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속박감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

        윤혜영, 박경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8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8 No.1

        본 연구는 속박감, 자살생각, 분노표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속박감과 자살생각의 관계에 서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매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대 성인 306명이 며, 자살생각 질문지(SIQ), 속박감 척도(ES)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STAXI-K)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생각은 속박감의 하위요인 인 내적 속박감과 외적 속박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분노표현양식의 하위요인인 분노-표 출과 분노-억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분노-조절과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내 적 속박감은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분노-조절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 을, 외적 속박감은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속박감 및 역기능 적 분노표현양식(분노-표출, 분노-억제)은 각각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 로 나타났다. 셋째, 내적 속박감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식인 분노-표 출과 분노-억제가 부분매개 하였다. 반면, 외적 속박감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는 분노-억제 만이 부분매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지속적으로 사회적 문제로 거론되는 자살문제에 대 한 이해를 돕고 효과적인 치료적 방향을 설정하는데 인지적, 정서적 개입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판 내적 속박감 및 외적 속박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이종선,조현주 한국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1 No.1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Internal Entrapment Scale (K-IES) and Korean External Entrapment Scale (K-EES) developed by Gilbert and Allan(1998). Four hundred and one university students who agreed to take part in this study completed the K-IES and K-EES along with other psychometric measu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ronbach alpha for the K-IES was .89 and Cronbach alpha for the K-EES was .92, indicating good internal consistencies. Explor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that a single factor structure best fit the K-IES and K-EES, respectively. Each factor accounted for 59.56% of the variance on the K-IES and 51.02% of the variance on the K-E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monstrated a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by showing good factor loadings and squared multiple correlations of each item of the K-IES and K-EES. Fit indices also showed the goodness-of-fit for each model of the K-IES and K-EES. The K-IES and K-E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criticism, internalized shame, depression,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life satisfaction, and suicidal ideation which supported the convergent and concurrent validity. The K-IES and K-EES maintained a strong association with depression,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even after controlling for self-criticism and internalized shame. In addition, the K-IES and K-EES added substantially to the explained variance of depression,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life satisfaction and suicidal ideation after controlling for the self-criticism and internalised shame, which supported incremental validity.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K-IES and K-EES are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to assess entrapment.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future directions for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Gilbert와 Allan(1998)이 개발한 내적 속박감 (Internal Entrapment Scale: IES) 및 외적 속박감 척도(External Entrapment Scale: EES)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K지역 대학생으로 총 401명이며, 모두 연구 참여에 동의한 뒤 내적 및 외적 속박감 척도와 관련 척도들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내적 신뢰도는 내적 속박감 .89 그리고 외적 속박감 .92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내적 속박감 및 외적 속박감 모두 단일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각 요인에 대한 설명량은 내적 속박감 59.56% 그리고 외적 속박감 51.02%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내적 속박감 및 외적 속박감에 속해 있는 각 문항들의 요인 부하량 및 다중 상관계수가 만족할만한 수준이었다. 내적 속박감 및 외적 속박감의 모델에 대한 적합도 지수도 수용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내적 속박감 및 외적 속박감은 자기비난, 내면화된 수치감, 우울, 정적 정서, 부적정서, 삶의 만족도 및 자살사고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 수렴 및 공존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내적 속박감과 외적 속박감은 자기비난 및 내적 수치감을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우울, 부적 및 정적 정서, 삶의 만족도 및 자살사고와 유의한 편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내적 속박감과 외적 속박감은 자기비난 및 내적 수치감을 통제한 후에도 각기 우울, 정적 정서, 부적 정서, 삶의 만족도 및 자살사고에 대한 유의한 증분 설명량을 보여줌으로써 증분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한국판 내적 속박감 및 외적 속박감 척도가 속박감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평가하는 도구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척도에 대한 제한점 및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속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윤주,최웅용 한국취업진로학회 2020 취업진로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우울증 및 속박감의 수준을 파악하고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 치는 영향에서 속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시와 J시에 소재하는 2개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256부를 최종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 시하였다. 또한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각 변수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취업스트레스 평균은 2.41, 우울 평균은 .90, 속박 감 평균은 2.44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우울, 속박감, 내적속박감, 외적속박 감은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속박감 및 속박 감의 하위요인인 내적속박감과 외적속박감은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취업스트레 스 수준이 높을수록 속박감 수준이 높아지며, 이를 통해 우울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취업스트레스로 인해 겪을 수 있는 우울에 속박감이 보다 직접적으로 관련 있 는 변인임을 확인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속박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의 개발ㆍ실시가 대학생들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s of job-seeking stress, depression, and entrapment in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ntrapment on the effects of job-seeking stress on depression.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K and J cities, and 256 cases were used for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study,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 AMOS program. Also,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of each variable in this study, the job-seeking stress average was 2.41, the depression average was .90, and the entrapment average was 2.44. Second, job-seeking stress, depression, entrapment, internal entrapment, and external entrapment of university students had positive correlation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internal entrapment and external entrapment, which are sub-factors of entrapment and entrapment,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job-seeking stress, the higher the level of entrapment, and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This study confirm that entrapment is more directly related to the depression that university students may experience to job-seeking stress, the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that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ystematic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that can reduce the feelings of entrapment can contribute to reducing the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만성지연행동의 관계: 자기비난과 속박감의 매개효과

