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스닥 벤처기업의 장단기 성장기회와 재무구조 선택에 관한 연구

        주병철,황진수 한국산업경제학회 2023 산업경제연구 Vol.36 No.2

        In this study, we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long-term and short-term growth opportunities on book value and market leverage for KOSDAQ-listed companies. In the study, venture companies based on dynamic growth opportunities and non-venture companies were divided into venture companies and non-venture companie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long-term growth opportunities follow the capital order theory, showing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book value leverage, and a negative (-) relationship with market price leverage, showing results consistent with the static trade-off theory. However, short-term growth opportunities did not show significance with book value leverage, and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with market leverage, confirming that the order theory of capital raising was supported. In other words, the financial structure of KOSDAQ companies is interpreted to support different theories according to short- and long-term growth opportunities. Second, in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into venture and non-venture, the book value leverage and short- and long-term growth opportunities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in venture companies and short-term growth opportunities in non-venture companies, respectively, and market leverage showed opposite signs between long and short-term growth opportunities. showed a relationship This seems to be consistent with the theory that growth opportunities exis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and depending on the value of leverage. Third, in the analysis by growth group,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term and short-term growth opportunities and leverage differs between venture companies and non-venture companies, and also diff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growth opportunities. 본 연구에서는 코스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장기성장기회와 단기성장기회가 장부가레버리지와 시장가레버리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연구에서는 역동적 성장기회를 기반으로 하는 벤처기업과 비벤처기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어떤 재무구조 이론이 성장기회와 레버리지의 관계에 부합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첫째, 장기성장기회가 장부가레버리지와 정(+)의 관계를 보이면서 자본조달 순서이론을 따르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시장가레버리지와는 부(-)의 관계를 보이고 있어 정태적상충이론에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단기성장기회는 장부가레버리지와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시장가레버리지에서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여 자본조달순서이론이 지지됨을 확인하였다. 즉 코스닥기업의 재무구조는 장단기 성장기회에 따라서 다른 이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벤처기업과비벤처기업으로 분류한 결과에서 장부가레버리지와 장단기 성장기회는 벤처기업에서, 단기성장기회는 비벤처기업에서 각각 정(+)의 관계가 나타났고 시장가레버리지는 장단기 성장기회 간에 상반된 부호 관계를 보였다. 이는 성장기회가 기업특성에 따라 다르게 존재하며, 레버리지의 가치에 따라서 다른 이론에 부합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성장그룹별 분석에서는 장단기 성장기회가 레버리지에 미치는 관계는 벤처기업과 비벤처기업 간에 차이가 있으며, 성장기회의 수준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났다.

