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프트콘택트렌즈 건조로 인한 렌즈 형태 및 TBUT의 변화

        박미정,이유나,강규은,이민하 한국안광학회 2008 한국안광학회지 Vol.13 No.2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nges of lens morphology and tear stability during wearing soft contact lenses (SCLs) which were kept in drying condition like dry eye or became to be dried due to heedless care. Method: SCLs having different water content, thickness or material were rehydrated after being dehydrated artificially 2 or 4 times, and estimated their diameter and radius. Furthermore, the changes of tear film break-up time (TBUT) during SCL wearing were also measured. Result: Due to the dryness, the diameter of both 70% water content SCL and 59% water content SCL decreased, but the decrement was larger in 59% water content SCL. The more 59% water content SCL was dehydrated, the more its radius changed. However, the radius of 70% water content SCL did not change by 2 times dehydration and increased greatly by 4 times dehydration. The reduction of diameter of -1.00 D SCL was greater than that of -9.00 D SCL. Moreover, the radius of -1.00 D SCL increased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dehydration but that of -9.00 D SCL did not changed. The diameter and radius changes of lotrafilcon B, silicone hydrogel lens, were less than those of hilafilcon B, copolymer of HEMA and N-vinyl pyrrolidone. TBUT during wearing SCLs decreased by wearing dehydrated SCLs. Conclusion: The diameter and radius of dehydrated SCLs as well as TBUT during wearing them were changed in spite of rehydration, which would be the important cause of uncomfortable feeling when people wore dehydrated SCL. The changes of SCL morphology and TBUT differed according to the water content, lens thickness and material. 목적: 본 연구에서는 건안에 착용되어 지속적으로 건조한 상태에 노출되거나 관리 부주의로 건조한 상태가 되었 던 소프트콘택트렌즈(soft contact lens, SCL)에 발생되는 렌즈의 형태 및 렌즈 착용시의 누액 안정성에 나타나는 변 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함수율과 두께, 재질이 상이한 소프트콘택트렌즈들을 각각 인위적으로 2회 또는 4회 건조시키고 다시 수화시킨 후 렌즈 전체직경 및 곡률반경을 측정하였다. 또한,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시의 눈물파 괴시간(tear film break-up time, TBUT)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건조과정에 의하여 함수율 70% 소프트콘택트 렌즈와 59% 소프트콘택트렌즈 모두에서 전체직경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함수율 59%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전체직경 의 변화 정도가 더 컸다. 함수율 59%의 소프트콘택트렌즈는 건조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곡률반경이 증가하였다. 그 러나, 함수율 70%의 소프트콘택트렌즈는 2회 건조시에는 곡률반경에 변화가 없었으며, 4회 건조시에는 곡률반경이 크게 증가하였다. -1.00 D 소프트콘택트렌즈는 -9.00 D 소프트콘택트렌즈 보다 직경의 감소 정도가 더 컸다. 또한, -1.00 D 소프트콘택트렌즈는 건조횟수가 증가하면 곡률반경의 증가정도가 커지는 반면, -9.00 D 소프트콘택트렌즈 는 2회 건조시나 4회 건조시에 곡률반경의 차이가 없었다.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재질인 lotrafilcon B의 직경 및 곡률반경 변화는 HEMA와 N-vinyl pyrrolidone의 공중합체인 hilafilcon B보다 더 적었다. 렌즈를 착용하였을 때의 TBUT는 건조되었던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시 감소하였다. 결론: 소프트콘택트렌즈가 건조되었을 때 수화 과정을 거치더라도 렌즈의 전체직경 및 곡률반경이 변하였으며, 렌즈 착용시의 TBUT가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건조 되었던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을 때의 착용감 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건조로 인한 소프트콘택 트렌즈의 형태 변화 및 TBUT 변화는 함수율, 두께, 재질에 따라 상이하였다.

