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생태주의 관점에서 사회복지이념의 분석적 고찰

        이준상,김만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4 사회복지정책 Vol.20 No.-

        사회복지이념은 경제·사회적 조건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하였으며, 특히 경제적 상환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왔다. 복지국가를 주창한 각 국은 경기변동을 고려하여 정책수준을 결정하여 왔으며, 이러한 변화가 사회복지를 경제적 관점으로 해석하고 성장주의적 관점으로 사회복지를 재구성하려는 노력으로 나타나고 있다. 결국 사회복지의 정체성과 전문성에 대한 도전은 사회복지의 이념이 더 이상 절대적이지 않고 상대적이라는 것에 대한 반성이다. 본 연구는 생태주의적 관점에서 사회복지의 이념을 분석하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사회복지의 정책지향에 따라 시장지향적 복지, 국가중심적 복지, 그리고 제 3섹터형 복지로 구분하고 각각의 형태가 가진 복지이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사회복지가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안 원인론적 접근보다 드러난 현상을 제거하거나 완화하는 수준에서 자원의 총량을 늘리고 소비하는 것을 비판하고자 차였다. 그리고 대안으로써 생태주의적 개념과 특성을 소개차고 우리 사회에 만연한 위험성을 제거차기 위한 대안적 방법으로 생태주의적 이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성장위주의 정책과정에서 소외된 인간성을 회복하고 진정한 복지사회를 완성하기 위한 대안으로 성장주의적 패러다임을 거부하고 공생의 패러다임을 구축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Social welfare ideology has gradual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of the community, and it has above all shown very sensitive response to economic circumstances. Those countries that advocated welfare states have decided the policy level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business fluctuation, and such stream now fruitfully leads social welfare-oriented countries to analyzing social welfare from an economic standpoint and reconstructing social welfare from an growth-oriented viewpoint. Those challenges against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are after all self reflections on the idea that social welfare ideology now no longer is absolute but relative concept. This study is focused on an analysis of social welfare ideology from ecological perspective and further looks after a new alternative for the solution. The study classifies social welfare ideology into market-oriented social welfare, state-centered social welfare and the third sector model social welfare by the policy goal that social welfare aims, and it also presents making an careful access to each social welfare ideology that such framework stands for. The study further criticizes the prevailing current of modern social welfare for much more concentrating on expansion and consumption of all of given resources to the degree of eliminating or alleviating the present condition rather than making a causal approach in a way to bring an solution to the primary issue. In an effort to look for new alternative, the study introduces ecological concepts together with characteristics and gropes for ecological ideology as a way to provide alternative method that will eliminate the rampant hazard prevailing in our community. Such proposal was brought up in a situation where the necessity for constructing of coexistence paradigm and denying growth-oriented paradigm is coming out as an alternative for restoring humanity neglected from growth-oriented decision making and then achieving a true welfare society.

      • KCI등재

        기획논문 : 위험 관리자로서의 복지국가: 사회적 위험에 대한 이론적 이해

        최영준 ( Young Jun Choi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1 정부학연구 Vol.17 No.2

        본 논문은 기존에 논의되어온 복지국가와 관련된 다양한 사회적 위험에 대한 개념들이 상호간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론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우선, 최근 가장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전통적 사회적 위험과 새로운 사회적 위험이 어떻게 구분되고 또한 이 분류가 주는 의미를 중첩성의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나아가 복지국가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차원에서의 사회적 위험과 집합적 차원에서의 사회적 위험을 구분하여 이해할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하고, 그 차이점과 함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 다른 차원에서 현대사회를 산업사회로부터 변환된 위험사회로 판명한 Beck의 위험사회론을 기반으로 하여, 위험사론이 위험관리자로서의 복지국가 논의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논하였다. 위험사회에서 위험은 시공간을 넘어 점차 복잡해져가고, 규모를 예측하기 어려워지며, 중첩성도 강화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복지국가가 유일한 위험관리자가 아니며, 개인과 시장도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차원에서(위험예방-위험경삼-위험대응) 위험관리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소개하였다. 하지만, 위험관리자로서 무기력해지거나 근시안이 되어가는 개인이나 책임성과 공공성이 결여되어 사회적 위험 대처기제로서 한계를 가지고 있는 시장에 비해서 공공과 국가의 역할이 여전히 중요함을 주장하였다. 결과적으로 복지국가가 위험사회에서 더욱 확장된 범위와 역할을 가지고 위험관리자 역할을 수행할 필요성을 논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reestablish the concept of social risks and to propos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welfare states. While much has been written about social risks, the term has hardly been theoretically consolidated. First, it discusses the division of old social risks and new social risks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superposition of these two types of risks. Second, it introduces another dimension of social risks in which individual-based social risks, e.g. poverty and unemployment, are separated from collective social risks, e.g. social investment or low fertility. Also, it discusses the role of welfare states in relation to these two risks. Third, inspired by ``risk society from industrial society`` by Ulrich Beck, newly emerging features of social risks in risk society, e.g. ``routinization of uncertainty``, are discussed. Finally, apart from the state, it explains the role of family and market as risk-coping mechanisms in terms of risk reduction, risk mitigation, and risk coping. However, as social risks get complicated in terms of ``time and space``, it becomes clear that individuals and market have Limitations to fully deal with social risks. Therefore,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welfare state should restructure and expand its role as a risk-manager in the risk society.

