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입학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진로확신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나은숙(Eun Suk Na),신서영(Seo Young Shin) 안전문화포럼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9

        대학생활만족도는 대학생들로 하여금 학업에 대한 노력과 성공적인 학교생활을 영위 할 수 있는데 큰 역할을 한다. 대학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학업적, 사회적, 정서적 측면에서 자신의 목표를 위해 나아가는 과정임을 고려할 때 학생들의 대학생활 만족을 위해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가 더욱 정교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입학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진로확신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21년 5월 4일부터 6월 14일까지 서울 소재 S대학교 재학생 4129명을 대상으로 ㈜글로벌리서치 조사 수행기관을 통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분석방법은 빈도, 일원배치분산,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입학만족도와 전공만족도, 진로확신, 자아존중감, 대학생활만족도가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입학만족도는 학년이 어릴수록 만족도가 높으며 전공만족도와 진로확신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점수가 더 높았다. 자아존중감은 성별, 월평균생활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 높았으며 월평균 50만원 이상의 생활비를 사용한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자아존중감이나 진로확신, 대학생활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만족도 수준을 불만족, 보통, 만족 세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별 입학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진로확신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대학생활 만족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입학만족도나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진로확신 점수가 높았다. 넷째, 대학생들의 입학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진로확신, 대학생활만족도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대학생활만족도에 가장 설명력을 보인 요인은 입학만족도였으며 다음으로 전공만족도, 진로확신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수업의 질을 높이고 학과에서 적절한 학업지도, 교과과정의 개선 및 특성화된 개별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입학만족도는 외적 요인으로 학생들이 입학하기 전에 대학의 인지도나 평판에 영향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이미지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진로확신, 자아존중감을 가질 수 있도록 상담과 장학금 지원을 강화가 필요하다. Campus life satisfaction plays a big role in enabling university students to make an effort to study and to lead a successful school life. Considering that the university is a process that advances toward one's own goals in 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aspects in the new environment of university, the institutional device that supports students' campus life satisfaction needs to be designed more precisely.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degree of college students' admission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self-esteem, and career confidence, and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campus life satisfaction. From May 4 to June 14, 2021,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rough Global Research Co., Ltd.'s research agency for 4,129 students of S University in Seoul. I performed analysis of frequenc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Statistics 20」program and got follow results. At first, University students' admission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career confidence, self-esteem, and Campus life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average. Secondly, in terms of admission satisfaction, the younger the grad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and the certainty of the career wer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Thirdly, The group with the high level of campus life satisfaction had higher scores for admission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self-esteem, and career confidence than the group with low compus life satisfaction. Fourth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dmission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self-esteem, career confidence, and campus life satisfaction. Fif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affecting Campus life satisfaction, the factor that showed the most explanatory power for Campus life satisfaction was admission satisfaction, followed b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confidence.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campus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return to the basics and improve the quality of major classes, and to provide appropriate academic guidance, curriculum improvement, and specialized individual programs in the department. Since admission satisfaction is an external factor that is affected by the recognition or reputation of the university before students enter, measures to enhance the image are need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unseling and scholarship support so that they can have career confidence and self-esteem.

      • KCI등재

        부모ㆍ친구ㆍ교사와의 사회적 관계와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김두환(Kim Doo-Hwan),김지혜(Kim Ji-hye)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4