      • KCI등재

        공공소프트웨어조달계약과 대기업 참여제한제도

        김도승(Kim, Do-Seung),안영하(An Young-Ha)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法學論叢 Vol.21 No.1

        소프트웨어(SW)산업은 플랫폼, 빅데이터 등 혁신적 기술과 함께 새로운 가치와 성장을 창출하는 원천으로 명실공히 신성장동력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정부는 중소소프트웨어사업자의 보호ㆍ육성과 소프트웨어 공정거래 질서 확립을 위해 2003년 국가기관등이 발주하는 소프트웨어사업, 즉 공공소프트웨어조달계약에 있어 대기업 참여를 일정부분 제한하는 진입규제를 도입한 바 있다. 이러한 대기업참여제한제도는 국가기관 등이 발주하는 일정 규모 이하의 소프트웨어사업에 대기업의 참여를 제한하고, 대기업인 소프트웨어사업자가 참여할 수 있는 사업금액의 하한을 고시를 통해 발표하는 것을 골자로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대기업 편중의 공공소프트웨어사업 발주 관행은 줄어들지 않았고, 이에 2012년 5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14조에 따라 지정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속하는 회사(이하 "상출제 회사")는 사업금액에 관계없이 참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게 되었다. 그런데 공공소프트웨어사업은 상당부분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이른바 공공서비스와 긴밀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이 보통이고, 때로는 국방, 치안 등 국가사회안전과 직결되어 사업의 성공적 완료가 공익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사업에 해당되기도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은 대기업참여제한 원칙을 선언하면서도 국방ㆍ외교ㆍ치안ㆍ전력 기타 국가안보사업(이른바 "국가안보사업")으로서 대기업참여가 불가피한 경우에 대해서는 적용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 결국 대기업참여제한의 예외를 어디까지 인정할 것인가의 문제는 소프트웨어산업에 있어 중소소프트웨어사업자에 대한 보호라는 명제와 주요 국가안보소프트웨어사업의 성공적 완료 필요성이라는 명제간의 이익형량 문제이며, 공정하고 합리적인 판단 기준의 설정이 동제도의 성패를 좌우하게 될 것임이 자명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공공소프트웨어사업에 있어 대기업참여제한제도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른바 국가안보사업의 판단을 위한 규범적 기준을 제시함과 아울러 현행 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아울러 현재 대기업참여제한제도의 운용방식으로 채택된 심의위원회의 운영상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software industry is obviously considered a new engine of growth that creates values and economy in so far as it consists of innovative technologies related to platform, big data etc. However, the government in 2003 adopted a measure to limit entry into the market for procurement software project towards large enterprises to protect and develop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establish good market order on the matter. The measure in question involves mainly the exclusion of large companies in the software market, the amount of the contract of which is below a certain level and the competence to determine the amount of criteria in the form of go-si. In spite of this, the practice of major domination by large enterprises in this area is not improved. So was passed in May 2012 the law that contains a new sanction that companies which are subject to mutual investment prohibition under Article 14 of the anti-trust law are excluded in all markets. But the objects in public procurement market are often the elements that belong to public service which are sometimes sovereign services whose operation is vital for the achievement of the general interest as well as defense or police service. Thereby in the Act for the promotion of industry SW, while the principle of exclusion in the market against large enterprises remains an exception is admitted in favor of large companies on projects for national security which includes defense, diplomacy, the police and electricity. Finally, the questin of exclusion criterion relates to the optimum and harmonization between the protect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the achievement of the general interest. So determining the correct standard will decide the success of the system. In this context, this paper is devo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he system of exclusion of large enterprises in the public market of software in order to make a few considerations to take into account for the determination of sovereign services. In addition, are developed problems and solutions in the practice of implementation of the Council was adopted as a major instrument for the system.

