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崔北 文人畵의 狂狷的 예술심미

        김도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9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5 No.1

        Choi Buk(1712-1786) is the master of three poems, caligraphy, paintings of the Middle Class Painter. There is a resisting cynicism against discrimination, a madly free and unbridled madness that is not bound by itself, and a master sense due to pride in his artistic talents. Madness and stubborn as an image of a unique painting through unworldly and clasical scholar oriented Muninhwa. His muninhwa has many poetic picture paintings where poetry and painting are one, and the technique of painting depicting objects is based on the power of the muscles and is a madness brush which is not bound anywhere. And it expresses the level of art in a higher level through the unconventional composition of the unconventional composition, the simplicity of the line, and the unique operation of margins and colors. His Muninhwa appeared naturally in the works of art, which is a pride of enterprising people and a belief that aesthetic pursuit of a change of the unchanging ones. 崔北(1712∼1786)은 中庶層출신의 閭巷畵家로서 詩·書·畵를 겸비한 三絶作家이다. 신분적 차별에 대한 저항적냉소와 스스로 어디에도 구속되지 않는 狂放不羈한 狂氣, 그리고 자신의 예술적 재능에 대한 자부심으로 인한 傲慢과名人의식 등을 脫俗的·文士的문인화를 통해 개성적 畵風으로 狂狷하게 발현하였다. 그의 문인화는 詩畵一致라는 詩 意圖가 많으며, 畵法은 筋力을 위주로 하여 不拘格套의 狂筆로 대상물을 묘사하였고, 파격적 구도와 필선의 簡逸함, 여백과 색채의 독창적 운용으로 한 차원 높은 예술의경을 발현하였다. 그의 문인화는 狂者의 오만한 듯한 진취적 기상과 狷者의 변혁적 심미를 고수하고자 하는 예술관이 작품에 자연스럽게 투영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석정(石亭) 이정직(李定稷) 서예(書藝)의 예술론과 서체(書體)분석