        학교생활만족도는 학생의 학교에 대한 사회 심리적 적응의 정도를 나타내며, 교육적ㆍ규범적 적응과 더불어 학생의 발달 및 학교생활의 질을 이해하는 중요한 척도이다. 다시 말해 학교는 지식을 전달하고 인적자본의 형성이 이루어지는 곳일 뿐만 아니라 학창시절과 그 이후의 삶에 기초가 되는 사회적 관계들이 형성되는 장이라는 점에서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은 학생의 학업능력 및 행동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생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의 내용에 따라 학교에 대한 소속감 및 정서적 안정감이 달라질 수 있으며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는 학교생활의 만족수준을 높이는데 결정적 기여를 할 것이라 본다. 이러한 가정 위에서 학생들이 가정 및 학교를 중심으로 부모ㆍ친구ㆍ교사와 맺는 사회적 관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갖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특수목적 고등학교와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추가 표집한 한국교육고용패널 2007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부모ㆍ친구ㆍ교사와의 사회적 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최근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고등학교 유형의 계층적 분화가 결과하고 있는 학교유형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의 기본적 차이를 통제하기 위한 것이었다. 통계분석 결과에 따르면 부모ㆍ친구ㆍ교사와의 사회적 관계들은 선행 연구들에서 고려한 다양한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분석과정에서 부모와의 관계나 친구관계 변수들과 달리 교사와의 관계 변수는 다른 통제변수들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일반고와 비교해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했던 특목고의 통계적 유의성을 사라지게 했다. 더구나 특목고의 일반고 대비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기여는 교사와의 긍정적 관계에 달려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하지만 일반고에 비해 전문계고는 본 연구가 고려하는 사회적 관계 변수와 모든 통제 변수들을 모형에 포함한 후에도 학교생활만족도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추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교생활만족과 관련한 선행연구와 달리 학생을 둘러싼 중요한 타인(significant others)들, 즉 부모ㆍ친구ㆍ교사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많은 사회학적 연구들이 검증해온 이들 사회적 관계의 영향이 학업성취뿐만 아니라 좀 더 포괄적인 학생의 학교생활경험에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데 있다. Research has shown that students satisfied with school life tend to hav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nd lower delinquent behaviors or disciplinary problems. When we consider school as a sphere for developing students’ cognitive skills and forming social relations which would influence students during their whole lifetime as well as school life,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s an important issue in school education. This study focused on social relations surrounding students in home or school, which shape students’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We hypothesized that students could be more content with their school life when they have better relations with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To control the difference between various types of high schools differentiated by horizontal stratifi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we analyzed 2007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data on high school seniors from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SPHS), General High Schools (GH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VHS). The findings indicate that better social relations with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are contributing to increase students’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When we take into account student-teacher relations only, the advantage of SPHS which shapes higher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compared to GHS has been disappeared. Interestingly, such higher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than GHS is depending on student-teacher relations. However, even after we take into account other control variables as well as students’ social relations, VHS lower students’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compared to GHS. The implication of our findings is also discussed in relation to educational inequality between different types of schools from the sociological point of view.

      • KCI등재

        종교생활의 효과가 노인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철진 한국자치행정학회 201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5 No.1

        이 연구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의 영향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13가지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각 변인들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전남 영광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남?여 노인 243명을 직접 면접 조사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조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관계 분석결과 생활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 변인으로는 종교성, 종교활동, 여성노인, 교육수준, 건강상태, 외출빈도, 유배우 노인, 재산상속완료가 있었다. 둘째, 중다회귀 분석결과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종교활동, 건강상태, 재산상속완료가 있었다. 즉, 종교활동 참여도가 왕성한 노인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상태가 양호한 노인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속을 완료한 노인보다 상속을 아직 완료하지 않은 노인이 생활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장명숙 ( Chang Myung Sook ),박경숙 ( Park Kyung Soo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保健社會硏究 Vol.32 No.2

        본 연구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생태체계를 구성하는 개인체계, 미시체계, 중간체계, 거시체계 요인들이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특히 과거생활만족도, 현재생활만족도, 미래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에 소재한 노인복지관, 경로당, 재가복지센터를 이용하는 노인들과 특별한 사회활동이 없이 집에 있는 재가노인을 합쳐 모두 216명을 설문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생활만족도는 5점 척도에서 평균 2.99로 보통정도의 점수를 보였으며, 현재생활만족도가 가장 높고, 과거생활만족도, 미래생활만족도 순으로 낮아졌다.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인 체계요인 중 자아존중감, 미시체계요인 중 자녀지지, 중간체계요인 중 여가활동, 봉사활동 여부, 불교인여부였다. 과거생활만족도, 현재생활만족도, 미래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들이 달랐는데 과거생활만족도에는 개인체계요인 중 자아존중감, 미시체계요인 중 자녀지지, 중간체계 요인 중 천주교인여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생활만족도에는 개인체계요인 중 건강상태, 자택소유여부, 자아존중감, 미시체계요인 중 자녀지지, 중간체계요인 중 여가활동여부와 불교인여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미래생활만족도에는 개인체계요인 중 자아존중감과 중간체계요인인 봉사활동여부와 불교인 여부였다. 이에 따라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 건강상태를 개선하고 주거 에 대한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환경조성, 자녀지지를 유지하도록 하고 여가활동 및 봉사활 동을 활발하게 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among the aged from ecosystemic perspective, analyzing how personal, micro, meso, and macro systems affected past, current and future life satisfaction and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The authors conducted a survey of 216 old people staying at home or using community senior social welfare centers or senior center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was 2.99, a little lower than the middle score of three out of five point Likert scale. The current life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and the future life satisfaction was the lowest. The signifcant factors affecting overall life satisfaction were self-esteem among the personal system variables, children`s support among the micro system variables, leisure activity, volunteer activity and being a buddist among the meso system variables. The factors affecting the past, current and future life satisfaction were different. The factors affecting the past life satisfaction were self-esteem, children`s support and being a catholic. The factors affecting current life satisfaction was subjective health, ownership of the house, self-esteem, children`s support, leisure activity and being a buddhist. The factors affecting future life satisfaction were self-esteem, volunteer activity and being a buddhist.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that elderly Koreans need, in addition to support from their children, policy support to enhance self-esteem, strengthen health, promote stability for housing conditions, and encourage leisure volunteer activities.

