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육에서 생태적 소양의 의미

        주은정 ( Eun Jeong Ju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2

        이 연구는 생태학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궁극적인 방안을 생태적 소양 함양이라고 보고, 초등교육에서 그 의미를 고찰하며 초등교육에서 생태적 소양 함양의 중요성과 방법을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태주의, 생태적 소양 연구 동향 등을 살펴본 후 생태적 소양의 의미를 정리하였다. 또한 생태적 소양이 초등교육에서의 의미를 고찰하고 실천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생태적 소양의 이론적 배경이 되고 있는 생태주의는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생태학에 근간을 두고 있으며 참여적, 체제적, 전체론적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생태주의 패러다임에서 생태적 위기의 극복은 생태적 소양(ecological literacy)을 갖춘 인간을 길러내는 것을 궁극적인 방법으로 보고 있다. 생태적 소양은 지구상의 삶을 가능하게 해주는 자연계(natural systems)를 이해하고 이를 실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Capra (2003), Orr (1992), Berkowitz et al.(2005), Cutter-MacKenzie and Smith(2003)의 연구를 바탕으로 생태적 소양의 의미를 정리하면 생태학을 이루고 있는 기본 개념들을 이해하고 생태적 감수성을 통해 생태중심적 태도를 지니는 것이다. 생태적 소양이라고 하는 것은 생태학에 대한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것과 그에 따라 살아가는 것을 의미하므로 생태학에 대한 기 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생태적 소양 함양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생태적 감수성은 자연의 변화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며 자연에 대한 감정이입적 시각을 가지는 개인을 길러내는 정의적 특성을 말한다. 생태중심적 태도란 자연을 인간을 위한 도구나 인 간을 둘러싼 환경, 단순한 탐구의 대상으로만 바라보지 않고 그 자체로 가치가 있는 존재로 바라보는 태도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어린 시기에는 자연에 대한 경험에서 생태적 감수성을 키우고 이를 통해 생태적 지식, 생태중심적 태도를 갖추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므로 초등교육 에서는 이를 위한 교사연수, 교육과정, 환경 개선 등의 실천적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ecological literacy and discuss the importance and practical method of it. In this study, the ultimate way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was assumed promoting ecological literacy. For the study, I investigated trend of previous study related with ecological literacy and ecologism and defined the elements of ecological literacy. Then, I explored the meaning of ecological literacy in elementary education and practical way for leaning it. Ecologism, which is theoretical background of ecological literacy, has a wide spectrum, but commonly rooted in ecology and has the participatory, systemic, and holistic features. The elements of ecological literacy based on the study of Capra (2003), Orr (1992), Berkowitz (2005), and Cutter-MacKenzie and Smith (2003) are ecological knowledge, ecological sensibility and eco-centric attitude. Especially, promoting ecological literacy through the experiences in nature is important. A practical plan, including teacher training, curriculum, improve the environment for it should be prepared in elementary education.

      • KCI등재

        Capra의 생태계 원리 기반 생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생태소양 함양에 미치는 효과

        최소영 ( Choi So-young ),김기대 ( Kim Kee Da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4

        본 연구 목적은 Capra의 생태계 원리를 기반으로 하여 생태소양 함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중학생들의 생태소양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교육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Capra의 생태계 원리와 관련된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프로그램 세부 활동 주제를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생태소양 함양 프로그램 및 주제별 학생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지역의 중학생 6명을 실험 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26차시 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이 끝난 후,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에서 생태소양 평정척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집단의 전체적인 생태소양이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생태소양을 구성하는 인지적, 정의적 및 행동적 요소별 비교에서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생태소양 함양 프로그램은 중학생들의 생태소양을 함양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50%의 학생들은 생태소양 구성요소 중 정의적 영역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여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정의적 영역과 관련된 활동들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제안된다. 전반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호감도, 유익성 및 동기부여 측면에서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러한 생태소양 함양 프로그램이 과학과와 관련된 교육과정에서 적용된다면 학생들의 생태소양이 늘어나 생태계 보전과 지속가능한 삶을 영위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ograms for fostering ecological literacy based upon the ecological principles of Capra, apply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se the effects of the ecological education. We analysed both the ecological principles of Capra and related achievement bases of science curriculums at middle school and selected the detailed activity themes of the programs. As results of these analyses, final 26 hour programs for fostering ecological literacy and activity plans per themes were developed. The programs were applied to 6 middle schoolers in Chungbuk region. After the applications of th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s, we analysed the results of evaluation index inspection for the control and treated groups. This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overall ecological literacy of the treated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values of three elements, cognitive, just and active composed of the ecological literacy in the treated group were higher that those in the control group. So, we concluded that the programs for fostering ecological literacy have a positive possibility to increase ecological literacy. And the half students agreed the highest importance of the cognitive elements of ecological literacy, which have the implications of priority on the activities related with the cognitive elements. The students responded affirmatively to favorability, availability and motivation of the programs. These programs for fostering ecological literacy and their applications can give contributions to ecological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lives.

