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符都誌』에 나타난 韓國仙道의 ‘一·三論’

        정경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07 선도문화 Vol.2 No.-

        『Budo-ji符都誌』consists of two parts. The former part is the ontology and the historical view of Korean Sundo. The latter part is the origin of human history and Korean history viewing through the historical view based on Korean Sundo. According to the historical view of『Budo-ji』, the age of Mago-sung麻姑城 that the progenitors of the human race had completed to their mission that is to maintain the order of the universe, was indicated to the ultimate model for human to pursue. The historical view to pursue the revolution to the age of Mago-sung could be called to the historical view of Bokbon(復本: the revolution to the root). In Korean Sundo, it has been conceived that 'One'(Il一: Oneness, the whole, God: ) has an inclination to repeat endless periodicity of birth and death. Also『Budo-ji』has the theory on the periodicity, it is the theory on Sun-chun先天(the preceding periodicity of the being or the universe) and Hu-chun後天(the following periodicity of the being or the universe). When we investigate flows of Sun-chun先天 or Hu-chun後天 minutely, we can find out the fact that these periodicity is just the process of the three dimensions of the being or the universe, that is Chun(天: Information or Naught無·空 : Huh-dal-sung虛達城), Ji(地: Material : Sil-dal-sung實達城), and In(人: Energy : Ki氣 : Mago-sung麻姑城), is harmonized to revealed to the concrete being or the concrete universe. In『Budo-ji』, the process that the three dimensions of the being or the universe is harmonized to revealed to the concrete universe or the concrete being, was divided into several stages. Also this process was explained with the theory on Ruh-Yul(呂律論) and the theory on Eum-Hyang(音響論). According to the theory on Ruh-Yul(呂律論), Ruh(呂) acts first, and then Yul(律) acts in the second place. As Yul(律) acts, the being or the universe can be revealed itself concretely. The acting aspect of Ruh(呂) was conceptualized to Eum(音) and the acting aspect of Yul(律) was conceptualized to Hyang(響). Therefore the theory on Ruh-Yul(呂律論) and the theory on Eum-Hyang(音響論) are different expressive methods about the same theory. In conclusion, Ruh(呂) or Eum(音) means the possibility of revelation to the being or the universe. Yul(律) or Hyang(響) means the consequence of revelation to the concrete being or the concrete universe. In『Chunbu-kyung天符經』and『Samil-singo三一誥』, there is the original form of the theory on One-Three(一三論) of Korean Sundo. We can find just the same theory in 『Budo-ji』. 『부도지』는 내용상 제1부 ‘存在論 및 史觀’ 부분 및 제2부 ‘인류사 및 한국사의 시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제1부에서는 한국선도 고유의 존재론이 ‘神話’의 방식으로 제시되어 있는데 이 속에 한국선도 고유의 역사 인식, 곧 ‘仙道史觀’이 내포되어 있다. 『부도지』의 ‘선도사관’에서는 麻姑城 시기, 곧 人祖들이 존재계의 질서를 안정시키는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였던 시기를 인류사의 기준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인조들이 마고성에서 分居해 나온 이후에는 한결같이 ‘復本’의 기준을 적용하였다. ‘復本’의 ‘本(근본)’이란 ‘마고성에서의 인조들의 근본(本) 상태’라는 의미로, 여기에서 마고성 시기를 이상시하는 역사 인식이 단적으로 드러나 있다. 『부도지』의 선도사관에서는 ‘復本’의 기준이 너무나 선명하여 ‘復本史觀’이라고 이름할 수 있을 정도이다. 제2부는 人祖들의 麻姑城 分居 이래 ‘復本’의 상징물인 ‘天符’가 黃穹氏 → 有因氏 → 桓因氏 → 桓雄氏 → 任儉氏 → 夫婁氏 → 浥婁氏로 이어지는 7世 7천년간의 역사이다. 한국선도에서 ‘존재(계) 자체’인 ‘一()’은 무수한 생멸의 주기를 반복하는 속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이는 ‘週期論’으로 이름해 볼 수 있다. 『부도지』역시 ‘先天·後天論’이라는 ‘주기론’을 취하고 있다. 선천과 후천 사이에 ‘朕世’가 설정되어 있지만 과도기에 불과하며 ‘선천’이나 ‘짐세’는 ‘후천’을 논하기 위한 전제로서 잠깐 이야기될 뿐이다. 분량이나 내용 면에서 전적으로 후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데,『부도지』는 존재계의 무수한 주기 반복의 역사 중에서도 ‘후천’으로 이름한 특정 주기의 역사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쓰여졌음을 알 수 있다. 선천이나 후천 주기의 세부적인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이들 주기는 존재의 세 차원인 ‘虛達城·麻姑城·實達城’ 三元이 어우러져 존재계로 발현되는 과정에 다름아님을 알게 된다. 한국선도에서는 ‘존재(계) 자체’인 ‘一(신)’을 이루고 있는 존재의 세 차원으로서 天(정보 또는 無·空), 地(질료), 人(에너지)을 제시하고 있는데,『부도지』에서는 이를 虛達城·麻姑城·實達城으로 표현하고 있다. 天(정보)이 갖고 있는 ‘無性·空性’을 범주화하여 ‘虛達城’으로, 地(질료)가 갖고 있는 ‘물질성·구체성’을 범주화하여 ‘實達城’으로, 人(에너지)이 갖고 있는 ‘三元造化의 중심으로서의 운동성·창조성’을 ‘麻姑’라는 여신으로 의인화하고 또 이를 麻姑城으로 범주화한 것이다. 虛達城·麻姑城·實達城 삼원이 어우러져 존재계로 구현되는 과정은 몇 단계의 소시기로 구분되는데, 이 과정은 삼원이 어우러져 존재계로 발현되는 과정이 麻姑城 차원 중심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 이유는 虛達城·麻姑城·實達城 삼원 중에서도 마고성 차원이 삼원을 움직이는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이는 한국선도의 一·三論에서 天·人·地 삼원중 특히 人 차원에 삼원조화의 중심 역할을 부여하는 특징에 다름아니다. 一週期 내에서 ‘虛達城·麻姑城·實達城 삼원이 어우러져 존재계로 구현되는 과정은 ‘呂律論’(‘音響論‘)으로도 설명되고 있다. 呂律論의 경우, ‘呂’가 먼저 작용한 다음 ‘律’이 작용하며 ‘律’의 작용과 함께 비로소 존재계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呂’는 현상의 존재계가 형성 ...

