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사의 이미지화를 통한 상상력 교육 연구

        홍인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9

        이 논문은 소설을 만화로 각색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상상력의 양상을 고찰하고 상상력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문자와 이미지가 결합하여 의미를 구성하는 만화는 이미지를 활용한 소통이 활발해진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복합양식 문식성을 논의하기에 적절하다. 만화와 원작 소설의 관계 파악을 통해 상호매체성을 확인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양식 간 교섭에서 발견되는 의미의 심화와 독창성은 재생산적 상상력 및 창조적 상상력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서사의 이미지화 과정에서 재생산적 상상력이 작용한 양상으로는 시공간의 현실적 재현, 말풍선의 활용과 문자의 시각화, 서사의 요약 및 재배치를 들 수 있으며, 창조적 상상력은 인물의 창조적 재현, 함축 및 과장을 통한 변형, 칸의 활용을 통한 서사 전개를 통해 확인하였다. 재생산적 상상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원작 소설에 대한 이해를 점검하고, 만화의 매체적 특성을 파악하며, 상상력 발현 과정을 성찰해야 한다. 창조적 상상력의 함양을 위해서는 확산적 사고를 장려하고, 동료 학습자 및 교사와 결과물을 공유하며, 정서적 반응에 초점을 맞추어 각색 활동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상력을 중심으로 한 서사의 이미지화에 대한 이 논문의 고찰은 융합 담론에서의 상상력 교육 내용 마련에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과학자들의 상상력에 대한 인식과 과학적 상상력의 특성 탐색

        문지영 ( Ji Yeong Mun ),문공주 ( Kong Ju Mun ),김성원 ( Sung Won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7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들의 상상력에 대한 인식과 과학 연구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상상력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상상력의 개념과 특성을 도출한 뒤, 실제 과학자를 대상으로 상상력에 대한 인식과 연구 과정에서 강조되는 상상력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로는 스노우볼 표집을 통해 국내 과학자 8인을 선정하였으며,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면담은 주로 60-90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면담 내용은 모두 전사하여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면담 질문은 상상력에 대한인식과 연구 과정에서 상상력이 발휘되었던 경험과, 상상력의 역할 등을 물어보는 반 구조화된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자들은 상상력이 과학 연구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상상력에 대하여 긍정적인 관점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과학자들은 상상력이 인간이 지니고 있는 특성으로 바라보았으며, 상상력의 개념을 폭넓게 이해하는 현대적 관점을 지니고 있었다. 연구 과정에서 강조되는 상상력의 특성은 문헌 연구에서 나타나는 상상력의 특성과 일치하였으며,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과학자들의 상상력은 경험을 통한 지적 호기심과 궁금증이 원동력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둘째, 과학적 상상력이 발휘되는 과정에서 창의적 특성이 나타난다. 셋째, 과학적 상상력은 과학 지식을 기반으로 현실 가능성을 고려하며, 새로운 것을 산출하는 특성을 지닌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과학적 상상력의 특성을 도출하고, 그 의미와 함께 과학 학습에서의 상상력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cientists` perception of imagination and explored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imagination. For this, we found out conceptions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literatures which related to imagination. We recruited eight distinguished Korean scientists who have rich research experiences by using Snowball sampling for in-depth interviews (60-90 minutes). All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From the analysis of interview data, we identified their perceptions of imagination and the nature of scientific imagination which scientists reflect on during their research work. Semi-structured interview protocol was focused on: 1) how scientists perceive “imagination” and 2) how scientists perceive the role of imagination in their scientific research. As results, we found out that scientists agreed that imagin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scientific research process and they perceived imagination as an intrinsic part of human life. The study also indicated that participants have modern viewpoint about imagination. Moreover, we uncovered three characteristics of imagination in the research process. 1) Curiosity and interest have been a driving force for scientists` imagination. 2) When scientists use the imagination, they can be more creative during their research. 3) Imagination contemplated realistic possibilities based on the scientific knowledge, and produced the new one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utilization of scientific imagination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

