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설인귀 전설의 존재양상과 서사적 특징에 관한 연구

        권도경(Kwon Do-kyung) 한국국학진흥원 2007 국학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파주 지역에 전승되는 설인귀 전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서사구조적 특징과 인물 형상화의 양상 및 향유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설인귀 전설 속에 나타난 거인 신화의 대식大食 모티프 및 인간과의 갈등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설인귀 전설 속에서 설인귀는 일상인을 초월한 신화적인 능력의 소유자로 나타난다. 설인귀와 일상인을 구별 짓는 차이, 즉 자연의 징표는 ‘대식’이라는 행위로 상징화되어 나타난다. 둘째, 아기장수 전설 유형의 자아와 세계의 대결 구조가 설인귀 전설 속에 구현되는 양상과 방식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자식과 식량 다툼을 벌이는 설인귀의 부모는, 자신의 안위보신을 위해 자식을 죽이는 아기장수의 부모에, 대식이라는 설인귀의 초월적인 능력의 징표는 날개라는 아기장수의 신화적인 능력의 신표에, 설인귀가 훈련을 하는 석굴은 아기장수의 암굴에, 설인귀의 용마는 아기장수의 용마에 각각 대응된다. 설인귀는 고ㆍ당 전쟁이라는 국제전쟁을 현실세계의 배경으로 한다는 점에서 아기장수 전설의 하위 유형 중에서도 그 갈등의 대상이 가족으로부터 국가로 확대되는 우투리 유형에 해당되며, 현실세계와의 대결 속에서 승리한다는 점에서 아기장수 전설 중에서도 드물게 보이는 성공형에 해당한다. 셋째, 설인귀 풍속신앙 전설은 감악산 설인귀비 유래담으로 존재하며, 그 서사구조는 두 가지 패턴으로 나타난다. 하나는 제향의 요구와 정치의 패턴이고, 다른 하나는 접촉 금기와 징벌의 패턴이다. 제향과 공양을 요구하는 패턴이든 사당ㆍ비석ㆍ공물에 접촉을 금지하는 패턴이든 모두 신격이 인간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일정하게 제한하는 전제 사항이 있고, 이를 어겼을 경우에 징벌을 내리는 금기의 서사로 구조화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narrative construction of the Seolingui(설인귀) legend in three sides. The first is the complicating construction with people as the result of the big-eating(大食) motive of giant myth. the big-eating motive, as what originates form the myth, describes conflicts with all in a day's man becourse of Seol-in-gui's remarkable ability as superman falling in the mundane world. The second is the antagonism between the ego and the world of the baby-general legend(아기장수 전설). The Seolingui's parents conflicting with the self children becourse of capacity for eating correspond to the baby-general's parents, Seolingui's big-eating corresponds to the baby-general's wings as the godhood, the stone cave where Seolingui trains corresponds to the baby-general's cavern, the Seolingui's swift horse corresponds to the baby-general's that. The Seolingui legend is within the purview of the Uturi-type that subject of conflict is magnified from the family to the nation out the baby-general legend in that it goes on in the background of the comity of the nations, Koguryo and Dang war and it is applicable to the success-type out of that in that he succeedes in the conflict with the real world. The third is the taboo-construction of the religious customs. The Seolingui legend about the religious customs exsists as what explains the origin of the Seolingui's monument in Gamac-mountain(감악산) and that narrative structure appears as two patterns. The one is the pattern demandind a sacrificial rite, the other is the pattern of correction.

      • KCI등재

        활자본 「설인귀전」과 「설정산실기」를 통해 본 영웅성과 여성의 자아실현

        이광훈(Lee, gwang hu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1 No.-

        설인귀 관련 고사는 삼국지연의 못지않게 중국에서 활발히 전개되어 국내에서도 끊임없이 읽혔다. 필사본, 방각본, 활자본 등으로 국내에 유통되면서 많은 변이양상을 보이게 된다. 당시 사회의 사회상과 독자들의 추구를 반영한 군담소설은 영웅지향적인 면모로 많은 인기를 끌게 되었다. 『설인귀정동(薛仁貴征東)』과 『설정산정서(薛丁山征西)』는 『설인귀전』과 『설정산실기』로 20세기 초부터 구활자본으로 국내에서 간행된 작품이며, 『설정산정서(薛丁山征西)』는 『설인귀정동(薛仁貴征東)』의 속편이자 설인귀와 아들 설정산을 주요인물로 다룬 군담소설이다. 이 두 영웅을 다룬 군담소설이 국내에 유통되면서 오로지 군담소설만이 아닌 『설인귀전』과 같은 남성영웅을 다룬 작품, 여성영웅 및 혼인과 갈등을 그린 『설정산실기』와 같은 작품으로 다양하게 발전된다. 이것은 번역 및 번안과정에서 드러난 작자의 의도적인 표현이며 이러한 작품의 변화과정은 문학사적으로도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Stories about Xue Rengui was as widely spread as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both in China and in Korea. It was circulated through manuscript, block-printed edition as well as a printed book in Korea. As a result, there were many different versions of stories. At time, martial novels which can reflect the society and audience’s pursuit contained more heroic material, so that Xue Rengui won much popularity. “Xue Rengui’s Campaign to the East (薛仁貴征東)” and “Xue Dingshan to the west (薛丁山征西)” were published as “Biography of Xue Rengui” and “Document of Xue Dingshan” in old printed book in Korea in the early 20 centary. “Xue dingshan to the west (薛丁山征西)” was actually a martial novel, which was a sequel to “Xue Rengui’s Campaign to the East (薛仁貴征東)”, writing about stories among Xue Rengui and his son Xue Dingshan. These two well-developed publication as the hero novel “Biography of Xue Rengui” and a novel depicting the translation and adaptation.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of these kind of literary work, we think there is also much important valu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 KCI등재

