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정치참여 :

        최혜지(Hye ji Choi),이태수(Tae Soo Lee),홍영준(Young Joon Hong),김형용(Hyoung Yong K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7 No.-

        This study was postulated from prepositions that social welfare is a political product and there has been no positive signal for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of social workers. Based on the notion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measurements to promote political participation of social workers by investigate determinants of the level of political participation. Data from 1062 social workers working in Seoul Metropolitan city are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revealed that higher level of perception on social worker s political participa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political participation regarding boht social action and social worker s role. More positive perception on social worker 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lower level of readiness for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s of political efficacy. The higher level of political efficacy was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 social worker s role-oriented political participation. Measurements to promote political participation of social worker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정의를 위해 사회복지사의 정치적 규합과 동력이 절실한 함에도 국내 사회복지사의 정치참여가 발아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했다. 사회복지사의 정치참여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정치참여의 유형을 세분화 하고, 각 유형별 정치참여의 결정요인을 밝혀 사회복지사 정치참여 활성화의 단초를 찾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정치참 여를 다룬 국내외 선행연구로부터 국내 사회복지사의 정치참여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을 도출했으며, 의도적 표집을 통해 추출된 1062명 서울시 사회복지사의 자료를 이용해 도출된 모형의 적합도와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정치참여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사회운동형, 사회복지 직무기반형 정치참여 수준이 증가했다. 사회복지사의 정치참여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정치참여에 대한 준비도는 낮을수록 정치적 효능감은 증가했으며, 정치적 효능감이 높은 사회복지사일수록 사회복지 직무기반형 정치참여 수준이 증가했다. 정부역할에 대한 인식은 정치적 효능감과 모든 유형의 정치참여 수준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정치참여 기회의 확대, 정치행위자로 준비될 수 있는 교과의 설계 등, 사회복지사의 정치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 KCI등재

        청소년스포츠클럽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에 따른 참여만족 및 지속적 참여의도의 관계 연구

        홍진원,원영신,고대선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1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s of persistent participation on the social capital of participants in the youth sports clubs. To Process the data for this study, SPSS Windows Version 15.0 was used for the frequency analysis on social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relationships. Afte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MOS Version 7.0 was used for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LISREL analysis to decide the acceptance of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ypothesis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as below;At firs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gab of social relationship and trustworthy, which were the social capital factors of participants in the youth sports club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had an effect on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factors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satisfaction as mediating variables. On the other hand, the shared vision didn't affect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factors (psychological and social satisfaction). The second,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gab of social relationship and trustworthy, which were the social capital factors of participants in the youth sports club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did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s of persistent participa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On the other hand, the shared vision affected significantly on the intentions of persistent participation. The third, it could be confirmed that both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satisfaction factors, which were the mediating variables and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factors of participants in the youth sports club,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s of persistent participation, which was the dependent variable. 이 연구는 청소년스포츠클럽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에 따른 참여만족 및 지속적 참여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서울 및 경기·인천 지역)의 중․고등학생 645명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회수된 645부중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24부를 제외한 총 621부의 자료가 실제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를 위하여 사회인구학적특성에 따른 빈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위하여 SPSS Windows Version 15.0을 사용하였다.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 이후에 AMOS Version 7.0을 사용하였고, 가설적구조모형의 적합성판단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사회적 자본과 종속변인으로 설정한 지속적 참여의도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규명이 용이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는데, 매개변인으로 설정된 참여만족요인(심리적, 사회적 만족)은 독립변인인 사회적 자본과 종속변인인 지속적 참여의도와의 관계에서 유의미성을 지닐 것이라는 가정 하에 매개효과의 통계적 검증을 위하여 부트스트레핑(Bootstrapping)방법을 실시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청소년스포츠클럽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요인 중에 사회적 관계의 폭과 신뢰 가치성은 매개변인으로 설정한 참여만족요인(심리적, 사회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청소년스포츠클럽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요인 중에 공유된 비전은 지속적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청소년스포츠클럽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에 따른 매개변인인 참여만족요인 중에 심리적, 사회적 만족요인 모두가 지속적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사회참여활동을 적용한 과학교양 수업설계와 학습자의 사회참여인식 변화