        상상력의 다의적 함의와 기독교교육

        문은영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6

        This paper pursues to explore imagination that is the essential human capacity in the interdisciplinary way and to integrate it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is I investigated the diverse meanings that imagination bears from the perspective of art, science, philosophy, religion, and education. Then I presented the paradigm of Christian education through imagination in order to dialogue deeply from the religious educational viewpoint. I theorized this frame of pedagogy through imagination in my dissertation and have developed consistently through the conversation with various scholars and subjects since then. Further, I reviewed the diverse meanings of imagination that I explored before in the view of Christian educational paradigm through imagination. Imagination is an essential human capacity that is more emphasized in the 4th industrial era in which "fusion" or "superfusion" is emphasized. As Kant understands imagination as "the power of making one," (Einbildungskraft) the integrating power of imagination resonates to the spirit of the 4th industrial era. This paper seeks to elicit the broader implications of imagination through investigating the various meanings from the interdisciplinary viewpoint. I hope that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build the more creative and vivid teaching-learning process through activating the dynamics of imagination. 본 소고에서는 상상력이라는 인간 본연의 잠재력에 대해 학제적으로 폭넓게 탐색해 보고 기독교교육적인 관점에서 통합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상상력이 담고 있는 다양한 의미들을 예술적, 과학적, 철학적, 종교적, 교육적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나서 기독교교육적인 관점에서 보다 깊은 대화를 해 나가기 위하여 상상력을 통한 기독교교육의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이 상상력을 통한 페다고지의 틀은 필자가 학위 논문에서 이론화 작업을 시도한 이후에 다양한 주제와 학자들과 대화를 시도하면서 계속적으로 보다 깊이 있고 폭넓은 의미들을 길어내고 있는 과정 중에 있다. 더 나아가 앞서 학제적인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던 상상력의 다양한 함의들을 필자가 제시한 상상력 중심의 기독교교육적인 패러다임의 관점에서 재성찰해 보았다. 상상력은 특히 “융합, 초융합”을 강조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더욱 중시되고 있는 인간 고유의 능력이다. 칸트가 상상력을 “하나로 만들어 내는 힘” (Einbildungskraft) 으로 이해했듯이 상상력의 종합하는 힘은 “융합”에 중점을 두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 정신과 공명하는 면이 있다. 상상력의 다양한 함의들을 학제적인 관점에서 연구함으로 보다 폭넓은 의미를 도출해 내고자 시도한 이 논문을 통해 현시대의 기독교교육 현장에 있어서 상상력의 역동성을 활성화시킴으로 창의적이고 생동감 있는 교수-학습 과정을 일구어 가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소망한다.

      • 씻김의 상상력

        김현희(Kim, Hyeonhee) 민족미학회 2013 민족미학 Vol.12 No.2

        상상력은 중층적이다. 그것은 우리의 인식을 구성하기도 하고 꿈을 꾸게 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인식을 구성하는 상상력을 현실성의 구조에 갇혀있는 상상력으로 본다. 칸트의 인식론에서 상상력은 감각에 주어진 다양함의 소여를 형상적으로 종합하는 선험적 작용이다. 칸트는 상상력을 재생적 상상력과 산출적 상상력으로 나누는데, 이 중 미를 산출하는 능력으로서의 산출적 상상력이 19세기 낭만주의에서 말하는 창조적 상상력에 해당한다. 재생적 상상력은 다시 도식적 직관에 해당하는 상상력과 상징적 직관에 해당하는 상상력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들은 도식과 관념의 연합 등으로 인해 현실성의 구조로부터 벗어나지 못한다. 꿈에서의 상상력은 현실에서 억압된 무의식적 욕망의 충족에 기여하는데, 어떤 경우 소원성취를 은폐하여 상징으로서 나타나기도 한다. 꿈의 상징성은 인간 무의식의 원형을 드러내기도 하고 예지적이며, 창조적이기도 하다. 미를 산출하는 능력으로서의 창조적 상상력은 상상력과 오성의 자유로운 놀이에 의해 가능하다. 이 자유는 ‘관념의 연합’으로부터의 자유이고, 현실성의 구조로부터의 자유이다. 칸트에 따르면 이러한 창조적 상상력은 천재에게만 가능하다. 하지만 니체에 따르면 ‘아이되기’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정신적 변화의 상징으로서의 아이는 디오니소스적인 것을 일컫는다. 여기서 정신의 변화는 낙타-사자-아이의 순서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한-신명-씻김의 과정에 대비될 수 있다. 중층성을 지닌 상상력은 우리를 세계와 만나게 하면서 동시에 세계로부터 벗어나게 하며, 한편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게 만든다. 그 과정에서 우리의 삶도 정화되고 치유되면서 씻김이 일어나는데, 이 작용의 한가운데 우리의 삶을 관통하는 상상력이 있다. Imagination is multi-layered. It consists of our cognition or makes us dream. The imagination that consists of our cognition is enclosed in the structure of reality. In Kant"s cognitive theory, imagination(Einbildungskraft) is a ‘transzendentale Handlung’ that figurely synthesizes the various given to senses. Kant divides imagination into ‘produktive Einbildungskraft’ and ‘reproduktive Einbildungskraft’. ‘Einbildungskraft’ that produces ‘the beautiful’ is the creative imagination in 19"th century Romanticism. ‘Reproduktive Einbildungskraft’ is further divided into ‘schematische Anschauungsart’ and ‘symbolische Anschauungsart’. These are not free from the structure of reality because of ‘Schema’ or ‘association of ideas’. Imagination in dreams help us fulfilling our desires oppressed in unconsciousness, some of which appears as symbols of disguising the wish-fulfillment. The symbols in dreams are predictive or creative. Those show us man"s archetypes of unconsciousness. We can imagine creatively when our ‘Einbildungskraft’ freely plays with ‘Verstand’. This freedom is from ‘the association of ideas’ and from ‘the structure of reality’. According to Kant only Genie can imagine creatively. However Nietzsche says that it is possible to be children. To be children is the symbol of soul-change. The three soul-changes, ‘camel-lion-child’ are counterparts of ‘Han-Shinmyeong-Sitgim’. Multi-layered imaginations make us meet the world, be free from the world, and create the new world. Therefore those imaginations are all the healing and purifying imagination.

