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찰적 근대화론의 장애학적 함의

        정지웅(Jeong, Ji-Woo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6 비판사회정책 Vol.- No.52

        본 연구에서는 성찰적 근대화론이 장애학에 갖는 함의를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장애학의 개념 및 장애학의 주류 담론 토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성찰적 근대화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수행하며, 성찰적 근대화론의 개인화이 장애학에 갖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성찰적 근대화는 장애인의 노동이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마르크스주의에 근거한 논의보다 보다 현실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고, ‘개인화’가 심화되면서 가족의 기능이 약화되는 가운데, 성찰적 근대화에서는 장애인의 욕구가 충족되는 것이 장애인복지서비스의 공공성 확보 수준에 달려 있음도 알 수 있었으며, 성찰적 근대화가 진행될수록 장애정체감과 장애자부심의 형성이 보다 지지될 가능성이 있음도 예측할 수 있었다. 한편, 성찰적 근대화는 새로운 사회적 위험(new social risks)을 보다 심층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담론이 될 수 있으며, 장애인복지서비스의 대안적인 공급주체로서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 조직이 중요하고, 장애인 당사자의 정치적 역량을 강화하며, 장애인복지 전문가에게 새로운 성찰의 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음도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study performed to inquire the implication of reflexive modernity theory on disability studies centered on individualiz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article studied the concept of disability studies, the main discourse foundation of disability studies, the basic understanding of reflexive modernity theory, and the implication of reflexive modernity theory on disability studies. Reflexive modernity theory can anticipate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the extent of need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is influenced by the level of public social service, and the probability of establishment of disability identity and disability pride will be strengthened. Moreover, reflexive modernity theory can be a theory which is able to investigate the new social risks theory more deeply, and presents that social economy organization is important as a alternative social service provision.

      • KCI등재

        일반 논문 : "성찰적 근대화(reflexive modernization)" 의 논의구도

        이진복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06 시민사회와 NGO Vol.4 No.1

        이 글의 목적은 근대 계몽기획과 세계화 논의의 진면목에 기초하여 재근대화의 논의구도를 엄밀하고 다각도로 해명하는 것이다. 이 글의 기본적 시각은 근대화론자와 탈근대화론자간의 논쟁이 계몽기획을 부당하게 단순화시킨 반편의 합리성에 대한 논쟁으로, 기본적으로 `1단계 근대화`의 지평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재근대화 논의는 근대화와 탈근대화간의 오해로 가득 찬 논쟁을 극복한 제3의 길이다. 우선 재근대화 논의가 가진 개념적 혼란을 방지하고 본격적 논의를 위해 몇가지 예비적 개념규정을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재근대화 논의를 추상적 논리가 아닌 `시대진단학`으로서 세계화라는 우리시대의 `조용한 혁명`을 근대화의 연속/단절의 축에 입각하여 분석하고 있다. `근본화(radicalization)` 테마는 계몽의 현실비판/자기비판의 축으로 재근대화의 구조와 과정을, `포용(inclusion)` 테마는 이성의 복수/단수를 축으로 재근대화의 다차원성과 모순을 분석하고 있다. 재근대화의 논의구도를 요약하면 성찰성(지식)과 재귀성(의도하지 않은 결과)은 재근대화로의 이행의 동력이며 의사소통혁명, 지식기반경제, 탈냉전, 개인화의 총체적인 변동인 세계화는 배경을, 제조된 위험은 그 성격을 의미하고 배제(원자화)는 지양대상을, 포용(개인화)은 목적이며 근본화는 그에 대한 합리성의 재구성적 자기비판의 응전이자 수단이다. 그리고 재근대화 논의의 정치적 함의는 `제3의 길`이다.