      • KCI등재

        三國故事의 史的 기록과 희곡적 변용

        金玉蘭 한국중국소설학회 2010 中國小說論叢 Vol.31 No.-

        《三国志演义》是一部在东亚拥有广泛的读者群的古典名作.这部小说超越时空,深受广大读者的喜爱.《三国志演义》不同于其它文学作品,它既和历史记录有关,又和民间文化有着密切的联系. 从对历史的记载来看,陈寿的《三国志》文笔洗炼流畅,文脉清晰展现,比较真实地反映了历史事件,作品也得到了高度的评价,但在《三国志》中,对历史事件的时间顺序,以及因果关系的叙述还不够明确.裴松之的《三国志.注》则大大弥补了上述不足.可以看出,裴松之大量添加了“异事”等内容,为文学作品提供了丰富的素材,对人物形象的刻画起了重大作用.但是,裴松之依然采用了纪传体叙述,所以,尽管突出了人物形象,而历史事件的时间和顺序依然模煳.司马光在《资治通鑑.三国志》中采用编年体,弥补了上述不足,构筑了完美的叙述体系.他对人物的叙述,采用了插叙法、对比法,以及围绕中心事件展开叙述的主线法等,都比较充分地记载了历史,作品也更接近文学叙述. 三国故事在民间更是广为流传,甚为活跃,期间经历了多种体裁的变化,而内容也逐渐丰富.宋代说书文化发达,出现了专门讲三国故事“说三分”的说书人.元代有杂剧“三国戏”和集话本之大成的《三国志平话》.元杂剧中的“三国戏”和《三国志平话》的大部分故事有相似之处,但是,杂剧“三国戏”的描绘更细腻丰富,故事也更加趣味盎然,生动流畅.究其塬因,《三国志平话》基本上保留了民间故事的面貌,而杂剧“三国戏”则经历了文人的修改和润色.上述两种文学体裁均对《三国志演义》的形成起了重大影响.