      • KCI등재

        하이데거 상상력의 위상 변천: 상상력의 조건부 귀환

        김동규 범한철학회 2013 汎韓哲學 Vol.70 No.3

        This study aims to clarify how the modern imagination has been transformed into the post-modern imagination. To forward our study, I will search for a topological shift of the imagination concept, which M. Heidegger has developed. Especially Heidegger wants to appropriate the imagination for his own concept(time), interpreting Kant’s imagination newly. In the Heidegger’s early philosophy, the imagination is (1) the source of synthetic knowledge, (2) the mark of the finitude, (3) a kind of time, (4) the force of the other in the self. He constituted the concept of the imagination which surpassed the modern understanding, but he abandons it afterward in appearance, because of the implications of the modern philosophy in it. But Heidegger did not give up the imagination completely. He has again used it carefully. Of course this imagination has quite other position than before in his thinking system. While the early imagination has placed on the center of the philosophical thinking, the late imagination has ascribed to the poem which is belonging together (zusammengehören) philosophy. The former is the position of imagination that results from process of the appropriating the modern imagination, the latter is out of philosophy, i.e. in the poem (or art) belonging together philosophy. In this respect, Heidegger has not abandoned the imagination to the last, but changed only its topos. In this topological transition of imagination, we can find post-modern conditions for the return of imagination. (1) We must erase all traces of the anthropocentric metaphysics in the modern imagination. (2) Imagination as a poetical thinking is not the same with the philosophical thinking, but it is as a unique friend of philosophy, indispensable for the understanding of Being. 본 논문은 하이데거 전기철학에서 후기철학에 걸쳐 상상력 개념의 변화의 추이를 밝힘으로써 근대적인 상상력 개념이 현대적인 개념으로 변용되는 방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1920년대까지 하이데거는 상상력을 비중 있게 다룬다. 특히 『칸트와 형이상학의 문제』에서 그는 칸트의 상상력을 새롭게 해석하면서 자신의 개념(‘시간’)으로 전유하고자 한다. 전기 하이데거가 전유한 내용을 요약하자면, 상상력이란 (1) 종합적 인식의 근원이고, (2) 유한성의 징표이며, (3) 근원적으로 시간이고, (4) 어떤 타자적인 힘이다. 이와 같이 하이데거는 칸트의 근대적 상상력 개념에 바탕을 두면서도 그것을 초과하는 개념적 단초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탈근대적 상상력의 얼개를 구상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하이데거는 상상력 개념이 내포하고 있는 근대 철학적 함의 때문에, 더 이상 그것을 사용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하이데거가 완전히 상상 개념을 포기한 것은 아니다. 후기 하이데거는 조심스럽게 다시 이 개념을 사용한다. 물론 상상은 이전과는 전혀 다른 위상을 가진다. 즉 초기의 상상력이 철학적 사유의 핵심부를 지칭하는 말이라면, 후기 하이데거에게 상상은 철학과 공속관계에 있는 시(또는 예술)에게 귀속된다. 전자가 칸트의 근대적 상상력 개념과의 대결의 결과로서 철학 내부에 상상력의 자리를 마련한 것이라면, 후자는 전자를 바탕으로 철학의 외부(하지만 철학과 공속하는 예술)에 상상력의 자리를 이전 시킨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하이데거는 후기철학에서도 상상력을 포기하지 않는다. 다만 상상력이 차지하는 위상에 변화가 있었을 뿐이다. 또한 이러한 상상력 위상의 변천은 ‘상상력 귀환의 현대적 조건들’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 조건들이란 (1) 상상에서 제작 형이상학, 인간중심적 형이상학의 흔적을 지워야 한다는 것과, (2) 시(혹은 예술)적 사유로서 이미지 또는 상상(력)은 존재 개방의 측면에서 철학적 사유와 대등할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그것이다.

