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텔산업 경쟁력 평가에 관한 연구 :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봉미희 한국기업경영학회 2020 기업경영연구 Vol.27 No.6

        본 연구에서는 인천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호텔산업 경쟁력 진단을 하기 위하여 호텔산업 경쟁력 관련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정성적 평가요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평가요소를 바탕으로 호텔산업 성과평가와 지역관 광경쟁력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개 의 가설을 수립하여 각각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경쟁력, 관광경쟁력에 대하여 관련 국내·외 문헌연구 및 유사사례를 조사하고 둘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호텔산업 경쟁력 요인을 도출하고 셋째, 호텔산업 경쟁력 진단지표, 호텔산업성과평가, 지역관광경쟁력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수행하 고자 인천 지역의 4, 5성급 호텔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구성원들을 모집단으로 규정하여 약 20일 동안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지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AMOS 분석 도구를 통하여 구조방 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호텔산업 경쟁력 요인인 요소조건_인프라, 요소조건_매력도, 관련 및 지원산업, 경영여건, 인적자원 요소는 호텔산업 성과평가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호텔산업 성과평가가 지역관광경쟁력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호텔산업 경쟁력 요인 중 호텔산업 관련 및 지원산업과 정부 요소만 지역관광경쟁력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을 통해 검증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학문적ㆍ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qualitative assessment factors based on prior research on hotel industry competitiveness in order to diagno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hotel industry in Incheon area, and to present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otel industry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gional tourism competitiveness based on the extracted evaluation factors. To achieve this goal, thre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o verify each hypothesis. First,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search and similar cases were investigated for competitiveness and tourism competitiveness. Second, the existing developed indicators were corrected and supplemented. Third, hotel industry competitiveness index, hotel industry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gional tourism competitiveness were analyzed. In order to perform the empirical analysis, the members with experience using 4 and 5 star hotels in Incheon were defined as a population, and surveys were conducted based on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s for about 20 days to extract sampl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AMOS analysis tool.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etitive factors of the hotel industry except government factor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hotel industry performance evaluation. Second, the hotel industry performance evalu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regional tourism competitiveness. Third, only the hotel industry-related and support industries and government factors among hotel industry competitiveness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influence on regional tourism competitiveness. Based on the results verified through analysi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한국과 인도 IT산업의 경쟁력 비교분석

        오보수,장선미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2 산업혁신연구 Vol.28 No.4

        본 논문은 한국과 인도의 IT산업 경쟁력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과 인도의 IT산업에 대해 국제경쟁력-무역특화지수, 현시비교우위지수-과 기술경쟁력-연구개발집약도, 현시기술우위지수-을 측정하여 양국 IT산업의 경쟁력을 비교하였다. 분석기간은 2000년~2010년 기간 동안으로 국제경쟁력에 있어서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기술경쟁력에 있어서는 전체 IT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국제경쟁력의 측정결과 먼저 무역특화지수의 경우 한국의 IT제조업은 수출에 특화되었고, 인도의 IT제조업은 수입에 특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시비교우위지수의 측정결과 한국의 IT제조업은 비교우위상태이나 인도의 IT제조업은 비교열위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경쟁력의 측정결과 한국의 IT산업 연구개발투자집약도는 2004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인도 IT산업 연구개발투자집약도는 한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치이며 대체로 점점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IT산업 연구개발투자집약도 지수로 볼 때 인도보다 한국의 IT산업은 상당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특허자료로 측정한 현시기술우위지수에 있어서는 한국 IT산업의 현시기술우위지수 값이 인도에 비해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부산신발산업의 지식경영도입을 위한 전략적 방안