        설인귀 전설의 비교 고찰

        이기형(Lee Ki-Hyung) 한국민속학회 2006 韓國民俗學 Vol.44 No.1

        파주시 적성 지역에는 당나라 장수인 설인귀에 대한 전설이 전승되고 있다. 설인귀는 삼국의 흥망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당태종을 도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신라의 통일을 방해한 당나라의 장수이다. 이 글은 왜 적성지역에 설인귀에 대한 전설이 전해지며, 심지어는 신으로까지 추앙되는 까닭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과 중국 역사서에 남아있는 설인귀의 흔적을 탐색해보았다. 한국과 중국 문헌에 나타난 기록은 설인귀의 생애를 분명히 밝히는 객관화된 자료로 삼기에는 부족하다. 소설〈설인귀전〉도 중국인들의 문학적 형상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역사설 진실과는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파주시 적성 지역에는 역사서에 언급되지 않은 설인귀의 출생과 성장과정, 무예를 연마한 곳에 대한 지명전설이 전해진다. 그렇다면 적성지역의 지명전설은 설인귀에 대한 역사 기록의 빈 곳을 메울 수 있는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을 것이다. 또 적성지역에는 설인귀가 엄청난 대식가로 기운이 장사였다는 영웅으로서의 면모가 강조된 서사구조의 이야기와, 설인귀를 기리는 비석을 꿈속에서 황소가 감악산으로 올려갔다는 설인귀비에 얽힌 이야기도 전승된다. 이러한 전설은 설인귀가 적성에서 출생하고 성장한 인물이라는 점을 암시하는 것이다. 물론 이 전설들이 설인귀가 한국인이라는 논리에 대한 객관적 근거가 되지는 못한다. 그러나 중국이나 한국의 역사서들 또한 객관성을 입증하지 못한다면 적성의 설인귀 전설은 설인귀가 적성에서 출생하여 당나라 군대에 투군하기까지의 공백을 메워줄 수 있는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인들에게 설인귀는 당태종을 구하고 고구려를 정벌한 영웅으로 인식되어 있다. 때문에 설인귀는 문학적으로 형상화되어 여러 갈래의 예술에 등장한다. 특히 소설〈설인귀전〉은 많은 인기를 끌었는데 세부화소를 통해서도 설인귀가 적성에서 출생한 인물이라는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적성지역에 전승되는 설인귀 관련 설화와 역사적 기록을 조합한다면 부분적인 흔적만 존재하는 설인귀라는 인물의 삶을 온전히 복원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Paju, there found the legend of the Tang Warrior, Seol Inkwi. He largely contributed to the conquest of Koguryo and prevented three countries from being unified as one country. This research starts from the basic question - why the legend of Seol InKwi is found in Jeoksung. Jeoksung, Paju has three types of legendary stories concerning Seol Inkwi. The first one is a geographical legend that Seol Inkwi was born in Jeoksung. Then, another legend says that Seol Inkwi ate a lot of rice and had a great power. The last, but not least, story is about a bull that carried an uncarved tombstone in his dream. All these legends commonly prove that Seol Inkwi was not Chinese but Korean. In China, there is also a geographical legend which describes Seol Inkwi's life as a warrior. Seol Inkwi's whole life can be inferred from these legendary stories. In China, there is a novel〈설인귀전〉, which attracted Korean readers once it was translated from Chinese to Korean. This novel contains a lot of valuable subjects which can be possibly connected to the legend of Seol Inkwi. Seol Inkwi, born in Jeoksung, was a strong man, but he was not able to accomplish his dream because of his low class. He, therefore, went to Tang, showed his great power and finally became a warrior. Seol Inkwi went up to the high-ranking officials with the recognition of his accomplishments and then decided to give a big help to his hometown, Jeoksung. There, people erected a monument to pay a tribute to Seol Inkwi after his death. The legend of Seol Inkwi found in Jeoksung plays an essential role in giving a life again to a historial figure, Seol Inkwi.

