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 윤관이 개척한 동북9성의 위치 연구

        이인철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선도문화 Vol.23 No.-

        󰡔고려사󰡕 「지리지」 서문에 “고려의 북방영토는 서북은 당(唐) 이후로 압록을 경계로 하였고, 동북은 선춘령을 경계로 하였다. 서북은 고구려 지역에 못 미쳤으나, 동북은 고구려 영토보다 더 북상하였던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고려 국경 문제를 풀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단서인 동북9성의 위치에 대하여 한국사 교과서에는 “동북9성의 위치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고, ‘함흥평야 일대설’, ‘길주 이남설’, ‘두만강 이북설’ 등 여러 주장들이 대립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아직 학계내에서 동북9성의 위치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첫째, ‘길주 이남설’은 조선시대의 ‘정통론’이란 소중화(小中華)의 입장에서 서술된 것으로써, 한백겸이 󰡔동국지리지󰡕에서 마운령 정상에 존재하는 ‘석추구기(石樞舊基)’가 진흥왕순수비라는 것을 확인하지 못한 채, 윤관의 선춘령 정계비로 추정한 결과이다. 둘째, ‘함흥평야설’은 일제의 관학자들이 주장하였으며, 한반도와 만주를 일제의 영구적 식민지로 만들려는 목적으로 조작한 식민사관 중의 반도사관에 의한 결과물이다. 셋째, ‘두만강 이북설’은 조선초기 기록인 󰡔고려사󰡕, 󰡔세종실록』 「지리지」·󰡔용비어천가󰡕·󰡔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문헌들을 토대로 연구되어 졌으며, 동북9성은 두만강 이북 지역에 위치했었다고 서술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 이들 문헌자료들의 거리와 지명 등을 근거로 현지를 답사하여 고증한 결과, 동북 9성 위치를 비정하는 주요 지명인 공험진과 선춘령은 두만강 이북에 위치했었음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역사적으로 고찰하면, 조선초기에 두만강 이북에 있는 공험진 이남부터는 조선의 관할 지역임을 주장하여 명으로부터 11처 지역의 여진 귀속 문제를 승인 받았다. 이 사실들로 볼 때 조선 초기에는 공험진이 두만강 이북에 있었다는 확고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인식 아래 명과의 외교 교섭을 벌여 두만강 이북에 대한 관할권을 인정받은 것이다. 앞으로 더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하여, 동북9성이 두만강 이북 700리에 실재했다는 사실을 한국사 교과서에 명확하게 기록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국경문제는 남북통일 이후 주변국과 매우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될것이 분명하므로, 먼저 우리 학계 내부에서 국경문제와 관련한 연구를 더욱 심화시키고, 나아가 국가 차원의 연구 지원사업을 통해서 동북9성이 고려 및 조선초기에 두만강 이북 현재의 흑룡강성 수분하 일대 및 연변 등 길림성 일대의 지역에 있었다는 인식을 전제로 현재의 연해주 일대까지 국가의 강역으로 경략하려 했다는 논의를 분명하게 정립할 필요 가 있다.