        송경수,김용호 대한경영정보학회 2012 경영과 정보연구 Vol.31 No.4

        부산지역 신발산업의 과도기적 격변 과정에도 불구하고 신발산업의 연구가 주로 공학적 관점에서 소재, 생체역학, 부품, 디자인 등에 집중되어 실질적으로 신 발기업들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경영적 방안에 대한 본격적인 학술적 연구는 매우 희소하다. 1990년대 후반~2000년대초에 여러 정책보고서들이 발간되었 지만 그것들은 실태 파악과 정책적 대안 모색에 한정되었고, 경영관리적 측면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학술적 연구로는 발전되지 못했다. 이러한 특정분야 에 한정된 문제들을 경영관리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신발기업들의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검토해야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미, 한-EU FTA 발효 이후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부산지역 신발수출 증대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일시적인 아닌 지속가능한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지식경영의 도입을 통한 경쟁력 강화방안을 모색하여 산업기반 확충을 위한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취지가 본 연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부산신발산업의 현안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고,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신발산 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필요한 지식경영도입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연구나 방향들이 부산지역 신발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인체역학적 특성과 관련된 기능성 신발, 디자인, 소재 및 부품 등에 초점을 두고 있어 근본적인 기업경영에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않 고 있어 이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고자 지식경영의 도입을 주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신발산업의 지식산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지식경영 가능성을 탐색함으로써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산업적 생태계조성을 위한 대안을 제시함에 있다. FTA 체 결에 따른 수출증대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현재의 신발기업들의 경영방식으로 는 한계가 있으므로, 지식경영방식의 도입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통해 FTA효과의 극대화를 도모하여야 한다. 이러한 지식경영의 정착은 신발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어 장기적으로는 지역산업의 부흥 및 고용창출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 산업의 기술경쟁력

        이공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6 정책연구 Vol.-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산업의 기술경쟁력을 평가하고 그 패턴을 분석하여 향후 기술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산업을 크게 자원집약산업, 노동집약산업, 전문기술산업, 규모집약산업, 과학집약산업 등 다섯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연구개발투자, 연구개발인력, 미국특허등록, 수출실적 등의 통계를 활용하여 산업유형별 및 세부업종볍로 기술경쟁력을 평가하였다. 다섯 개 산업유형에 대한 기술경쟁력의 평가 결과, 우리나라는 연구개발투자 및 연구인력집약도 등 투입지표측면에서 과학집약산업, 전문기술산업 및 규모집약산업의 기술경쟁력이 가장 강력하고 또 가장 빠른 속도로 향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특허등록 통계를 활용한 평가에 있어서도 전문기술산업과 과학집약산업의 기술경쟁력은 빠르게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통계를 활용한 평가에 있어서는 노동집약산업의 기술경쟁력이 아직까지 가장 높은 수준에 있으나 점차 하락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5개 산업유형에 대한 기술경쟁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볼 때 과학집약산업, 전문기술산업 및 규모집약산업이 꾸준하게 강세를 보였다. 특히, 일반기계, 전기전자기기, 음향통신기기 등 특정기술에 전문화하여 사업활동을 영위하는 전문기술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가 두드러진 특징으로 부각되었다. 반면에 그동안 수출주력산업의 위상을 차지하면서 우리 경제를 지탱해 왔던 섬유, 금속제품 등 노동집약산업은 가장 낮은 기술경쟁력 수준을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차 그것을 상실해 가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식품가공, 석유화학 등 자원집약산업의 기술경쟁력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정체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산업유형별 기술경쟁력이 갖는 패턴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40개의 세부업종들을 표본으로 한 정준판별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분석결과 기술경쟁력의 평가에 사용된 네 개의 변수에 대하여 5개 산업유형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산업유형이 나타낸 판별점 수에 있어서도 5개 산업유형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발견한 산업유형별 기술경쟁력의 패턴이 통계적으로 정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산업의 기술경쟁력에 대한 이 연구결과는 앞으로 세계의 기술경쟁에 나서야 할 부문이 공작기계, 섬유기계, 전자제품, 산업전자기기, 음향통신기기등이 포함되는 전문기술산업, 사무기기, 정밀계측기기 등 과학집약산업 그리고 자동차, 화학, 기초금속 등 규모집약산업군이며, 이들 산업유형이 우리 경제의 성장을 주도하도록 경제·기술정책의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정책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그리고 이들 산업유형은 기술특성, 기술혁신의 궤적을 결정하는 요인이나 특징면에서 상호 차별성을 보이고 있으므로 산업유형별로 차별적인 과학기술정책의 추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우리나라 산업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가 건의하는 정책제안의 요점은 각 산업유형에 적합한 새로운 과학기술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주요 정책제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통적인 기술과 정보기술이 융합하여 혁신되고 있는 전문기술산업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부가 기술정책의 범위를 자본재산업에까지 확대하고, 산업정보화의 관점에서 자본재 기술혁신을 위한 정책프로그램을 추진해야 한다; (2) 규모집약산업의 기술경쟁력을 가오하하기 위해서는 기업간에 유효경쟁체제를 확립하고 부품·소재의 표준화와 중소기업의 기술력 향상에 집중해야 한다; (3) 과학집약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는 전통적으로 연구개발정책에 비교 우위를 갖는 과학기술처가 과학기술정책의 범위를 확대하여 생명과학산업, 우주기술산업 등 과학집약산업의 육성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4) 노동집약산업과 자원집약산업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가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산업단지 클러스터의 기업경쟁력 분석