      • KCI등재

        경영자 및 재무분석가의 성장기대와 원가의 하방경직성

        양대천 한국회계정보학회 2015 회계정보연구 Vol.33 No.4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firm’s growth expectations on cost stickiness, Anderson et al., 2003) use GNP growth rates as a proxy of the expectations. Hence, GNP growth expectations may fail to reflect growth expectations specific to a firm. To mitigate this problem, we employ management’s- and analyst’s forecast data to explicitly measure the growth expectations. Analysing the effect of management’s- and analyst’s forecasts on sticky costs, we find the positive link between management’s sales forecast errors and the degree of cost stickiness. Further, the results of additional tests based on the adjusted models controlling GNP growth rates show more strong evidence in either cases using management’s- or analyst’s forecasts. Anderson et al. (2003)은 원가의 하방경직성은 기업의 성장기대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는 주장을 하였고, 성장에 대한 대용변수로서 실질GNP성장률을 사용하였는데, 경제 및 산업 전반의 성장정도가 기업의 성장기대를 제대로 반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에도 불구하고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 성장기대를 보다 현시화해서 측정한 이후 동 성장기대가 원가의 하방경직성을 강화시키는지를 검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가 기업 성장기대에 관한 대용치로 경영자 예측치와 재무분석가 예측치를 채택하는 논리는 다음과 같다. 우선, 경제전반의 성장정도를 가늠하는 실질GNP성장률보다는, 경영자 스스로가 해당 기업의 성장 기대를 예측하여 공시한다는 점에서 경영자 예측치는 보다 직접적인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재무분석가의 성장 예측치는 시장의 합의된 성장 기대치를 반영한다. 만일 재무분석가가 경영자 예측치를 추종하는 경우는 재무분석가 예측치는 경영자 성장기대를 직접적으로 투영한다. 경영자 예측치를 추종하지 않는 경우라도 재무분석가는 정보위험을 줄이는 방향으로 예측치를 수정해나갈 것이므로, 경영자는 시장의 신뢰에 부합하기 위해 재무분석가의 성장 예측을 경영 의사결정에 고려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업 성장기대를 경영자와 재무분석가의 성장 예측치를 통해 측정하여, 경영자 스스로의 또는 시장에서 합의된 해당 기업에 대한 성장기대라는 보다 현시화된 기대정보를 이용하여 비대칭적 원가행태와의 관련성을 규명한다. Anderson et al. (2003) 기본 모형과 함께 통제변수를 추가한 통제 모형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경영자 예측치를 대용치로 사용하였을 때, 두 모형 모두에서 경영자의 낙관적 성장기대와 판매관리비, 인건비, 감가상각비 등 관련 원가의 비대칭성과 유의적 관련성을 보였다. 한편 재무분석가 예측치를 대용치로 하였을때는 기본 모형의 경우 인건비에서만 유의적 관련성을 보였다. 추가분석에서는 GNP성장률을 통제한 모형으로 분석하였는데, 경영자의 성장기대의 경우 판매관리비와 인건비에서 GNP성장률과는 달리 유의적으로 하방경직성을 유발하고, 재무분석가의 성장기대의 경우도 판매관리비와 인건비에서 유의적으로 하방경직성을 유발하거나 강화하고 있다. 종합하면, 경영자는 낙관적 성장기대를 갖는 경우 하방경직적 원가 의사결정을 수행한다. 반면에 시장이 낙관적 성장기대를 갖는 경우 경영자는 원가 의사결정시 이를 반영할 수 있지만 시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보다 완화된 증거가 나타난 것으로 추론된다. 본 연구는 기업 성장기대의 대용치로서 특정 기업에 특화되고 자본시장에 현시화된 대용치들을 사용하여 원가의 하방경직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Anderson et al. (2003)이 상정한 성장기대효과에 대한 보다 강건한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Anderson et al. (2003) 및 이후 관련 연구에서 상정한 원가의 하방경직적 행태의 유발원인으로서의 기업의 성장기대와 관련하여 보다 직접적인 대용치를 이용한다. 즉, 경제성장의 시기에 경영자가 기정자원 확대를 도모한다기보다는 경영자 스스로의 낙관적 기대가 확장적 자원 및 원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였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경영자는 자본시장에 공시한 해당기 ...

      • KCI등재
      • KCI등재

        코스닥기업의 성장기회와 부채비율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박순식 한국경영교육학회 2014 경영교육연구 Vol.2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opportunity and debt ratio of listed companies on the KOSDAQ market, the data is based on the 2,916 firm-year observations during the sample period from 2003 to 2011. For pannel data regression analysis, I used random effect regression model and fixed effect regression model in addition to OLS model.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growth opportunity has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debt ratio in accordance with agency theory and trade off theory of fina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opportunity and debt ratio is not monotonic but cubic style. When companies’ growth opportunities are low and high,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opportunity and debt ratio is negative. For intermediate level of growth opportunity, the result shows the existence of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opportunity and debt rati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this area including this study are not consistent with each o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opportunity and debt ratio has been an important topic in corporate finance, but an unsolved problem up to now. In addition, it is found from control variables, that firms with high profitability and liquidity have low debt. Firm size and asset tangibility are positively related to debt ratio. 본 연구는 코스닥시장 기업의 성장기회와 부채비율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실증적 분석대상기간은 2003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의 9개년이며 분석기간 자료가 이용 가능한 324개 기업의 2916개 패널자료를 선정하여 최소자승법에 의한 회귀분석과 더불어 확률효과모형과 고정효과모형으로 회귀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장기회와 부채비율의 관련성에 관한 국내 연구에서는 상반된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는데 코스닥시장에서 성장기회와 부채비율이 부(-)의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채사용은 재무곤경비용을 증가시키고 미래 성장기회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성장기회가 큰 기업이 부채발행을 줄인다는 절충이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부채사용에 따른 주주와 채권자의 대리문제로 인하여 과소투자문제와 같은 비효율성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부채사용에 따른 비효율성을 회피하기 위하여 코스닥시장에서 성장기회가 높은 기업일수록 부채를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성장기회의 크기에 따라 분석한 결과 성장기회가 낮거나 높은 경우 성장기회와 부채비율은 부(-)의 관련성을 가지고 중간인 경우 정(+)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셋째, 수익성과 유동성은 부채비율과 부(-)의 관련성을 가지고 기업규모와 자산유형성은 부채비율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많은 국내외 선행연구 결과와 부합하였다. 비부채성 세금혜택과 부채비율의 관련성을 판단하기 어려웠다.

      • KCI등재

        서로 다른 성장기회 하에서 재무정책과소유구조는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미치는가?