      • 천태 지의와 원효의 만남 ― 일심삼관(一心三觀)을 중심으로 ―

        오지연 ( Oh Ji-yeon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17 불교 철학 Vol.1 No.-

        천태 지의와 원효는 각각 중국과 한국의 불교를 대표하는 큰 성인이다. 천태 지의보다 80여년 후에 활동한 원효에게는 천태가 접하지 못하였던 유식과 여래장사상 등 사상사적 보완이 있었으나, 불교에 대한 근본적 관점은 법화일승(法華一乘)의 측면에서 일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불경전체에 대한 이해인 교판(敎判), 일승도(一乘道)의 실천론에서 상통하고 있다. 천태는 일찍이 『보살본업영락경』에 설해진 삼관(三觀)에 주목하여, 일심삼관(一心三觀)이라는 원돈(圓頓)의 실천문을 확립하였다. 원효도 『금강삼매경론』에서 삼관설(三觀說)에 의거하여, 자리(自利)의 관행(觀行)을 넘어선 이타(利他)의 교화행으로서 일심삼관을 언급하였다. 하지만 『금강삼매경론『에서는 일심삼관을 행하는 주체가 십회향(十回向) 이후의 보살로 국한되며, 중생교화행으로 설해진 일심삼관과 그 이전에 행하는[內行] 이관(理觀)이 분리되어 서로 회통되는 지점을 찾기 어렵다. 천태의 경우는 별교(別敎)의 계위인 십신(十信)이상의 모든 보살이 (次第 또는 一心의) 삼관을 행하며, 특히 원교의 일심삼관에서는 십승관법(十乘觀法) 중 관부사의경(觀不思議境)-기자비심(起慈悲心)-교안지관(巧安止觀)의 3법이 불가분이므로 관행과 교화행이 동시에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천태는 주로 불교의 법사, 선사, 외도에게 올바른 불도(佛道)를 제시하며 그들을 경책하기 위하여 실천법을 설했다면, 원효는 불교도[內道]나 외도의 선근은 모두 한결같이 무상보리에 이른다고 하여 외도까지도 일승도(一乘道)에 포용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Tiantai Chih-i and Wonhyo are the greatest masters of Buddhism in China and Korea, respectively. Wonhyo, who was active after 80 years than Tiantai, studied more 唯識 and 如來藏 philosophy, which Tiantai couldn't have connected. Nonetheless, their fundamental views on Buddhism are consistent in the respect of Ekayana of Lotus sutra(法華一乘). Tiantai early had taken note of three-insights(三觀) thought in Beads necklace Sutra(瓔珞經), so he said the three-insights in one-mind(一心三觀) which represents of complete and immediate Samatha-vipasyana(圓頓止觀) practice system. In The commentary of Vajra-samadhi Sutra(金剛三昧經論), Wonhyo also told the three-insights in one-mind(一心三觀) as a altruistic behavior(利他行) beyond a self-profit practice(自利行), based on three-insights thought(三觀 說) in Beads necklace Sutra(瓔珞經) like Chih-i. But in his saying, the people who practice it are restricted to bodhisattva above ten-parinamana(十回向). Moreover the three-insights in one-mind as a altruistic behavior and inner practice performing before it are sequential, not simultaneous. By comparison in the case of Tiantai, all the bodhisattva above ten-faith(十信), who are in the different-teaching(別敎) of Four-teaching(四 敎) in Tiantai, can do three-insights(三觀)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in one mind. Especially in the three-insights in one-mind in the complete-teaching(圓敎), inner insight practice and altruistic behavior are achieved at the same time.

      • 沉潜《三国》,探求真知 - 我的古代小说研究

        沈伯俊 한국중국소설학회 2016 中國小說硏究會報 Vol.- No.99

        本文回顾了作者从事《三国演义》研究34年来,主要在四个方面所进行的努力:(1)精心校理《三国》版本;(2)深入探讨《三国》文本,包括思想内涵、人物形象、创作方法等;(3)对《三国》研究史的回顾与展望;(4)多方阐释三国文化,包括对“三国文化”概念的界定、对《三国》改编与再创作的关注和介入、对“三国文化旅游”的理论探讨。其中贯穿着作者沉潜学术的精神和探求真知的心得。