        김영록(Kim Young Rok),이의영(Lee Eui Young) 글로벌경영학회 2009 글로벌경영학회지 Vol.6 No.2

        본 연구는 산업클러스터 정책이 효율적으로 추진되었는가 하는 것을 살펴보기 위하여 산업단지 내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업의 경쟁력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대내외 환경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산업클러스터의 발전전략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모형은 먼저 산업클러스터의 기업경쟁력 분석으로서 산업클러스터 활동이 기업의 혁신역량 등 기업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2004년과 2007년을 비교하여 분석하고, 산업 클러스터 활동의 유형을 분류하여 중요도와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사업 유형별 기업의 경쟁력 변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가치사슬에 따른 분석모형은 산업클러스터 활동이 구매에서부터 인사관리까지 기능별로 기업활동의 가치사슬 상 일련의 과정 중 어떤 분야에 더욱 많은 영향을 미쳤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산업클러스터 정책 추진에 따른 기업의 혁신역량과 R&D 역량은 빠르게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는 매우 제한적임을 알 수 있다. 산업클러스터의 입지적 장점에 따른 기업경쟁력 분석 결과에 혁신기관의 역할, 납품근접성, 연구기관 및 대학과의 협력은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는 반면 개발인력의 확보, 생산인력의 확보, 그리고 기술협력, 전략적 제휴를 위한 업체의 집적도는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클러스터 집적화에 따라 클러스터 내 기업들의 전북권 구매거래, 판매거래, 금융재정, 법률회계, 연구개발, 교육훈련 부분 등의 거래비중은 모두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품 및 원자재의 조달 부분인 구매거래의 경우에는 전북권 내 거래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34%에 이르고 있어, 회원사들이 공동으로 필요로 하거나 비중이 큰 핵심 원자재 및 부품업체의 본사 혹은 자회 사의 유치에도 신경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클러스터 내 기업들의 경쟁력 수준을 그들 스스로 생각하는 최고의 업체와 비교하여 측정한 결과 판매활동, 정보화활동, 개발활동, 경영활동 등이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고, 상대적으로 품질활동이 가장 높은 경쟁력을 갖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클러스터 내 기업들은 신제품 및 기술개발활동, 공정관리활동, 마케팅 및 판매활동, 그리고 구매 및 자재관리활동이 전략적으로 중요하나 현재 자기 회사의 경쟁력 수준이 높지 않은 즉 아직 경쟁기업에 비해 격차가 큰 분야(긴급 개선분야)로 인식하고 있어 이들 분야 활동의 경쟁력 수준이 빠르게 향상될 수 있도록 보다 신속하고 강력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effective the Industrial Cluster Project in Korea has been forwarded based on the change of the companies competitiveness in the industrial complex through out the nation and suggest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industrial cluster upon circumstance changes. Firstly, the model of analysing company competitiveness change is evaluated how the Industrial Cluster activities influence to the company competitiveness on the comparison between 2004 and 2007 and the patterns of the Industrial Cluster activities was been classified and analysed to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lso, the sample analysis based on the value change in company activity was studied how the industrial cluster activities had affected on the company activity process from the purchasing to the personal management systems. The analysis conclusion of the industrial cluster policy propulsion shows how rapidly improve the companies innovative and R&D capability, however investment on R&D is very limited. The elements such as the functions of innovative organizations, easiness of the delivery, the cooperation between the research facilities and the universities are approved as the affirmatives. However, the ensuranc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manpower, the production manpower, the technological collaboration and the strategical coalition was evaluated as negative phrase. The study also shows the percentages of the transactions related with the purchasing trade, the sales trade, the financial legislation, accounts and R&D, education training in Jeonbuk area has been increased, although in the case of the purchasing trade, it still remains only 34% even the rest aspects are increased. The companies evaluated themselves of the lowest levels in the fields of marketing, information activities, R&D and the management, but they give top scores in the quality activities. Also the companies in the industrial complex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new products, R&D activities, the fair management, the marketing, production and purchasing, the management of element are the most important aspects. They still recognize themselves as the low competitiveness and under estimative. So, it needs more intensive supports in the various fields.