      • KCI등재

        원불교 출가교역자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인주 ( In Ju Cho ),구형선 ( Hyoung Sun Goo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7 No.-

        본 연구는 원불교 출가교역자의 생활만족도 정도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출가교역자 60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조사하였다. 생활만족도에 관한 독립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개인적 특성, 종교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이들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생활만족도는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 출가교역자의 생활만족도 전체평균이 여성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서는 남성 출가교역자의 경우, 우울, 주관적 건강평가, 상급자 만족도, 직무만족도, 급여만족도, 신앙·수행생활 만족도가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출가교역자의 경우, 우울, 주관적 건강평가, 사회적지지, 직무만족도,급여만족도, 신앙·수행생활 만족도가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바탕하여 원불교 출가교역자의 생활만족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in Won-Buddhist ministers. In this study,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and data collected from 601 Won-Buddhist ministers residing in Korea and overseas countries were analyzed. This study examined how socio-demographic, personal, and religious characteristics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in Won-Buddhist ministe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spondents` level of life satisfaction is above the mean. However, the male respondents` level of life satisfaction is higher than the female respondents` level of i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or the male respondents revealed that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assessment, superiors`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llowance(salary)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religious faith and practi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ls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or the female respondents revealed that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assessment, job satisfaction, allowance(salary)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in religious faith and practi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strategie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Won-Buddhist minist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패널자료를 활용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이옥자(Lee okja)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복지패널자료(2007~2014)를 병합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지역의 생활만족도차이 및 결정요인을 실증분석 하는데 있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만족도 차이는 비수도권이 수도권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2010년과 2014년도에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도의 두 지역간의 생활만족도차이의 원인은 2009년도에 생활만족도가 감소하다가 2010년도에 다시 회 복되면서 두 지역 모두 생활만족도가 증가 하지만 그 증가폭이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이 더 크게 증가함으로써 그 차이가 확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2014년도의 두 지역 간의 생활만족도 차이의 원인은 비수도권지역의 생활만족도는 큰 변화가 없으나 수도권지역의 생활만족도가 2013년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 한국의 주택시장에서 전세가 감소하고 월세가 증가하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거주지역의 차이에 따라 생활만족도 격차가 존재하는지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성별, 학력, 소득, 건강상태 등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변수 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생활만족도결정요인을 추정하여야 한다. 그 결과, 통계적 으로 유의미 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셋째,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정부의 중요한 정책 중의 하나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무엇인지를 알아야만 효과적인 정책을 펼 수 있다. 또한, 생활만족도결정요인은 거주 지역에 따라 영향요인이 다른 만큼 각각 구분하여 추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패널회귀분석(고정효과모형)을 통해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을 각각 구분하여 생활만족도를 추정한 결과, 수도권의 경우 연령, 가처분소득, 년부채, 생활비, 건강상태 변수였으며, 비수도권지역은 연령, 가처분소득, 건강상태, 월 세, 상용직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수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empirical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and determinants of the metropolitan and the non-metropolitan areas by merging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2007~2014).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n-metropolitan areas than in the metropolitan areas, and the difference was the largest in 2010 and 2014.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regions in 2010 is that the life satisfaction decreased in 2009, but life satisfaction was recovered in both regions in 2010. The increase is larger in non-metropolitan areas than in the metropolitan areas which made for a bigger gap.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regions in 2014 is that the life satisfaction in the non-metropolitan area showed not much difference but life satisfac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lower than 2013. This seems to be related to the recent decline in leases but increase in monthly rents in the Korean housing market. Second, in order to estim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resident loc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s and the non-metropolitan areas,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life satisfaction determinants by controlling variable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such as gender, education, income and health condition. As a result, the non-metropolitan area showed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the metropolitan area,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one of the important poli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s as well as the local governments is to improve the local residents’ qual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know what variables affect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implement effective policies for improvement of the local residents’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should be estimated separately for each resident area since the influencing factor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sident area.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life satisfaction using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fixed effect model) by dividing the metropolitan areas and the non-metropolitan areas, the age, disposable income, year debt, living cost, and health condition were variables in the metropolitan areas whereas age, disposable income, health condition, monthly rent, and regular employment were the variables in the non-metropolitan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variables that have significant influence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i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 KCI등재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와 생활만족도의 관련성