      • KCI등재

        조선후기 설인귀 인식의 맥락과 문학적 반영의 의미

        엄태웅 한민족어문학회 2011 韓民族語文學 Vol.0 No.59

        <Seol-in-gwi-jeon> which originated from Chinese novel, affected Korean classical hero(heroine) novel. So this research considered the reason why so many Korean classical hero(heroine) novel accepted <Seol-in-gwi-jeon>. To achieve that, this research pay attention to the perception of history in late Chosun dynasty, 『Dong-sa-kang-mok』 and 『Hae-dong-yeok-sa』 . In late Chosun dynasty history books, there were well-disposed recognitions to Seol-in-gwi that main character of <Seol-in-gwi-jeon>. Seol-in-gwi is also real person in Tang[唐] dynasty who attacked Goguryeo[高句麗]. Nevertheless Chosun people were friendly to Seol-in-gwi, and enjoyed <Seol-in-gwi-jeon>. This irony could occur because of sinocentrism in late Chosun dynasty. So many Korean classical hero(heroine) novel accepted Seol-in-gwi and <Seol-in-gwi-jeon>. 본고는 다수의 영웅소설 작품들에서 설인귀 및 <설인귀전>의 영향이 확인된다는 선행 연구 성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왜 유독 설인귀가 영웅소설 서사에 반영되었는지 그 이유를 고찰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설인귀전>과 영웅소설이 공유하고 있는 정치적‧윤리적 가치관을 통해 문제를 해명하기 위해, 우선 <설인귀전>과 영웅소설이 성행했던 당시의 대표적 역사서들 속에 등장하는 설인귀와 그 주변 인물들에 대한 역사가들의 평가에 주목했다. 18‧19세기를 대표하는 역사서라 할 수 있는 『동사강목』과 『해동역사』 속 설인귀에 대한 평가를 살펴본 결과, 당시 설인귀가 조선에서 상당히 호의적인 인물로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그 주변 인물, 즉 당태종과 연개소문 등에 대한 평가를 살펴본 결과, 당태종에게는 우호적 시선이, 연개소문에게는 상당히 부정적 시선이 감지되었다. 이것이 역사 인식이라는 구조적 문제라고 할 때, 이는 중화 계승 의식과 문화적 중화주의의 주체라고 생각했던 조선이, 오랑캐 지역에 웅거했던 고구려보다는 중화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던 당나라의 시각에서 과거를 기억하려 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왜 다른 영웅이 아닌 설인귀였을까. 본고는 그 이유를 중화를 계승하고자 했던 조선의 입장과 설인귀의 처지에서 보이는 유사성에서 찾았다. 설인귀는 변방 출신이지만, 중원의 위기를 구하는 영웅적 활약을 하는 인물로서, 그 모양새가 흡사 조선의 당시 상황과 비슷했기 때문이다. 결국 이러한 의식을 갖고 있었던 <설인귀전>이 화소의 차원은 물론 구조적 측면까지도 영웅소설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은, 영웅소설 또한 이와 같은 정치적‧윤리적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영웅소설의 성행은, 비교적 폭넓은 계층의 조선 사람들이, 중화주의의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고 있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른바 ‘윤리적 통속’의 산물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설인귀전>과 영웅소설의 관계의 의의는 보다 더 조명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영웅소설의 형성과 전개를 이해하는 데 있어, <설인귀전>과 영웅소설이 공유하고 있는 정치적‧윤리적 가치관을 기준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조선시대 설인귀 서사의 대중화 양상과 그 시대의식

        서혜은 동양고전학회 2017 東洋古典硏究 Vol.0 No.67

        이 논문은 <설인귀전>의 여러 이본과 <당태종전> <울지경덕전> <천개소문전> <서정기> <설정산실기> <번리화정서전>을 대상으로 조선시대 설인귀 서사의 대중화 양상과 시대의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인귀는 여⋅당 전쟁 당시 활약했던 당나라 장수이다. 적국의 장수였던 설인귀에 대한 서사가 조선시대 대중성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은 임병양란 이후 강성한 국력을 지녔던 고구려사를 재인식하고 고토 회복 담론의 부각으로 인해 가능했다. 또한 설인귀 서사와 유사하게 전개되는 <소대성전>이 인기를 확보하고 있었고 설인귀와 함께 여⋅당 전쟁에서 활약했던 당태종과 울지경덕에 대한 고사가 성행하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 속에서 설인귀의 요동 정벌 서사와 영웅성이 점진적으로 부각되고 <설인귀전>에 등장한 당태종⋅울지경덕⋅합소문에 대한 독립 서사가 형성되며 여성 영웅들이 서번을 정벌하는 서사로 확장된 설인귀의 후속 서사가 수용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대중성을 확보했다. 이러한 설인귀 서사의 대중화 양상에는 민중과 여성의 등용과 이민족 세력 통합의 필요성과 국력이 약화된 조선의 현실과 함께 중국을 견제할 국력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시하는 시대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popularise aspects and consciousness of times about Seol-In-Gui's narrative in the Joseon Dynasty. Seol-In-Gui is general of Dang(唐) and he entered the war between Goguryeo(高句麗)and Dang. The war between Goguryeo and Dang is ended victory of Goguryeo. And Joseon peoples was long for power of Goguryeo and recognized again history of Goguryeo. So discourse of regaining native land was formed in the Joseon Dynasty. Besides <So-Dae-Seong-Jeon> was very popular in the Joseon Dynasty. Seol-In-Gui's narrative and <So-Dae-Seong-Jeon> are quite similar. And Dang-Tae-Jong, Ul-Ji-Gyeong-Deg's old story was prevalence. Dang-Tae-Jong and Ul-Ji-Gyeong-Deg entered war between Goguryo and Dang. Therefore Seol-In-Gui's narrative was popular in the Joseon Dynasty. Popularise aspects of Seol-In-Gui's narrative as follows. First, Seol-In-Gui's conquest of Yodong(遼東) narrative and heroism was gradually emerged in Seoul block printed of 40, 30 sheets version and printed book of <Seol-In-Gui-Jeon>. Second, Dang-Tae-Jong, Ul-Ji-Gyeong-Deg, Hab-So-Mun's individual narrative was formed. Third, Seol-In-Gui's narrative was expended to female hero's conquest of West-Beon(西蕃) narrative. Because <Seo-Jeon-San-Gi> <Seol-Jeon-San-Sil-Gi> <Ben-Li-Hwa-Jeong-Seo-Jeon> are adaptations of <Seol-Jeong-San-Jeong-Seo>. And <Seol-Jeong-San-Jeong-Seo> is succession of Seol-In-Gui's narrative. Seol-In-Gui is people, Ben-Li-Hwa is female, Ben-Li-Hwa and Ul-Ji- Gyeong-Deg are ethnic. It is revealed that people, female, ethnic are real ability of Chinese nation. Furthermore it is revealed that people and female must are appointed and ethnic must is combined. Besides it is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built up national strength of Joseon Dynasty like Goguryeo and Goryeo. After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36 national strength of Joseon Dynasty was weaken. So the Joseon Dynasty People long to be intensifed national strength keep in check China.