      • KCI등재

        흄의 철학에서 상상력의 성격과 의미

        강동수(Kang, Dong-Soo)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70 No.4

        흄은 상상력을 정신적이며 후천적인 기능으로 해명하였던 최초의 철학자로 평가될 수 있다. 그의 상상력 해명은 다른 특색을 가지고 있다. 그는 자신의 『인성론』에서 상상력의 성격과 한계에 대해서 해명하였다. 그에 따르면, 상상력이 관념연합 원리들에 따라 작용하는 정신 근본적인 기능이며, 그 원리들은 경험과 습관을 통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상상력은 선천적인 능력이 아니라 오직 경험을 통해서 습득되는 기능이다. 상상력은 주어진 관념을 기계적으로, 즉 수동적으로 조합하여 오성에 전달하는 매개기능도 아니며, 그리고 없어도 좋을 부차적인 기능이 아니다. 상상력은 필요에 따라 그리고 상황에 맞게 능동적으로 관념들을 분리하고 재결합하는 근본 기능이다. 이런 성향은 상상력과 이성의 동근원성에서 유래한다. 흄은 상상력에 개입하는 원리들을 두 종류로, 즉 영원하고 불가항력이며 보편적인 원리와 가변적이며 불규칙적인 원리로 구분한다. 영원하고, 불가항력적이며 보편적인 원리들은 모든 사유와 활동의 기초이며, 그 원리들이 제거되면 곧 바로 인간의 본성도 사라지고 폐허가 된다. 반대로 가변적이고 불규칙적인 원리는 인류에게 불가피하지 않고 필연적이지도 않다. 이러한 구분은 그가 구획하였던 상상력, 공상, 망상 사이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공상과 망상은 가변적이고 불규칙적인 원리에 따라 상상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명칭들이다. 상상된 관념이 공상인지 아니면 망상인지 판가름하는 것은, 일상적인 이해와 다르게, 인상이 아니라 습관과 신념이다. David Hume has elucidated imagination as an acquired mental faculty. In his elucidation a different character was concealed. We inquired into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imagination that treated in Hume’A Treatise of Human Nature. According to his explanation, imagination is a mental, active and fundamental faculty which is operating with principles of union of ideas. These principles are formed through experiences and customs. Imagination is not a function which mediates mechanical, passively between sense and understanding, and is not a secondary function which do without it. Rather than Imagination is a fundamental and active faculty which separates or unites suitably with ideas by a necessity and a situation. This disposition originate in the same origin of imagination and reason. Hume distinguished principles in imagination. The one is permanent, irresistible, and universal principles. These are the foundation of all our thoughts and actions. The other is changeable, weak, and irregular principles. If universal principles would be removed from imagination, then human nature must be perished and gone to ruin. But irregular principles are neither unavoidable to mankind, nor necessary. The difference of principles is useful to understanding for the difference between imagination, fancy and caprice. By him, differently to ordinary comprehension, it is not in an impression but in the custom and belief that imaginary idea is decided as a fancy or caprice.