      • KCI등재

        尹瓘 九城硏究의 綜合的整理

        윤여덕(尹汝德)(Yoon, Yu-uck) 백산학회 2012 白山學報 Vol.- No.92

        尹瓘 9城의 설치 범위에 대해서는 조선 초기까지만 해도 고려사, 세종실록 지리지, 동국여지승람 등 官撰史料의 기록 그대로 두만강 북(7백리)에 공험진과 선춘령이 있다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그러나 조선 중기 우리나라 역사지리학의 창시자인 韓百謙이 등장하여 함경남도 利原郡과 端川郡 경계의 磨雲嶺,높이 416m 상에 있는 石樞舊基, 돌기둥이 서 있는 옛터를 윤관비(선춘령 정계비)로 推定한 이래 그의 영향을 받은 실학자들이 윤관비를 마운령 이남으로 내려잡는, 이른바 吉州 이남설을 제기하기에 이르렀다. 그 이후 1929년에 현장을 답사한 崔南善에 의해 문제의 비는 신라 진흥왕의 巡狩碑로 뒤늦게 밝혀졌다. 일제 官邊 사학자 이케우치 池內宏 등이 이를 빌미(핑계)삼고 조선인들의 실학자에게 거는 기대와 信望에 편승하여 윤관9성을 아예 함경남도 함주군과 홍원군 경계에 있는 咸關嶺 높이 450m이남, 즉 함흥평야 일대로까지 끌어내려 버렸다. 이른바 함흥평야설이다. 그러나 윤관 9성 연구의 선구자인 方東仁과 金九鎭은 세종실록 지리지 상에서 밝히고 있는 선춘령과 공험진의 위치를 추적한 끝에 두만 강북 7백리 지점, 綏汾河 상류 지역에 있는 老松嶺이 곧 선춘령 일 것이라고 추정한 바 있다. 최근 한 軍,육군소장 출신 교수 尹日寧이 5백 년 전에 6진을 개척했던 金宗瑞가 발로 답사했던 세종지리지 상의 그 路程을 GPS 방식으로 두 차례에 걸쳐 실측하여 앞의 두 원로교수가 추정했던 노송령이 곧 선춘령임을 재확인하게 되었다. About the territories of nine castles established by general Yoon, Gwan, there had been no doubt until the former era of Chosun dynasty that it was the area of ‘Gonghum’ fortress and Mt.’Sunchun’. It is seven hundreds li north of Tomun river. This is according to official government history records "The history of Corea dynasty", "The chronicle of King Sejong (geography section)" and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eastern country". But the founder of historical geography of Korea, Han, Baek-gyum estimated that a stone foundation which is located on Mt. Maun near to the boundary of ‘Iwon’ county and ‘Dancheon’ county of southern Hamkyung province must be the monument of general Yoon-Gwan. Japanese historians who were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like Ikeuchi Hiroshi took advantage of this theory and the respect of Korean people toward these scholars. They insisted that general Yoon,gwan's nine castles should be located in the Hamheung plain that is south of Mt. Hamgwan The frontrunner of the study of general Yoon,gwan's 'nine castles', professor Bang, dong-in already knew Ikeuchi's bad intension 35 years ago, and wrote "(Ikeuchi's theory) is total distortion." in his article <A thought regarding Yoon-gwan's nine castles>. And professor Kim,gu-jin found Korea's oldest map 'The map of eastern country' in the Naikaku library ’ in Japan, and studied location of Mt.Sunchun and ‘Gonghum’ fortress. Finally, he concluded that Mt.Nosong, seven hundred li north of Tomun river should be Mt.Sunchun in his article <Gonghum fortress and the monument of Mt.Sunchun>. The record of ‘Chronicle of King Sejong ’ which might be the base of the 'The map of eastern country' is the milestone of the seven hundreds li way north of Tomun river which was studied and recorded by then governor of Hamkil province, general Kim,Jong-Seo who established ‘six fortresses’ afterward. He did this according to secret mission of King Sejong. Recently a professor named Yoon, yil-young who was former general of Republic of Korean Army, surveyed the route of “The chronicle of King Sejong " route surveyed by twice through the method of GPS and proved that as the estimation of former two professors, “Mt.Nosong mountains is actually Mt.Sunchun”. And for ‘Gonghum’ fortress, it should be the 'Obong mountain castle' which is located on the north-western part of Habipa mountain ranges. By doing this, he could prove that Mt.Sunchun and ‘Gonghum’ fortress were the tactical fortresses which were established to defend the eastern side and the north-western side by general Yoon,gwan who conquered Yeojin people in order to secure Karran area.