        이성한 ( Sung-han Lee ),배성권 ( Sung-kwon Bae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09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와 생활만족도의 관련성에 관해 알아본 것으로서 실태, 아동의 배경변인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및 생활만족도 차이 및 건강생활이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지역 공립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670명이며, 건강생활과 생활만족도 설문조사 기간은 2008년 6월 말경부터 7월 말까지 약 한달 간이었고, 최종 670부를 분석했다. 건강생활설문지는 김신정(2007)의 연구에서 사용된 것으로서 6개 영역 53개 문항 4점 척도이며, 생활 만족도는 이정미, 이양희(2007)의 한국판 아동용 다면적 생활만족도검사(K-MSLSS)로 5개 영역 34문항 6점 척도였다.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 test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와 생활만족도와의 상관관계결과에서 질병예방은 식습관, 정신건강, 사고예방의 세항목과 상관이 있었다. 또한 정신건강은 개인위생, 식습관, 운동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사고예방은 개인위생, 식습관, 운동, 정신건강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친구만족도는 정신건강과 상관이, 가족만족도는 정신건강, 질병예방, 사고예방, 학교만족도와 상관이, 환경만족도는 가족만족도와, 자아만족도는 질병예방, 친구만족도, 학교 및 가족만족도와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중다 회귀분석 결과에서 아동의 정신건강증진행위는 아동의 친구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식습관, 정신건강, 질병예방의 세 항목은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운동, 정신건강, 사고예방의 세 항목은 가족만족도를, 정신건강은 환경만족도와 자아만족도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운동, 정신건강, 사고예방의 세 항목은 아동의 생활 만족도를 설명하는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the latter school age children'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s, to investigate children's variables which effect the latter school age children'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the life satisfaction, and to study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so we could helps children be able to carry on healthy, happy, and satisfied life. This study adopted questionnaire surveys for total 670 children, who are 4, 5, 6th grade at elementary public school age in Busan city, Health promotion behavior questionnaire and K-MSLSS, life satisfaction questionnaire.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ed. First, the rank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criterion of the children were Diseases Control>Personal Hygiene> Mental Health>Accident Prevention>Eating Habits=Exercise. Second, the rank of life satisfaction of the children were Family Satisfaction=Environment Satisfaction>Self Satisfaction>School Satisfaction. Third, children's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different depending on children's gender, grades, family member, family traits, residing, father's education, mother's education, father's job, perceived child health state, school record, enrolled private institute number, and family socioeconomic states. Fourth, children's life satisfac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children's background traits. Fifth, strong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as founded a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children'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Finall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ing statistically strong significant meaning which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effecting on the children's life satisfaction. Exercise, mental health, and accident prevention were important elements promoting children's life satisfactions.