      • KCI등재

        국내 유아교육 분야 상상력(想像力)관련 연구동향 분석

        박은선(Park, Euns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1 창의력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국내 유아교육분야의 상상력 관련 연구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상상력 교육 연구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1994년부터 2021년 1월 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상상력 관련 연구의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내용, 연구방법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상력 관련 연구는 매년 꾸준히 수행되다가 2016년 이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상력 관련 연구의 연구대상은 인적대상(50.7%), 실천대상(28.6%), 물적대상(20.8%)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상력 관련연구의 연구내용은 실천연구(64.8%), 기초연구(35.2%)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상력 관련연구의 연구 방법은 양적연구(50%), 질적연구(26%), 문헌연구(24%) 순으로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 상상력 관련 연구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유아들의 놀이맥락에서 발현되는 상상력과 교사의 역할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상상력 발현을 돕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연구와 상상력 척도개발 연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상상력 교육의 실천 방법을 탐색하는 질적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earch direction of imagination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related to imagin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To this end, the research period, research subject, research content, and research method trends of imagination-related research were analyzed for master s and doctoral thesi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from 1994 to January 2021. Research Results First, research related to imagination has been steadily conducted every year, but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2016. Second, the subjects of research related to imagination were found to be the most research subjects for children and teachers(50.7%). Third, the research contents of research related to imagination were in the order of practical research (64.8%) and basic research (35.2%).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methods of imagination-related research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quantitative research (50%), qualitative research (26%), and literature research (24%).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direction of research related to imagination that needs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was suggested.

      • KCI등재

        상상력에 관한 연구 동향 및 유형 재탐색

        이하영(Lee, HaYoung),진영은(Chin, You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7

        본 연구는 2009개정 초등교육과정에서 창의적인 인간을 기르기 위해 상상력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총괄 목표에 따라 교육 전반에 적정하게 적용할 수 있는 상상력의 개념과 유형을 수립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문제의식 아래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에서 연구되는 상상력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국어과에서는 문학적·시적 상상력, 도덕과에서는 도덕적 상상력, 역사과에서는 역사적 상상력, 과학과에서는 과학적 상상력, 예술과 관련해서는 예술적 상상력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각 상상력의 특성을 살펴본 바에 의하면, 비슷한 성질의 상상력이 명칭만 달리하여 각각 내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상력을 교육적 실천 전반에 적용 및 확장하기 위한 그 선행적 토대로서 상상력의 유 형을 반성적으로 검토하여 재분류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상상력의 유형을 크게 개인의 감정 및 심상에 의한 것과 실재에 기반 한 상상력으로 구분하였으며, 세부적으로는 감각적 상상력, 공감 및 감정적 상상력, 상상적 공상, 종합적 상 상력, 지적 및 전략적 상상력, 창조적 상상력, 비판적 상상력의 7가지로 제시하였다. Based on the general objective of the primary curriculum, revised in 2009, this study addresses the necessity of the imagination that can be applied across subject. For this purpose, the domestic researches had been reviewed in terms of imagination so that it turns out that each field is considering the imagination limited on its own boundary; the language associated is only focusing literary, poetic imagination. Furthermore, as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each imagination, it also observed that similar properties are named differently in different fields. In this study, imagination is analyzed in two ways: emotional one which is associated with emotion and mentality, and cognitive one is relevant to the ability to configure the real based on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seven educationally efficacious imagination types and educational factors connected to each type are suggested.

      • KCI등재

        상상력과 이미지의 근원과 작용 원리 -뒤랑의 비판에 대한 변론-

        장영란 ( Young Ran Chang ),김신 ( Sin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5 No.-