      • KCI등재

        노자 『도덕경』 제42장에 대한 피타고라스적 해독

        소병선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1

        노자가 말하는 도(道)에 대한 해독은 오랜 세월에 걸쳐 수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다양한 주석들이 있어 왔다. 그래서 먼저 기존의 대표적인 도에 대한 주석들을 간략히 살펴본 후에, 노자 도덕경(道德經) 제42장 중의 한 구절, 즉 “도생일(道生一), 일생이(一生二), 이생삼(二生三), 삼생만물(三生萬物).” 13字(자)를 중심으로 피타고라스의 수론(數論)과 관련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老子가 말한 道, 一, 二, 三의 철학적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여섯 가지의 古注와 김충열의 견해, 그리고 헤겔의 피타고라스적 數論을 고찰한다. 고주에 의하면, 道는 無이고, 공허한神이다. 이때 神은 서양의 창조주와 같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순수 정신을 말한다. 一은 元氣, 冲氣라고 할 수 있다. 또는 無이며, 따라서 결국 道라고도 할 수 있다. 二는 陰陽을 말하고, 또는 自·他이기도하다. 三은 ‘天·地·人’, ‘陰氣·冲氣·陽氣’이다. 또는 諸三者이다. 김충열에 의하면, 道는 空虛, 無爲, 自然하다. 그리고 道는 無다. 一은 제일원료이고, 種字이며 有다. 二는 異이며 동시에 反이다. 三은 一個物의 單位 완성을의미한다. 그런데 이런 동양의 주석은 노자가 도덕경 42장에서 왜 굳이상기의 주석에서 말하듯이, 개념으로 명백하게 밝히지 않고 一, 二, 三이라는 표현으로 기술하였는가? 하는 의문을 품게 한다. 따라서 나는 피타고라스의 수론과의 비교를 통해, 노자의 도론을 새롭게 밝히고자 하는것이다. 피타고라스는 수를 만물의 본질로 간주하였다. 이 수의 철학적의미는 이념과 감각적인 것의 중간에 있다고 하겠다. 왜냐하면 수는 그자체로 추상적인 것으로서 이념이지만, 또 한편으로 우리는 사물을 가리키며 하나, 둘, 셋 등의 수를 셈으로써, 이 수는 감각적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자는 직접적으로 道生萬物을 말하지 않고, 단계적으로 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이라고 말함으로써, 道라는 추상적 이념과 만물이라는 감각적인 것들 사이에 수를 활용하여 一, 二, 三을 말했던 것이다. 따라서 헤겔의 피타고라스적 數論을 노자의 道論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道는 만물의 본질이며, 또는 이념이다. ‘一,二,三’은 도와 만물의 다리이자 매개체이다. 一은 능동적 원리로서 일반성, 동일성의 단일자이다. 그리고 기수(奇數)이자 우수(偶數)에 해당한다. 또한 一은 사상의 원리와 물질의 원리인 감각적 측면을 둘 다 지니고 있다. 二는 이원성, 구별, 특수성, 복수, 다수 그리고 수동적 물질이다. 三은 통일체이고 최초의 완전자이며 전체이다. 노자는 三에서 멈추었으나, 피타고라스는 4를 말한다. 수로서의 4는 스스로 영원한 자연의샘과 뿌리를 간직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노자의 관점에서 보면, 4 는 道를 의미한다. 그리고 피타고라스가 말하는 10은 다시 1로 간주됨으로써 새로이 시작해야만 한다, 그렇다면 10은 노자의 ‘물극필반(物極必 反)’의 ‘物’로서 ‘反者, 道之動’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 KCI등재

        17~18세기 일본산 담배의 조선 유입과 그 영향

        신경미(Shin, Kyoung-Mi) 한일관계사학회 2021 한일관계사연구 Vol.73 No.-

        이 글에서는 조선에 담배가 전해진 시기와 경로에 대하여 알아보고 일본산 담배가 조선의 담배 발전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앞선 연구를 바탕으로 담배의 전파시기를 추적한 결과, 일본으로부터 1610년 이전에 잎 또는 가공품 형태의 담배가 전해졌으며 1614~1618년 사이에 담배의 씨앗이 전해졌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물론, 조선과 일본의 몇몇 사료에 임진왜란 이전에 전해졌을 가능성에 대한 기록이 있지만, 현재까지는 17세기 초반 유입되었을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주지하였듯이 담배는 유입 초기에는 담뱃잎이나 가공품의 형태로 전해졌는데 이때 들어온 가늘게 썬 일본산 담배 ‘지삼’은 조선뿐만 아니라 청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다. 조선에서는 지삼을 청과의 관계에서 사적・공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하였다. 지삼은 높은 가격에도 엄청난 인기를 끄는 고부가가치 상품이었다. 이 때문에 일본산 지삼을 모방한 조선산 지삼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담배의 인기는 조선 내 담배 재배 농가의 증가를 이끌었다. 이런 상황에서 상품경쟁력을 목적으로 담배의 품질 상승도 이루어져 18세기 청에서는 조선의 담배가 최고 품질로 인정받았다. 이 같은 조선의 담배 발전에 일본산 담배가 일정 역할을 담당하였음은 분명해 보인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time and route of tobacco use in Joseon Dynasty. Next, the influence of Japanese tobacco on the development of tobacco in Joseon Dynasty was reviewed. As a result of tracking the spread of tobacco based on the previous study, it was estimated that tobacco in leaf or processed form was transmitted before 1610, and tobacco seeds were transmitted between 1614 and 1618. Of course, in some historical data remaining in Joseon Dynasty and Japan, there is a record of the possibility that tobacco was introduced before the Imjin War, but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it was introduced in the early 17th century. As is well known, tobacco was transmitted in the form of tobacco leaves or processed products at the beginning of its introduction. Thinly sliced Japanese tobacco ‘Jisam’ introduced during this period was very popular not only in Joseon Dynasty, but also in the Qing Dynasty. In the Joseon Dynasty, Jisam was actively used in relations with the Qing Dynasty. Jisam was a high value-added product that was very popular despite its high price. For this reason, Korean Jisam, which imitates Japanese Jisam, appeared. The popularity of tobacco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obacco-growing farms in Joseon Dynasty, and based on this, the quality of tobacco was also increased for product competitiveness. It seems clear that Japanese tobacco played a certain role in the development of tobacco in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상장(喪葬)의 회격(灰隔) 담론과 현대적 차용