      • 반도체산업에 있어서 기술선택이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양희승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1 정책연구 Vol.- No.-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기술의 진보가 생산성 증가와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라는 사실은 오래전부터 인식되어 왔으나, 기술개발이 산업 혹은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주요한 수단이라는 인식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현재, 세계 각국 특히 기술선진국이나 신생공업국툴은 국제경쟁에서의 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그 어느 때 보다도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무역자유화를 표방하고 있으면서도 대내적으로는 자국의 산업 및 기업의 보호를 위하여 기술 보호주의를 채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 산업, 기술적 수준제고를 위한 여러가지 국가주도의 정책수립과 모색에 최선을 경주하고 있다.이러한 세계적인 산업, 무역, 기술보호주의 추세에 따라, 우리나라 역시 산업의 전반적인 경쟁력 제고를 위한 여러가지 노력을 꾸준히 경주하여 왔다. 주지하다시피, 최근의 여러 산업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첨단기술제품의 출현은 쟁부 및 기업의 기술수준 향상을 위한 부단한 노력의 결실이며, 이러한 노력은 인건비 상승, 무역장벽 등의 요인으로 인한 우리 제품의 국제경쟁력의 약화 추세에 따라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술개발투자와 관련하여 당면한 문제로서는 기술개발에 관련한 가용재왼 및 인력의 효율적 배분과 개발 전략이다. 다시 말하면, 선진기술제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열세에 있는 기술 개발 재원 및 기술 인력을 여하이 배분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기술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경쟁력을 제고시키는가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는 산업의 발전동향과 기술혁신의 추세를 정확히 파악함과 아울러, 기술변화가 어떻게 국제 경쟁력 요인올 변화시켜 왔으며, 수요·공급적 측면에서의 시장환경의 변화에 대한 파악이 중요하다. 몇년천 국내 반도체 산업의 선두기업이 64K Dram개발에는 성공하였으나 시장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제품쟁산으로 연결시키지 못하고 생산라인을 유명무실화 시킨 것은 대표적인 일례라고 하겠다.우리나라에서의 산업기술 및 정책동향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꾸준하게 양적·질적인 발천을 거듭해 왔으나, 기술과 정책동향의 괴리현상3 로 인하여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효과적인 기술 정책 수립에 있어 제한적인 역할만 담당하여 왔다.이는 거시적인 접근방법을 택함으로써, 생동감있는 산업연구가 되지 못하였고, 특히 기술변화의 시장환경과의 상호연계성 - 기술진보가 기존 시장구조에 미치는 영향 및 이러한 시장구조의 변화가 기술개발에 미치는 영향 - 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하여 기술과 산업을 동태적으로 연계시키지 못함으로써, 효율적인 기술정책 수립에 있어 합리적인 근거의 틀을 제시하지 못하였다.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술개발정책의 효과적인 정책수립이라는 대명제를 두고 급변하는 시장 및 기술환경하에서 기술적 선태이 경쟁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반도체산업을 중심으로 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반도체산업은 기술개발의 속도가 매우 빠르며 또한 산업체품의 mecha t-ronics화 경향에 따라 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할 뿐 아니라 새로운 산업의 생성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제 2절 연구의 목적기술혁신, 즉 주요한 기술의 변화는 시장구조의 변화를 가져 오며, 기폰의 산업 혹은 기업의 경쟁력과 존립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국가 혹은 기업은 새롭게 대두되는 기술 환경에 대하여 어떻게 전략적으로 대응할 것인가 하는 딜레마에 직면하게 된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에 대한 국가 혹은 기업의 대응전략은 일반적으로 제각기 처한 상황에 따라 다르게 되며, 새로운 변화에 대응하고자 하는 일련의 전략적 선태은 새롭게 형성되는 시장환경에 있어서의 최적의 의사결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반도체 산업에 있어서 기술변화와 시장환경변화의 상호 관련성을 경쟁력 측면에서 고창하여 봄으로써, 기술정책수립에 있어 천략적 준거의 틀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다시 말하면, 동태적인 측면에서 반도체기술의 진보가 반도체산업의 시장구조 및 경챙력 요인을 어떻게 변화시켜 왔으며, 또한 어떠한 시장한정이 특정한 기술의 개발을 선도하고 영향을 미치어 왔는가를 살펴 봄으로써 기술정책수립의 전략적 요소-기술적 선택, 목표시장 (targetted market) , 그리고 타이밍 (timing) 들에 대한 선택이 어떻게 반도체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가를 규명하고자 한다.