      • KCI등재

        학교 정원을 활용한 생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생태소양 함양에 미치는 효과

        이진웅 ( Jin Woong Lee ),서민수 ( Min Su Seo ),정길우 ( Gill Woo Jeong ),김정희 ( Jeong Hui Kim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1 현장과학교육 Vol.15 No.4

        오늘날의 지구 생태계가 생태학적 위기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는 생태학적 위기의식이 확산되면서 이를 인식하고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생태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생태소양 함양을 위해 과학 교과의 「생물의 다양성」 단원을 재구성하여 학교 정원을 활용한 생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중학생들의 생태소양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도시의 중학교 세 곳을 선정하여 생태교육 프로그램으로 수업을 진행한 실험 집단과 교실에서 교수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비교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이들의 생태소양을 측정했다. 그리고 생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와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추가로 진행했다. 연구 결과, 생태소양을 구성하는 생태학적 지식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생태소양을 구성하는 생태적 태도는 실험 집단 학생들이 비교 집단 학생들보다 더 높은 생태적 태도 그리고 강한 생태중심주의와 약한 인간중심주의를 보여 생태교육 프로그램이 생태소양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 결과는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보여 생태소양 함양을 위한 생태교육 프로그램으로서 부족함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학생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보완했다. 생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 정원에서 「생물의 다양성」 단원을 학습한 학생들은 생태적 지식형성뿐만 아니라 생태적 태도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아 이를 통해 생태소양을 함양하고 증진하였다. 따라서 중학교 과학 교과 시간에 학교 정원을 활용한 생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학생들의 생태소양이 함양되고 증진될 것이다. As the ecological crisis awareness that today’s global ecosystem is facing an ecological crisis situation is spreading, the need for ecological education is being raised as an effort to recognize and overcome i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using the school garden was developed by reorganizing the 「Bio-diversity」 sec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to cultivate the ecological liter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applying this to the class, the effect on the cultivation of ecological liter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ree middle schools in large cities, and their ecological literacy was measured by dividing them into an experimental group in which classes were conducted through an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and a comparative group in which classes were conducted using instructional media in the classroom. In addition, satisfaction evaluation and semi- structured interview on th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cological knowledge that constitutes ecological literac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However, as for the ecological attitude constituting ecological literacy,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showed higher ecological attitudes, strong ecocentrism and weak anthropocentrism than the comparative group student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ultivation of ecological literacy. Satisfaction evaluation results for th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showed high scores in all items, so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shortage of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for cultivating ecological literacy. Meanwhile, the program was supplemented based on student interviews. The students who studied 「Biological Diversity」 in the school garden through th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were positively affected not only in the formation of ecological knowledge but also in the formation of ecological attitudes, thereby cultivating and promoting ecological literacy. Therefore, if th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using the school garden is applied to the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the ecological literacy of the students will be cultivated and promoted.

      • KCI등재후보

        생태소양의 개념화 연구

        임진경(Lim, Jin Kyung)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19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소양의 의미와 속성을 파악하여 생태소양의 개념을 분석하는 것이다. 생태소양의 개념을 구체화하기 위해, 구성요소, 하위 영역, 내용 요소 선정을 위해서는 메타분석의 형식으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는 문헌연구 방법을 이용하였다. 생태소양을 개념화한 결과, 생태소양(ecoliteracy)이란 지속 가능한 인간 공동체와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생태계의 조직 원리를 이해하고, 이러한 원리를 적용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이 개념에 근거하여 도출된 생태소양의 구성요소에는 정서, 생태학적 지식, 사회-정치적 지식, 환경 쟁점 지식, 인지적 기술 지식, 환경적으로 책임이 있는 행동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생태소양에 대한 유아교육학적 이론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ecoliteracy. In order to conceptualize ecoliteracy, the concept was specified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ng constructs, their subcategories and details. In order to do so,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analyze previous studies by utilizing meta-analysis. Conceptualization of ecoliteracy defined ecoliteracy as an ability to understand the organizational principles of the ecosystem and to apply these principles to real life for the purpose of building a sustainable human community and society. Constructs of ecoliteracy drawn from this concept included affect, ecological knowledge, socio-political knowledge, knowledge of environmental issues, knowledge of cognitive skills and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s(ERB).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or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cerning ecoliteracy.