      • 노인의 성생활인식이 성생활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영옥 ( Young Ok Won ),곽종형 ( Jong Hyung Kwak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4 사회복지경영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성생활인식, 성생활실태, 삶의 만족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경기도 안산시, 수원시, 시흥시 거주자를 중심으로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서 300부를 배포하여 285부를 회수하였다. 이들 자료를 SPS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통계분석, t-test, ANOVA분석과 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생활을 하고 있는 노인 40.3%, 하지 않는 노인이 59.7%, 중요하다고 한노인이 36.7%로 분석되었다. 둘째, 노인의 성생활인식이 5점 척도 2.17로, 성생활만족도 수준이 2.27로, 삶의 만족도 수준이 2.74로서 만족도가 그렇게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생활인식은 성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들의 성생활인식과 만족도의 관계에서 노인들의 성생활 인식 수준이높을수록 성생활 만족도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노인들의 성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성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노인의 성생활인식, 성생활만족도, 삶의 만족도 수준이 여성보다 남성이, 배우자가 있는 경우, 저학력보다 고학력이, 건강한 노인들이, 그리고 경제수준이높은 경우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s to survey recognition, status and satisfaction level of sex life in the aged and identify relations between those factors. For this purpose. we distributed 300 copies of questionnaire to the aged more than age of 60 who use general welfare center for the aged primarily living in Ansan city, Suwon city and Siheung city, Kyunggi-Do and retrieved 285 copies. First, the result indicated that 40.3% of the aged have sex and 59.7 % of the aged do not have sex and 36.7% regarded sex as an important activity.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aged is reported to be not much high with 2.17 of their sex recognition, 2.27 of satisfaction level in sex life and 2.74 of life satisfaction based on 5 point of perfect score. Third, the recognition of sex life is shown to positively affect satisfaction in sex life. Fourth, relations between recognition of sex life and satisfaction level showed that the higher their recognition levels in sex life are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level of sex life become. Fifth,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level in sex life and daily life for the aged showed that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levels in sex life are,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level in life become. Sixth,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level in sex life and that of daily life showed higher results from men than women, the aged with their spouse than those who do not have spouse, those who have high academic ground, healthy people and those who have higher economic levels.

      • KCI등재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개인 및 대학재정변인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구성우,김병주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1 No.4

        본 연구는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개인 및 대학재정변인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일반대학교 대학생 9,453명이며, 한국고용정보원이 조사하고 있는 2019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8GOMS)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변인은 독립변인으로 개인특성(입학전형, 취업목표 설정, 전공 재선택시 동일전공 선택)과 대학재정(학생 1인당 교육비,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매개변인으로 전공만족도, 종속변인으로 대학생활만족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는 종속변인인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른 변인들의 영향력 중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개인특성은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취업 목표를 설정하고 동일 전공을 재선택하려는 대학생은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를 통해서만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개인특성 중 학생부 종합 및 교과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은 정시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대학재정 중 학생 1인당 교육비와 자료구입비는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생 1인당 교육비와 자료구입비가 많을수록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와 종속변인인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은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종속변인인 대학생활만족도에는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이 많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가 낮아지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개인 및 대학재정변인이 대학생활만족도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영재학생의 일반학급 및 영재교육기관에서의 학교생활만족도

        유미현,조성신,여상인 韓國英才學會 2011 영재교육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the gifted students with general students.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on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conducted to 76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125 genera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t the general cla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gifted students showed a little higher school life satisfaction score than the general students' (p<.05). The score of gifted class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Second, the score of gifted class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ifted education institute students' (p<.05). Third, school life satisfaction score of gifted students in a gifted clas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a general class (p<.05). Forth, regarding the gifted students'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irls and boys. Regarding the grades of the gifted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5th and 6th grader (p>.05).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학생, 영재학급 영재학생, 영재교육원 영재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영재학생이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의 느끼는 학교생활만족도를 각각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초등 영재학생 76명, 초등 일반학생 125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급, 영재학급, 영재교육원 학생의 일반학급에서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급 영재학생의 일반학급 학교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재교육원 영재학생, 일반학급 학생 순으로 학교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영재교육기관이 다른 영재학생의 소속 영재교육기관 생활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영재학급의 학생이 영재교육원 학생에 비해 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셋째, 영재학생의 일반학급에서의 생활만족도와 영재교육기관에서의 생활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영재교육기관에서의 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넷째, 영재학생의 성별 및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는 영재학급, 영재교육원 학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