      • KCI등재

        울리히 벡의 "성찰적 근대화론" 비판 -성장의 사회 압력에 의한 행위의 관점에서

        이홍균 ( Hong Kyun Lee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9 담론 201 Vol.12 No.1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은 성찰적 근대화론을 주장하면서 유명해졌다. 그러나 그가 주장하는 것과 다르게 성찰적 근대화는 현실에서 관찰되지 않고 있다. 울리히 벡의 주장과 현실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 이유를 시장의 사회압력과 확대재생산율의 지배에서 찾고 있다. 시장의 사회압력, 확대재생산율의 지배는 잔여위험을 여전히 생산하게 만들고 있다. 여전히 무반성적 근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울리히 벡의 반성적 근대화론은 현실에 기반한 이론이 아니라 미래에 일어나야 할 변화를 투사한 것이다. 그러나 그는 반성적 근대화가 미래에 일어나야 할 변화로 기술하지 않고 현재 진행형으로 기술하면서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위험에 대한 인식의 확산에 의해서 반성적 근대화가 진행될 것이라는 그의 주장이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 그 예이다. 경제성장이라는 목표달성의 부산물이었던 위험초래나 환경파괴와 같은 잠재적인 부수효과를 더 이상 양산하지 않게 된다는 그의 주장이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의 주장과는 다르게 환경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다. 물론 환경인식이 높아지고는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잠재적인 부수효과의 생산이 줄어들기는커녕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그 이유를 본 논문에서는 경제성장의 사회압력의 작용 때문인 것으로 설명한다. 즉 벡의 주장과는 달리, 위험감수는 선택이 아니라 평균적인 이윤율과 평균적인 생활수준의 사회압력에 따른 강제에 의한 것으로 분석한다. The German sociologist Ulrich Beck became well-known by proposing `reflexive modernization theory.` However, unlike his expectations, reflexive modernization itself is not empirically observed. From the social pressure of market and the ruling of expanded reproduction rate, I try to find the reason for that a gap exists between reality and arguments of Ulrich Beck. The social pressure of market and ruling of expanded reproduction rate still produce residual risks. They keep non-reflexive modernization going. Reflexive modernization theory by Ulrich Beck is not based on the reality, but project changes which must proceed in the future. However, the theory causes a lot of misunderstandings as he describes the reflexive modernization by present tense. He said that the reflexive modernization will proceed by the accumulation of risks and the expansion of risk recognitio, and that potential residual risks are not dependent on the goal of economic growth. Such kinds of his arguments are accepted as an actual description of the real world. However, unlike his arguments, potential accompanying effects are gradually increasing instead of decreasing, despite that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s raising with the accelerating of environmental risks. In this paper, I argue that accepting risks is not a choice, but a compulsion by the social pressure for keeping average profit and growth rate.

      • KCI등재

        위험사회 극복을 위한 󰡔성찰적 근대화󰡕의 재해석

        조광래(Cho Kwang-Rae) 한국경호경비학회 2018 시큐리티연구 Vol.- No.57

        한국사회는 위험과 불신이라는 측면에서 복합 위험사회다 농경사회의 전근대적, 산업사회의 근대적, 정보화사회의 후근대적 위험과 재난이 현재라는 시간대에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경제적 부를 획득하고자 하는 끝없는 과학기술의 발달은 동시에 위험사회를 도래한다는 울리히 벡의 지적은 지금 우리에게 있어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 20세기 후반에 새로운 근대화의 진전에 따른 위험사회의 도래를 지적하고 그 위험사회를 극복하기 위한 “성찰적 근대화(reflexive modernization)”를 언급한 ‘울리히 벡’의 이론을 새롭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성찰적 근대화는 인간중심적인 관점에서 우리의 잘못된 과거를 반추하고 바람직한 미래를 설계해 주는 방향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성찰적 근대화를 주장한 울리히 벡의 재해석을 통해 위험사회 극복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은 중요하다.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미래의 새로운 위험을 극복하기 위해서 안전(security & safety)을 전공하고 연구하는 우리는 정부의 안전정책과 국민들의 안전의식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Korean society is a mixed risk society in terms of risk and distrust. This is because the risks and disasters of the farming and industrial societies, the modern and the information society, exist simultaneously in the present time. Ulrich Beck s point that the endless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acquire economic wealth is simultaneously entering a risk society is providing us with many implications.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Ulrich Beck’s “reflexive modernization” theory in the late 20th century, pointing to the rise of a risk society as a result of the evolution of new modernization. This is because the “reflexive modernization” can be a direction in which we can reflect our wrong past from a human-centered perspective and design a desirable future.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to present ways to overcome the dangerous society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Ulrich Beck, who advocated the modernization of reflectively. In order to overcome the future risks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bring, we must provide direction for the government s security policies and public security consciousness.