      • KCI등재후보

        글로벌 생태소양에 관한 어린이의 인식 조사

        송은주(Song, Eun Ju)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4 글로벌교육연구 Vol.6 No.1

        지구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한 생태 소양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으로서 글로벌 생태소양이 필요한 때이다.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생태소양의 의미와 구성요소를 규정하고,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실제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진 글로벌 생태관련행사 전후 어린이의 글로벌 생태소양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행사에 직접 참여한 S초등학교 분교 4, 5, 6학년 학생으로 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측정도구를 개발한 후,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벌 소양과 생태 소양의 정의를 검토한 결과 글로벌 생태소양의 의미는 크게 지식 및 인지적 기능 영역, 정서 영역, 행동 영역으로 구성하여 개념화 할 수 있었다. 둘째, 지식 및 인지적 영역은 글로벌 생태적 지식, 글로벌 환경 쟁점ㆍ문제 이해, 가치ㆍ행동 판단 기능으로, 정서 영역은 환경 태도, 환경적 감수성, 글로벌생태윤리관과 환경적 민감성으로 구성요소를 나누어 볼 수 있었으며 행동 영역은 책임 있는 환경 행위로 구성요소를 규정할 수 있었다. 셋째, 수원2013 생태교통 페스티벌이라는 지역 행사를 통하여 학생들은 글로벌 생태소양의 행동 영역에서 특히 큰 향상을 보였다. 이는 학생들이 한 달이라는 시간동안 글로벌 생태소양과 관련된 행사에 직접 참여한 결과로서, 지역공동체와의 협력이 학생들의 글로벌 생태소양의 긍정적 발달에 큰 기여를 하였다. Global condition demands global-ecological literacy(GEL) as a new approach for maintaining global sustainability today. In this study, GEL of on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uwon was examined using questionnaires made after defining GEL and its components.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Suwon 2013 Eco-Mobility festival for a month. The investigation was done twice before the festival started and after finished and consisted of forth, fifth and sixth grades of the participating community in Suwon.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with a pilot study to sec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First, GEL was conceptualized by synthesizing definitions of global literacy, ecological literacy and global conditions at the present day with three domains which were the knowledge and cognitive skills, the affective domain and the behavioral domain. Second, the components of the knowledge and cognitive skills were global ecological knowledge, understanding of global environmental issues and problems, judgement ability about value and behavior. The components of the affective domain were environmental attitude, environmental sensibility, global-ecological-ethical belief,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Lastly, the component of the behavioral domain was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Third, GEL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greatly improved in the behavioral domain by participating in the local action, Suwon 2013 Eco-Mobility Festival. This result was based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global-ecological event for a month, and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had a decisive effect on development of GEL of the student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생태소양 함양을 위한 사운드스케이프 융합예술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정은주,김정효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1 No.-

        생태 위기라는 전지구적으로 중대한 문제에 처해있는 현재, 인간 중심의 관점에서 벗어나 생태의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할 수 있는 생태소양 함양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운드스케이프 기반융합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연구 내용으로, 프랑스의 과학인문학자이자 정치생태학자인 브뤼노 라투르의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과 생태소양의 개념을 탐색하여 생태 소양의 영역을 생태적 지식과 이해, 생태적 사고와 실천, 생태적 가치관과 생태감수성으로 설정하고 각 영역의 내용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생태 융합예술의 학습 내용을 구성하기 위해 사운드스케이프를 도입하였으며, 미술과 음악을 중심으로, 과학, 국어, 실과 교과를 융합하여 총15차의 사운드스케이프 기반 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로서, 첫째, 학생들은 비인간 행위자의 존재론적 의미를 새롭게 인식하고 생태에 대한 개념을 습득했으며, 둘째, 학생들은 소리의 시각화와 분석을 통해서 비인간 행위자의 역할을 알게 됨으로써 그들을 주체로 바라보는 시각이 형성되었고 시스템적 사고를 활성화하여 생태 문제를 다각적으로 분석하는 실행 역량이 형성되었으며, 셋째, 인간과 비인간의 상호연계적인 관계성을 공감하고 이를 세심하게 고려하는 태도가 형성되었다.