        황종태 ( Hwang Jong-tae ),김응철 ( Kim Eung-cheol ),이준영 ( Lee Jun-yo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20 韓國思想과 文化 Vol.101 No.-

        본 연구는 상장문화의 장사행위 중 묘실축조와 관련하여 조선시대 유행했던 회곽(灰槨)에 대한 연구다. 회곽은 조선시대에‘회격(灰格)’이라 했으며 재료는 삼물(三物)을 사용했다. 묘실을 축조하는 회격은 유골보존과 관련해 중요한 요소이며, 본고는 회격에 대한 담론과 현대적 재현을 위한 연구를 했다. 조선시대 초기부터 상장례를 중요시해 매장을 장려했고, 『주자가례』의 회격묘는 국가차원의 정책과 노력으로 15세기 초반부터 묘제양식으로 자리잡았다. 이후 17세기에는 묘제양식의 변화를 보이며 활발히 조성되었다. 또한 주자학적 사회질서의 영향으로 화장과 시체유기를 금지하고 관곽을 만드는 귀후서를 설치하는 등 국가차원에서 매장문화를 적극 장려했다. 상장문화는 역사적·정치적·공간적으로 분묘입지나 조영에 전반적인 영향력을 미쳤으며, 주로 사회지배계층이 사용한 회격은 공간담론과 함께 풍수적 요인이 내재되어 있다. 회격묘실 환경의 안정성은 조상유체를 온전하게 보존할 수 있고 ‘성리학적 윤리관’과 ‘효사상’이 맞물려 선택됐다고 판단된다. 회격은 지배계층을 중심으로 향반세력까지는 확산되었으나 전란 등 외부요인과 비용, 분묘조성의 시간제약 등으로 저변까지 확장되지는 못했다. 회격조성과 관련해 사대부는 인조(仁祖) 26(1648)년에 간행된『상례비요(喪禮備要)』와 이후에 편찬된『사례편람(四禮便覽)』의 규범을 따랐다. 회격조성에 사용되는 탄과 함께 사용되는 삼물은 석회3·세사1·황토1을 사용해 조성하였다. 회격은 묘실의 최 외측에서 시신을 풀뿌리와 벌레 등으로부터 지킬 수 있다는 ‘효사상’과 풍수관의 ‘동기감응’ 등이 합치되면서 주도적인 상장문화가 되었다. 사람은 일생동안 80~100년을 생활하다가 죽음을 맞이하면 땅속에서 100~120년 동안 후손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회격차용은 광중에 내습하는 습기와 온도, 바람, 각종 식물 뿌리, 유·해충 등의 방지와 유골보존과 관련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며, 화장의 경우에도 유골보존에 유용할 것이다. 회격묘실 조성은 한국식 상장문화의 정신적 계승을 이어갈 수 있는 실용적 재현이 필요하다. 연구에서 회격조성 삼물의 배합비에 근거해 블록과 삼물 한면 일체형으로 재현하였다. 제작된 삼물 블록은 벽체의 경우 가로 30㎝, 세로 15㎝, 두께 13㎝이며, 한 면 일체형은 가로 45㎝, 세로 45㎝, 높이45㎝, 두께 7㎝이다. 횡대의 경우는 가로 60㎝, 세로 30㎝, 두께 7㎝이다. 규격화된 형틀을 사용하여 압력을 가해 블록과 한 면 일체형을 제작했고 급격한 건조로 인한 균열을 막고자 직사광선이 없고 통풍이 잘되는 건조장에서 2~3개월 양생하였다. 삼물 블록으로 묘실을 조성한 사례지의 지자기를 측정한 결과, 지자기는 최저 492.3mG, 최고 499.5mG로서 7.2mG의 변동 폭이 나타났다. 음택에서 혈처의 안정적 지자기 변동 범위인 20mG와 비교하면 매우 안정적인 결과로 해석된다. 회격재현은 전통 상장문화의 정신적 계승과 올바른 유골보존으로 ‘효 사상’ 등의 정신문화와 혈통유지 존속으로 한국사회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다. This is a study of Hai Coffin, which was popular in the Joseon Dynasty, in connec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grave chamber of funeral practices in the mourning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Hoegwag was called 'Hoegyeog', and used three materials. Hoegyeog, which builds the tombs, is an important element in preserving the remains of the deceased, and we conducted research on Hoegyeog's discussions and contemporary reproduction.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burial was promoted with an emphasis on mourning, and the grave of Hoegyeog in the "Shu Jia-rye" became a ceremonial ceremony from the beginning of the 15th century, due to the policies and efforts of the nation. Later, in the 17th century, the ceremony was changed to a ceremonial ceremony. In addi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actively promoted burial culture at the national level, including the prohibition of cremation and corpse abandon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 religion station for making coffins. The burial culture has historically, politically, and spatially influenced the burial site