      • KCI등재

        연구논문 : 전통시기의 감악산(紺岳山) 숭배와 산신(山神) 설인귀(薛仁貴)

        변동명 ( Dong Myeong Byeo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2 No.-

        감악산은 조선시기 적성현의 진산이었다. 전통시기 한반도의 서북지역과 중부지역을 연결하는 교통로를 공제하는 요충이었다. 이 일대는 삼국말엽에서 나당전쟁기에 치열한 쟁탈의 대상이었으며, 통일신라가 임진강 넘어 고구려 고토로 진출하는 길목이었다. 그리하여 감악산 일원의 그와 같은 전략적 중요성에 주목한 신라 중앙에서, 통일전쟁이 끝나고 체제 정비에 나서면서 감악산을 小祀에 등재하였다. 신라의 중앙귀족은 감악산을 주재하는 산신으로 唐將薛仁貴를 추앙하였다. 한강 이북과 임진강 유역 일원의 주민들 사이에 잠재하던 고구려 유민의식의 분출을 저지하려는 목적에서였다. 당의 장수 설인귀를 내세워 공포감을 불러일으킴으로써 고구려를 향한 회고의 감정을 자제토록 억압하며, 또한 고구려의 멸망이 강대국 당에 의한 것이었음을 강조함으로써 불가항력의 어찌할 수 없는 사태였던 것으로 체념토록 유도하기 위함이었다. 아울러 발해의 등장으로 동요하던 고구려 고토의 주민들을 안정시키기 위함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고구려의 옛 땅을 제 영역으로 굳히며 그 주민을 신라인으로 흡수하고자 하였다. 감악산은 고려시기에 국가적인 제향의 대상이었다. 신라말 고려초에 적성지역의 호족들은 설인귀를 그 고장 출신으로 선전하며, 자신들 역시 감악산신 설인귀를 계승한 지역사회의 수호자임을 과시하려 들었다. 그리고는 마침내 거란의 침입을 물리친 전공을 앞세워 감악산신 설인귀의 존재를 인정받음과 동시에 지역사회를 이끄는 지도자로서 자신들의 존재를 널리 각인시키기에 이르렀다. 고구려 계승을 표방하던 고려에서, 고구려 멸망 및 그 유민의 탄압에 앞장서던 당의 장수 설인귀가 감악산신으로 인정받기에 이른 경위는 그러하였다. 이후 고려왕조 내내 감악산신 설인귀는 지역사회와 국가의 수호신으로 숭앙되었다. 또한 왕실을 비롯하여 公卿士庶에 이르기까지 消災招福을 빌며 감악산신 설인귀에게 제향을 올리는 게 하나의 관습으로 자리를 잡았다. 감악산 신당에 모셔진 설인귀 부부를 포함한 그 가족 6인의 神像은, 이를테면 그처럼 확고히 뿌리내린 고려시기 감악산 숭배의 상징물이라 하여 지나치지 않은 셈이었다. 조선 유교사회의 전개와 함께 감악산 숭배에도 변화가 찾아왔다. 유교식 제향을 위한 사우인 紺岳祠가 세워지고, 그곳에 위패를 봉안하여 매년 3차례씩 정기적으로 유교식 예제에 따른 제의가 행해지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한편에서는 설인귀를 神體로 하는 민간의 감악산신당이 유지되는 가운데 소재초복을 비는 제향도 끊이지를 않는 게 현실이었다. 유교식 제향을 위한 감악사와 전래의 설인귀사당이 공존함으로써, 공적인 유교식 예제와 민간에서의 전통적인 산악숭배 관습이 적절히 타협한 모양새였다. 그렇지만 조선후기로 내려갈수록 유교식 예제가 정착되어가는 반면에 전래의 감악산 숭배가 약화되어가는 건 어찌할 수 없는 추세였다. 자연히 감악산신 설인귀의 존재도 점점 희미해져갔으며, 세월의 흐름과 더불어 기억에서 사라져갔다. In ancient times, Mt. Kamaksan was a strategic point between the northwestern and central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was the very reason that the Silla Kingdom considered Mt. Kamaksan so important and registered it as an official mountain on which official rituals were conducted. It was considered to be godly. Aristocrats who lived in the capital of Silla deified Sol In-gui(Xue Ren-Gui in Chinese), a general of Tang China, and revered him as a Mountain God of Mt. Kamaksan. The intension was to prevent people residing in the area between the Hangang River to Imjingang River from asserting their sense of identity as people of the fallen Koguryo Kingdom. The aristocracy of Silla intended to inspire fear among the people of this area by raising the specter of General Sol In-gui, who brought the Koguryo Kingdom to an end. By doing so, Silla tried to induce people of Koguryo to suppress their nostalgia for Koguryo and resign themselves to the their fate as subjects of Silla. The royal court of the Koryo Kingdom continued to perform rituals to Mt. Kamaksan. Powerful local gentry of the Kamaksan area, for example Choksong county, claimed that Sol In-gui was from the area. They represented themselves as guardians of the community in the spirit of Sol In-gui, the Mountain God of Mt. Kamaksan. Citing their military distinction in vanquishing foreign enemies, the local gentry demanded that the Koryo Royal Court recognize Sol In-gui, the Mountain God of Mt. Kamaksan. This would greatly bolster their authority in the area. Throughout the Koryo period, the Mountain God of Mt. Kamaksan, Sol In-gui, was worshipped as a guardian god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nation. It also became custom to pray to the Mountain God of Mt. Kamaksan to ward off disasters and bring good fortune. Choson was a Confucian state. A shrine called Gamaksa was built on the top of Mt. Kamaksan to perform official Confucian rituals three times a year, but the local residents continued to maintain the shrine dedicated to Sol In-gui. With both Kamaksa Shrine and Sol In-gui Shrine in the area, the official Confucian rituals and the time-honored practices of the local people of worshipping the mountain became reconciled to some degree. However, later in the Choson period, Confucian rituals took root more strongly, and the traditional worship of Mt. Kamaksan naturally began to fade away. Belief in Sol In-gui, the Mountain God, declined little by little until it ultimately disappeared from the memory of people entirely.