        류두원,류두진,백재승 예금보험공사 2013 金融安定硏究 Vol.14 No.2

        We investigate how financial policies, which are represented by debt ratio, dividend policy,and ownership structure, affect the firm values of listed companies that have different growth opportunities. Specifically we examine the manufacturing companies listed in the Korean Stock Exchange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2. We conduct a system-GMM by dividing the companies into an upper 40% group with high growth opportunities and a lower 40% group with low growth opportunities, based on the MBE ratio and MBA ratio. As a result, we find some interesting results suggesting that leverage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firm values in the group with high growth opportunities. On the other hand,leverage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firm values in the group with low growth opportunities. Dividend polic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firm values in the group having high growth opportunities. Our overall findings coincide with the empirical results of a study by McConnell and Servaes (1995), which was conducted on NYSE and AMEX-listed companies, as well as with the results of a study by López and Crisóstomo(2010),which was conducted on Brazilian firms. We find that such phenomena are also observed in Korea, a leading emerging market.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장기간의 기간 동안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제조업 종목을 대상으로 표본구성을 하여 서로 다른 성장기회 하에서 부채비율, 배당정책 등으로 대표되는 재무정책과 내부자지분으로 측정한 소유구조가 기업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성장기회 측정을 위한 변수인 MBE비율과 MBA비율을 기준으로 상위 40%와 하위 40%에 해당하는 기업들을 각각 성장기회가 높은 기업과 성장기회가 낮은 기업으로 구분하여 GMM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성장기회가 높은 기업은 부채비율이 기업가치에 매우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며, 성장기회가 낮은 기업에서는 부채비율이 기업가치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것을 발견하였다. 배당정책 또한 성장기회가 높은 기업에서는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으나, 성장기회가 낮은 기업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관찰하지 못하였다. 2008년 금융위기기간을 기준으로 구분한 표본을 대상으로 실시한 분석을 통하여 금융위기 이후 국내 기업들의 부채에 대한 부담이 커졌으며, 위기 전과 위기 후에 재무정책이 기업가치에 다르게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실증결과는 McConnell and Servaes(1995)가 미국 NYSE와 AMEX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와도 일맥상통하며 López and Crisóstomo(2010)가 브라질 기업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와도 어느 정도 일치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성장기회의 차이에 따라 재무정책의 효과가 상이한 현상이 국내에서도 관찰 가능한 현상임을 입증하였으며, 재무정책이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에 서로 다른 형태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입증하였다.

      • 한국 상장기업의 성장기회와 자본구조 선택에 관한 실증연구

        오세경,김우성 한국재무학회 2011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1

        본 연구는 기업의 성장기회가 자본구조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고, 이들 분석 결과를 통해 국내기업의 경우 어떤 자본구조이 론이 잘 부합되는지 여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기회와 자본구조 선택 관계에서 시장가 대 장부가비율은 장부가부채비율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으나, 시장가부채비율과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였다. 이는 성장기회 와 장부가부채비율간에는 자본조달순서이론이, 성장기회와 시장가 부채비율간에는 상충이론과 수정자본조달순서이론이 잘 부합되는 결과로 보인다. 둘째, 성장기회를 세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선행연구와 달리 회귀계수의 부호는 모두 일치하였으나, 그룹별로 다른 민감도를 보였다. 셋째, 자금부족분 변수를 통해 자본조달순 서이론을 검정한 결과는 부합하지 않으나 마켓타이밍이론을 검정 한 결과는 시장가부채비율의 경우에만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장기회와 은행차입금간에는 유의한 부(-)의 관계가 있음을 보았는데, 이는 고성장기회기업이 자신의 정보가 은행에 독 점화되고 지배될 것을 우려하는 홀드업(hold-up)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We examine how growth opportunities faced by Korean manufacturing firms may affect their financing decisions. The empir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 First, growth opportunity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ok leverage, consistent with simple pecking order theory. However, growth opportunity is positively related with market leverage, in line with trade-off theory or modified(complex) pecking order theory. Second, high growth opportunity firms are less "sensitive" to debt ratio than their low peers are. Third, our data appears to agree with market timing theory only when market leverage is used. Finally, growth opportunity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ank loan, lending support to hold-up hypothesis.

