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살균소독제의 zebrafish embryos 발달 독성 및 갑상선호르몬 합성에 미치는 영향

        지성근(Seonggeun Zee),박준우(June-Woo Park),박창범(Chang-Beom Park) 환경독성보건학회 2021 한국독성학회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2021 No.5

        COVID-19 바이러스 전염 사태의 장기화에 따른 살균소독제의 생산과 사용증가와 함께 직·간접적으로 인체 및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한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zebrafish 배아를 이용한 독성평가 및 관련 바이오마커를 검증하였다. COVID-19 바이러스 전염 방지용 손소독제(에어로졸 타입, A; 젤 타입, B)와 손소독제 주요 구성성분인 benzalkonium chloride(BAC)를 대상으로, 각 제품 내 화학물질 및 BAC 함유량을 기준으로 노출 농도를 설정하여, zebrafish embryo 발달 단계에서의 독성값(Effective concentraions, ECx)을 산출하였다. 서로 다른 타입의 손소독제와 BAC의 독성값(50% Effective concentraions, EC50)은 각 0.05 mg/L(A 손소독제), 119 mg/L(B 손소독제), 0.59 mg/L(BAC)으로, 독성 강도는 A 손소독제> BAC> B 손소독제 순이었다. zebrafish embryos의 발달 독성 관련 바이오마커 발굴 및 검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각 손소독제와 BAC의 LOEC (Lowest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즉, EC25 and EC10)의 노출에 따른 thyroids 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체(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deiodinase enzyme, Dio; thyroid hormone receptor, THR) 발현량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에서의 유전체 발현과 비교했을 때, zebrafish embryo의 발달에 관여하는 갑상선 호르몬(Thyroid) 관련 유전체(THR, Dio, THR) mRNA 발현량들이 모두 감소하였다. 따라서 낮은 독성의 살균소독제 노출은 zebrafish embryo 단계에서 갑상선호르몬 합성 저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이 연구 결과는 살균소독제 사용에 있어 인체 및 환경생물에 대한 안전성 검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손세정 방법에 따른 세균 제거 효과 비교에 대한 융복합 연구

        정무상,이장진,김지로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bacteria removal of three different types of hand washing methods. This study performed a convenient sampling of 30 volunteers in cross-over design. The study divided the 30 volunteers into three random groups. The three groups were asked to use antiseptic soap, alcohol-based hand disinfectant, and disposable wet wipes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mean log reduction values after each had washing method were –0.45(±0.69) with antiseptic soap and water, -1.19(±0.52) with alcohol-based hand disinfectant and –0.75(±0.58) with disposable wet wipe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using alcohol-based hand disinfectant compared to the other two methods (p=0.000). According to this study, alcohol-based hand disinfectant was the most effective product based on bacteria removal for hand washing. Advantages of using alcohol-based hand disinfectant are that it is cost-effective and easy to buy, also eco-friendly. Therefore,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 providing alcohol-based hand disinfectant to every corner of the community will be very helpful. 본 연구에 목적은 손세정제, 손소독제, 일회용 위생물티슈를 이용하여 손 위생용품간의 세균 제거 효과를 교차 실험설계를 통해 비교하는 융복합 연구를 진행 하였다. 연구를 위해 30명의 연구참여자를 무작위 배정하여 세 개의 군으로 나누어 총 89개의 샘플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고 세균의 증식능력을 CFU로 측정하였다. 손 위생 전 손 위생용품을 사용하였을 때의 세균 감소값은 손세정제 사용 후에서 –0.45(±0.69) log CFU/ml, 알코올 손 소독제를 이용한 경우 –1.19(±0.52) log CFU/ml, 일회용 물티슈를 이용한 경우 –0.75(±0.58) log CFU/ml 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연구결과 손세정제를 사용하였을 때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세균제거능력이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알코올 소독제 사용이 살균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경제적이고 손쉽게 사용이 가능한 알코올 손소독제를 공공시설에 비치하는 것이 감염병을 예방에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오배자를 이용한 손소독채 개발

        조우아(Woo A Cho)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1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1 No.-