      • KCI등재

        ‘위험사회’ 에서의 교육의 책임과 역할에 대한 성찰

        정창호(Changho Jeong) 한독교육학회 2014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9 No.2

        이 글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발생했던 후쿠시마 원전폭발 사고를 계기로 현대 사회에서 교육이 맡아야 할 역할과 책임에 대해서 성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후쿠시마 사태와 교육의 문제를 좀 더 풍부한 일반교육학적 맥락에서 연관시키기 위해 먼저 제2장에서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론’의 기본 착상을 소개하였다. 벡에 따르면 현대 사회는 전통의 근대화와는 다른 새로운 근대화의 단계로 진입했는데, 이는 전자가 스스로 산출한 파국적 위험들이 오늘날 분명하게 드러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파국적인 위난과 위험을 완전히 통제, 제거할 수 있다는 헛된 환상에서 벗어나서 상시적인 위험과 더불어 살아가는 법을 배워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성찰적 근대화’가 요구된다. 제3장에서는 전통의 근대화의 두 축이었던 과학과 정치에서의 성찰성(reflexity)을 검토함으로써 위험사회를 교육의 문제와 연관시킬 수 있는 매개 고리를 마련하였다. 벡에 따르면 근대 사회의 필연적 발전 과정에서 사실적으로 발생한 ‘잠재적 성찰성’은 근대화의 자기모순을 성찰할 수 있는 자율적인 주체의 형성을 통해서만 실현가능하다. 벡은 이러한 작업을 ‘제2의 계몽’이라고 부른다. 제4장은 현대 교육의 역할과 책임이 바로 이 제2의 계몽을 실현하는 데에 있다고 보고, 이에 적합한 교육을 성찰적 주체의 형성, 성찰적 주체 형성을 위한 교육실천, 성찰적 교육학의 필요성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5장은 후쿠시마 사태와 같은 현대의 재난은 또 하나의 특수교육학 즉 위험교육학을 요구하기 이전에 먼저 교육 본연의 과제에 대한 더욱 철저한 반성을 요구한다는 결론으로 끝맺는다. Diese Schrift setzt sich mit der Frage auseinander, welche Rolle und Verantwortung die gegewartige Erziehung ubernehmen sollte, in Hinsicht der Kernkraftwerk-Katasrophe in Hukusima, Japan 2011. Im Kapitel 2 wird Becks Theorie der Risikogesellschaft vorgestellt. Nach seiner Analyse tritt der Modernisierungsprozess seit 19. Jh. in eine neue Phase ein, die durch alltagliches aber katasrophales Risiko im normalen Leben charakterisiert werden kann. Wir sind dadurch mit einer neuen Anfordrung gegenüberstellt worden, zu lernen, wie wir mit dem alltaglichen Risiko zusammenleben können. Im Kapitel 3 wird der Begriff Reflexive Modernisierung dargestellt. Diese Dastellung bietet einen guten Ansatzpunkt für eine reiche Verbindung zwischen Risikogesellschaft und Erziehung. Die Reflexive Modernisierung als eine potentielle Moglichkeit ist nur durch Bildung oder Erziehung der reflexiven und autonomen Subjekt realisierbar. Beck nennt diesen Prozess die zweite Aufklarung. Das Kapitel 4 geht davon aus, dass die Rolle und Verantwortungen der Erziehung in der Realisierung zweiter Aufklärung liegen. Was bedeutet diese für die Erziehung und Erziehungswissenschaft? Ich habe versucht, diese Frage in drei Punkten zu beantworten: Bildung der reflexiven Subjekten, Notwendigkeit der reflexiven Erziehungswissenschaft, einige pädagogische Richtungen in Risikogesellschaft. Die Konklusion dieser Schrift liegt darin, dass die gegenwärtige Risikogesellschaft eine tiefe Reflexion in die eigentliche Aufgabe der Erziehung anfordert.