      • KCI등재

        <남이장군실기>의 역사적 상상력과 그 의미 -건주여진정벌기와 선춘령진출담을 중심으로-

        박상석 열상고전연구회 2023 열상고전연구 Vol.80 No.-

        <南怡將軍實記> is a historical novel based on the Yonlyosilkisul (燃藜室記述) ’s article about Nam Yi (南怡), and consists of five episodes. Among them, episode four is significant for novelizing the conquest of Geonju Yeojin (建州女眞), which occurred during the Sejo (世祖) Dynasty. This was an unprecedented event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Furthermore, author Jang Dobin (張道斌) shows his original imagination in this part, which differentiates it from the rest of the work. Here, after defeating Lee Manju (李滿住) and completing the conquest of建州女眞, 南怡 marches thousands of li (理) north behind Baekdu (白頭) Mountain to reach Seonchunryeong (先春嶺), where he discovers a boundary monument erected by Yun Kwan (尹瓘) during the Goryeo (高麗) Dynasty after the conquest of Jurchen (女眞), and declares that he has reclaimed the territory. The so-called “Old Territory Recovery (故土恢復)” consciousness, which imagines Yodong (遼東) and Manchuria (滿洲) as the old territory of Joseon(朝鮮) and tries to reclaim them, was inherited from the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南怡將軍實記>’s 先春嶺進出談 recreates and thematizes this as a scene in the novel. It is also an exaggeration that 先春嶺 is located “thousands of 理 north of 白頭 Mountain” and that 尹瓘 restored 先春嶺 but lost it “in later generations.” The author maximized and imagined the Manchuria 故土恢復 consciousness in the <南怡將軍實記>. At the time, both Japan and China were attempting to make inroads into Manchuria and so claim the history of the Balhae (渤海) as their own. At the time, it was also a response to the real- world issue of the age where the <南怡將軍實記> defined Manchuria as the old territory of渤海 and had 南怡 of Joseon restore it. In episode four of the work, the author uses his advanced historical knowledge and insight to find a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two characters and invoke 尹瓘 through 南怡 to form a Manchurian 故土恢復 consciousness. And this theme is supported by the rest of the work, which tells of the birth, marriage, and death of 南怡 in a fascinating way.

      • KCI등재후보

        『환단고기』의 「단군세기」와 「고려본기」를 통해 본 살수, 선춘령, 공험진의 위치 고찰

        신민식 바른역사학술원 2022 역사와융합 Vol.- No.12

        One theory indicates that ‘Salsu is a river in the Korean peninsula’, the Salsucheongsheon River; the other theory tells that ‘Salsu comes from under the Hon River’, part of the water stream of the Yoyang River. Further, with regards to the location of Seonchunryeong, and Gongheumjin, two different stories are told: ‘Hanbando’, and ’Tuman River’, similar to the stories of ‘Giljuleename’, and ‘hamheungpyeongya’. Many other papers including ‘Samguksagi’ claim that Gongheumjin and Seonchunryeong are located 700 li north of the Tuman River. The exact location of Gongheumjin and Seonchunryeong is still unknown because the geographical names suggested in the historical documents are difficult to confirm. An important source of material is in 「Hwandangogi 」, to determine and confirm the exact location of Gongheumjin and Seonchunryeong. These theories will be thoroughly examined through the historical material of 「Hwandangogi」, which will be the key to determining the exact location. 현재 학계에서는 살수, 선춘령, 공험진의 위치에 대해서 의견이 분분하다. 살수가 한반도 내의 강인 ‘살수 청천강’설과 살수는 요양의 수계(水系)인 혼하에 해당한다는 ‘살수 혼하설’이다. 특히 살수 혼하설은 살수 위치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인 ‘압록수’가 현재 북한의 ‘압록강(鴨綠江)’이 아니라 한자가 다른 고구려 시기의 ‘압록강(鴨綠江)’인 ‘요하’라는 논문을 통해 살수 혼하설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학설들의 주장에 대해 살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환단고기』의「단군세기」 와 「고려본기」 사료를 통해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공험진, 선춘령의 위치에 대해 ‘길주 이남설’, ‘함흥평야설’같은 ‘한반도설’과 ‘두만강 이북설’ 이 있다. 『삼국사기』를 비롯한 많은 사서를 근거로 공험진, 선춘령은 두만강 북쪽 700리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두 가지 다른 학설 속에서 아직도 공험진 선춘령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가 없는 것은 사료에 제시한 지명들이 지금은 잘 확인할 수 없는 지명들이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공험진, 선춘령에대한 위치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사료가 『환단고기』의 『단군세기』와 『고려본기』에있기에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公嶮鎭과 先春嶺碑의 위치 재검토