        근대의 계몽주의는 산업혁명과 시민혁명을 주도하면서 자본주의의 발전을 촉구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이성의 도구적 사용으로 인해 인간의 욕망과 상상력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다. 본 논문은 근본적으로 상상력과 이미지의 근원과 역할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상상력 이론을 전체 논의 기반을 삼아 현대의 상상력 이론의 전기가 되는 사르트르와 바슐라르의 주요입장과 뒤랑의 비판을 검토하여 적절한 평가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를 전개할 것이다. 첫째. 상상력에 대한 학문적 이론을 수립하려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상상력과 이미지에 대한 기본적인 논의를 살펴보면서, 현대 철학의 사르트르의 상상력 이론에 대한 뒤랑의 비판을 재검토하였다. 사르트르는 상상력과 이미지에 대한 전통적인 입장을 검토하면서 실존주의와 현상학에 기반하여 상상력이 일종의 의식이며 상상력은 지각작용이나 기억작용과 명확히 구분되며, 나아가 상상력이야 말로 결정론에 반하는 자유의 증거로 인간의 자유를 확보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상상력에 대한 전기를 마련하고 싶었던 뒤랑에게 사르트르의 작업은 매우 불만족스러울 수 있다. 하지만 사르트르가 현상학을 통해 이미지에 빠져들어야 한다는 뒤랑의 비판은 현상학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여지가 많다. 둘째, 상상력과 이미지의 작동 원리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 바슐라르의 이론과 방법이 전통 철학으로부터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일으켰다고 평가하면서도, 뒤랑은 바슐라르의 상상력과 이미지의 존재론적 원리와 4원소론에 대해 직접적인 공격과 비판을 가한다. 바슐라르는 서구의 원형적 이미지로서 4원소를 제시했지만 4원소에만 국한한 것은 아니다. 바슐라르는 4원소의 양가성과 다양한 이미지에 대해 논의하였는데, 이것은 뒤랑의 비판처럼 4원소가 불충분해서가 아니라 4원소와 관련된 이미지 군들이 확장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뒤랑의 비판처럼 지역이나 문화에 따라 궁극적인 원소의 숫자는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에 4원소는 자민족 중심주의의 결과일 수도 있다. 그렇지만 서구 정신의 근원으로서 그리스 문화와 사상이 서구 역사에 미친 영향력을 인정한다면 4원소의 원형적 이미지의 중요성은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 Modern Enlightenment had led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Civil War, but urges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modern society has amplified interest in the human desire and imagination with the limits of instrumental reason. This paper is aimed to review and to evaluate properly the main concept of Sartre and Bachelard and Durand`s criticism on them. Thus, this paper discuss the following two aspects. First, I review Aristotle`s imagination theory who had tried to establish a scientific system about the imagination, and Durand`s criticism on Sartre`s theory of imagination. Analyzing the traditional arguments of imagination and images, Sartre claimed the imagination is a kind of consciousness on the basis of existentialism and phenomenology. Futhermore, he claimed imagination to be as condition of freedom to the contrary in determinism, argued that ensure human freedom. It could be very unsatisfactory for Durand who expected to provide a turning point on imagination theory. Nevertheless it is in a controversy on Durand`s criticism which Sartre concentrated on images through the research of phenomenology. Second, Bachelard`s the theory and method, starting from interest in the working principle of the imagination and the image, caused a Copernican transition of the theory of imagination in traditional philosophy. Durand attacked directly on Bachelard`s the ontological principles and the theory of four elements. Bachelard presented the four elements as the archetypal image of the Western thought, but didn`t confine only to the four elements. He has discussed ambivalence of four elements and various images, not that they are insufficient in themselves, but that they make images group or constellation extend and amplify. However we have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the four elements as the archetypal images if you acknowledge their influence of the Greek culture as the origin of Western thought.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과 교육목적으로서 상상력의 이해: 내러티브적 접근

        김유라,강현석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7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5 No.3

        상상력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시대에서부터 논의되는 인간의 중요한 정신능력 중 하나 라고 볼 수 있다. 상상력은 흔히 인간의 상상력을 불완전한 혼란과 거짓된 것이라는 플 라톤과, 진리인식에 대한 중요한 정신능력으로 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으로 대비되 어 설명되면서 이러한 흐름이 계속되었고, 바슐라르에 의해 상상력에 관한 코페르니쿠 스적 전환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상력은 이제 더 이상 철학적 사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정 목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며, 타당한 교육방법에 대한 고민도 필요한 시 점이다. 중요한 교육학자이자 교육과정 학자인 아이스너, 파이너, 브루너에게서도 교육의 목 적으로서 상상력에 대해 주목할 만한 언급을 발견할 수 있다. 교육과정에서 상상력은 하 나의 분리된 정신능력이나 특정 교과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의 전 과정 속에 스 며들고 구현되어야 하는 하나의 문화적 과업인 셈이다. 상상력을 교육한다거나 상상력 을 통한 교육이 아니라 교육한다는 것 자체가 상상력이 포함되어야 하고, 교육활동과 교 육목적 속에 상상력이 살아 숨 쉬어야 한다. 브루너의 용어로 보면 패러다임적 학교 문 화에서 훼손당하는 상상력을 이제 내러티브 문화 속에서 그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복원 해야 할 때이다. Imagin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mental abilities of humans, which has been discussed from the ancient Greek and Roman times. Regarding imagination, Plato called it something fake and incomplete confusion while Aristotle viewed it as an important mental ability for the perception of truth. This flow faced the Copernican change in imagination by Bachelard. Such imagination is not only the philosophical thinking any more, but also actively reflected to curriculum. Many pedagogists and curriculum scholars representing the 21st century such as Eisner, Finer, and Bruner emphasize the imagination in education. Instead of a separate mental ability or subject, imagination should be demonstrated in the whole processes of education. It is not the education of imagination or through imagination, but the education that includes imagination in its activities and go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