      • KCI등재

        고⋅당 전쟁문학 「설인귀전」과 설인귀 전설의 내용적 상관관계에 관한 비교 고찰

        권도경 동양고전학회 2007 東洋古典硏究 Vol.26 No.-

        본 연구에서는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과 설인귀 전설에 나타난 모티프 상의 유사성과 그 내용적 상관관계에 관해 중점적으로 고찰을 시도해보았다. 첫째, 파주 일대에서 전승되는 설인귀 전설은 설인귀라는 하나의 자아가 현실 세계와의 사이에서 겪는 갈등의 본질을 이 대식 화소를 통해 상징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과 동일한 양상을 보여준다. 대식 화소의 공유와 미의식적 유사성은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성립 및 형성 과정에 설인귀 전설이 미친 영향을, 즉 둘사이의 교섭양상의 맥을 짚어볼 수 있게 한다. 둘째,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외삼촌 박대담은 거의 유사한 형태 그대로 설인귀 전설 속에서 등장하며, 서사구조 내부의 기능도 동일하다. 외삼촌 박대담은 설인귀 전설의 향유층이 특별히 흥미를 가지고 향유한 모티프로,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외삼촌 박대담이 이 설인귀 전설의 그것과 상관관계를 맺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소를 위협하는 짐승을 퇴치하고 농경을 원활하게 만드는 설인귀의 무용은 무속신앙의 관습에서 봤을 때 풍요를 기원하는 농경제의의 한 장면을 연상시키는 측면이 있는 것으로, 파주 일대에서 전승되고 있는 설인귀 풍속신앙 전설의 제향 구조와 거의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병기 획득 모티프가 소 몰아 밭 갈기와 큰 짐승퇴치하기 화소와 전후의 맥락 속에서 인과성을 가지고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설인귀전」의 이 계열본 형성 과정에 있어서 설인귀 전설이 중요한 한 원천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설인귀정동」 42회본에는 용마 획득 장면이 등장하지 않는데다, 특별한 서사적인 의미를 차지하지 않지만,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과 설인귀 전설에서는 이 모티프가 영웅적인 장수란 모름지기 용마를 얻어서 타고 다녀야 한다는 관념은 한국의 전통적인 아기장수 전설에 나오는 용마 모티프와 관련되어 중요한 서사적인 의미를 차지하고 있다.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형성과정에서 아기장수 전설의 미의식을 흡수한 설인귀 전설의 용마 획득 모티프가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studied on the sameness of motive and distinctions of contents that appears equally in between the series of「Seol-in-gui-chon」 that make 「Seol-in-gui-chon」 as the representatives being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Seolingui legend. The motives, that appears equally in between the series of 「Seol-in-gui-chon」 that make 「Seol-in-gui-chon」 as the representatives being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Seolingui legend, is arranged as three aspects. The first is big-eating motive The second is the ill-treatment motive of maternal uncle The third is the arms-getting motive and the swift horse-getting notive.