        김훈 전북사학회 2023 전북사학 Vol.- No.69

        이 글은 공험진의 위치 관련 기록과 공험진 두만강 이북설을 검토하여 공험진의 위치를 비정하고, 공험진과 선춘령비 관계 및 선춘령 위치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고려사』 「지리지」ㆍ『세종실록』 「지리지」ㆍ『동국여지승람』에서 공험진의 위치에 대하여 공주(경흥), 두만강 이북 소하강 변, 두만강 이북 700리 선춘령 지역 등 3곳으로 파악하였다. 『세종실록』 「지리지」와 『동국여지승람』속의 소하강 변의 공험진에 관한 기록을 살펴보면 많은 모순되는 점과 잘못된 지리정보가 있다. 그러므로 두만강 이북 소하강 변의 공험진설은 신빙성이 떨어지며 윤관이 설치한 공험진은 두만강 이북에 위치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고려군은 두만강 하류에 이르러 공주(경흥)에 공험진을 설치하였다. 그리하여 경흥부(공주)가 공험진을 설치한 지역이라고 판단된다. 경흥부가 설치된 오늘의 함경북도 은덕군 고성동(고읍동) 일대가 공험진을 설치한 지역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공험진의 초기 영역은 두만강 이남의 유역이라고 판단된다. 고려군은 공험진 경계 내의 선춘령으로 추정되는 경원의 복호봉에 비를 세워 두만강을 여진과의 경계로 하였다고 추정한다. 『세종실록』 「지리지」의 두만강 이북의 선춘령입비설은 1392년(공양왕 4) 고려에 내조한 오도리 여진부족에서 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공험진에 주둔한 고려 정벌군은 여진의 방어망을 뚫고 두만강 이북으로 북상하여 왕청의 동쪽 노송령 지역에 ‘고려지경(高麗之境)’이라는 4자가 새겨진 경계비를 새로 세워 고려와 여진의 경계로 하였다고 보인다. 그리하여 공주에 설치한 공험진의 영역은 확대되어 남쪽으로 두만강 유역이고, 북쪽으로는 수분하 유역까지 이르렀다고 판단된다. This article is a record of the location of Gongheomjin and By reviewing the location of the Gongheomji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Gongheomjin, Gongheomjin and Seonchunryeongbi relationship and it was to examine the location of Seonchunryeong. In 『History of Goryeo』Geographyㆍ『King Sejong Veritable Records』Geographyㆍ『Dongguk Yeoji Seungram』Regarding the location of the gongheomjin Gongju(孔州) of the Tumen River, Soha Riverside north of the Tumen River, Seonchunryeong area, 700 ri north of the Tumen River kind found in 3 places. There are many inconsistencies and incorrect geographic information when looking at the records of Gongheomjin along the Soha River(蘇下江) in 『King Sejong Veritable Records』 and 『Dongguk Yeoji Seungram』.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gongheomjinseol of the Soha Riverside north of the Tuman River is not credible, and that the gongheomjin established by Yun Gwan(尹瓘) was not located north of the Tuman River. The Goryeo(高麗) army reached the lower reaches of the Tuman River Gongheomjin was established in Gongju. It is judged that Gyeongheungbu (Gongju) is the area where Gongheomjin was established. Today's Goseong-dong(Goeup-dong),Eundeok-gun, Hamgyeongbuk-do(咸鏡北道), where the Gyeongheung(慶興) Department was installed, can be seen as the area where Gongheomjin was installed. Gongheomjin's area of jurisdiction is judged to be the Tuman River basin south of the Tuman River. It is presumed that the Goryeo army built a monument on Bokhobong(伏胡峰) Peak in Gyeongwon(慶源), which is presumed to be Seonchunryeong within Gongheomjin, and set the Tumen River as the boundary with Jurchen. It is thought that the Goryeo conquest troops stationed in Gongheomjin broke through the Jurchen defense network and went north to the north of the Tuman River, and built a new boundary monument with the four characters inscribed with 'Goryeojigyeong (高麗之境)' in the Nosongnyeong(老松嶺) area east of Wangcheong(汪清) to mark the boundary between Goryeo and Jurchen. do.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area of Gongheomjin established in Gongju expanded to the Tumen River basin in the south and the Suifen River basin in the north.