        이지선(Jisu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참여활동을 과학교양 수업에 적용시켜 본래의 설강 취지인 창의·융합 역량을 제고함과 동시에 학습자들의 사회참여의식을 고취시킬 수업모델을 개발하고, 사회참여 교육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21년 1학기, K대학교에 개설된 과학교양교과에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을 주제로 한 사회참여활동 교육을 적용시킨 후, 교육전과 후의 사회참여인식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 사회적 책임감, 사회참여 효능감,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효능감,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총 5가지 구성개념을 측정하였고, 비모수통계인 윌콕슨 순위부호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총 46명 학습자의 사회참여활동 프로그램 사전-사후 응답 결과를 분석한 결과,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 사회적 책임감, 사회참여 효능감,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효능감, 비판적사고력과 문제해결력 등의 모든 변수에서 긍정적으로 향상되어 사회참여활동 적용 수업설계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이론 위주의 진행되어오던 과학교양교과에 사회참여활동을 적용시켜 운영한 사례에 대한 실증적 분석으로, 생명과학에 대한 기초 소양 함양과 동시에 대학생들의 사회참여역량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과학교양 교과의 새로운 융복합 교육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o science liberal arts education to enhance creativity and convergence capabilities, which ar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lecture, while developing a curriculum model to enhance learners perception of social participation. Methods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wice for students in a science liberal arts class applying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designed socioscientific issues, and the education effects were analyzed using Wilcoxon signed-rank test. Results The analysis of 46 pre- and post-response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by significantly improving variables such as local sense of community, social responsibility, efficacy of social participation, efficacy of socioscientific issues,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capacity. Conclusions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ase of applying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o science liberal arts education, and it can present a new convergence education model in that it improved university students social participation competency.

      • KCI등재

        근현대 한국불교의 사회참여 사상의 변화

        이병욱 한국종교사회학회 2010 종교와사회 Vol.1 No.1

        이 논문에서는 근현대시기 한국불교의 사회참여사상의 변화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근대시기 이전에도 한국불교에는 사회참여의 흐름이 있었다. 그것은 통일신라시대의 의상(義湘), 고려시대의 의천(義天), 조선시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참여한 의승병(義僧兵)이다. 이러한 흐름이 있었기에 근대에 들어서서 본격적 사회참여사상이 등장할 수 있었다. 근대에 들어서서 불교의 사회참여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졌고, 이 때 가장 활발한 활동을 벌인 쪽은 만해 한용운과 그 계열의 인물이다. 한용운에 따르면, 불교는 평등의 가르침이고 서로 구제하라는 가르침이다. 이 입장에 서서 한용운은 독립운동에서는 민족주의 노선과 사회주의 노선을 화해시키고자 하였고, 농민운동과 여성운동에 대해서는 당시의 현실에 맞는 운동을 할 것을 조언하였다. 이처럼 한용운이 불교의 사회참여를 강조하지만, 마르크스주의에서 주장하는 반(反)종교운동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반대하였다. 그 반대내용은 불교에도 사회주의적 요소가 있다는 것이고, 또한 종교의 입장에서는 모든 주의(主義)와 제도를 넘어서서 그 시대의 중생에게 알맞은 방편으로 중생을 제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한용운의 사회참여사상은 1945년 이후 해방공간 속에서 소멸해 버린다. 그 후 상당기간 동안 한국에서는 변변한 불교 사회운동이 없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서 한국사회의 모순을 타파하는 민중운동의 하나로서 민중불교운동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 민중불교운동은 기존의 참여전통이 사라진 가운데 갑자기 등장한 것이기 때문에 불교사상의 이해에 문제가 있었다. 이 민중불교의 문제점을 딛고서 1990년대 새로운 불교시민운동이 등장하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도법의 선우도량과 법륜의 정토회다. 선우도량에서는 주로 한국불교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그것이 점차로 불교시민운동으로 발전해 나간것이라면, 정토회는 한국사회의 문제점(또는 국제적 문제점)을 불교의 입장에서 해결하는 데 주안점을 둔 것이다. 그렇지만 도법의 선우도량과 법륜의 정토회의 관점을 한용운의 사회참여사상과 비교해본다면, 사상의 ‘폭’과 ‘정교함’이라는 점에서 여전히 한용운의 사회참여사상이 더 우월하다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다. In this paper, I study the change of social participation thought of modern Korean buddhism. Before modern times, there was social participation movement in Korean buddhism. It is Uisang in Sillas era, Uicheon in Koryeos era and monk soldier in Joseons era. Because of this social participation movement, buddhist social participation thought can appear in modern times. In modern times, Han Yong Woon played an active part. But Han Yong Woons social participation thought disappeared through the conflict of left wing and the right wing after the 1945 Liberation. After that, during a good long time, there was no the social participation movement in Korea. In the 1980s, Popular buddhist movement appeared as one of popular movement to break down a Korean societys inconsistency. But Popular buddhist movement had a problem to understand buddhist thought, because Popular buddhist movement appeared suddenly after the disappearance of the existing participation tradition. In the 1990s, new buddhist civil movement to overcome the problem of Popular buddhist movement appeared. The typical groups are Do Beobs Seon-U Do-Lyang and Beob Luns Jeong-To Hwi. Seon-U Do-Lyang is the group to overcome the Korean Buddhist problem mainly, and it developed into buddhist civil movement. Jeong-To Hwi is the group to solve the Korean society problem a viewpoint of buddhism. But if we compare Han Yong Woons social participation thought with Do Beobs Seon-U Do-Lyang and Beob Luns Jeong-To Hwi, from the view of thoughts breadth and elaborateness, I think that Han Yong Woons social participation thought is superior to the viewpoint of Do Beobs Seon-U Do-Lyang and Beob Luns Jeong-To Hwi.