      • KCI등재

        고전소설 속 여․당 참전 중국인의 형상화 방식과 시대적 의미

        서혜은(Seo Hye eu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한국고전연구 Vol.0 No.36

        <설인귀전>․<당태종전>․<울지경덕전>은 중국 장편소설 <설인귀정동>․<서유기>․<당진연의>의 일부 서사를 개작한 작품이다. 조선 후기 강성했던 고구려 국력에 대한 갈망과 설인귀 서사가 유입되어 대중성을 확보하고 당태종․설인귀․울지경덕이 신격화된 고사가 전승되면서 <설인귀전>․<당태종전>․<울지경덕전>이 간행된다. <설인귀전>․<당태종전>․<울지경덕전>에서 설인귀는 귀족적 영웅에서 민족적 영웅으로 역행하는 모습으로, 당태종은 정복욕에 충실한 군주의 표상으로, 울지경덕은 충절의 화신으로 형상화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당태종과 울지경덕의 형상은 <설인귀전>과 <울지경덕전>의 이본에 따른 차이가 있다. <설인귀전>․<당태종전>․<울지경덕전>에 형상화된 당태종의 모습에는 비판적 시각이 부각되어 있지만 설인귀와 울지경덕의 경우에는 우호적인 시각이 형성되어 있다. 세 작품에 형상화된 설인귀․당태종․울지경덕의 모습에는 조선 시대 요동 회복에 대한 염원과 한민족의 역량에 대한 자긍심 그리고 용맹과 충절을 갖춘 이상적 통치자가 부재하는 조선의 현실과 이상적 통치자의 출현을 염원하는 대중의 요구가 반영되어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imagery method and meaning of that times about Chinese participated in war between the Goguryo and Dang in <Seol-In-Gui-Jeon>, <Dang-Tae-Jong-Jeon>, <Ul-Ji-Gyeong-Deg-Jeon>. These three novels are adaptation of <Seol-In-Gui-Jeog-Dong>․<Seo-Yu-Gi>․<Dang-Jin- Yeon-Ui>. These are Chinese long novel and flowed in Jo-Seon Dynasty. And Seol-In-Gui, Dang-Tae-Jong, Ul-Ji-Gyeong-Deg were participated in war between the Goguryo and Dang. A Manchu war repeatly broke out in Jo-Seon Dynasty. Therefore national power was weaken. So people of Jo-Seon Dynasty longed for national power of Goguryo. And narrative of Seol-In-Gui was flowed from China. Besides Seol-In-Gui, Dang-Tae-Jong, Ul-Ji-Gyeong-Dege were deified and the story was transmitted. Therefore <Seol-In-Gui-Jeon>․<Dang-Tae-Jong-Jeon>․<Ul-Ji-Gyeong-Deg-Jeon> were able to published. Seol-In-Gui only come on stage in <Seol-In-Gui-Jeon>. Seol-In-Gui was embodied aristocratic hero in Seoul block novels and national hero in printed books. Seoul block novels earlier were published than printed books. And Seol-In-Gui was embodied national hero in Chinese Seol-In-Gui narrative. Accordingly Seol-In-Gui was changed from aristocratic hero to national hero in Jo-Seon Dynasty. Dang-Tae-Jong come on stage <Seol-In-Gui-Jeon>․<Dang-Tae-Jong- Jeon>․<Ul-Ji-Gyeong-Deg-Jeon>. Dang-Tae-Jong was jointly embodied that he had thirst for conquest. His behavior was justified in <Ul-Ji- Gyeong-Deg-Jeon>. But his war of conquest was criticized in <Seol- In-Gui-Jeon>․<Dang-Tae-Jong-Jeon>. Ul-Ji-Gyeong-Deg also come on stage <Seol-In-Gui-Jeon>․<Dang- Tae-Jong-Jeon>․<Ul-Ji-Gyeong-Deg-Jeon>. His loyalty about Dang-Tae- Jong jointly was stood out in three novels. Besides loyalty about Yu-Mu-Ju was stood out in <Ul-Ji-Gyeong-Deg-Jeon>. But Ul-Ji-Gyeong-Deg was lacked of problem solving and judgement in <Seol-In-Gui-Jeon>. And he is effeminate and narrow-minded. Seol- In-Gui, Dang-Tae-Jong, Ul-Ji-Gyeong-Deg s shape is revealed desire getting back of Yodong and the Han race s capability. Seol-In-Gui and Ul-Ji-Gyeong-Deg are generals of the enemy. But their dauntlessness and loyalty was exemplified public of Jo-Seon Dynasty. Therefore amicable perspective about Seol-In-Gui and Ul-Ji-Gyeong-Deg is revealed that ideal rulers are not in Jo-Seon Dynasty and public want ideal rulers.

