culture distributed area should be preceded in the future studies followed by discussions on the criteria to classify the assimilation and the formation process. 중부지역의 청동기시대 연구에서 송국리유형의 형성에 관한 문제는 자생설과 외래설의 입장에서 주요 쟁점으로 다루어져왔으나, 지역적으로 중서부지역의 취락유적에 집중되어 중부 내륙지역의 ‘형태상 전기와 중기간의 중간형태로 여겨지는 물질문화’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미진한 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미호천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중부 내륙지역‘중간형태의 물질문화’에 주목하여 이 지역의 청동기시대 전-중기 전이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토기의 문양을 중심으로 중부 내륙지역 청동기유적의 편년을 시도한 결과, 시간이 지나면서 가락동유형의 문화요소들이 점차 소멸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공렬토기가 확인되지 않아 역삼동유형의 영향은 비교적 적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뿐만 아니라 외반구연호,일단경촉, 기타 방형계 주거지 등 중기 주거지와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요소들이 관찰되어, 중기로의 전이과정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파악한다. 특히 송국리에 선행하는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기타 방형계 주거지들이 송국리유형과 큰 시기차 없이 확인되었고, 이와 함께 구심구조의 형성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반송리식 주거지 등 유사 구심구조를 갖춘 주거지들의 존재를 통해 이러한 양상의 주거지들이 송국리유형 형성과 관련 있기보다는 송국리문화의 외곽지역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양상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이처럼‘중간형태의 물질문화’는 연구자에 따라 기원 또는 접변결과로 해석될 정도로 지역별로 형태상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송국리문화권 전역에서 확인되는 선송국리유형, 즉‘중간형태의 물질자료’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하며, 접변과 형성과정으로 분류할 수 있는 기준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진 후에 송국리유형의 기원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송국리유형 형성과정에 대한 검토

        나건주(Na, Geon ju) 중부고고학회 2009 고고학 Vol.8 No.1

        서울·경기지역에서 송국리유형과 관련된 자료들은 안성천 수계 내에서 확인되고 있다. 안성천은 곡교천·삽교천과 함께 아산만을 통해 서해로 유입되는 하천으로, 이들 하천들이 분포하는 지역들은 지리적으로 하나의 권역인 아산만지역으로 통칭할수 있다. 경기남부와 충청북부에서 확인되는 유적들은 동일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아산만지역으로 통합하여 자료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전기 말에는 주거지가 소형화되고 취락의 존속기간도 길어지며, 주거지의 구조도 반송리식이라는 과도기적인 단계를 거쳐 휴암리식 주거지가 형성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송리식 주거지의 분포는 아산만지역을 벗어나서 해안지역으로 가면서 그 빈도가 약해지는데 반해서,휴암리식은 당진,서산지역을지나 보령,서천지역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며 취락의 규모도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전기말 소형화된 주거지에 구심구조가 채택되며,반송리식을 거쳐 완성된 휴암리식 주거지가 서해안을 통해 금강유역으로 확산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후 휴임 리식은 평면형태가 원형으로 바뀌며 송국리식 주거지로 완성된다. 송국리식 주거지의 분포는 서천과 부여지역,대전과 청주지역 등금강 중·하류역에 집중되고 있다. 이는 전기 단계 곡교천변에 밀집되었던 인구가 중기에는 금강유역으로 대거 이동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 원인은 수도농경에 유리한 경관을 갖춘 지형이 집중 분포하는 지역으로 인구가 옮겨간 것으로 판단된다. The data related to Songguk-ri assemblages are being identified at the Anseong Stream water system in Seoul & Gyeonggi district, The Anseong Stream is a river flowing into thewest sea through Asan Bay together with the Gokgyo Stream and Sapgyo Stream and the districts where these streams are distributed are named Asan Bay district as one area geographically. The relics identified in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do and northern pan of Chungcheong-do are judged to have a similar character and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ed data by integrati.ng these areas into Asan Bay district. As a result, this research discovered that a Hyuamri-typed settlement formed by way of the transitional stage of a Bansong-ri type in a settlement structure with the occurrence of settlement miniaturization and intensification of sedentary efficiency in a settlement at the latter period of the former Bronze Age. The distribution of Bansong-ri-typed settlements was found to be lower in its frequency in the west coastal areas away from Asan Bay district while Hyuamri-typed settlements showed a higher frequency at Boryeong and Seocheon districts past Dangjin and Seosan districts and the size of a settlement was also identified to be bigger. This research understood such a phenomenon as the facts as follows: 1] main structure was adopted into a miniaturized settlement followed by the intensification of sedentary efficiency in a settlement which occurred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former Bronze Age 2] mere showed the completion of the Hyuamri-typed settlement by way of the transitional stage of Bansongri-type 3] Afterwards, the Hyuamri-type settlement' was expanded into the Geumgan Basin by way of the west coast. The distribution of the Songguk-ri-ryped settlement was centered on the mid-stream & downstream areas of the Geumgang, such as Seocheon & Buyeo districts, Daejeon and Cheongju districts, etc., which fact could be explained by presumption that the population, who densely habited along me Gokgyo Stream during the former period of the Bronze Age, massively moved to the Geumgan Basin during the mid-period of the Bronze Age. It's because the population moved to a district where geographical Features equipped with scenes advantageous to water-field rice plant farming, this res arch judg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영남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지역적 전개