반도체 산업에 있어서 기술정책수립의 전략적 요소에 대한 선택이 어떻게 기업 혹은 국가산업의 경쟁력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하여는 아래의 문제들에 대한 실증적인 검토가 필요하다.1) 반도체산업에서의 주된 기술진보와 그 성격2) 기술의 변화가 시장구조와 경쟁력 요인에 미친 영향과 수요및 공급체계의 변화가 기술변화 패턴에 미치는 영향3) 미국·유럽·일본 둥의 반도체 산업의 시장환정적 요인4) 우리나라의 반도체 생산에 관련한 기술선택이 산업 또는 기업에 있어서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제 3절 연구의 방법, 범위 및 한계1. 연구의 방법최근 강화되고 있는 기술보호주의에 따라, 반도체기술에 관련된 기술정보의 취득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기존의 자료는 2"`3 년간의 시간적 괴리를 가지고 있어 현실성이라는 측면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을 청확히 나타내지 못하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들올 감안하여, 본 연구의 추진방법은 기존자료의 이용뿐 아니라, 국내외 출장을 통한 전문가와의 면담을 실시함으로써 반도체 산업의 현황을 실체적으로 파악하도록 하였다. 부록에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미국, 일본, 유럽의 반도체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1) 재미 한국인 과학 기술자, 2)외국인 과학 기술자 및 3) 정책관련 인사들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과정을 통하여 기존 자료의 사실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많은 귀중한 경험과 지식을 얻어낼 수 있었다.2. 연구의 범위와 한계본 연구의 실증적인 조사의 범위는 아래와 같다.첫째, 천술하였다시피 본 연구의 대상온 반도체 산업이다. 반도체 산업은 현대 산업의 요체로서 1947 년 트랜지스터가 개발된 이후 지난 40 여년간 많은 기술적 변화를 경험하여 왔으며, 산업경쟁력과 국가안보의 측면에서 또한 경제적, 기술적 측면에서 매우 증요한 전략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지적소유권보호 둥 통상마찰의 주요 대상으로 부장하여 왔다.둘째,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미국,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의 반도체 산업이다. 특히 미국과 일본의 반도체 산업은 1980 년대에 있어 경쟁력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경험하여 왔으며, 이들 두 나라에 대한 분석은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발전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많은 시사점을 던격 주었다. 유럽의 반도체 산업은 필요한 경우 산업수준에서 미국, 일본과 비교하는데 그쳤다.셋째, 사회·문화적 요소, 그리고 기업조직 둥은 고려하지 않았다. 때때로 이러한 요소들은 경챙력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많은 연구에서도 지적되었듯이, 궁극적으로 이러한 요소들은 시장환경 및 기업전략과 경영에 직·간첩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넷째, 반도체 산업을 대상으로 하었지만, 주된 분석대상은 대량 생산이 가능한 메모리 반도체 분야이다. 그러한 이유는 이 분야가 전체 반도체 생산의 약 60% 를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점점 더 증가되는 추세에 있기 때문이다. 반도체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연구대상을 반도체 소재, 반도체 장비, 반도체 화합물, 비메모리 반도체로 확대할 경우 연구수행에 있어 많은 분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분석대상은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 국한하도록 하였다.다섯째, 반도체 산업은 천통적으로 과학에 근거한 (sciencebase) 산업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기술 발명적 활동보다는 기술 혁신적 활동에 보다 중점을 두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기술 혁신과정상에 있어서 설계, 생산 그리고 마케팅이 매우 밀정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의 반도체 산업은 과학과 더불어 기술에 근거한 (technology- based) 변모를 동시에 공유하고 있다.여섯째, 인터뷰 대상이나 기업 단위 분석의 대표성 문제이다.그러나 제 2장에서 언급되었다시피, 반도체 산업의 집중도는 세계적으로 상당히 높으며 대부분의 인터뷰 대상자들이 반