      • KCI등재

        고려와 조선의 동북계(東北界) 강역인식

        최창국 육군군사연구소 2021 군사연구 Vol.- No.151

        Gongheomjinseong is one of the Nine northeast Castles that were built in the Goryeo Dynasty, and is known as the northernmost castle. Seonchunryeong is also known as the location of the boundary stone installed by Goryeo to fix a border with the Jurchen. The reason why Gongheomjinseong and Seonchunryeong's location are important is because they provide a criterion of how strong Goryeo was at that time. The existing studies which have began from the Chosun Dynasty, on the location of Gongheomjinseong and Seonchunryeong can be summed up into three major categories.; the Hamheung plain area, the South-Kilju and the Tumen River Basin.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all studies conducted after the Chosun Dynasty were made by analyzing and processing records from the Chosun and its predecessors. Therefore, the paper would search the location of the Nine northeastern Castles of Goryeo, including Gong Geomjinseong and Seonchunryeong, and focus on the records and arguments of the Goryeo and Chosun periods. This will provide new momentum for the study of the location of the Nine northeastern Castles. In addition, through Joseon's assessment of the nine northeastern provinces of Goryeo, the paper will reasonably infer the common perception that Goryeo and Chosun had on the northeastern border of the Tumen River. 공험진성(公嶮鎭城)은 고려가 여진족을 정벌하고 고려의 동북쪽 국경 지역에 설치한동북 9성 중 하나로 가장 북쪽에 설치한 성(城)이며, 선춘령은 여진족을 정벌한 후 고려가 여진족과 국경을 정하기 위해 설치한 경계비의 위치로 알려져 있다. 공험진성과 선춘령의 위치가 중요한 이유는 당시 고려의 동북지역에 대한 강역(疆域)이 어디까지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공험진성과 선춘령비의 위치에 대한 논쟁은함흥평야 일대설, 길주 이남설 그리고 두만강 유역설 등 크게 3가지 학설로 요약할 수있다. 하지만 조선시대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들은 모두 조선시대와 그 이전의 기록들을 분석하고 가공하여 탄생한 것들이라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있다. 따라서 필자는 일제강점기 이후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보다는 고려 및 조선시대의 기록들과 주장들에 초점을 맞추어 공험진성과 선춘령을 포함한 고려 동북 9성의 위치를비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동안 공험진성과 선춘령 위주의 연구로 인해 다소 소홀해진 - 공험진성을 제외한 - 동북 9성의 위치 연구에 대한 새로운 동력을 제공할 수있을 것이며, 또한 고려의 동북 9성에 대한 조선의 평가를 통해 고려와 조선이 두만강일대의 동북 국경지대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공통된 강역인식을 유추해 볼 것이다.

      • KCI등재

        선춘령과 공험진의 위치 고찰에 관한 연구

        이상태 ( Sang Tae Lee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6 學林 Vol.37 No.-