      • KCI등재

        소프트웨어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세제지원방안 연구

        서희열,전규안,안영화 한국세무학회 2012 세무와 회계저널 Vol.13 No.4

        국내 소프트웨어기업은 대부분 수익성이 낮고 영세하며, 글로벌 경쟁력 부족으로 해외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주요 외국에서는 소프트웨어산업 육성을 위한 조세지원 제도를 마련하고 있는 등발 빠른 대응을 하고 있어 국내에서도 소프트웨어산업 육성을 위한 강력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IT 강국의 위상이 흔들릴 수 있다. 따라서 국내외 소프트웨어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기업들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세제측면에서 소프트웨어산업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소프트웨어산업을 위한 조세지원제도 개선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프트웨어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결과에 의하면 기업들은 해당 조세지원제도에 대한인지도(이해)가 높을수록 더 잘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설문분석결과는 소프트웨어산업에 대한 조세지원제도의 개선과 함께 현행 조세지원제도에 대한 홍보를 통해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소프트웨어산업에 대한 현행 조세지원제도 중에서 가장 개선이필요한 부분은 연구인력과 관련된 조제지원제도로 나타나 소프트웨어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연구인력과 관련된 조세지원제도의 확충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산업에서 시행할 수 있는 조세지원방안을 크게다섯 가지 분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 소프트웨어기업의 인수·합병에 대한 조세지원방안과 (2) 소프트웨어기업의 해외진출과 수출에 대한 조세지원방안, (3) 소프트웨어기업의 인력양성을 위한 조세지원방안, (4) 새로운 소프트웨어 서비스에 대한 조세지원방안 및 (5) 중소기업의조세지원방안 등이다. 이러한 조세지원제도의 마련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현재 운용되고 있는 조세지원제도에 대한 홍보를 통해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다. 소프트웨어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많은 소프트웨어기업들이 조세지원제도를 알지 못하거나 까다로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세지원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활용에 대한 안내가 중요하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 관련 기관에서 소프트웨어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조세지원제도를 홈페이지와 홍보책자 등을 통해 적극 홍보하거나 소프트웨어기업을 전담하여 상담하는 고문 세무대리인 제도를 운영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Most of software firms in Korea are small and medium-sized and are not competitive in global market. Foreign countries give tax incentives to software firms to incubate software industry. If there will be not tax incentives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software firms in Korea will not survive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suggests the improvement of tax incentive rules for software industry. We investigate about tax rules for software industry in Korea. In Korea, tax rules for software industry are in Special Tax Treatment Control Act(including enforcement decree and Enforcement Regulations), Corporation Tax Act(including enforcement decree and Enforcement Regulations),and Value-Added Tax Act(including enforcement decree and Enforcement Regulations). The most important rules are in Special Tax Treatment Control Act and we mostly propose the improvement of Special Tax Treatment Control Act. We introduce the tax incentive rules of United States, Japan, England, Canada, Holland, and China. And we carry out a survey targeting software firms on tax incentive rules of software industry. By the survey on software firms, the more they know tax incentives rules for software industry, the more they use them. This implies that not only the improvement of tax system but also public relations on it is important. And result of survey proposes that tax incentive from expenses for research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s most important. Based on survey results and tax incentive rules of foreign countries, we suggest five tax incentives for software industry;(1) tax incentive for merger and acquisition of software firms,(2) tax incentive for export and overseas expansion of software firms, (3) tax incentive for human training of software firms, (4) tax incentive for new services of software firms, and (5) tax incentive for small and medium-sized software firms. The survey results imply that because software firms don’t know tax incentive rules or the conditions for tax incentive rules are very complicated they don’t use them. So we suggest that the public relations on tax incentive rules for software industry and simplification of tax incentive rules are necessary. The examples of public relations are promotion by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nipa) and the introduction of tax advisers system for software firms.

      • 공개SW 중개자가 SW개발자에게 필요한가?