        김도영 ( Do Young Ki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6 No.-

        19C 조선 말기 海鶴李沂(1848∼1909), 梅泉黃玹(1855∼1910)과 더불어‘湖南三傑’로 일컬어지는 石亭李定稷(1841∼1910)은 호남 儒學을 대표하는 학자로서 字를 馨五, 號를 石亭혹은 石亭山人, 燕石이라고 하였다. 서양 철학가인 Kant와 Bacon을 국내에 최초로 소개하였으며, 호남에 古文을 정착시킨 문학가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또한, 25권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문집『燕石山房未定稿』를 남겼을 정도로 道學과 詩文에 대한 학문적 역량이 대단하였을 뿐만 아니라 어학·천문· 지리·의학·서화 등 여러 분야에서 一家를 이룬 詩. 書. 畵三絶作家이다. 그의 문집에서 드러나듯이 28세에 燕京을 다녀온 유학파로 燕京에서의 문화·예술적 체득은 그의 학문과 심미의식을 폭넓게 넓혀주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탄탄한 학문적 역량과 예술적 감성 위에 축적된 書卷氣가 書畵작품 속에 녹아내려 고매한 逸格의 풍취를 드러내었다. 石亭서예는 晋·唐에 연원을 두고, 筋骨·精意·風神이라는 서예의 삼박자와 筋力과 結構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를 골고루 갖춘 晋代의 王羲之를 이상적인 正으로 삼아 부단히 연마하면 자신의 참 모습(自眞)을 드러내고 이러한 自眞을 얻는다면 奇異한 創新을 이룬다는 法古自眞論을 언급했다. 또한, 王羲之의 경지에 한 부문이라도 도달했던 인물로써 宋代의 米비이 筋骨을, 元代의 趙孟부가 精意를, 明代의 董其昌이 風神을 얻었다고 보았는데, 무엇보다도 이들 三家가 얻었던 전통적인 각각의 경지를 먼저 傳習하여 이들의 장점을 계승하고 절충해서 하나로 통합해야 한다는 傳習·眞熟論을 강조했다. 石亭은 法古에 근거한 많은 경력과 오랜 연마를 통하여 熟練의 경지에 이른다고 보았다. 이러한 노력 후에 일정한 熟練의 경지에 무르익을 수 있고, 무르익을수록 謹愼해야 하며, 謹愼하면 生에 가까워진다고 했다. 그리고 이러한 生에서 시작하여 다시 돌이켜 굳셈과 아름다움의 勁婉과 원숙함과 굳센 필력의 圓勁이 完熟되어야 비로소眞熟경지에 이른다고 보았다. 즉 서예의 이상적인 경지로써 ‘勁婉과 圓勁을 통한 眞熟’을 제시하였던 것이다. 石亭서예는 주로 楷書와 行書에 주력하였다. 楷書에서는 근골을 중시하였는데, 歐陽詢에게서 硬直한 필력을 얻어 一點一劃을 근신하는 마음으로 정밀한 結構와 단아한 章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율법적인 歐陽詢楷書를 통해 서예의 예술성·학술성뿐 아니라 本然之性인 理를 드러내어(理發) 復善去惡하고자 하는 그의 성리사상을 드러내었다. 그러나 歐陽詢體보다 破勢가 깊고 강하여 字形이 비대칭적으로 커 보인다. 또한, 露鋒을 꺼려한 石亭은 勒劃에 있어서 歐陽詢보다 筋力을 이용한 기운이 강한 게특징이다. 한편, 行書연마는 王羲之의 전아함을 바탕으로 董其昌의 天眞平淡한 흥취와 圓勁과 眞熟의 경지가 느껴진다. 전반적으로 활발발한 기운이 느껴지며 필세는 안정감 속에 변화를 도모하였고, 骨力과 秀麗함을 통해 자태가 조용하면서도 淸雅한 필치가 돋보인다. 또한, 藏鋒으로써 점획에 붓끝을 간직하여 두는 것 같이 힘 있게 起筆하였는데, 이는 晉·唐楷書의 古法的筆意를 응용한 것이다. 石亭은 명가들의 書藝를 연마하면서 먼저 그 뜻을 구했다고 스스로 밝혔듯이 得意忘象의 古法수련에 진력하였는데, 書格과 書風은 전통서법을 고수하면서 동시에 그 어느 하나 기존의 형식에 얽매이려 하지 않은 창신적 태도를 견지하였다. 그리하여 歐陽詢의 楷書에 米비과 董其昌의 行書를, 그리고 顔眞卿의 楷書와 行書등 명가들의 장점들을 접목시켜 자신만의 法古自眞的예술세계를 조화·창출하였다. Seokjeong Lee, Jeongzic (1841-1910), a scholar representing Honam confucianism in the late Choseon in 19C, is called one of Honamsamgul including Haehak Lee, Gi (1848-1909), Maecheon Hwang, Hyun (1855-1910). In secluding himself in Buan region, he continued to possess an practical attitude drawn from Bangesurok wirtten by Bange Yu, Hyungwon (1622-1673). He contributed to thriving practical studies in the center of Honam even under politically urgent circumstance in the late Choseon. In additon to philosophy, he devoted his life to studying virtually everything that was considered to be necessary in life: horoscope, mathematics, and machine. Not only was he remarkable to the point that he left Yeonseoksanbangmijeongmungo composed of 25 books, he was also extraordinary in other fields such as linguistics, astronomy, geography, medical study, paintings and calligraphic arts. He introduced Western philosophers, Kant and Bacon, in the name of Sinmunhwak-new studies, to the nation first. Furthermore, he mastered various studies ranging from Chinese studies to Korean studies. He was highly respected as a literature expert who helped ``old literature`` to root in Honam region. As shown in the collection of literature, he had, also, studied in Bukkyeong at the age of 28. Hoharkjeongsin emphasizing extensive learning and practical evidence and interconnection between studies melted down in his studies and paintings and calligraphic arts. Cultures and arts in Bukkyung served as motives for him to widen his eyes related to aesthetic arts. Needless to say about calligraphy and seal craving, enormous energy stemming from extensive, intensive learning is revealed in his paintings and calligraphyic arts, involving mountain and water, flower and bird, and feathers of birds. Since he was good natured, he was called a first Samjeol author, who shows ex- cellency in poem, calligraphy, and painting, also called Tongyu, which referred to a person who exhibited extraordinaries in Confucianism at that time, in Jeonbuk Province. Seokjeong``s thought system based on his poems, calligraphy, and paintings is closely related to Sung Confucianism, and he repeatedly practiced his calligraphy by imitating Jinchop(a calligraphy book of Jin) or Dangchop(a calligraphy book of Tang). However he thought that being a great calligrapher is not only blindly practicing writing letters but also there should be some way and process. His roll model for calligraphy was Wanghiji from Jin who had three elements of calligraphy such as geungol(muscle and bone), jeongeui(meaning and energy), and pungsin( soul and refined taste). He didn``t think anyone could reach the level of Wanghiji. He thought that people who had reached even one element of three are Mibul of Song who had geungol, Joemaengbu of Won who had jeongeui, and Donggichang of Myeoung who had pungsin. He emphasized that to reach the level of Whaghiji``s calligraphy, one should practice these three great calligraphers`` calligraphy respectively and make unification with succession of strong point and compromise. It is referred bupgojajinnon that one should reveal one‘s real I making Wanghiji from Jin who had three elements of calligraphy as a role model. And he made emphasis on the theory of Jeonseupjinsuk that oneshould practice Mibul’s geungol, Joemaengbu’s jeongeui, and Donggichang‘s pungsin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ach the level of Wanghiji. He thought that one could reach being ripe after practicing old things, and as he grow being riper, he had to effort cautiously, so as to be able to close being new. And from the new thing began the skilled and strong touch could be truly skilled touch, and after achieving this level one could change the higher level of creating new things. This is the theory called the new Bupgojui. His calligraphy is based on Wanghiji, follows the style of handwriting or writing style of hae-hang, a school of cheophakpa centered Mibul and Donggichang, so he established a very conservative art world making emphasis on golgyeok and meaning. Especially he coined his ownhang-cho grafting distinguished calligraphers’good point such as Guyangsun’s haseo, Donggichang’s hangseo, Mibul’s haseo, and Anjingyeong’s hangse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