        고려시대 윤관(尹瓘)이 동북면 쪽의 여진족을 물리치고 9성(城)을 쌓았는데 그 위치에 대하여 여러 가지 학설(學說)이 있었다. 조선왕조실록이나 고려사 등에서는 9성의 위치를 두만강 북쪽 700리 지점에서부터 두만강 유역 일대까지로 비정하였다. 조선후기의 실학자 일부와 근대의 일본인 학자들은 9성의 위치를 길주이남 함흥평야일대로 비정하였다. 일본인 학자 가운데서도 9성 지역을 가장 축소해 보았던 이케우치히로시는 공험진을 함흥평야 일대로 한정하고, 실제 함흥 부근의 고적을 조사하여 9성의 위치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일인 학자들의 학설은 고려나 조선의 국력을 과소평가하려는 식민지 사관에서 출발한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이나 『고려사』의 기록을 검토해보면 일인학자들의 주장은 터무니없음을 알 수 있다. 윤관이 설치한 공험진과 선춘령비는 9성 중에 가장 북쪽에 위치하였고, 두만강 북쪽 700리 지점에 있다고 기록되었으므로 만주 지역을 답사하여 어느 정도위치를 비정할 수 있었다. 첫째 조선은 건국하고 바로 명나라와 만주 지역의 여진족 관할권을 협상하여 명나라로부터 인정받았다. 세종은 김종서에게 선춘령비의 위치를 확인하여 보고하라고 지시하였다. 김종서는 경원부에서 선춘령에 이르는 이정을 두 갈래로 파악하여 보고하였는데 이 내용이 『세종실록지리지』에 수록되어 있다. 둘째 조선시대에는 많은 북방쪽 지도가 제작되었다. 15세기 제작된 『팔도지도』에서도 공험진과 선춘령비의 위치를 표시하였다. 그 후 17세기에 제작되는 『동여비고』나 『봉화산악팔도지도』에서도 선춘령비를 잘 나타내고 있다. 18세기 들어 제작된 『요계관방도』 나 『서북피아양계만리지도』에서도 선춘령비를 표시하였으며, 19세기에 제작된 『관서총도』에서도 윤문숙공비라고 표시하고 있다.셋째 실제 답사를 통하여 선춘령비의 위치를 짐작할 수 있었다. 북한지역은 갈 수가없지만 두만강탄에서 북쪽으로 90리에 오동사오리참이 있다고 하였으므로 두만강가의 회령 삼합진에서 출발하여 화용까지 가면 30km이므로 여기가 오동참일 것이다. 여기에서 60리 북쪽에 하이두은이 있는데, 실제로는 화용에서 용정까지는 22km이므로 용정이하이두은일 것이다. 여기까지는 실록의 기록이나 현지의 답사 기록이 비교적 일치하므로 별다른 문제점이 없다. 여기 하이두은에서 100리에 해당되는 곳이 영가참인데 이 영가참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 그것은 현지 사정이 조선초기보다 많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연길시가 발달되지 않고 국자가(局子街)라는 조그마한 마을이었는데 지금은 연길시가 발달되어 있고, 도로 사정도 많이 달라졌기 때문에 .세종실록지리지.에 표시된 영가참을 찾는 것이 매우 어렵다. 현지답사로는 용정에서 연길까지는 21km이므로 50리이다. 연길에서 50리인 20km를 더 간 곳이 영가참일 것이다. 연길에서 중국의 영고탑 쪽으로 20km를 더 간 곳에 영가참의 예정지를 찾아야 하는데 이러한 지역은 왕청현의 백초구령이 유력하다. 또 다른 도로는 현성에서 출발하여 어라손참을 거쳐 허을손참을 지나 유선참을 거쳐거양성에 도달하는 교통로인데 실제 답사하면 왕청현 부근의 백초구령이 선춘령에 해당된다. 백초구령 부근에는 고려촌이 있는데 지금은 고성촌과 려성촌으로 나누어졌지만, 그곳주민을 면담한 결과 그곳에 성(城)이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종실록지리지의 기사 내용과 만주 지역을 실제로 답사한 결과와 고지도 표기 등을 종합하면 윤관의 공험진과 선춘령비는 오늘날 왕청현의 백초구령에 있었을 것이다. General Yoon Kwan of the Goryeo Dynasty defeated the Yeojin(Jurchen) Tribes of the Northeast of Korean Peninsular and built the Nine Citadels, and there used to be various theories on their location.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and the History of Goryeo(高麗史), the Nine Citadels were located within 700 li north of Tumen River. A few Silhak scholars of the late Joseon period and modern Japanese scholars set their location to the Hamheung Plain area of south Gilju. Ikeuchi Hiroshi who asserted the most reduced domain of the Nine Citadels among the Japanese scholars limited Gongheomjin to the Hamheung Plain area, and set up the location of the Nine Citadels by investigating the historical remains around the Hamheung area. This theory embodied by the Japanese scholars was origina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lonialist histography which was mean to underestimate the national power of Goryeo or Joseon. Review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History of Goryeo, it is obious their claims are illogical. Since it is written that Gongheomjin and Seonchunryeongbi set by General Yoon were located in the northmost region among the Nine Citadels and the area 700 li north of Tumen River, its approximate location can be decided by making a field investigation of Manchuria region. First, after established, the Joseon negotiated with the Ming Dynasty on the jurisdiction of the Yeojin Tribes of Manchuria region and gained recognition. King Sejong commanded General Kim Jong-seo to check and report the location of Seonchunryeongbi. General Kim found out and reported that there are two road branches from Gyeongwonbu to Seonchunryeong, which are recorded on the King Sejong’s Treatise on Geography. Second, many maps covering northern regions were produc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location of Gongheomjin and Seonchunryeongbi is marked on the Map of Eight Provinces produced in the 15th century. Dongyeobigo and Bonghwa-sanak-paldo-jido produced in the 17th century also marked the Seonchunryeongbi. Map of the Yogye Borderland and Seobuk-pia-yanggye-malli-jido produced in the 18th century also marked the Seonchunryeongbi, and Kwanseochongdo produced in the 19th century marked the Yoonmoonsook-gongbi. Third, through the actual field investigation, the location of Seonchunryeongbi were able to presumed. Despite we are not allowed to investigate the North Korean region, based on the opinion that there is Odong-saoricham in 90 li north of Tumen River, if leaving from Samhapjin, Hoeryong of Tumen River up to Hwayong, the destination would be Odong-cham, which is 30km away from the original point. Haidueun in 60 li north from there might be Yongjeong, since the distance from Hwayong to Yongjeong is 22km. As far as here, the record in the Annals corresponds with the record of field investigation, and there is no particular issue. However, Yeonggacham which is in 100 li from Haidueun is very difficult to find. That is resulted from the changed local situation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Yanji City was previously underdeveloped and used to be a small town named Kukjaga, but now Yanji City is developed and road situation has been changed, and therefore finding Yeonggacham marked on the King Sejong’s Treatise on Geography is challenging. By field investigation, the distance from Yongjeong to Yanji City is 21km or 50 li. 50 li or 20km further away from Yangji City must be Yeonggacham. The intended destination can be found at the area 20km further away to Ningguta from Yanji City, hence Baekchogu-ryeong in Wangqing County is the most potential destination. Another road is starting from Dongrim Province through Eorasoncham, Huheulsoncham, and Yooseoncham to Geoyang Province, and Baekchogu-ryeong of Wangqing County is correspond to Seonchunryeong by making a field investigation. There is a Goryeo village around Baekchogu-ryeong which is currently divided into Goseong Village and Ryeoseong Village. It has been confirm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residents that there used to be a citadel. Based on the evidence on the article on the King Sejong’s Treatise on Geography, the field investigation on Manchuria region, and the marks on old maps altogether, Gongheomjin and Seonchunryeongbi set by General Yoon is strongly presumed to be located at Baekchogu-ryeong in Wangqing County.