        이승창,안성혁,박훈성 한국유통과학회 2011 한국유통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

        공개소프트웨어는 시스템서버(server)에서부터 가전제품(PC, 휴대폰)에 이르기까지 사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기업의 정보기술 기반구조에도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급변하는 비즈니스 및 정보기술 환경 속에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공개소프트웨어의 활용이 이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국내 대기업 또는 공개소프트웨어 전문 인력을 확보한 몇몇 기업에서만 활용되는 것 또한 현실이다. 중소소프트웨어업체들은 공개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데 있어 전문인력 미확보와 유통체계 미비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Borland Delphi 7.0을 이용하여 웹크롤러(검색로봇)를 자체 제작해서 3초당 1개 자료를 수집해서 총 9일간 공개소프트웨어 대표적인 개발 커뮤니티 소스포지닷넷에서 233,021개의 자료를 수집하고, 그리고 Apple사의 Appstore 소프트웨어를 62,254개 데이터를 수집했다. 이렇게 수집한 데이터를 Google Docs의 Motion Chart 분석을 통해 지난 공개소프트웨어 진화과정을 분석했다. 이 분석결과를 통해 공개소프트웨어 중개자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 필요한지 논의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소스포지닷넷 공개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위한 개발도구 및 시스템 인프라 구축과 관련된 소프트웨어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최근 모바일 분야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소스포지닷넷의 생산량의 변화추이를 보면 2006년부터 전반적으로 일정한 분포로 증가했지만 2009년 하반기 이후에는 생산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시점에 앱스토어의 월생산량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과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앱스토어 같은 중개자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공개소프트웨어 시장이 성장하려면 공개소프트웨어 중개자가 등장해야 한다. 위와 같은 공개소프트웨어 유통구조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수익을 공유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중개자는 사유소프트웨어와 상호보완적 관계로 인식해야 하고 특정 사유소프트웨어 업체만 보유하고 있는 고난이도 기술도 여러 공개소프트웨어 개발자를 통해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공개소프트웨어 중개자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5가지 역량도 제시했다.

      • KCI등재후보

        소프트 스킬을 이용한 실과 교과역량의 예측 모형 탐색

        류청산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9 實科敎育硏究 Vol.25 No.2

        이 연구는 소프트스킬을 이용하여 실과교과역량의 공통요인을 추출하고, 압축된 요인들을 예측 할 수 있는 모형을 탐색해보기 위하여 추진되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실과 교과의 성격과 목표를 학습한 ○○교육대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6개의 교과역량에 대한 다 중응답분석을 실시하여 4개의 지표를 설정하였다. 설정된 4개의 교과역량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선정된 4개의 교과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소프 트스킬을 각각 10개씩 선정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와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검 증된 소프트스킬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상대적 중요도와 함께 예측 모형을 제시하였 으며, 학습활동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10개의 소프트스킬로 구성된 4개의 교과역 량별 검사지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류청산(2016a)이 개발한 ‘79 소프트스킬’ 측정용 질문지를 활용하였으며 지난 4년 동안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고 누적된 1,210명의 자료 가 분석에 이용되었는데, 이 자료는 초등학생 864명(71.4%)과 대학(원)생 346명(28.6%)으로 구성되었다. 교과역량별로 선정된 10개의 소프트스킬에 의한 교과역량 요인의 설명력은 48.5~54.5% 범위에 있었으며, 소프트 스킬별 제거지수의 범위는 1.3% 이내로 비교적 균질하였 다. 또한 예측 모형의 설명력도 84.0~90.3%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4개의 교과역량 요인별로 중 복되는 소프트스킬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후속연구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tract the common factor for specific competencies of practical arts subject, to explore regression model of extracted common factor. 4 indicators such as problem solving, independent living, relationship building, technology practical use were chosen by multiple response analysis. Finally, 10 soft skills for each indicator were selec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so questionnaire sets were developed and regression model were designed for key competencies. Coefficients used in factor analysis were factor loading, communality, factor scores between skills and specific competencies, and Cronbach’s α.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864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with 346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t a teachers college for the last four years. Extraction sums of squared loadings for 4 competencies was between 48.5~54.5%. Cronbach’s α if item deleted for each 10 soft skills were within 1.3%. Therefor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10 soft skills sets for competencies were a good level. R squares of four regression models for competencies were also very high between 84.0~90.3%. But among the four competencies were overlapped soft skills such as realistic, persistent, resourceful, and etc. Consequently, the latter study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need to be driven for common factor of subject competencies using 28 soft skills described in table 15.