      • KCI등재

        한 · 인도 IT산업의 경쟁력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정분도(Boon-Do Jeong),김지훈(Ji-Hoon Ki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한·인도 IT산업의 경쟁력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한·인도의 IT산업에 대해 국제경쟁력인 무역특화지수, 현시비교우위지수를 측정하고, 기술경쟁력인 연구개발집약도지수, 현시기술우위지수 등을 측정하여 양국 IT산업의 경쟁력을 비교하였다. 분석기간은 2007년-2011년 기간 동안으로 무역경쟁력에 있어서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기술경쟁력에 있어서는 전체 IT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국제경쟁력의 측정결과 먼저 무역특화지수의 경우 한국의 IT산업은 대체로 수출에 특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도는 수입특화 정도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현시비교우위지수의 측정결과 한·인도의 IT산업은 모두 비교우위에 있으나 한국 IT산업의 현시비교우위지수의 값이 인도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기술경쟁력의 측정결과 한국의 IT산업 연구개발투자집약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인도 IT산업 연구개발투자집약도는 한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치이며 대체로 점점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IT산업 연구개발투자집약도 지수로 볼 때 인도보다 한국의 IT산업은 상당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특허자료로 측정한 현시기술우위지수에 있어서는 한국 IT산업의 현시기술우위지수 값이 인도에 비해 낮게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sed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Korean and Indian IT industries. For the study, trade specialization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s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as well a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intensity. Also technological advantages were measured to compare the competitive power in the IT industries of the two nations. The period for the study was from 2007 through to 2011, and focus was given on manufacturing to compare the trade competitive power. The IT industry was also analysed to examine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 power.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it was discovered that the Korean IT industry was generally specialized towards exports while the Indian IT industry was specialized towards imports. In measuring the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s, the IT industry of both Korea and India were comparatively advantageous while the Korean value was higher than the Indian value.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 power it was discovered that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intensity in the Korean IT industry is steadily increasi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intensity in the Indian IT industry was much lower than that of Korea and the investment is gradually decreasing. In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intensity in the IT industry, the Korean IT industry has considerable advantages. Meanwhile, in terms of the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measured by data on patents, the Korean advantage was lower than the Indian advantage.