      • KCI등재

        전통시기의 紺岳山 숭배와 山神 薛仁貴

        변동명 호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2 No.-

        감악산은 조선시기 적성현의 진산이었다. 전통시기 한반도의 서북지역과 중부지역을 연결하는 교통로를 공제하는 요충이었다. 이 일대는 삼국말엽에서 나당전쟁기에 치열한 쟁탈의 대상이었으며, 통일신라가 임진강 넘어 고구려 고토로 진출하는 길목이었다. 그리하여 감악산 일원의 그와 같은 전략적 중요성에 주목한 신라 중앙에서, 통일전쟁이 끝나고 체제 정비에 나서면서 감악산을 小祀에 등재하였다. 신라의 중앙귀족은 감악산을 주재하는 산신으로 唐將 薛仁貴를 추앙하였다. 한강 이북과 임진강 유역 일원의 주민들 사이에 잠재하던 고구려 유민의식의 분출을 저지하려는 목적에서였다. 당의 장수 설인귀를 내세워 공포감을 불러일으킴으로써 고구려를 향한 회고의 감정을 자제토록 억압하며, 또한 고구려의 멸망이 강대국 당에 의한 것이었음을 강조함으로써 불가항력의 어찌할 수 없는 사태였던 것으로 체념토록 유도하기 위함이었다. 아울러 발해의 등장으로 동요하던 고구려 고토의 주민들을 안정시키기 위함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고구려의 옛 땅을 제 영역으로 굳히며 그 주민을 신라인으로 흡수하고자 하였다. 감악산은 고려시기에 국가적인 제향의 대상이었다. 신라말 고려초에 적성지역의 호족들은 설인귀를 그 고장 출신으로 선전하며, 자신들 역시 감악산신 설인귀를 계승한 지역사회의 수호자임을 과시하려 들었다. 그리고는 마침내 거란의 침입을 물리친 전공을 앞세워 감악산신 설인귀의 존재를 인정받음과 동시에 지역사회를 이끄는 지도자로서 자신들의 존재를 널리 각인시키기에 이르렀다. 고구려 계승을 표방하던 고려에서, 고구려 멸망 및 그 유민의 탄압에 앞장서던 당의 장수 설인귀가 감악산신으로 인정받기에 이른 경위는 그러하였다. 이후 고려왕조 내내 감악산신 설인귀는 지역사회와 국가의 수호신으로 숭앙되었다. 또한 왕실을 비롯하여 公卿士庶에 이르기까지 消災招福을 빌며 감악산신 설인귀에게 제향을 올리는 게 하나의 관습으로 자리를 잡았다. 감악산신당에 모셔진 설인귀 부부를 포함한 그 가족 6인의 神像은, 이를테면 그처럼 확고히 뿌리내린 고려시기 감악산 숭배의 상징물이라 하여 지나치지 않은 셈이었다. 조선 유교사회의 전개와 함께 감악산 숭배에도 변화가 찾아왔다. 유교식 제향을 위한 사우인 紺岳祠가 세워지고, 그곳에 위패를 봉안하여 매년 3차례씩 정기적으로 유교식 예제에 따른 제의가 행해지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한편에서는 설인귀를 神體로 하는 민간의 감악산신당이 유지되는 가운데 소재초복을 비는 제향도 끊이지를 않는 게 현실이었다. 유교식 제향을 위한 감악사와 전래의 설인귀사당이 공존함으로써, 공적인 유교식 예제와 민간에서의 전통적인 산악숭배 관습이 적절히 타협한 모양새였다. 그렇지만 조선후기로 내려갈수록 유교식 예제가 정착되어가는 반면에 전래의 감악산 숭배가 약화되어가는 건 어찌할 수 없는 추세였다. 자연히 감악산신 설인귀의 존재도 점점 희미해져갔으며, 세월의 흐름과 더불어 기억에서 사라져갔다. In ancient times, Mt. Kamaksan was a strategic point between the northwestern and central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was the very reason that the Silla Kingdom considered Mt. Kamaksan so important and registered it as an official mountain on which official rituals were conducted. It was considered to be godly. Aristocrats who lived in the capital of Silla deified Sŏl In-gui(Xue Ren-Gui in Chinese), a general of Tang China, and revered him as a Mountain God of Mt. Kamaksan. The intension was to prevent people residing in the area between the Hangang River to Imjingang River from asserting their sense of identity as people of the fallen Koguryŏ Kingdom. The aristocracy of Silla intended to inspire fear among the people of this area by raising the specter of General Sŏl In-gui, who brought the Koguryŏ Kingdom to an end. By doing so, Silla tried to induce people of Koguryŏ to suppress their nostalgia for Koguryŏ and resign themselves to the their fate as subjects of Silla. The royal court of the Koryŏ Kingdom continued to perform rituals to Mt. Kamaksan. Powerful local gentry of the Kamaksan area, for example Chŏksŏng county, claimed that Sŏl In-gui was from the area. They represented themselves as guardians of the community in the spirit of Sŏl In-gui, the Mountain God of Mt. Kamaksan. Citing their military distinction in vanquishing foreign enemies, the local gentry demanded that the Koryŏ Royal Court recognize Sŏl In-gui, the Mountain God of Mt. Kamaksan. This would greatly bolster their authority in the area. Throughout the Koryŏ period, the Mountain God of Mt. Kamaksan, Sŏl In-gui, was worshipped as a guardian god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nation. It also became custom to pray to the Mountain God of Mt. Kamaksan to ward off disasters and bring good fortune. Chosŏn was a Confucian state. A shrine called Gamaksa was built on the top of Mt. Kamaksan to perform official Confucian rituals three times a year, but the local residents continued to maintain the shrine dedicated to Sŏl In-gui. With both Kamaksa Shrine and Sŏl In-gui Shrine in the area, the official Confucian rituals and the time-honored practices of the local people of worshipping the mountain became reconciled to some degree. However, later in the Chosŏn period, Confucian rituals took root more strongly, and the traditional worship of Mt. Kamaksan naturally began to fade away. Belief in Sŏl In-gui, the Mountain God, declined little by little until it ultimately disappeared from the memory of people entirely.