      • KCI등재

        개혁개방이후의 중국 미디어 발전에 관한 연구 -문화소프트파워와 미디어소프트파워를 중심으로-

        공념(주저자) ( Nian Gong ),이동훈(교신저자) ( Dong Hun L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1 No.-

        문화와 미디어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문화 소프트파워의 업그레이드는 한 국가의 포괄적인 국력의 향상을 보여주며, 국제사회에서 국가의 위상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미디어 소프트파워는 문화 소프트파워의 발전을 증진하는 중요한 힘의 근원이다. 중국에서 개혁개방이 시작된 이래로, 광범위한 경제개발의 가속화는 미디어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간의 발전의 분리와 문화발전에 대한 악영향을 가져왔다. 이로 인해 지구촌의 범람하는 미디어 홍수시대에 서있는 중국 미디어산업의 현 위치는 문화 소프트파워와 미디어 소프트파워가 중국 미디어발전의 전체적인 힘을 강화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해야 한다. 본 논문은 미디어 소프트파워와 문화 소프트파워에 대한 개요를 기반으로 문화 소프트파워와 미디어소프트파워를 강화하는 것이, 중국 미디어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주요한힘의 근원임을 논하고자 한다. Culture and media have inextricable relations, the upgrade of the cultural soft power represents the enhance of comprehensive national strength of a country, and it will help improve our standing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media soft power is an important force to promote cultural soft power development. Since Chinese reform and opening up, the acceleration of the pace of economic development in large led to the separ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hard power and soft power, and brought adverse effects to cultural development, and therefore, standing on the flood of the times, the status of Chinese media development is in-depth thought, cultural soft power and the media soft power enhance the overall strength of the Chinese media development. Based on the overview of the media soft power and cultural soft power, the development of Chinese media is thought and the method to enhance the cultural soft power and the media soft power are discussed, s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hines media industry.

      • KCI등재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처방의 원·근거리 대비시력 비교

        박경희,이철우,유근창 대한시과학회 2014 대한시과학회지 Vol.16 No.4

        목 적: 근시성 직난시안의 안경처방과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 및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처방(S+C/2)에 따른 원거리와 근거리 대비시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난시도가 -0.75 D이상 -1.75 D이하인 만 20~32세의 성인 남녀 22명을 대상으로 ASD디자인인 J사의 재질 etafilcon A렌즈와 Wide Ballast Band디자인인 C사 재질 ocufilcon D렌즈의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를 각각 착용하고 원거리 및 근거리 대비시력을 검사하였다. 결 과: 원거리 고대비시력은 두 렌즈 모두에서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안경과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 순으로 시력이 좋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근거리는 두 렌즈 모두에서 고대비와 저대비시력이 안경과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렌즈 처방 순으로 시력이 높았다.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렌즈를 비교한 결과 ASD디자인 렌즈는 고대비시력 및 저대비시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Wide Ballast Band디자인 렌즈는 고대비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저대비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근시성 직난시안에게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을 대신하여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로 처방하는 경우 렌즈디자인에 따른 고대비시력 및 저대비시력이 다르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굴절검사가 추가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stant and near visual contrast acuity for myopic astigmatism among toric soft contact lenses, glasses and spherical equivalent (S + C / 2) contact lens. Methods: Experiments were measured for 22people (aged 20s-30s) Cyliner power is ranged from -0.75 D to -1.75 D. After wearing J`s contact lens made ASD design and C`s contact lens made Wide Ballast Band design both toric soft contact lens and spherical equivalent soft contact lens, distant and near acuity were measured. Result: Toric soft contact lens, glasses and spherical equivalent contact lens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distance. Visual acuity from the two lenses, regardless of contrast, glasses, toric and spherical equivalent soft contact lens were highly measured in order. Spherical equivalent soft contact lens and toric soft contact lens as comparison of high contrast and low contrast acu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contrast acuity of Wide Ballast Band desig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it`s low contrast acuity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Myopic astigmatism in soft contact lens prescription may be affected by visual life style and full explanation to the patient is required and manufactures seem to consider toric stabilization owing to producing in different ways.