      • KCI등재후보

        성찰적 근대화론의 관점에서 본 뉴미디어 소통에 관한 이론적 연구

        강세민(Se- Min Kang),김무규(Mookyu Kim)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3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7 No.3

        본 연구는 뉴미디어와 매스미디어를 매개로 한 소통 사이의 질적 차이를 이론적으로 밝히려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뉴미디어는 매스미디어와 그 작동방식이 다르며 매스미디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것을 설명하기에 미흡하다. 그러므로 뉴미디어를 통한 소통의 질적인 차별성을 드러낼 수 있는 새로운 이론적인 토대가 필요하다.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에서 이뤄지고 있는 연구들이 이러한 질적 차별성에 주목하여 다양한 설명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에는 뉴미디어의 개인적이고 몰입적인 특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스코트 래쉬, 울리히 벡, 안소니 기든스의 성찰적 근대화 개념을 심도 있게 파악하고, 성찰적 근대화 이론을 통하여 새로운 미디어에 의해 나타나는 변화를 이론적으로 제시해보고자 한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에서 파악되지 못하는 분산적 수용이나 공동체의 형성과 같은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뉴미디어를 새로운 관점에서 파악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for a theoretical foundation to shed light on the qualitative difference between the old and new media. Among others, the attempts to construct the theory on this problem, especially from the viewpoint of the postmodernism, are worthwhile to recapitulate briefly. But the problems arise in these theories, when they concentrated fully on the immersiv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new media. In this context, the concept of reflexive modernization is to adopt for the explanation on the unaccountable phenomena of the new media, which relate to the distracted perception or reflexive community. This theoretical application examines the dispersional aspect of the new medial communication and also new types of community engendered by the new medial communication.

      • KCI등재

        ‘비사회인’

        이문호(Moon-Ho Rhee) 한국사회학회 2006 韓國社會學 Vol.40 No.1

        왜 한국사회의 분열은 점점 더 심화되고 있는 것일까? 본 연구는 박정희 시대의 충효이데올로 기가 등장한 정치적 배경과 그 사회적 결과를 분석하면서 이 질문에 대답한다. 박정희는 일본의 근대화론인 ‘화혼양재’를 한국화하면서 충효를 한국의 근대화이데올로기로 삼는다. 이로부터 민족주의와 문화주의가 등장하고 한국의 ‘사회’는 사라진다. 그리고 한국인은 사회를 모르는 ‘비사회인’으로 만들어진다. 비사회인이란 공적영역의 경험이 미천한 사적인간이며, 자신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주관적 ‘I형’의 ― 미드(Mead)의 자아개념에서 객관적 ‘Me’와 구분되는 ― 일차원적 인간이다. 바로 이것이 오늘날 우리사회의 대화와 자율적 갈등조정 능력을 약화시키고 사회적 분열을 점점 더 심화시키고 있다. 이제 우리는 이러한 비사회인을 양산한 제1의 근대를 청산하고 새로운 제2의 근대화를 이룩해야 할 시기다. 여기서 필요한 것은 세대와 계급을 넘어서는 포괄적인 문화적 성찰이다. 비사회인은 어느 한 세대, 어느 한 계급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자화상이기 때문이다. 최근 박정희에 대한 평가가 다시 논란이 되고 있다. 이제이 논란은 박정희에 대한 찬반을 넘어 그 시대가 만들어낸 우리의 자화상을 그려보고 성찰하는 기회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사회를 모르는 일차원적 비사회인에서 사회와 그 안에 내재해 있는 여러 모순성을 인식하는 다차원적 ‘사회인’으로 거듭나야 한다. Why are social confrontations growing in Korea? This question will be answered by analyzing the political background and the social outcome of the “Chunghyo” ideology from the era of Chung-Hee Park. Park tried to koreanize the Japanese model of modernization, “Hwahonjangjae,” and developed an ideology this writer refers to as Chunghyo, the Korean framework for modernization. From this principle, a new mood of nationalism and “culturism” arose. The consequence is that the “society” in Korea has disappeared andthe Korean has become an “unsocial person.” The unsocial person is a “one-dimensional” person who grows up in the private sphere and therefore lacks the experience of the public sphere. At the same time he is the self-centered, subjective “I”-Type whom Mead distinguishes from the self as an object “Me.” Just this has weakened the ability of Korean society to regulate conflicts autonomously and has increased social confrontations. Now is the time for us to move beyond the 1st modernization, in which the unsocial person has been made, and to establish a second modernization based upon the reflective person. What we need here is a comprehensive cultural reflection because the unsocial person is the portrait of all of us beyond the generations and the classes. New controversy considers estimations of Park’s merits and faults. This should lead to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 character of Koreans as they have evolved from the influence of his era. Thereby will have been reborn as a society of multi-dimensional, “social men” who see “society” as a world of contradictions and have the competence to communicate with it.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서구의 생활정치 사상과 독일의 현실