      • KCI등재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사회참여교육과 시민교육에 관한 탐색적 연구

        허숙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3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2 No.1

        이 연구는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사회참여교육과 시민교육에 관해 탐색적으로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사회참여교육과 시민교육에 관해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운영지침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시기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2년에는 한국사회이해 정규 교육과정을 12영역으로 구분하여 참여하게 함으로써, 이주민의 사회참여를 제시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2015년부터 사회참여교육과 시민교육으로 분리되었다. 2015년부터 진행되는 조기적응프로그램은 참여대상 및 다국어 교육 확대가 필요하다. 2020년부터 시민교육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민자 멘토교육 등 문화 다양성을 포함하는 교육으로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사회참여교육과 시민교육 유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혼합형 교육 주도 주체는 정부 기관, 사회 전문 기관이 있다. 교육 선택은 필수적, 임의적으로 구분되었다. 혼합형 교육은 시민교육, 이민자 멘토교육, 지자체 연계 프로그램, 조기적응프로그램등이 있다. 사회형 교육 주도 주체는 지역사회, 시민단체 등이고, 사회봉사활동, 현장견학, 헌혈이 있다. 참여학습 모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학습 모형을 이용해 유형을 분석할 수 있는 것은 지자체 연계 프로그램, 법무부 및 출입국 관서 인정 행사, 현장견학, 사회봉사활동, 헌혈이 있다. 시민교육, 이민자 멘토교육, 조기적응프로그램은 강의식 교육으로 진행되고 있어서 참여학습 모형으로 유형을 분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시민교육, 이민자 멘토교육, 조기적응프로그램 등 강의식 교육을 이주민이 참여하는 다양한 교육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필요할 수 있다. 사회참여교육과 시민교육은 이주민과 한국인이 함께 참여하면서 지역사회와 소통할 수 있도록 한국인 대상 재교육 프로그램과 이주민 대상 평생교육 프로그램과의 연계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이주민의 거주 주기별 사회참여교육과 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

      • KCI등재

        고령자 사회참여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김수영(Kim Soo-young),이민홍(Lee, Min-hong),손태홍(Sohn, Tae-hong)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3