      • KCI등재

        <설인귀전>의 소설사적 존재 의미

        양승민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First of all, <Seolingwijeon(薛仁貴傳)> has been argued back and forth between translated novel and creative novel amid what the discussion of surrounding the text problem forms the mainstream in the meantime. As a result of review, it is the best plan of understanding the reality itself as saying that the Joseon version <Seolingwijeon> is a kind of 'group of works,which had advanced even to the point of being changed nearly into the recreation level with starting from the translated version.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uch as the translated version, which was established amid the relationship of translation with the original work in Chinese version, and the adapted version of passing through the stage of 'Joseon translated version' without being directly succeeded through the relationship of translation. Especially, these copies in the group of adapted versions are the universal outcome that diverse text movements had produced in the process of distributing novels in Joseon period such as translation,transcription, and re-translation. Next, <Seolingwijeon> is one of works that are high in novel-history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value, which the 'existence' itself has without stopping in a research of text with being basically 'translated novel'. As <Seolingwijeon> is the translated novel in a word that was changed into 'Korean-styled hero novel', it is important just in the point that was produced according to creative tradition and typological style in our country's novel history. Accordingly, it is natural to necessarily address all of the translated novels in Joseon period like <Seolingwijeon> in the category of 'Korean literature'. There is a need of re-establishing a sight on a problem of nationality with escaping from 'originalism' and of changing recognition as saying that even translated novel is definitely Korean literature. Meanwhile,when seeing from the data-based realities of translated novels in Joseon version, those things have stature as a leading role that developed the history of classic novel together with creative novel. Thus, they should be naturally addressed with the same weight as the creative novel. We can criticize superiority in each of novel works. However, a sight of treating the translated novels as the one of frontier compared to creative novel cannot help exposing a big loophole in analyzing history of novel. 우선 <설인귀전>은 그동안 텍스트 문제를 둘러싼 논의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번역소설과 창작소설 사이에서 설왕설래가 많았다. 재검토 결과, 조선본 <설인귀전>은 번역본으로부터 출발해 거의 재창작 수준으로 변모하는 지점에로까지 나아간 일종의 '작품군'이라는 실상 그 자체를 이해하는 것이 상책이다. 크게 보아, 중국본 원작과의 번역관계 속에서 성립된 번역본과, 번역관계를 통해 직접 계승되지 않고 '조선 번역본'단계를 거쳐서 나온 개작본,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특별히 개작본 그룹의 이본들은 번역, 필사, 재번역 등 조선시대 소설 유통과정에서의 다양한 텍스트 운동이 빚어낸 보편적인 소산이다. 다음, <설인귀전>은 기본적으로 '번역소설'이되 텍스트 연구에 그치지 않고 그 '존재' 자체가 갖는 소설사적 의미와 활용가치가 높은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설인귀전>은 한 마디로 '한국형 영웅소설'로 탈바꿈한 번역소설로, 우리나라 소설사의 창작 전통과 유형적 스타일에 따라 빚어졌다는 바로 그 점이 중요하다. 따라서 <설인귀전>과 같은 조선시대 번역소설류는 다 '국문학'의 범주에서 다루어야 마땅하다. '원작주의'에서 벗어나 국적 문제에 대한 시각을 재정립 할 필요가 있으며, 번역소설도 분명 국문학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것이 다. 그런가 하면 조선본 번역소설의 자료적 실태로 보아 그것들은 창작소설과 함께 고전소설사를 발전시킨 주역으로서의 위상을 갖기 때문에, 응당 창작소설과 동일한 무게로 다루어야 한다. 우리가 각 소설작품의 우열을 비평할 수는 있어도, 번역소설류를 창작소설에 비해 변방의 것으로 취급하는 시각은 소설사 해석에 있어 큰 허점을 노출할 수밖에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