        박지은,홍정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21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만성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자기비난과 속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속박감을 하위요인인 내적 속박감과 외적 속박감으로 구분하여 각 변인의 차별적 경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3.0 및 AMOS 22.0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자기비난, 내적 속박감, 외적 속박감, 만성지연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만성지연행동에 이르는 직접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내적 속박감을 거쳐 만성지연행동으로 가는 단순 매개 경로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자기비난을 거쳐 만성지연행동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자기비난과 내적 속박감을 거쳐 만성지연행동에 이르는 이중 매개 경로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외적 속박감을 거쳐 만성지연행동으로 가는 단순 매개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자기비난과 외적 속박감을 거쳐 만성지연행동으로 가는 이중 매개 경로 또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riticism and entrapment, defined as internal or extern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chronic procrastination among college students. We examined the differential pathways of each variabl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323 university students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criticism, internal entrapment, external entrapment, and chronic procrastination. Second, the direct path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to chronic procrastin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simple mediated pathway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through internal entrapment to chronic procrastin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path from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to chronic procrastination via self-criticis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 dual-mediated path from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to chronic procrastination via both self-criticism and internal entrap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the simple mediated pathway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to chronic procrastination through external entrapment and the dual-mediated pathway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to chronic procrastination through self-criticism and external entrapmen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ignificance of these findings, this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this paper.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추와 내적 속박감의 이중매개효과

        이지은,하은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0 인지행동치료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추와 내적 속박감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교의 남녀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스트레스 척도, 한국판 반추적 반응 척도, 내적 속박감 척도, 통합적 한국판 우울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각 변인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반 추, 내적 속박감과 우울증상은 모두 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반추와 내 적 속박감을 거쳐 우울증상으로 향하는 순차적인 이중매개경로가 확인되었고,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우울증 상의 관계에서 반추와 내적 속박감 각각의 단일 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한편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우울증 상의 관계에서 반추와 내적 속박감의 단일 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 간 간접효과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 다. 이러한 결과들은 심리치료에서 개인의 반추적 인지양식을 다루어 내적 속박감을 낮추는 것이 우울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rumination and internal entrapme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interpersonal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of university students. 400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Interpersonal Stress Scale, Korean-Ruminative Response Scale(K-RRS), Internal Entrapment Scale(IES),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Results indicated that interpersonal stress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had direct effects on the depressive symptoms while it also indirectl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pressive symptoms by passing through the rumination and internal entrapment in sequence. Also, each rumination and internal entrap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rength of the indirect effects were found.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the data for understanding the depressive symptom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interpersonal stress, and also verified that rumination and internal entrapment were serial double mediat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nterpersonal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패배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속박감을 통한 좌절된 소속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O’Connor의 통합적 동기-의지 모형을 중심으로

        박정은,권해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0 청소년상담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O’Connor의 통합적 동기-의지 모형이 우리나라 대학생들에게도 적용이 가능한지를 검증함과 동시에, 자살생각에 이르는 과정에서 소속감이 보호요인이 될 수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대학생 509명을 대상으로 패배감척도, 속박감척도, 자살생각척도, 좌절된 소속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패배감이 자살생각으로 가는 과정에서 직접효과와 속박감을 통해 자살생각으로 가는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속박감이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속박감과 좌절된 소속감의 상호작용항 또한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패배감에서 속박감, 속박감에서 자살생각, 패배감에서 속박감을 거쳐 자살생각에 이르는 과정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속박감과 좌절된 소속감의 상호작용 변수가 자살생각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는 속박감이 패배감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완전 매개함과 동시에, 본 연구의 모형인 좌절된 소속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국내 대학생 자살문제 개입에 있어, 소속감이 좌절되어 있는 위험군에 대한 개입과 소속감을 느낄 수 있는 환경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의 지원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 examine if the O’Connor’s integrated motivation-volitional model could be applicable to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b) identify if belongingness could be a protective factor for suicidal ideation. For this purpose, 509 university students in the G region in South Korea were surveyed with the scales measuring feelings of self-defeat, entrapment, suicidal ideation, and thwarted belongingn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eeling of self-defeat had a direc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ntrapment was also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eling of self-defeat and suicidal ideation. Second, entrap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and the interaction term of entrapment and thwarted belonging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apment and suicidal ideation as well. Thir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feeling of self-defeat, entrapment, suicidal ideation, entrapment had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eling of self-defeat and suicidal ideation, and the interaction term of entrapment and thwarted belonging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as well, indicating tha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hwarted belongingness was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strategies such as providing positive environments or developing programs that enable students to feel belongingness are suggested to interven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suicide-related issues effectively.