      • KCI등재후보

        기초 생태소양을 반영한 논생태계 체험프로그램 개발

        김선휴(Sun Huh Kim),김기대(Kee Dae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소양의 성격을 탐색하며, 생태소양을 갖추기 위하여 누구나 익혀야할 기초적인 생태원리들을 선정하고, 선정된 생태원리들을 이해하기 적합한 논생태계에서 체험 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있다. 생태소양의 자연과학적 측면으로서 생태계 이해를 익혀야할 기초적인 생태학적 개념들을 탐색하였다. 장상호의 학문의 구조에 대한 생각과 생태학자들이 생태계를 이해하는 데 중시한 개념들에 근거하여 생태학적 기초요소에 관한 연구자들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생태계 제 요소간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Klemow의 11가지 생태개념이 기초생태소양을 함양하는데 상대적 적절성을 보였다. 이에 근거하여 논생태계 프로그램에서 익힐 생태개념들로 Klemow가 제시한 개념들을 사용하였다. 논생태계는 다원적 특성, 습지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생태소양을 학습할 수 있는 학습의 장소이며, 학습의 대상이다. Klemow가 제시한 생태개념들에 근거하여 논생태계의 가치를 탐구한 결과 생태계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생태 개념들을 익히고, 생태소양을 함양시키기에 논생태계는 적합하다. Independent Investigation Method(IIM) 프로그램을 적용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과학적 탐구활동을 하기에 적합한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IIM 프로그램이 적용된 논생태계 체험프로그램과 통하여 학습자들은 10가지 생태 개념들을 논에서 확인하도록 구성되었다. 학습자는 논생태계 프로그램을 통하여 생명현상, 물질순화, 에너지 흐름, 그 속에 인간의 역할을 살펴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sought features of ecological literacy, selected basic principles of ecology  which everyone should learn, and proposed appropriate learning of how and where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principles chosen. Orr’s ecological literacy has features of natural science, humanities, and  sociology. Ecological literacy represents understanding of ecological principles based on natural science  as well as humanistic and sociological recognition about human life in ecosystems. Basic ecological  concepts for the understanding of ecosystems were investigated in regard to natural science enhancing  ecological literacy. Ecologists’ various opinions about ecological foundation elements were compared  from Jang’s structure of study and the concepts emphasized for ecologists to understand the  ecosystem. Basic ecological concepts of Klemow which emphasiz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lements  of ecosystems were relatively adequate rather than those of other researchers for the understanding of  ecosystem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paddy field experience program was composed of Klemow ’s basic ecological concepts. By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o which the IIM program have been  applied, the IIM program is suitable for scientific research activities and is a learning tool to investigate  paddy field ecosystems. With the IIM program for paddy field ecosystem experience program, learners can  understand the kinds of 10 ecological concepts in paddy fields. The paddy field ecosystem is easy to  access compared to other ecosystems. In addition to exploring a variety of biological phenomena as well  as providing our daily food, paddy fields are historical places of our national agricultural culture.  Throughout the paddy field ecosystem experience program, paddy fields are expected to be refocused.

      • KCI등재후보

        생태교육의 내용과 전망

        김기대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2015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9 No.1

        현재 생태계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생태주의 환경관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생태주의 환경관을 포함하고, 생태학에 기반한 생태교육의 내용과 전망을 분석하였다. 우리는 생태교육을 통하여 생태학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 사는 능력을 학습하여야 한다. 생태교육의 목표는 생태학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함께 사는 것을 이해하는 능력인 생태소양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생태소양은 인간과 사회, 자연계가 서로 어떻게 관계하고 있고, 인간과 사회가 지속가능하게 관계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포함한다. 생태소양의 요소로 생태적 지식, 생태중심 태도, 생태 감수성을 들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초 생태학 개념과 생태학 원리 및 법칙에 입각한 생태적 지식의 종류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생태적 지식은 공통점과 유사점을 고려하여 7가지로 범주화하였다. 생태교육은 근본적으로 생태학의 원리에 기반한 교육이고 근본적인 삶의 변화를 목표로 한다. 생태교육의 교수 학습 방법, 생태교육 관련 교육과정과 생태교육의 평가 방법은 앞으로 생태교육에서 연구되어야 하는 분야이다. 홀리스틱 교육 비전의 원칙은 생태교육과 일치하며 홀리스틱 교육은 실현하는 분야가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prospects of ecological education that is based upon ecology and includes the environmental views of ecology. We learn to get abilities to understand basic principles of ecology and live in harmony with ecosystem through ecological education. The goal of ecological education is to enhance ecological literacy, understanding ecological basic principles and living together with surrounding things. Ecological literacy includes understandings about how humans, society and ecosystem are related and how humans and society live sustainably. The elements of ecological literacy are composed of ecological knowledge, attitude toward ecology and ecological sensitiv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ecological knowledge is classified according to basic ecological conceps and ecological principles and law, considering commons and diferrences. Finally, ecological education is based on ecological principles inherently and is pursuit of life changes. The studies of teaching, curriculum and evaluation methods in ecological education are urgently needed. The principle of holistic education goes well with ecological educa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is one of fields to make realize holistic education.