        본 연구는 찬연물의 항균실험을 통해 항균성분과 항균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해 손소독제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천연불 중 항균 성분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어진 오배자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피부상재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 S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il, Canaida albicans, Propinibacterium acne을 이용하여 paper disc확산법으로 clear zone을 확인하였다. 오배자 에탄올 추출물 0.25mg/disc, 0.5mg/disc 농도에서 Staphylococcus aureus균에서 각각 11mm, 13mm의 항균효과를 보였으며 0.5mg/disc는 Propinibacterium acne균에 10mm 항균효과를 보였다. 항균효과를 나타낸 오배자를 이용해 손소독제를 만들어 일반 손소독제와 비교하였다. 손소독제의 항균 실험은 핸드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각각의 손소독제를 사용 후 항균력을 확인하여 세균 수플 측정한 결과 일반 손소독제보다 오배자 추출물 손소독제가 더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천연물의 항균력을 증진 시키는 연구와 성분 분석 및 효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천연물을 이용한 손소독제의 사용이 널리 확대되고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Geranial, Cineol, Menthol과 편백의 유효성분을 조성물로 하는 손소독제 연구

        김기현,최석찬,유연강,이수진,박운규,황석연 한국기록관리학회 2016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6 No.2

        Fungi are a major cause of cultural and biological degradation in museum storages and archives libraries. In addition, fungi produce toxins and can cause skin allergies. In particular, fungi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skin through the hands of administrators dealing with cultural properties, archives, and books can lead to secondary infections. To prevent this, applying hand sanitizer, which is readily available in the market, is recommended. However, such hand sanitizer can effectively disinfect against bacteria but not fungi. As such, researching for an alternative is requir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hand sanitizer composed of active ingredients―geranial, cineol, menthol, and Chamaecyparis obtusa― and performed a disinfection test, which targets 10 kinds of species (Alternaria citrimacularis, Alternaria consortialis,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versicolor, Cladosporium sphaerospermum, Coniothyrium aleurites, Penicillium brevicompactum, Penicillium corylophilum, Penicillium paneum, and Penicillium polonicum), of fungi investigated in museums and libraries. It was then confirmed to exhibit excellent disinfecting effects. Thus, this hand sanitizer is expected to prevent skin diseases and secondary infections in administrators dealing with cultural properties, archives, and books. 수장고 및 서고에서 곰팡이는 문화재와 기록물의 생물학적 열화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다. 또한, 독소를 생성하고 피부알레르기를 유발하여 유물과 기록물 및 도서를 다루는 근무자의 호흡기질환과 피부질환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특히 근무자의 피부 및 손에 접촉되어 2차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손소독제는 일반세균에 대하여 소독효과를 보이지만, 곰팡이에는 소독효과가 떨어져 이에 대한 대체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손소독제 조성물로 친환경적인 Geranial, Cineol, Menthol과 편백(Chamaecyparis obtusa)의 유효성분으로 하는 손소독제를 연구․개발하여 박물관 및 기록관의 서고에서 조사된 곰팡이 10종(Alternaria citrimacularis, Alternaria consortialis,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versicolor, Cladosporium sphaerospermum, Coniothyrium aleuritis, Penicillium brevicompactum, Penicillium corylophilum, Penicillium paneum, Penicillium polonicum)에 대하여 소독효과를 시험한 결과, 우수한 소독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Geranial, Cineol, Menthol과 편백의 유효성분을 조성물로 하는 손소독제의 개발로 문화재와 기록물 및 도서를 다루는 근무자의 피부질환과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초음파검사 시 기존 초음파젤과 비교한 손소독제의 유용성 연구

        서선열,이진옥,김영란 한국방사선학회 2023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7 No.6