and construction, and Hoegyeog, which mainly used the social dominance class, has spatial discourse and Feng Shui factors. The stability of Hoegyeog's grave chamber environment is considered to be the preservation of the ancestral remains, and the selection of “Neo-Confucianism ethical beliefs” and “Filial piety” in combination. Hoegyeog was spread to the local governments, mainly in the dominant class, but could not be expanded to the bottom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wars, costs, and time constraints for building tombs. In connection with the creation of Hoegyeog, nobleman in the Chosun Dynasty followed the norms of the “Mourning Requiem” published in 1648 and later compiled “Shirayenshi”. Three materials used together with Hoegyeog were used for lime 3, fine sand 3, and red clay 1. Hoegyeog dominated the leading culture of mourning, with the “Filial piety” of being able to protect the corpse from grass roots and insects from the outermost part of the tomb, and the “Synchronous response” of Feng shui thought. If a person dies during the life of 80 to 100 years in a lifetime, people will have an impact on his descendants within 100 to 120 years from the ground. Hoegyeog borrowing is the most ideal method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moisture and temperature, wind, various plant roots, pests, etc. that enter during pitting and preservation of ashes, and it is useful for preserving ashes even in the case of cremation It seems. Hoegyeog tomb building requires a practical reproduction that can continue the spiritual inheritance of Korean mourning cultu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mixing ratio of the three components of the ash composition, the blocks and the three-sided one-sided shapes were reproduced. The manufactured three materials block is 30mm wide, 15mm long and 13mm thick in the case of a wall, and the one-side integrated type is 45mm wide, 45mm long, 45mm high and 7 mm thick. Line is 60cm wide, 30cm long and 7cm thick. Using a standardized mold, the block and one-sided unit were fabricated by applying pressure, and then survived for two to three months in a well-ventilated room without direct sunlight to prevent cracking due to rapid drying.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geomagnetism of the projected area with three materials blocks, the geomagnetic range was as low as 492.3mG and as high as 499.5mG, with a variation of 7.2mG. It is interpreted as a very reliable result when compared with 20mG in the stable Geomagnetic fluctuation range of the hole in the shadow house. Hoegyeog reproduction will contribute to the spiritual succession of the traditional funeral culture and the correct preservation of the remains, to the maintenance of the spiritual culture and bloodline such as "Filial piety", an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남악혜사의 『법화경안락행의』와 『제법무쟁삼매법문』의 저술시기 연구 - 사상적 맥락의 차이를 중심으로