      • KCI우수등재

        정보화시대의 한글민족주의

        김상배(Sangbae Kim) 한국정치학회 2003 한국정치학회보 Vol.37 No.1

        1990년대초 이래 ‘한글과 컴퓨터’의 ?글은 세계 소프트웨어시장에서 유일하게 마이크로소프트의 MS워드를 제치고 75%이상의 국내시장을 지켜온 한국 소프트웨어산업의 경제적ㆍ문화적 상징이었다. 그런데 1990년대 후반 들어 경영난에 봉착한 ‘한글과 컴퓨터’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투자를 받아들이는 대신 주력사업이었던 아래아한글을 포기하는 결정을 내리게 되었다. 이러한 계약내용이 일반 국민에게 알려지자, 이에 대한 국민적 반대가 심하게 제기되었고, 더 나아가 아래아한글을 살리기 위한 거국적인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 글은 1998년 6월 한국 소프트웨어 산업에서 발생했던 ‘아래아한글살리기운동’을 정보화시대 한글민족주의의 사례로서 개념화하고, 그 이면에 존재했던 정치경제학적 동학을 분석하였다. 우선, 이 글은 아래아한글살리기운동이 한국 소프트웨어산업의 장래에 보여준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정보산업 분야의 전략적 지침으로 삼고자 하였다. 또한 이 글은 아래아한글살리기운동의 표면적인 성공에도 불구하고, 아래아한글이 좌절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게 했던 소프트웨어산업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탐구하였다. 아울러 이 글은 한국의 소프트웨어산업의 제도적 환경을 제공했던, 한글코드의 표준화 정책과 지적재산권 레짐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Since the early 1990s, "Hangul," the Korean-language word processing software produced by "Hangul and Computer," had protected the Korean market against Microsoft's Korean-language "Word" by commanding more than 75 percent of the market share. Indeed, the Koreans had regarded "Hangul" as a symbol of industrial independency and the Korean culture. Due to financial pinch in the late 1990s, however, "Hangul and Computer" decided to stop producing its word processing software in return for an investment by Microsoft. The Korean public was outraged by the news and began to mobilize a nation-wide campaign to save "Hangul." This paper explores the political and economic dynamics of the so-called "Movement to Save Hangul" in June of 1998, conceptualized as a case of the "linguistic nationalism" of Korea in the information age. First, the paper examine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Movement and explores the Movement's implications for Korea's strategies in information industries of the future. Second, it systematically analyzes the structural forces in the global software industry, which had eventually frustrated "Hangul" in spite of the early success brought by the Movement. Finally, this paper examines the government's standardization policies for Korean character code and the regimes f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hich were not successful in providing a favorable environment for the survival of "Hangul."