      • KCI등재

        우리나라 소재⋅부품산업의 대일 경쟁력 강화방안

        한광희 한일경상학회 2020 韓日經商論集 Vol.89 No.-

        As materials and parts industry’s(MPI, hereafter) importance as the source of competitiveness of manufacturing industry growing, international competition gets tougher and tougher in a global market for high value and high tech. materials and parts. This study tried figure out the issues and coping strategies for Korean MPI in global market, especially in Korea-Japan trading context.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author analyzed the sources of global competitiveness of Japanese MPI based on Korea-Japan MPI trading statistics. Out of this research and analysis, strategies for Korean MPI’s competitiveness enhancement in Korea-Japan trading. The sources of Japanese MPI’s global competitiveness are found to be preemption of niche market, state-of-the art class technology, creativeness in linking with unimaginable fields, value creation through cross-industry partnership and maker-user alliance. Due to steady government policy-driven efforts, Korea’s MPI dependency to Japan has been decreased continuously, but the chronic trade deficit to Japan is still remained in MPI as well as capital goods. Technology innovation is the most important step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Korea’s MPI in both Japanese market and global market. Super gap strategy in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balanced industry growth strategy for both MPI and it’s downstream industries, R&D Infrastructure building, open innovation approaches, and government-wide MPI support policy are suggested to enhance global competitiveness of Korean MPI. 오늘날 국가 경제의 근간이 되는 소재⋅부품산업이 제조업 경쟁력의 원천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글로벌시장에서도 고부가가치 첨단기술 소재⋅부품을 중심으로한 국가 간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소재ㆍ부품산업의 대일교역 현황을 바탕으로, 글로벌시장에 서 강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 일본의 소재ㆍ부품산업에 대한 경쟁력의 원천이 무엇인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소재ㆍ부품산업이 대일교역에 있어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도출하였다. 현재 일본의 소재ㆍ부품산업이 글로벌시장에서 경쟁력을 발휘하고 있는 경쟁력의 원천을 볼 것 같으면 니치시장의 획득, 타사가 추종 불가능한 초고도기술의 확립, 해외기업 이 모방 불가능한 분야를 연계하는 발상력, 이업종 간의 파트너십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제조사와 거래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가치창출 등 다양한 경쟁요인들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우리나라도 그동안 소재ㆍ부품산업 발전에 역점을 두고 정책을 추진한 결과, 최근 대일 의존도가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지만, 아직도 만성적인 대일 무역적자가 소재ㆍ부품산업 관련 교역분야에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가 소재ㆍ부품산업에서 대세계 시장은 물론 대일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소재ㆍ부품개발에서 획기적인 기술혁신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소재ㆍ부품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기술우위성 유지를 위한 초격차전략, 하류산업과 첨단 소재ㆍ부품산업의 균형 있는 win-win전략, 해외 경쟁 국가들의 기술 추격을 위한 R&D 인프라 확충전략, 오픈 이노베이션 창출을 통한 경쟁력 확대전략, 소재ㆍ부품산업 자립을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전략 등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지식기반경제의 첨단산업기술경쟁력의 추정 및 국제비교 (1985~1999)