        이병욱(Lee Byung-Wook) 불교학연구회 2008 불교학연구 Vol.19 No.-

          In this paper, I tried to prove that Chu-fa wu-cheng san-mei fa-men(諸法無諍三昧法門) was written later than Fa-hua-ching an-lo-hsing-i (法華經安樂行義) by comparing their contents.<BR>  At first, I compared his interpretation of an-lo-hsing (安樂行) in Fahua-ching an-lo-hsing-i with that of ch’an-po-lo-mi (禪波羅密) in Chufa wu-cheng san-mei fa-men. Nam-Y?eh Hui-Ssu (南岳慧思) presented san-jen (三忍) to explain the meaning of an-lo-hsing. San-jen are chungsheng-jen (衆生忍), fa-hsing-jen (法性忍) and fa-chieh-hai shen-t’ungjen (法界海神通忍). He interpreted chung-sheng-jen and fa-hsingjen among them as having three meanings. Those three meanings of chung-sheng-jen and fa-hsing-jen correspond to san-chih (三智) of Chu-fa wu-cheng san-mei fa-men. San-chih are tao-chih (道智), tao chung-chih (道種智) and i-ch’ieh-chung-chih (一切種智). But fa-chieh-hai shen-t’ung-jen was not interpreted in terms of the three meanings. This is an example that he had not yet establish his viewpoint in Fahua-ching an-lo-hsing-i.<BR>  Secondly, I compared his interpretations of ssu-nien-ch’u (四念處) in Fa-hua-ching an-lo-hsing-i and in Chu-fa wu-cheng san-mei fa-men. In Fahua-ching an-lo-hsing-i, Nam-Y?eh Hui-Ssu interpreted ssu-nien-ch’ u as ssu-mo (四魔). But in Chu-fa wu-cheng san-mei fa-men he presented more sophisticated interpretation of ssu-nien-ch’u as san-chih. Therefore I think that ssu-nien-ch’u of Chu-fa wu-cheng san-mei fa-men was more advanced than that in Fa-hua-ching an-lo-hsing-i.

      • KCI등재

        송대 이후 중국불교사에 보이는 인명(因明)의 적용과 그 의의

        고승학 한국불교학회 2024 韓國佛敎學 Vol.109 No.-

        중당(中唐) 이후의 중국불교의 흐름에 대해서는 ‘제종융합(諸宗融合)’으로 특징짓는 경향이 있다. 이는 한편으로 이때부터 종파 간 경쟁이 줄어들었음을 함축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교학에서 획기적 발전이 없었다는 인상을 주기도 한다. 특히 인명(因明) 연구는 회창폐불 이후 그 명맥이 끊어진 것처럼 인식되기도 한다. 화엄종의 경우에도 남송(南宋) 이후에는 법장(法藏)의 『기신론의기』와 『오교장』에 대한 조술(祖述)에만 집중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장수 자선(長水子璿)의 『필삭기』에는『기신론』의 일심‧이문‧삼대의 구조를 인명의 개념을 통해 설명하는 등 법장에게는 보이지 않는 독특한 해석이 나온다. 나아가 여러 거사 및 학승들이 활약한 명(明)‧청(淸) 시기의 문헌들을 살펴보면, 천태‧유식‧화엄‧인명에 걸쳐 당나라 시기에 결코 뒤지지 않는 풍부한 교학 성과가 ‘성상융회(性相融會)’의 기치 아래 산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통리(通理), 종륵(宗泐) 및 여기(如玘), 지욱(智旭) 등의 『원각경』, 『능가경』, 『성유식론』에 대한 주석서는 단지 ‘종(宗)’‧‘인(因)’‧‘유(喩)’의 삼지(三支)를 언급하는 수준을 넘어서 해당 경론의 논제를 옹호하기 위해 오류론을 채택하는 등 인명의 개념들을 활발하게 응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송대 이후 명‧청대에 이르기까지의 중국불교의 흐름 속에서 교학 전통이 결코 시들지 않았음을 보이고, 그것이 오늘날 한국불교의 발전적 토대를 확보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after the mid-Tang is generally characterized as “syncretism of diverse sects” (諸宗融合). While this characterization implies that competition between sects was mitigated, it also gives us an impression that no groundbreaking scholastic developments appeared thereafter. In particular, it is often understood that the tradition of hetuvidyā was severed after the Huichang persecution. The Huayan school after the Southern Song, too, seems to have focused only on the exposition of Fazang’s Qixin lun yiji and Wujiao zhang. In Changshui Zixuan’s Bixiao ji, however, we see a peculiarity that cannot be seen in Fazang’s Qixin lun commentary as it explicates the structure of one mind, two gates, and three greatnesses through the concepts of hetuvidyā. Moreover, texts from the Ming and Qing periods, written by lay scholars and monks such as the four great masters of the late Ming, demonstrate abundant scholastic achievements comparable to those of the Tang period in diverse fields, such as Tiantai, Yogācāra, Huayan, hetuvidyā. These achievements were produced with the motto of “harmonization of nature and characteristics” (性相融會). In particular, the commentaries on Perfection of Wisdom Sūtra, Laṅkāvatāra Sūtra, and Cheng weishi lun, respectively written by Tongli, Zongle and Ruji, and Zhixu, tell us that these authors actively applied the concepts of hetuvidyā―they not only referred to the three‑membered syllogism but also adopted theories of logical fallacies to defend the theses of those scriptures and treatises. On the basis of the abovementioned survey, this paper shows that scholastic trends, including hetuvidyā, have never withered in the current of Chinese Buddhism from the Song to the Ming and Qing. It also emphasizes that these trends are full of suggestions for securing foundations for developing today’s Korean Buddhism.

