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마을운동 세계화의 진화와 발전방안: 경상북도 사례를 중심으로

        정우열 ( Jung Woo Yeoul ) 한국행정사학회 2021 韓國行政史學誌 Vol.52 No.-

        1970년대 시작된 새마을운동은 2000년대 이후 개발도상국가의 빈곤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사회 개발운동으로 발전해 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북도가 실시해 온 새마을운동 세계화의 진화과정을 살펴보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세계화 사업은 2005년 국내 초청 연수 및 시범마을 조성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세계화는 도입기, 기반 조성기, 성숙기 및 확산기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도입기에는 저개발국가를 대상으로 한 새마을운동 경험 전수 및 시범마을 조성·지원 사업이 시행되었다. 둘째, 기반 조성기에는 새마을 시범마을 확대, 한국형 밀레니엄 빌리지 조성, 경북형 OD모델 정립, 연구 및 교육기반 확대, 새마을 국제포럼 등이 본격화되었다. 셋째, 성숙기에는 해외 현지에서도 새마을운동을 연구하고 실천하는 기구가 설립되고, 새마을 해외 연수가 확대되었다. 넷째, 확산기에는 국제기구 협력사업을 확대하며, 기업과 새마을이 상생하는 협력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진화과정을 토대로 새마을운동 세계화의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혜국의 지방정부와 공무원들도 책임 의식을 가지고 시범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새마을운동을 위한 지도자의 의지와 정치·경제·사회적 여건 조성, 시범마을 규모의 적정성 등에 대한 고려와 사전 기초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혁신주도적인 마을지도자를 발굴 육성하고 주민 참여 의식을 높여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새마을운동 세계화를 고도화하기 위하여 참여, 신뢰, 규범준수, 네트워킹 등 사회적 자본을 축적해야 한다. The Saemaul Undong in Korea, which started in the 1970s, has been developing into a community development movement to solve the poverty problem in developing countries in the 200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volutionary process of Saemaul globalization carried out by Gyeongsangbuk-do and to seek development plans. The globalization project of the Saemaul Undong in Gyeongsangbuk-do began in earnest in 2005 with the invitation of domestic training and field visit training. The progress of Saemaul globalization in Gyeongsangbuk-do can be divided into the introduction period (2005-2007), the foundation-building period (2008-2011), the maturity period (2012-2015), and the diffusion period (after 2016). First, during the introduction period, the Saemaul Undong experience transfer and pilot village creation and support projects were implemented for underdeveloped countries. Second, during the foundation period, the expansion of Saemaul pilot villages, the creation of a Korean-style Millennium Village (KMVP), the establishment of the Gyeongbuk-styl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model, the expansion of research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Saemaul International Forum began in earnest. Third, in the mature period, organizations that study and practice Saemaul Undong were established overseas, and the number of overseas Saemaul trainings increased and the scale increased. Fourth, in the period of proliferation, cooperation projects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ere expanded, and a cooperative model was established in which companies and Saemaul coexist. Through this development process, the development plan for Saemaul globalization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system so that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officials of beneficiary countrie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ilot project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Secon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strong will of the national leader for the Saemaul Undong, political and social stability,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conomic conditions of the village,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village size.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over and nurture village leaders who will lead change, strengthen awareness education among residents, and foster a sense of ownership. Fourth, as a Saemaul globalization strategy, social capital such as participation, trust, compliance with norms, and networking should be accumulated.

      • KCI등재

        세계화를 위한 세계태권도연수원(WTA)의 정책방안

        정호원 대한무도학회 2023 대한무도학회지 Vol.25 No.1

        This study tried to derive the WTA’s policy plans necessary for the realization of Taekwondo globalization. To achieve this goal,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targeting administrators working in Taekwondo-related organizations and on-site practitioners who had experience in operating Taekwondo gyms abroad. As a result of the AHP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detailed policies that the WTA should implement for globalization are expansion of research, an increase of research budget, securing operation and management budget,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for globalization, and establishment of educ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sult analysis of the open survey, WTA need to redefine the organization’s vision and goals for globalization, develops educational contents and educational system applicable to educational sites around the world, conducts WTA’s active marketing activities for Taekwondo-gym management, strengthen employee competencies and support the careers management of overseas leaders. 본 연구는 태권도 세계화 실현을 위해 필요한 WTA의 정책방안이 무엇인지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태권도 관련 기관에서 근무하는 행정가와 해외에서 태권도장을 운영한 경험이있는 현장실무자를 대상으로 면담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AHP 분석결과, 세계화를 위해 WTA가 시행해야 하는 세부정책은 연구투자 확대, 연구예산 확대 편성, 운영관리 예산 확보, 국제화를 위한 교육내용 개발, 교육시스템 구축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방형 설문조사의 결과분석에 따르면, WTA는 세계화를 위해 조직의 비젼 및 목표를 재정립, 전세계 교육현장에 적용가능한 교육내용 개발 및 시스템 개선, 도장경영을 위한 WTA의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 내부직원의 역량강화, 해외 지도자의 커리어 관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세계화와 국어교육 ; 세계화 시대 한국어의 위상