        본 연구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성분과 제형의 손 소독제들을 전파 매질로 활용하여 초음파 검사를 진행한 후 획득한 영상을 평가·비교하여 기존의 초음파 젤의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점도가 낮은 liquid type을 제외한 gel type, cream type, foam type의 제형의 제품들을 선정해 에탄올 62% gel type 1개와 cream type 1개, 벤잘코늄 염화물 0.066% cream type 1개와 foam type 1개를 각각 초음파 매질로 사용하여, 축방향 & 측방향 분해능, 투과심도, probe와 phantom 사이의 공기층 형성유무에 관한 영상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축방향 & 측방향 분해능 평가와 투과심도 평가에서 4개 실험군 모두 평가 기준에 적합한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foam type의 경우 분해능과 투과심도의 평가 기준에는 적합하지만 영상 평가 시 관찰 중심부를 제외한 양 측면부에서 어두운 음영으로 나타났다. 해당 실험을 통해 foam type을 제외한 나머지 3종의 손 소독제는 초음파 젤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focused on hand sanitizer as a medium that can replace ultrasonic gel, which is vulnerable to contamination by bacteria that reside on the hand. Hand sanitizer produces a strong sterilization effect from germs resident on the hands through different sterilization principles depending on the ingredients. Select products of gel type, cream type, and foam type, except for liquid type with low viscosity, and ultrasonically apply one 62% ethanol gel type and one cream type, one benzalkonium chloride 0.066% cream type and one foam type, respectively. Using ATS-539 as a medium, image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e axial and lateral resolution and penetration depth,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ir layer between the probe and the phantom. As a result, in the evaluation of the axial and lateral resolution and the depth of penetration, all four experimental groups met the evaluation criteria. However, in the case of the foam type, although it was suitable for the evaluation criteria of resolution and penetration depth, dark shadows appeared on both sides except for the center of observation during image evaluation. Through this experimen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that the remaining three types of hand sanitizers except the foam type could replace the ultrasonic gel.

      • KCI등재후보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손 소독제에 따른 소독효과 및 MRSA 분리

        박선남(Park Sun-Nam),박옥순(Park Ok-Soon),류경화(Rhyu Kyung-Hwa),정정임(Jeong Jeong-Im) 기본간호학회 2006 기본간호학회지 Vol.13 No.3

        Purpose: This study was a within subject repeated pretest-posttest design done to compare the effect of disinfection and the degree of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ion from hand disinfectant in ICU nurses. Method: Out of the total internal medicine/surgery ICU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29 female nurses who were participating in direct patient care wer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fter collection of sam pies, Staphylococcus aureus and MRSA were isolated from the palms, nails and nasal cavities of the nurses according to disinfectants (soap and beta-scrub). Results: The effect of disinfection was greater in the beta-scrub group than in the soap group, and the effect of disinfection on palms was higher in the beta-scrub group than in the soap group. As for the degree of MRSA isolation, there was more isolation in palms in the soap group than in the beta-scrub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MRSA isolation from the hand disinfectant in nails and nasal cavities. Conclusion: Beta-scrub showed a superior prolonged effect against transient bacteria compared with soap. Further, to reduce MRSA infection, we recommend interventions focused on these aspects.

      • KCI등재

        제주도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표면소독제로써의 항균효과

        권영란(Kwon Young-ran),김다송(Kim Da-Song),신현재(Shin Hyun-Jae) 한국기초간호학회 2021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23 No.1

        Purpose: To verify the anti-microbiotic activity and to develop eco-friendly surface disinfectants using the Opuntia ficus-indica extract. Methods: The stem and fruits of the Opuntia cultivated in Jeju Island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70% EtOH and 100% MeOH, respectively. To exa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s, gram positive bacteria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gram negative bacteria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yeast (Candida albicans), mold (Aspergillus flavus) and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E. coli, S. aureus) were measured to form a clear zone. Result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fruit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tem extract,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100% MeOH (FM) extract and the 70% EtOH (FE) extract of the palm cactus fruit was suitable for the surface disinfectant overall, and clear-zone formed even at relatively low concentrations (250 mg/mL). The FM and FE ha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various bacteria, therefore they can be used as disinfectants. Conclusi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Opuntia ficus-indica extract from Jeju Island by stem and fruit was determined at relatively low concentrations (250 mg/mL). The Opuntia ficus-indica extract will be useful for surface disinfectants dissolving the patients’ bath, oral gargling, and powdered powder in water or ethanol in appropriate concent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