      • KCI등재

        高麗 初期의 北方領土와 九城의 위치비정

        최규성(Choi, Kyu-Seong) 백산학회 2006 白山學報 Vol.- No.76

        We are understood the location of 9-castle was the South region of Ham Kyong province near Won-san. But the real site of them, was not Ham Kyong provine, but north side of Rive Du-Man near yanbian. The expansion of territory in the early Koryo dynasty, came to pass the Du-man An in the driving Jurchen out across the river. regn of Mun-Jong, Koryo made extension the Submit area across the Du-man. Japanese historians insisted the location of 9-Castle was the Ham Kyong province. But Kong-Humjn(公嶮鎭) and Sun-chun-yong(先春嶺) were located at the southern Gando near Yanbian. Therefore the territory of early Koryo was the same size of cho-sun dynasty.

      • KCI등재

        선춘현(先春峴)과 공험진(公嶮鎭) 위치 고찰 -『세종실록』「지리지」및 고지도, 현지답사 등을 중심으로 -

        최창국 육군군사연구소 2017 군사연구 Vol.- No.143

        공험진은 고려 예종 3년(1108) 2월에 윤관이 동북지역의 여진족에 대한 제2차 정벌 후에 축성한 동북 9성 중 하나로 가장 북쪽지역에 위치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선춘령비는 여진족 토벌 후 고려와 여진족의 국경을 획정하기 위해 공험진 일대에 설립한 경계비였다. 하지만 공험진과 선춘령비의 위치에 대해서는 함흥평야설, 길주설, 두만강 일대설 등 여러 가지 학설들로 의견이 분분하다. 그러나 필자는 세종실록 지리지에 명확하게 기록된 공험진과 선춘령의 위치를, 현존하는 고지도와 1950년대 만주지도 및 현대 연변지도에 적용하여 비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중국 현지답사를 통해 공험진과 선춘령비의 위치가 두만강 이북지역이라는 것을 본 논문에서 증명하였다. 그렇지만, 현재 이 지역은 중국의 영토에 해당되는 지역이다. 따라서 우리는 그곳이 과거 우리의 강역(疆域)이었다는 역사적 인식을 바탕으로 우리가 어떻게 해서 그 지역을 상실하게 되었고, 그 강역에 대한 정체성을 잃지 않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미래지향적인 대안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부족한 연구결과이지만, 이것이 후발 주자들에게 ‘우리민족의 역사적 강역’을 되찾는데 작은 이정표의 역할을 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Gongheonjin has been known as an one of the nine Castles in the northeast Goryeo which were constructed by General Yoon Gwan after the second conquest of the northeast Nuzhen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memorial stone of Seonchunleong in Gongheonjin area was installed to demarcate the border of Nuzhen after Goryeo conquered the region. But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location of Gongheonjin and Seonchunleong memorial stone. The three different proposed areas are: the Hamheong Plain, Gilju in Hamgyeong Province and the Tuman River area. I tracked the location of Gongheonjin and Seonchunleong based on Sejong Silok(record of King Sejon in the Joseon Dynasty), existing antique maps, recent Yanbian map and Manchuria map from the 1950's. As a result, I proved that the location of Gongheonjin and Seonchunleong is in the north of the Tuman River through an on-site exploration of the Chinese territory. However, the area now belongs to China. Thus, we must remain concerned and come up with future-oriented alternatives to correctly acknowledge the history behind the seizure of the region, and to protect the identity of the region. Although the study may seem insufficient, I hope that it will be a good guidance to researchers who try to retrieve the history of our people.