        고령자들의 지역사회 사회참여가 추구하는 목표 중 한 가지는 사회참여를 통해 개인의 심리사회적 건강과 사회적 관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 따라 고령자 사회참여프로그램에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자료는 프로그램의 시작과 종료 시점에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고, 참여자들의 심리사회적 건강(생활만족도, 우울)과 사회적 지지정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동일집단 내 사전-사후 비교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참여자들의 심리사회적 건강인 생활만족도와 우울은 프로그램 참여 후 변화하여 사업의 효과성이 나타났지만, 사회적 지지는 변하지 않았다. 참여자들을 연령집단(예비노인, 노인)별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면, 노인집단은 세 척도에서 모두 유의미한 수준의 변화를 나타낸 반면, 예비노인들의 변화정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사회참여활동을 유형별(교육, 자원봉사, 취미 및 여가, 일자리사업)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 참여자들은 일자리사업 유형에 참여했을 때만 세 척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고, 교육에 참여했을 때는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가 향상되었다. 한편 예비노인집단은 일자리사업에 연결되었을 때만 생활만족도가 향상되고 우울이 감소되었고, 노인집단은 일자리사업에 참여한 경우에 예비노인과 마찬가지로 생활만족도 및 우울수준이 유의미하게 변화되었으며, 교육 참여시에도 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복지기관들의 향후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older adults’ life satisfaction, depressive symptoms, and social network. The pre-post test design an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data(n = 189) were collected at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period of the program. The results showed psycho-social health status of the participants increased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mong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a positive side. However, was not applied for changing the level of social support. The elderly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three scales(life satisfaction,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while the preliminary old did not exhibit the positive changes. When participants selected the job creation program, positive changes showed up the three measures. Most participants experienced this positive changes, regardless of the age groups. By contrast, when most of the participants increased their level of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when they joined the educational program. When the two age groups and the four types of social participation considered together, both the preliminary old and the aged showed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lower level of depression. The group who took part in the job creation program showed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lower level of depressi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also significantly enhanced when the aged participated the educational program. Finally, our results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a new elderly program in the local welfare center by suggesting an important theoretical background.

      •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의 실태와 방향

        황여정 한국교육사회학회 2018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8 No.2

        이 논문은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운영 중인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집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가 나아갈 새 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 설문조사를 비롯해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을 위한 OLS 회귀분석 및 Logit 분 석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청소년들이 보다 만족스러운 지역사회 참여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찹여에 대해 내재적 동기를 갖는 것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청소년들로 하여금 지역사회 참여를 가장 어렵게 하는 애로사항은 참여시간의 확보 문 제로 확인되었으며, 지역사회 참여 활동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사전 교육, 체계적인 활동 내용, 그리고 청소년 중심의 의사결정 구조가 필수적 요소로 도출되였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가 지향해야 할 새로운 방향으로, 일반적·다수 참여, 실질적 참여, 일상적 참여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 같은 방향으로 청소년 참여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의 연계가 요구됩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회공헌활동 참여자의 참여활동만족과 사회자본이 참여효과에 미치는 영향

        나동석(Ra, Dong-Seok)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1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충청북도의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참여자를 대상으로참여활동만족과 사회자본이 참여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는 것이다. 참여자가 활동에 대한 만족하는 수준이 높을수록 참여에 대한 효과가 높을 것이며 특히, 사회공헌을 활동하는 과정에서 얻게 되는 사회자본이매개할 수 있다고 예측해 보았다. 그래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참여활동만족과 참여효과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은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자료는 사회공헌활동 참여자 24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수집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통계분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참여자의 참여활동만족과 참여효과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은 부분매개효과를 갖고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사회공헌활동에 있어서 참여자의 참여활동만족이 참여효과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자본을 형성하면 참여활동만족과 함께 참여효과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된 것이다. 따라서 사회공헌활동사업의 적합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지속과 유지를 위한 개선을 마련하기 위하여 사회공헌활동의 참여효과를 높이는 방법으로 참여자가 활동에 대한 만족을 높이고 사회자본도 얻도록 하는 방법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activity satisfaction and social capital on the participation effectiveness of participants who participate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Chungcheongbuk-do. It was predic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participants, the higher the effectiveness on participation. In particular, it was predicted that the social capital obtained in the proces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could mediate.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ocial capital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activity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effectiveness. The data were surveyed on 241 participants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Therefore, when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ffects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ion,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has a greater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erefore, in order to identify the suitability of the social contribution project and further improve the continuation and maintenance of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 method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effectiveness of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nd a wa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and to obtain social capital has been proposed.