        박영순 ( Young Soon Park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30 No.-

        본 논문은 한국어의 세계적 위상을 살펴보고, 한국어의 세계화 방안을 제시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는 세계의 6,000여 개 언어 중에서 10위 이내에 드는 국제어가 되어 있다. 우선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 수, 다른 나라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연구 현황, 국제기구나 국제 협약에서 공적으로 인정하는 언어인가의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한국어의 세계적 위상을 가늠해 본 결과 한국어는 세계 10대 언어 안에 든다는 것을 밝히고, 이렇게 국제어에 포함된 언어답게 제2언어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on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in the world. There are 75 millions of native speakers of Korean in the peninsula and 7millions abroad. And there are 742 universities in 64 countries in the world which have Korean Studies or offer Korean language courses. And there are hundreds of high schools in the world which provide with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also. There are more than 2070 Korean weekend schools in 94 countries and 26 regular formal schools in 14 countries. These statistics show that Korean language is ranked in top ten languages in the world. This is also evidenced that US government included Korean as the ninth language in the SAT II. And PCT also included Korean as one of formal languages which consist of 10 international languages like English. This fact says Korean is one of the globalized language so that it requires global standard in teaching Korean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The global standard includes teacher qualification, teaching material, teaching method, and educational assessment.

      • KCI등재

        베트남 내 한식한류 조성을 위한 기초 연구

        부티탄흐엉(Vu Thi Thanh Huong)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2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

        2012년도는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한지 20주년이 되는 해이며, 베트남 내에 활성화 되어 있는 드라마, 영화, 대중음악(K-pop), 온라인 게임 등의 한류훈풍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필자는 한국과 베트남 양국에서 아직까지 미개척분야로 남아 있는 한식한류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했다. 현재 극히 부분적이기는 하나 한국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한식한류의 개념에 따른 몇몇 콘텐츠가 해외 홍보차원에서 연구되는 과정에 있기도 하다. 본문에서는 여러 사례들의 비교분석을 실시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한식한류의 베트남 내에서 활성화 가능성과 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우선 베트남에 관한 기본특성을 정리했다. 또 베트남인의 관념과 습관에 내재하는 음식문화, 음식의 특성을 살펴보고 외식습관과 외식시장조사를 실시했다. 이어서 한국 정부의 육성사업에 따른 한식 세계화의 가능성과 한식의 우수성을 문화?경제?영양학적 차원에서 도출해보고자 했다. 특히 음식을 소재로 한 드라마 〈대장금〉의 베트남 방영에 따른 반응을 양국의 역사?문화?지리적 배경에서 그 유사성에 관련지어 접점을 찾으려고 노력했다. 또한 기존에 개최된 각종 관련 행사 및 이벤트를 분석하고 향후 행사기획안을 제시해보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베트남 내 한식한류콘텐츠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목표이다. 베트남 내 한식한류 활성화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한국정부차원에서 국가이미지 제고를 위한 체계적인 기초연구와 방향제시가 우선되어야만한다. 또한 진행과정에서 현지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과의 적극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베트남인에게 한식이 각광받는 외식으로 선택될 수 있도록 새로운 콘텐츠를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로 남는다. This paper is a basic research study on creating a so-called Hallyu, the Korean Wave, of Korean food in Vietnam. First of all, I will shed light on Korean dramas, movies, K-pop and online games which are already popular in Vietnam. My intention for doing this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Hallyu in general and diagnose the possibility of creating the Hallyu of Korean food, which remains uncharted territory yet both in Korea and Vietnam. Albeit small, the Korean government agencies have led research on the contents of Korean food as part of its overseas promotion of the Hallyu of Korean food.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several relevant cases. The emphasis is on research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making Korean food popular in Vietnam as part of the Hallyu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results, and suggesting different ways to go about it.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my research, I have specified some fundamental features about Vietnam. I have also looked into Vietnamese food culture and it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conducting research on the dining-out habit of Vietnamese people and the market. I have then attempt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globalization by focusing on the excellence of Korean food with the help of government projects from the cultural, economic and nutritional perspectives. In particular, I attempt to find the similarities between our two countries from the responses about Jewel in the Palace, a Korean drama about food, from the historical, cultural and geographical point of views. Also, I analyze the various promotion events which have been held in the past and present as well as future promotion event plans. M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duct basic research on promoting the Korean Food Hallyu in Vietnam, through this analysis. To make Korean food popular in Vietnam as part of the Hallyu, systematic basic studies and the presentation of future directions to enhance the national image are needed on the governmental level. It is also essential to maintain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Korean companies doing business in Vietnam in the process. Developing new contents still remains as our future task for helping Korean food to become popular to Vietnamese as a foreign delicac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