      • KCI등재

        텃밭 가꾸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생태 소양에 미치는 영향 분석

        홍서영(Hong Suh-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3

        생태 교육은 지식에 매몰된 교육이 아닌 학생들이 자연을 체험하고 그 과정에서 경이감이라는 마음의 울림을 느낄 때 진정으로 달성될 수 있다. 학교에서 실시되는 생태 교육은 이러한 경험을 학생들에게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학교 교육의 과정 속에서 이루어지는 생태 교육은 학생들의 생태 소양 증진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 학생 21명(남 10명, 여 11명)을 대상으로 학교 텃밭을 조성하여 텃밭 가꾸기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생태 소양인 생태 지식, 생태 감수성, 생태중심적 태도·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텃밭 가꾸기 활동은 학생들의 생태 중심적 태도·실천 및 생태 감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생태 감수성과 생태중심적 태도·실천 간에는 상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텃밭 가꾸기 프로그램을 통해 보람과 즐거움, 생물에 대한 책임감, 환경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느꼈다고 이야기하였다. 이를 통해 텃밭 가꾸기 활동은 학생들의 다양한 생태 체험을 가능하게 했으며, 그 과정에서 생태 소양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Ecological education can be truly attained when students experience nature and feel reverence in the process, rather than being buried in knowledge. Ecological education at school can make this experience easier for students. Therefore, ecological education in the process of school education is essential for promoting ecological literacy of students.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gardening programs on ecological knowledge, ecological sensitivity, and ecological attitudes of students by constructing school gardens for ecological education for 21 students(10 boys and 11 girls) in 1 class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in Seoul.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gardening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ecological attitude and ecological sensitivity. Second,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ecological sensitivity and ecological attitudes. Finally, the students said they felt rewarding and enjoyable, responsible for living things, caring for the environment, and loving through the gardening program. Through this, gardening activities enabled students to experience various ecological experiences, and in the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romoting ecological literacy.

      • KCI등재

        생태전환컨설팅이 보육교직원의 생태소양에 미치는 영향

        임지연,권선임,최원겸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1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0 No.3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consulting on the cultivation of ecological literacy in childcare staff. Ecological transformation consulting is a strategy to systematically support the practice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four consulting visits and various support projects for nine months at 10 nursery schools in District A, Busan. We measured the ecological literacy of childcare staff before and after the consulting. The ecological literacy scale used in this study was reconstructed from the ecological liter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developed by W. J. Ho (2012);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was conducted for the analysis using the IBM SPSS statistic 22.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when comparing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consulting, the overall score of ecological literacy of the childcare staff improved. Moreover, subscales were also improved. 본 연구에서는 생태전환컨설팅이 보육교직원의 생태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생태전환컨설팅이란 생태유아교육의 실천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전략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A구 어린이집 10개소에서 9개월간 기관 당 총 4회의 방문컨설팅과 다양한 지원사업을 실시하였으며, 컨설팅 전·후 보육교직원의 생태소양을 측정하였다. 검사도구로는 허우정(2012)이 개발한 유아교사용 생태소양척도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t검정을 실시·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생태전환컨설팅 실시 전·후를 비교하였을 때, 보육교직원의 생태소양 전체 점수는 향상되었으며, 하위영역인 생태적 신념과 생태적 실천 점수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태전환컨설팅이 보육교직원의 생태소양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보육교직원의 생태적인 신념과 실천을 향상하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지원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