      • KCI등재

        도시지역 연소노인들의 사회참여와 동기 요인간의 관련성

        한경혜(Gyounghae Han),김주현(Joohyun Kim),박경숙(Keongsuk Park),Hiroko Akiyama, 이재인(Jaein Lee)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4

        이 연구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50ㆍ60대 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사회참여와 관련된 다양한 동기 측면들을 살펴보고, 동기 요인과 사회참여 정도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광주, 청주, 전주의 4개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50ㆍ60대 남녀 1,713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회참여 정도는 11가지의 조직화된 활동에 대한 참여 여부를 통해 파악하였고, 사회참여와 관련된 동기는 자기지향 동기와 관계지향 동기, 그리고 사회지향 동기의 세 가지 동기 요인을 살펴보았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의 동기수준을 살펴본 결과, 세 가지 동기 요인 중 자기지향 동기와 관계지향 동기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50ㆍ60대의 연소노인들이 자신의 삶을 향상시키고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자 하는 바램이 큼을 시사한다. 둘째, 동기 요인과 사회참여 정도와의 관련성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관계지향 동기와 사회지향 동기가 높을수록 사회참여의 정도가 높았지만, 자기지향 동기는 사회참여 정도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사회참여의 정도나 유형, 그리고 동기 수준에서는 남성과 여성이 상이한 양상을 보였지만, 동기 요인과 사회참여 정도간의 관련성에서는 젠더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50ㆍ60대의 연소노인들이 타인과 활발하게 상호작용하고 사회에 기여하고자 하는 동기에서 사회참여활동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노년기 사회참여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사회참여 활동들을 통해 즐거움을 얻고 스스로의 삶의 향상시키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related to social participation of Korean young-old adults residing in urban area with a focus on the effects of various motiv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motivations of social participation. Self-oriented motivation, network-oriented motivation, and society-oriented motivation were considered as motivations of social participation. The study subjects were 836 men and 877 women aged 50-69.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in 2009.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ivations and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using the SAS program.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etwork-oriented motivation and society-oriented motivation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2) Although men and women significantly differed in the patterns of social participation, gender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motivations. These findings imply that network-oriented motivation and society-oriented motivation are important for facilitating the social participation of Korean young elderly. Further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사회참여 활동이 정치참여 의사에 미치는 경로 -사회적 신뢰, 공동체 의식, 자아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혜영 ( Hye Young Yo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의 사회참여 활동이 정치참여 의사에 연결되는 구조적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선행이론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사회참여 활동이 사회적 신뢰, 공동체 의식, 자아 효능감을 매개하여 정치참여 의사에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전국의 중·고등학생 5,373명을 대상으로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사회참여 활동은 사회적 신뢰, 공동체 의식, 자아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체 의식, 자아 효능감은 정치참여 의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신뢰의 경우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참여가 정치참여 의사에 미치는 영향은 직·간접적인 효과가 모두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직접적인 효과보다는 공동체 의식과 자아 효능감이라는 매개변수를 경유한 간접효과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는 청소년들의 사회참여 활동이 태도에 미치는 관계 혹은 청소년들의 사회참여 활동이 직접적으로 정치참여 의사에 미치는 관계에 대해서만 주목했다면,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참여가 태도를 매개하여 정치참여 의사에 미치는 논리적인 구조를 경험적으로 분석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사회참여와 정치참여를 매개하는 이론적 가설을 경험적으로 탐색해보고, 기존의 모형에 대한 한계를 수정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impact of youth participation on their inten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future. I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trust, sense of community, and self-efficacy as media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participation and their intention of future political participation employing SEM and using NYPI data. The results of my analysis are as follow : First, youth participation experiences have direct effect on social trust, sense of community, and self-efficacy. Second, sense of community and self-efficacy have 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Third, sense of community and self-efficacy is a significant mediator in the pathway from youth participation to the intention to future political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