      • KCI등재

        기업경영의 어려움, 기업가적 지향성과 성장단계 벤처기업의 출구 전략에 관한 연구

        윤현중,이종용 한국창업학회 2019 한국창업학회지 Vol.14 No.5

        It is well known that continuous survival and growth can be possible only when technology-based venture firms overcome not only the disadvantages of start-up organizations but the various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as they grow up. Although the importance of managing these growth channels is already well known, there is not much discussion about which alternative is reasonable to choose if the difficulties of corporate management are not well overcome in the growth phase. In particular, one of the important decisions that growth-level entities should consider is whether to continue their business or to recover the amount to sell and invest in the entity. This exit strategy is an important option for growth-stage venture firms to consider, but discussions on other important types of exit strategies, mergers and acquisitions and sales, are limited because the majority of companies consider IPOs as the most representative exit strategy. This study identified how the difficulties of enterprise management faced by growth-level venture businesses and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at growth-level venture firms are related to their exit strategies of mergers and acquisitions and corporate sale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 responses of 1,689 growth-level venture companies on mergers and acquisitions and sales, confirming that difficulties in funding as well as the difficulties in technology development and market opening faced by growth-level venture companies,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consideration of exit strategies of growth-level venture compan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bsequent research directions to overcome them were described. 기술기반 벤처기업들이 설립 초기에 나타나는 신생조직의 불리함을 극복해야 하지만, 성장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어려움을 잘 극복해야 지속적인 생존과 성장이 가능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비록 이러한 성장통 관리의 중요성은 많이 강조되고 있지만, 조직성장단계의 성장기에서 기업경영의 어려움을 잘 극복하지 못하는 경우에 어떤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인지에 대한 논의는 많지 않다. 성장기 벤처기업들이 특히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의사결정 중의 하나는 사업을 지속해야 할지, 아니면 기업의 지분을 외부에 매각하고 투자할 금액을 회수해야 할지와 관련된다. 이러한 출구 전략은 성장기 벤처기업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선택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기업들이 최초공모를 가장 대표적인 출구 전략으로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성장기 벤처기업들이 선택할 수 있는 다른 중요한 출구 전략 유형인 인수합병과 기업매각에 대한 논의는 제한된다. 이에 본 연구는 성장기 벤처기업이 직면하는 기업경영의 어려움과 성장기 벤처기업이 형성하게 되는 기업가적 지향성이 인수합병과 기업매각이라는 출구 전략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1,689개 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장기 벤처기업이 직면한 기술개발과 판로개척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자금운영의 어려움이 성장기 벤처기업들로 하여금 인수합병과 기업매각이라는 출구 전략을 고려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했다. 둘째, 벤처기업의 기업가적 지향성은 성장기 벤처기업들이 출구 전략을 고려하는데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미래의 연구 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 KCI등재

        성장기회와 차입금만기 선택에 관한 부채만기 이론의 실증연구

        주병철 한국경영교육학회 2023 경영교육연구 Vol.38 No.6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부채만기 이론의 관점에서 성장기회와 차입금만기의 관계를 실증분석하고 장단기 성장기회가 차입금만기 결정 그리고 차입금만기구조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연구대상기간은 2010년부터 2021년도까지이며 코스닥 시장에 등록된 벤처기업(289개)과 비벤처기업(450개)를 포함한 739개 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OLS모형과 고정효과모형 그리고 확률효과모형을 모두 분석하였으며, 하우스만 검정(Hausman test)에서 채택된 고정효과모형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총차입금의존도는 단기성장기회의 영향을 받으며 벤처기업과 비벤처기업 간에 차이가 존재한다. 하지만 저성장그룹에서 강한 양(+)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기업규모, 수익성, 자금부족, 유동성, 자산만기의 기업특성이 차입금만기구조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반면, 장기차입금의존도는 벤처기업의 장기성장기회와 음(-)의 관계가 있고 저성장 비벤처기업에서 양(+)의 관계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단기차입금의존도는 벤처기업과 비벤처기업의 저성장그룹에서 단기성장기회와 긍정적인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코스닥 기업의 성장기회와 부채만기 간의 관계를 성장기회의 수준과 장단기 차입금으로 세분화하여 규명함으로써 이론적 검증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벤처기업과 비벤처기업 그리고 고성장기업과 저성장기업의 부채만기 선택에 대한 의사결정에 중요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hort- and long-term growth opportunities on debt maturity decisions and debt maturity structure. [Methodology]The study period is from 2010 to 2021, and 739 venture (289) and non-venture (450) companies registered on the KOSDAQ market were selected. In the empirical analysis, the OLS model, fixed effect model, and random effect model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fixed effect model were adopted. [Findings]Reliance on borrowings confirmed a strong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short-term growth opportunities and the low-growth group, and corporate characteristics of company size, profitability, lack of funds, liquidity, and asset maturit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bt maturity structure. On the other hand, long-term borrowing dependenc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relationship with long-term growth opportunities of venture companies an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low-growth non-venture companies. In addition, dependence on short-term borrowings confirm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hort-term growth opportunities in the low-growth group of venture and non-venture companies. [Implications]This study deepened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opportunities and debt maturity, especially the debt maturity stru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high risk and dynamic growth companies.