      • KCI등재

        중년기 위기감, 속박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최영전,권혁철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지역과 세계 Vol.43 No.1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mid-life crisis, entrapment, stress coping sty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dentified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yle on relationship between entrap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purposes of the study, a research was conducted with middle-aged adults 40 to 60 years old by using mid-life crisis scale, entrapment scale, stress coping style sca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Responses collected from 272 subjects were analysed by conducting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moderationg effect of stress coping style was identified 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higher the sense of mid-life crisis, the higher the sense of entrapment. Second, the higher the sense of entrapment, the low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active coping strateg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ap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passive coping strateg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ap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suggest that greater mid-life crisis relates to entrapment, and entrapment differently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stress coping style.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issues for future related researches were addressed at the end of this paper. 본 연구는 중년기 위기감, 속박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확인하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라 속박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주는 영향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중년기 성인(40~60세)을 대상으로 중년기 위기감 척도, 속박감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및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272부의 자료를 바탕으로 기초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위기감이 높을수록 속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속박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낮아진다. 셋째, 속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방식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소극적 대처방식은 속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년기의 위기감을 경험할수록 속박감을 느끼며, 속박감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라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구직자의 스트레스와 우울 간 관계에서 속박감의 매개효과와 파국화 및 자기비난의 조절효과

        이은정,심민정,최현주 한국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mediation effect of entrap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and examine how catastrophizing and self-blame moderate this process in job seeker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was applied to a sample of 342 job seekers in Korea. Results revealed that entrapmen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where the direct and indirect path were both positively significant. Furthermore, catastrophizing moderated the path between stress and entrapment as well as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This indicated that increases in catastrophizing strengthened the impact of stress on entrapment and depression. Similarly, self-blame moderated the entrapment-depression path, indicating that increases in self-blame resulted in higher levels of depression due to entrapment.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atastrophizing and self-blame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via entrapment. Limitation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구직자의 스트레스와 우울 간 관계에서 속박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파국화와 자기비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속박감의 매개효과가 파국화 및 자기비난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경남 U지역에서 구직활동 중에 있는 성인 34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속박감은 스트레스와 우울 간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에서 우울로 향하는 직접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했을 뿐 아니라, 스트레스가 속박감을 통해 우울로 향하는 간접효과도 정적으로 유의했다. 둘째, 파국화는 스트레스와 속박감, 스트레스와 우울 간 관계를, 자기비난은 속박감과 우울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파국화 수준이 높아질수록 속박감 및 우울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력이 강해지며, 자기비난 수준이 높아질수록 우울에 대한 속박감의 영향력이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가 속박감을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파국화 및 자기비난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구직 과정에서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을 경험하는 내담자를 효과적으로 상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실제적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초년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특성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과 속박감의 이중매개효과

        류경하,김종남 한국건강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entrap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trait anxiety. Also,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trait anxiety with non-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entrapment categoriz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entrapment.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HMP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FMP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CERQ), Entrapement Scale(E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were used as measurements. The data from 324 new employe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cognitive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entrapment. Also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ntrapment and trait anxiety. Additionally,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rait anxiety. Second,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had a direct effect on trait anxiety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on trait anxiety via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internal, external entrapment. So,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internal, external entrapment had a dual mediating effect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trait anxi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본 연구는 사회초년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성향과 특성불안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 및 속박감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속박감을 내적, 외적 속박감으로 나누어 각각이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과 함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특성불안에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초년생 370명을 대상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 척도, 속박감 척도, 특성불안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중 불성실한 응답자의 자료를 제외하고 324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 속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은 속박감, 특성불안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속박감은 특성불안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가졌다. 또한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특성불안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과 내적, 외적 속박감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평가염려 완벽주의자의 특성불안에 대한 치료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을 긍정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으로 바꾸고 내적, 외적 속박감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더불어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양육 조모의 속박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효과

        문희(Moon, Hee),김지영(Kim, Jiyoung)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ntrapment, mental health, and self-resilience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in relation to entrapment and mental health of grandmothers who raise their grandchildren.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184 participants taking care of their grandchildren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s. Entrapment, Mental health, and Self-resilience were correlated significantly. Self-resilience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entrapment and mental health.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interventions for managing entrapment and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in this population. 본 연구는 양육 조모의 속박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S시, K시, B군 지역 총 20곳의 보육시설에서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에게 가정으로 설문지를 보내어 설문지 응답에 동의한 조모가 직접 설문지를 작성토록 하였으며 총 184명의 조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10월 8일부터 11월 8일까지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속박감, 자아탄력성, 정신건강 수준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속박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속박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속박감 수준은 5점 만점에 2.45점이었으며 자아탄력성은 3점 만점에 2.05점, 정신건강은 4점 만점에 2.98점으로 조사되었다. 속박감은 자아탄력성(r=-.271, p<.01), 정신건강(r=-.706, p<.01)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r=.292, p<.01)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속박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양육 조모의 속박감과 정신건강 및 자아탄력성간의 간의 관계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므로 양육조모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이론적 기틀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