      • KCI등재

        SW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의 개정방안 연구

        김윤명(Kim, Yun Myung) 한국정보법학회 2015 정보법학 Vol.19 No.1

        우리는 SW가 삶의 가치를 높이거나 문제해결 도구로 사용됨으로써, 기업 및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는 SW중심사회(SW oriented Society)에 살고 있다. 다양한 산업, 기술간 융합⋅결합을 통해서 시너지 효과를 높이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SW가 있다. SW는 일상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요소이며, ICT기기의 핵심이기도 하다. SW의 기본법인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은 1986년 제정된 SW개발촉진법을 근원으로 하여, 2000년 전면 개정되었으나 SW진흥 보다는 SI(system integration) 중심의 공공SW사업에 치중되어 있다. SW는 HW 및 IT서비스의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다양한 산업에 소재로써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법률은 그 내용에서는 진흥과는 거리가 있어, SW 중심사회에 맞게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의 체계를 재구성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SW중심사회 구현을 위해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의 개정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행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은 SW산업과 공공SW사업이라는 두 가지 축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주로 공공SW사업을 통해 자원 배분 및 관련된 이해관계를 조정 하는 역할비중이 작지 않다. 새로운 SW영역에 대한 대응이 미흡한 면이 있기 때문에 SW서비스, SW플랫폼, 융합 SW, 게임 SW 등 다양한 SW 영역을 포괄하는 입법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을 SW진흥체계와 공공SW사업 체계로 분법하는 것을 제안한다. 즉, SW진흥 체계에 관해서는 SW진흥법으로 하며, 공공SW사업 체계에 관해서는 공공SW사업법으로 하는 것이다. 이로써 SW 진흥을 확대시키고, SW규제를 완화함으로써 SW경쟁력을 확보하고, 생태계를 구축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e can live in SW oriented society to enhance enterprise and national competitiveness(SW oriented Society), SW is being used as a troubleshooting tool to increase or the value of life. A variety of industrial, technical, through the coupling between the fusion and increase the synergistic effect, SW has centered. SW is a basic element used in everyday life, it is also the core of the device unit. SW and SW of the Basic Law of the SW Industry Promotion is enacted in 1986. SW Development Promotion Act was enacted in 2000, was revised rather than SW development SI(system integration) is focused on the center of public SW business. SW acts to increase the value of HW and IT services is being used as a material in various industries. There is a need to reorganize the system of SW Industry Promotion is growing to meet the SW oriente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revised direction of the SW Industry Promotion for the SW implementation oriented society. Current SW Industry Promotion consists of two axes of SW industry and public business, not less gravity mainly acts to adjust the allocation of resources and relevant stakeholders through public SW business. Because if this is insufficient response to the new SW, SW service area, SW platform, fusion SW, SW gam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such legislation to encompass a broad SW area. The current SW Industry Promotion for this purpose, we propose that the equity method to the SW business promotion system and the public system. That is, with respect to the Promotion is SW promotion system, as for the public system to the public SW Business Act. This broadening the SW promotion, by relaxing the SW regulation securing competitiveness, is expected to be able to build the ecosystem.

      • KCI등재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처방의 원·근거리 대비시력 비교

        박경희,이철우,유근창 대한시과학회 2014 대한시과학회지 Vol.16 No.4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stant and near visual contrast acuity for myopic astigmatism among toric soft contact lenses, glasses and spherical equivalent (S + C / 2) contact lens. Methods: Experiments were measured for 22people (aged 20s-30s) Cyliner power is ranged from -0.75D to -1.75D. After wearing J's contact lens made ASD design and C's contact lens made Wide Ballast Band design both toric soft contact lens and spherical equivalent soft contact lens, distant and near acuity were measured. Result: Toric soft contact lens, glasses and spherical equivalent contact lens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distance. Visual acuity from the two lenses, regardless of contrast, glasses, toric and spherical equivalent soft contact lens were highly measured in order. Spherical equivalent soft contact lens and toric soft contact lens as comparison of high contrast and low contrast acu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contrast acuity of Wide Ballast Band desig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it’s low contrast acuity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Myopic astigmatism in soft contact lens prescription may be affected by visual life style and full explanation to the patient is required and manufactures seem to consider toric stabilization owing to producing in different ways. 목 적: 근시성 직난시안의 안경처방과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 및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처방(S+C/2)에 따른 원거리와 근거리 대비시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난시도가 -0.75D이상 -1.75D이하인 만 20~32세의 성인 남녀 22명을 대상으로 ASD디자인인 J사의 재질 etafilcon A렌즈와 Wide Ballast Band디자인인 C사 재질 ocufilcon D렌즈의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를 각각 착용하고 원거리 및 근거리 대비시력을 검사하였다. 결 과: 원거리 고대비시력은 두 렌즈 모두에서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안경과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 순으로 시력이 좋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근거리는 두 렌즈 모두에서 고대비와 저대비시력이 안경과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렌즈 처방 순으로 시력이 높았다.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렌즈를 비교한 결과 ASD디자인 렌즈는 고대비시력 및 저대비시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Wide Ballast Band디자인 렌즈는 고대비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저대비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근시성 직난시안에게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을 대신하여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로 처방하는 경우 렌즈디자인에 따른 고대비시력 및 저대비시력이 다르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굴절검사가 추가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