        임양택 ( Yang Taek Lim ) 국제지역학회 2007 국제지역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분석목표는 OECD 및 기타 주요 국가들의 투입지표, 산출지표, 충격지표를 중심으로 산업기술경쟁력(ITC : Industrial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산업기술 성과(ITP : Industrial Technological Performance)와 산업국제경쟁력 성과(IICP : International Industrial Competitiveness Performance)를 추정 및 국제비교(1985∼1999)하는 것이다. 그리고 분석대상 국가의 지식기반산업(knowledge-based industry)의 세계시장에서의 비중, 첨단과학기술산업의 기술전문화 수준 및 미국시장에서의 수출 전문화를 중심으로, 이들 국가들의 ``산업기술 성과``(ITP) 및 ``산업국제경쟁력 성과``(IICP)를 분석 및 국제비교하는 것이다. 상기의 분석 결과, 한국의 산업기술경쟁력(ITC)을 보면, 투입지표(input indicator)인잠재적 산업기술경쟁력(potential ITC)이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에, 산출지표(out indicator)인 현재의 산업기술경쟁력(current ITC)은 높게 나타났으며, 상품화 단계 후에 생산 및 판매 단계에 이르러서는 첨단과학기술산업의 비중이 높지만 동 산업제품의 부가가치는 기술선진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R&D가 아직도 응용 연구개발에 상대적으로 치우치고 있는 반면에 한국의 기초과학연구능력 및 첨단과학의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이 부족하며, 이 결과 한국의 과학기술 및 산업 발전단계가 아직도 부가가치가 낮은 제조업 부문에 머물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are two : one is to estimate ITC(industrial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TP (industrial technological performance) and IICP (international industrial competitiveness performance) of OECD members and some other major countries ; and the other is to analyze their ITP and IICP in terms of the weight of knowledge-based industry in the world market, technology specialization and export specialization of high S&T industry in the US market for each country. From the aforementioned analysis, this study has concluded as follows : South Korea`s ITC index has been characterized as that potential ITC (input indicator) is relatively low whereas current ITC (output indictor) is relatively high ; and that the weight of South Korea`s high S&T industry in the production-and-sales stage after its commercialization is relatively high whereas its value-added is relatively low. This implies that South Korea`s R&D has been intensively invested in application and development whereas its basic scientific research capacity, R&D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of high-tech industry are relatively low, thereby the development stage of South Korea`s S&T and industrial technology still stay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with a relatively lower value-added.

      • KCI등재

        국내 금융산업 경쟁력 분석 : 한국, 미국, 싱가포르, 중국, 일본 5개국 비교 분석

        현석원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사회과학연구 Vol.15 No.1

        최근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미국 금융위기가 발생하였기는 하지만 금융산업의 중요성이 떨어진 것이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1세기 산업으로 육성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국내 금융산업에 대한 경쟁력을 파악하고 향후 과제를 찾아보았다. 국내 금융산업의 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한국 금융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한국의 금융산업은 총체적으로 경쟁력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금융 지표 중 자체적으로는 경쟁력 지수가 높은 부문도 선진국에 비해서는 매우 낮은 경쟁력 수준에 머물렀다. 셋째, 국가별 경쟁력 요인을 비교한 결과 선진국 중에서 금융경쟁력이 낮다고 평가되는 일본에 비해서도 국내 금융경쟁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과의 경쟁력은 내부요인(생산기술성, 안전성)보다는 외부요인(경제환경, 금융제도)에서 격차가 더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넷째, 한국은 금융산업이 낙후된 것으로 알려진 중국과 비교했을 때도 경쟁력 격차가 미미할 뿐 아니라 금융제도 및 정책 분야에서는 한국이 오히려 경쟁력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업종별로 보면 증권업 관련 경쟁력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본과 격차가 크고 중국에 바짝 추격당하는 상황에 놓여 있는 국내 금융산업은 금융허브 시스템 구축 가속화, 전문인력 확충, 금융기관 건전성 확보, 금융제도 및 정책 선진화, 글로벌 투자은행 육성 등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American financial crisis is caused by sub-prime mortgage problem. But financial industry must not be ignored because financial industry is still important in economic system. This thesis tries to find oud how strong Korea financial industry is compared with America, Singapore, China, Japan. The result of analysis explains that Korea financial industry is weak. When Korea financial industry is compared with Japan, system of which is known weak, our competitiveness is worse. And we have to pay attention to China financial industry. China financial industry wins Korea financial industry in some factors. To survive in global competition, we have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in financial hub system, financial skillful men and financial institution sound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