      • KCI등재

        도시재생에서 공기업주도형 성장기계의 형성 과정 및 영향 분석

        이영은(Lee Young Eu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8 공간과 사회 Vol.28 No.3

        이 논문은 이익추구형 민간 도시개발과 달리 공공이 주도하는 도시재생사업에서는 공공성과 수익성이 동시에 실현되어야 함을 전제로 하고 있다. 도시재생사업이 기본적으로 국가, 지자체, 기금, 공기업 사업비 등 다양한 공공 자금을 특정 장소에 투입하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최근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실행력 제고를 위해 공공기관제안형이 등장하는 등 공기업의 역할도 확대되고 있는바, 공공과 민간의 복합적 성격을 갖는 도시재생에서 공공기관의 역할 및 기대 효과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전통적인 성장기계 이론을 근거로 도시재생에서 공기업이 주도하는 새로운 성장기계의 형성을 밝히고 이로써 나타나는 사업 성격과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4년에 선정된 13개 도시재생 선도사업의 활성화 계획상 단위사업 구성과 지가변동률을 분석했고 성장기계 형성 과정에 관련되는 주요 주체들의 인터뷰를 수행했다. 분석 결과 몇몇 사례에서 공기업주도형 성장기계의 형성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해당 지역에서는 성장기계가 형성되지 않은 여타 지역보다 성장추구형 개발사업과 지가 상승이 급격하고 빠르게 진행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작년에 새로 도입된 공공기관제안형 도시재생사업에 대해 공공기관의 역할과 사업 추진 방식, 사업 후 기대 효과 등 좀 더 세밀한 정책적 검토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ssumes that unlike the profit-seeking urban developmen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hould be implemented as public projects that seek both public and profitable at the same tim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basically a project to invest various public funds, including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funds and public corporations, into a specific loc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haracter of the growth machine in the regeneration projects which were selected as leading projects in 2014 by examining the process of building growth machine and the fluctuation rate of land price in the regeneration projects. Especially focussing on the projects which local government and public corporations together take part in. The analysis shows that traditional growth machines exist in urban regeneration but are formed by public corporations and that they have an impact on than in other areas where growth machines are not formed. Therefore, designing and promoting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the public-led growth machine is going to determine the success of the new urban regeneration newdeal projects which were chosen from 2017.

      • KCI등재

        비대칭 규제하에서의 기업의 신규투자와 토빈 Q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이원흠(Won Heum Lee) 한국경제연구원 2006 규제연구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기존투자의 수익률, 신규투자의 투자수익률을 모두 추정할 수 있는 M-M(1961, 1963)의 기업가치 평가모형을 바탕으로 기업투자의 결정요인인 성장기회에 대한 대용변수로 활용되는 토빈 Q를 대체할 변수를 개발하였다. 또한 새로 개발한 성장기회 대용변수(이하 “내재가치 Q”)를 이용하여 비대칭적인 기업지배구조 규제제도가 기업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BR>  공정거래법상의 대기업집단 지정제도와 증권거래법상의 대규모기업에 대한 지배구조 규제제도가 기업의 투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추정한 결과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토빈 Q에 대한 대안으로서 새로 개발한 성장기회 대용변수인 내재가치 Q변수는 투자-성장기회 민감도 분석에 있어서 일관되게 토빈 Q보다 상대적으로 우월한 특성을 보였다.<BR>  둘째, 내재가치 Q변수를 이용한 회귀분석 및 Logit분석 결과, 비대칭적 규제제도하에서 대기업집단 소속기업 및 대규모기업의 투자는 성장기회를 잘 반영하여 시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대칭적 규제제도의 강도가 작은 비그룹/소규모기업의 투자에 있어서는 성장기회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We develop a valuation model, based on the seminal papers of M&M(1961, 1963), to estimate the growth opportunities, the proxy variable of which will be called as “intrinsic Q”. Using the intrinsic Q, we are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investment and growth opportunities during the post-IMF period, when the government has exerted asymmetric regulations on corporate governance.<BR>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intrinsic Q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investment-growth opportunities sensitivity, which is stronger than quasi Tobin"s Q, which is adopted as a proxy variable of growth opportunities in general. Second, the large and Korean conglomerate firms show a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investment-growth opportunities sensitivity than the smaller and non-conglomerate firms.<BR>  In sum, the regulations on corporate governance would help firms with great growth opportunities to invest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