        박성희(Park, Sung hee) 중부고고학회 2009 고고학 Vol.8 No.2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s from Yeong-nam region in the Bronze age. Yeong-nam region divides the tree areas that are the southern pan(Nam River Basin), The northern-east part(Daegu) and the southern-east part/the coast fo East Sea) of Nakdong River, It has the assemblage of Misari, Yeoksamdong, Garakdong in the early Bronze age and the assemblage of Geomdanri, Songgukri in the lately Bronze age, The assemblage of Yeoksamdong is the main culture from Yeong-nam region, Because the assemblage of Misari and Garakdong so far discovered and their sertelmenr' s scale is small. In view of the results they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Yeoksarndong’ s senelemenrs. The assemblage of Geomdanri is on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east pan of Nakdong River, On the other hand tile assemblage of Songgukri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n, the northern-cast part of Nakdong River, But the Geomdanri has relation with the Songgukri beacause of being detected a few the Songgukri in tile southem-east pan of Nakdong River, The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s from Yeong-nam region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an aspect of the seeternnets from Chung-cheong region, The Yeoksamdong has considerable influence upon the scnelmems from Yeong-nam region in me early and lately Bronze age.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청동기시대 전 후기 취락유적을 살펴 유형을 설정하고, 지역적 전개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영남지역은 중앙부를 관통하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서부(서부내륙지역 남강유역 남강 황강유역)와 동부로 나뉘며, 낙동강 중 상류역인 동북부(동북내륙지역 대구지역 낙동강 상류지역)와 동남부(동남해안지역 낙동강 하류지역)로 세분되어 3개의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영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전기는 미사리유형, 가락동유형, 역삼동유형이, 후기는 송국리유형과 검단리유형이 서로 다른 양상으로 전개해 나갔다. 검토결과 전기는 역삼동유형이 전지역에 분포하여 중심문화를 이루고, 미사리유형과 가락동유형이 소규모로 형성되어 역삼동유형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후기는 검단리유형이 낙동강 동남부지역에 지역적으로 분포하며, 이외 낙동강서부와 동북부에는 송국리유형이 넓게 펼쳐져 있어 후기의 중심문화는 송국리유형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동남부지역 일부에서도 송국리식 주거지가 소수 확인되고 있어 송국라유형의 영향관계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영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취락 전개양상은 충청지역의 것과 크게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공렬문토기문화의 영향이 강하게 확인된다.

      • KCI등재

        靑銅器時代 聚落類型에 대한 考察

        朴性姬(Park, Sunghee) 한국상고사학회 2006 한국상고사학보 Vol.54 No.-

        청동기시대 연구는 유형설정에 있어서 주거지와 출토유물의 형식분류에 치중되었다. 취락입지를 살펴본 연구도 잇따라 발표되고 있지만 일부 대표유적만을 다루고 있어 각 유형의 입지 양상을 파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서부지역에서 확인된 취락의 유구·유물상과 함께 입지형태를 검토해 취락유형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취락의 입지형태는 대지형으로 구릉지와 하천·해양지(평지형)로 구분하고, 비고를 유용한 속성으로 파악해 구릉지를 고지형, 구릉지형으로 세분하였다. 각 주거유형별로 입지형태를 살펴본 결과 가락동유형과 송국리융형은 구릉지형을, 역삼동유형은 고지형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취락유형은 구릉지성 가락동유형, 고지성 역삼동유형, 구릉지성 송국리유형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고지형을 선호한 역삼동유형 가운데 구릉지형에 입지하는 유적이 다수 확인되었는데, 이들은 유구·유물상에서도 가락동유형의 속성이 일부 나타나고 있어 가락동유형과 역삼동유형의 접촉으로 파악하였다. 이상과 같이 취락입지는 청동기시대 전기에서 후기로 이행되면서 수전농경에 의해 단순히 고지에서 저지로 바뀐 것이 아니다. 고지형은 화전농경 및 수렵채집의 편리성으로 전기부터 역삼동유형의 생활터전이 되었지만 군사적·방어적 목적으로 후기까지 일부 송국리유형의 유용한 입지형태가 되었으며, 구릉지형은 평지와 인접한 생활에 있어서 효율적이기 때문에 전기부터 가락동유형의 주된 입지로 이용되었다. 한편 청동기시대 후기에 차령산맥 이남 지역을 중심으로 구릉지성 송국리유형이 확산되면서 동일한 분포권내의 구릉지성 가락동유형과 입지경쟁에 있어서 배타적 관계를 이루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A Study of the Bronze Age has been placed too much emphasis on assemblage of the settlement and remains. Recently some research works made progress in studies for Landscape Archaeology. But it has difficulty in comprehending locational pattern of cultural types. Accordingly this paper has become concerned with landscape of settlement. The locational type of settlement is divided broadly into two groups-hill, riverside & coast, and the hill type is divided into according to relative height. As for the Garakdong and Songgukri types, they preferred to locate the lowland of hill, but the Yeoksamdong type liked to place at highland of it. Consequently, three types of the highland's Yeoksamdong type, the lowland's Garakdong type, and the lowland's Songgukri type can be proposed. On the other hadn there are some sites belonging to the Yeoksamdong type of located at lowland. These partly include some artifactual attributes of the Garakdong type. Therefore this understood as the result of contact between two types. The change in the locational type of settlement from highland to lowland was not simply ascribed to the practice of the wet rice agriculture. Because the highland is better conditioned for the slash-burn farming as well as hunting-gathering, it had been settled by the Yeoksamdong type from earlier Bronze Age. Moreover, it had been also occupied by the Songgukri type people for military and defensive purposes. On the other hand, lowland of a hill had advantage for living in connection with flatland, it had been used for the settlement of the Garakdong type.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Early Bronze Age to the Late Bronze Age the Garakdong type people became confrontational with the Songgukri type people because of their common occupation of lowland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