        서창훈 ( Chang Hoon Seo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09 시민사회와 NGO Vol.7 No.2

        본 논문의 일차 목적은 현재 한국의 학계와 언론에서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어 쓰이고 있는 생활정치의 개념을 서구의 현대 정치 사상사를 통해 정립하는 데에 있다. 이 글의 전반부는 이론부분으로 서구에서 최초로 생활정치 개념을 이론화시킨 기든스의 연구를 중심으로 생활정치에 대한 정의, 생활정치의 등장 배경, 성찰적 근대화와 생활정치의 관계, 생활정치에서 지구화가 갖는 의미, 생활정치와 해방정치의 차이 등을 추적해 본다. 기든스 이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벡의 제2근대와 하부정치 등의 개념들을 소개하고 두 사람의 근대화 이론 및 생활정치 개념이 하버마스의 `생활세계`에 기반하고 있음을 밝힌다. 생활정치는 기든스의 표현대로 생활 스타일로서는 유의미하지만 정치라 불리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후반부에서는 생활정치가 새로운 정치형태로 자리잡기 위해 필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고민하고 생활정치 발현의 구체적인 사례로 독일정부의 시민 참여 활성화 방안을 소개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the definition of life politics which are used in Korea very confusingly. The first half of this article, in order to understand the right concept of life politics, introduces the concept of life politics which Giddens used first in Western Europe and other related concepts such as reflective modernization, globalization, emancipatory politics, subpolitics so on. Afterward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politics and Habermas` concept of lifeworld will be turned out. In the second half of this paper will be asked which conceptual element the life politics lack. The Answer is the forming of solidarity through a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and civic engagement which one can recognize in the German politics for the civil society.

      • KCI등재

        울리히 벡 관점으로 바라본 위험사회 속 태권도 도장

        신종섭 한국융합과학회 2020 한국융합과학회지 Vol.9 No.3

        Pupose: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risis of Taekwondo gym.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dangers of Taekwondo gym through Beck's risk society. Methods: To solve this purpos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theory of risk socie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isk of Taekwondo's rapid growth: the side effects of risk. This has an advantage in Taekwondo's rapid growth, but it speaks of the risk of Taekwondo gym. The following is the risk of intensifying competition in Taekwondo gym: the duality of personalization. It is intensifying competition, which is caused by an excess of Taekwondo gym. This is what personalization has a greater impact. Finally, the risk of globalized Taekwondo gym: The risk is also global. The risks of Taekwondo gym in Korea appear the same throughout the world. The risk factors that appear in Taekwondo gym should be re-rationalized through reflective thinking. 연구목적: 이 연구는 시대가 변함에 있어 태권도 도장의 위기에 대해서 구명하기 위하여, Beck의 위험사회를 통해 태권도 도장의 위험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위험사회론을 이론적 준거틀로 설정하고, 심층면담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 이와 같이 수행된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고속 성장에 따른 태권도 도장의 위험: 위험의 부수효과는 태권도가 고속 성장함에 있어 장점이 있지만 이로 인해 태권도 도장의 위험이 나타남을 말하고 있다. 다음으로 태권도 도장의 경쟁심화로 인한 위험: 개인화의 양면성은 태권도 도장의 과잉현상으로 나타나는 경쟁심화에 대한 위험을 말하고 있고 이는 개인화가 더욱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세계화 된 태권도 도장의 위험: 위험도 전 세계적인 것은 한국에서 나타나는 태권도 도장의 위험은 세계가 공통적으로 동일하게 나타남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성찰적인 생각을 통해 태권도 도장에서 나타나는 위험요소를 재 합리화 시켜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