      • KCI등재

        成海應의 西北 邊界 意識

        강석화 진단학회 2012 진단학보 Vol.- No.115

        Seong Hae Eung was one of the famous scholars of Chines classics in the 19th century. He wrote many scripts about the Sino-Joseon North-Western Frontier which shows his historical and territorial consciousness. He had an idea about the invasion of Liadung and Beijing to expel the Jurchens from Chinese territory and recover the Ming dynasty. His thought was based on the justice which was manifested at the book 『Jonjuhuipyeon』made by he and his father Seong Dae Jung. To stabilize the livelihood of ordinary locals of the Pyeongan and Hamkyeong Provinces, he insisted that the powerful wealth local persons conspired with the powerful persons of national politics should be restrained. His idea for the local military nobilities was the establishment of the extra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o give the official ranks to the locals who skilled in the military arts and get their loyalty. He also proposed the plan of the reclamation and migration of the border regions nearby the Yalu River to protect and drive out the Qing's hunters or ginseng diggers. He emphasized that Joseon should occupy the Liasdung to the west and recover the Sunchunryeong Pass to the north east. He tried to collect the materials which concerned about the history of Jurchens, the relationship of Joseon and Jurchens, the scouting records about the border regions, and the process of discussion to investigate, develop and recover the Pyeosagun(the abolshed four counties of the Pyeongan Province). And we can get the informations about the Sino-Joseon North-Western Frontier in the 18th century from his collections. 19세기 전반기 경학 사상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인 硏經齋 成海應(1760〜1839)은 경학 뿐 아니라 역사의식과 영토관념을 반영한 서북 변경지대에 대한 많은 글을 남겼다. 그는 정조에서 순조대에 걸쳐 완성된 『존주휘편』의 존주대의론에 입각하여 요동 정벌과 연경 침공을 통한 청 세력 축출과 명 황조 복원을 구상하였다. 그는 중앙의 세도가나 지방 수령과 결탁하여 자신들의 사적인 이익을 취하는 토호 부민들을 통제해야 민생을 안정시킬 수 있다고 보았으며 서북 지역에 行臺를 두어 지방의 무사들을 선발하고 우대하여 인사 적체와 불만을 해소하려 하였다. 아울러 압록강 중상류 지역에 개간과 주민 거주를 허용하며 행정구역을 복구하여 폐사군 지역을 확고히 장악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이같이 서북 지역 정비가 이루어지면 압록강과 두만강을 넘어 서쪽으로 요동을 차지하고 동북쪽으로는 분계강 혹은 선춘령까지 장악해야 한다고 하였다. 서북지역에 대한 성해응의 관심은 해당 지역에 대한 자료의 충실한 수집과 정리로 이어져 여진의 유래 및 역사, 여진과 조선과의 관계, 폐사군 지역 개발 및 복구 등에 관련된 자료를 세심히 모았다. 서북지역에 관한 그의 글들은 19세기 전반기 해당 지역의 사정과 영토의식의 변화상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들이다. 이와 같은 성해응의 서북변 인식에는 당시 지식인들의 서북 지역에 대한 역사 인식이 반영되어 있으며, 실제 진행되고 있던 서북지역 개발의 추이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