      • KCI등재

        『청관음경소』에 나타난 청관음참법에 대한 일고찰

        오지연(Oh, Ji-Ye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1 佛敎學報 Vol.- No.96

        본고에서는 『청관음경소』를 『청관음경』에 대한 지의의 강설이라는 전제 하에, 청관음참법에 대한 지의의 관점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특히 『마하지관』이나 『국청백록』 등에 전해지는 후대 천태교단에 전승된 청관음참법이 아니라 천태 당시에 정형화되어 행해졌던 참법의 초기 모습을 집중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고찰 속에서 비로소 천태 당시의 청관음참법과 후대 교단에서 변용되어진 모습을 보다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청관음경소』에서는 천태 지의에 이르러 비로소 청관음참법이 10항의 형태로 정형화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그 10항 가운데 8항은 경전에 나오는 내용이지만 제1 도량장엄과 제8항 피진참회(披陳懺悔)는 천태가 추가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마지막 항목의 ‘좌선’은 후기 교단에서는 ‘창경(唱經)이나 송경(誦經)’으로 대체 되었다. ‘좌선’을 중시한 점은 천태 초기교단에서 행해진 청관음참법의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청관음참법의 수행을 요약해보면, ‘수식십념(數息十念)·관음칭명(觀音稱名)·송지주(誦持呪)하여 현전견불(現前⾒佛)하는 것이다. 칭명하기에 앞서 ‘숨을 헤아리는[數息] 것은 입으로 관음을 청하기[口請] 전에 고요한 마음으로 청하는[默念請] 의식이다. 수행자의 근기에 따라, 청하는 관세음도 장·통·별·원교의 4교 관음으로 차별되며, 행하는 수식관 또한 ‘인천(人天)·성문·연각·통교보살·별교보살·원교보살’의 관법으로 다름이 있다. 수식관을 통해 바로 일심삼제(⼀心三諦)를 본다면 곧 원교의 수식관이 된다. 또 『경』에서는 ‘현전견불(現前⾒佛)’하는 행법으로도 수식관을 설한다. 지의는 이때의 수식관을 육묘문(六妙門)으로 해석하며, 수식관이 인천(人天)의 범부로부터 원교보살까지 모두 포괄하는 원만한 수행법임을 보여주고 있다. 『경』에서는 세 다라니로 세 장애를 없앤다고 하는데, 지의는 한 다라니로 한 장애를 없앨 뿐 아니라 한 다라니로 세 장애를 모두 없애기도 한다고 설한다. 세 다라니는 이치적으로 서로 다름이 없으므로 삼주(三呪) 즉 일주(⼀呪)이며 일주 즉 삼주이다. 이와 같이 『청관음경소』의 청관음참법에는 좌선이나 호흡관 같은 천태의 초기 행법이 중시되어 있으나, 그 해석의 틀은 삼제(三諦)·삼관(三觀)·4교와 일심삼관(⼀心三觀)의 원교를 궁극으로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on the repentance ritual of Qing Guan-yin commented by Tiantai Zhih-i. The original text of it is Qing guanshiyin sutra, and Zhih-i had made the explanary notes of the sutra, called The Commentary of Qing Guanyin Sutra. The repentance ritual of Qing Guan-yin is one of the main practices of Tiantai Order, because it had recommended typical practice of the samadhi through nither walking nor sitting of four kinds of samadhi in Mohe zhiguan (摩訶止觀). The peculiarity of repentance of Qing Guanyin is ‘the concentrating mind and counting breaths (繫念數息)’ before chanting of Guanyin. Zhih-i says that it is the silent mind request (默念請) prior to mouth request (口請). The contemplation of counting breaths (數息觀) was a general practice in early Buddhism. Zhih-i taught that it could appear in four different ways (四敎) like the Hinayana, the common, the differential, the complete (藏·通·別·圓敎) by various performers. If one could see three truths in one-mind (⼀心三諦) through the counting breaths, it would be just the contemplation of the complete teaching [圓觀]. He said the counting breaths connected with the six profound ways (六妙門) more specifically. Therefore he shows that the counting breaths is not the low-level practice but the inclusive practice which covers up from bottom to tiptop performers. This commentary of Zhih-i belongs to his early teaching. But the basic format of interpretation is ultimately the complete teaching (圓敎) oriented that is based on the three contemplations in one-mind (⼀心三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