      • 복지사회와 기독교의 공동체로서의 역할에 대한 고찰 -성공회 사회선교활동의 예를 중심으로-

        전호성 ( Ho Sung Jun )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3 교회와 사회복지 Vol.24 No.-

        본 연구는 최근 우리사회가 안고 있는 저출산화, 고령화, 가구형태의 변화라는 커다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회는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현 사회는 세대 간의 단절, 계층 간의 단절로 인하여 사회 구성원 간의 교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사회가 개개인이 아닌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사회전체가 공동대처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역사적으로 기독교가 사회 내에서 담당해온 기독교의 공동체로서의 역할의 중요성을 재고(再考)함과 동시에 세대 간 교류, 계층 간 교류의 연결고리로서의 역할론을 제기하였다. 먼저 문제해결을 위하여 통계청 자료의 2차 분석을 통한 저출산, 고령화, 가구형태의 변화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그 심각성을 재고하였다. 그리고 그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기독교 종파 중 하나인 대한성공회 서울교구의 교회 안팎의 주요활동 내용을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분석도구로는 자조, 호조, 공조의 개념 중 호조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교회 내에서는 신도(일반시민)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세대 간의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교회 밖에서는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역사회주민과의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의 결론으로 교회는 사회복지정책의 전달체계로서 활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교회 내의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세대간의 연결고리 역할, 즉 가족 내, 지역 내 혹은 사회 내의 세대 간 단절을 극복할 수 있는 공동체 의식 고양의 장(場)으로서, 또한 교회 밖에서는 사회취약계층과 지역주민 간의 소통을 위한 교류의 장(場)이 되어야 한다. 동시에 향후 과제로서 세대 간의 단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회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출산에서 육아와 의료, 교육 등 일련 과정을 성인이 되기 전까지의 과정을 한 개인만이 아닌 사회가 공동으로 대처하는 ``공적 아동보험``(가칭)의 도입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proposes a role of the Church to solve the huge social issues which are the low fertility rate, growing the aging population and changing the type of household in the recent years. Current society has been inactive exchange between members of society because of the gap between generations and social classes. Many studies suggest that our society members should have community consciousness in order to solve these social problems. This study reconsiders an important role of the Church as a community which has been a role of Christianity in the history. At the same time, it recommends a role of the Church as a mediator between the generations and social classes. First of all, it has been inquired the seriousness and present states of low fertility rate, growing aging population and changing the type of household through the second data analysis of the Statistics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t investigates the Seoul Diocese of Anglican Church in Korea major activities. This study uses the concept of mutual assistance as an analysis instrument. The study illustrates that there are interaction programmes between various generations among the member of Church inside of the Church. Outside of the church, there are exchange between the church and the local residents through the many programmes for the vulnerable people.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the role of church as a service delivery system of social welfare policy. Specifically, the Church should be a mediator between the generations through various activities, for example, it provides an arena for enhancing the community consciousness. Moreover, outside of the Church, the role of Church should provide an arena for communication among local residents and vulnerable people.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uggests the ``Public Child Insurance`` as a social correspondence. It would prevent social problems according to the gap between generations through providing of childcare, health service, education from the birth to the grown-up.

      • KCI등재

        사회적 기업 성공담론의 구조와 신자유주의 헤게모니

        김주환(Joohwan Kim) 한국문화사회학회 2014 문화와 사회 Vol.16 No.-

        이 연구는 한국의 사회적 기업 성공담론의 구조를 해명하고 그 정치적 함의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4년 1월말까지 진보 성향의 신문 두 곳(경향, 한겨레)과 보수 성향의 신문 두 곳(조선, 중앙)에 실련 사회적 기업 관련 기사들을 대상으로, 공적가치 어휘들과 시장가치 어휘들의 출현빈도와 연결망을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보다 심층적인 담론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업 성공담론 속에서 ‘성공’은 곧 ‘시장에서 기업으로서의 성공’과 동일시되고 있으며, 사회공익적 가치와 목적들은 주변화되거나 심지어 성공의 장애물로 표상되고 있었다. 둘째, 사회적 기업 성공담론들은 국가의 역할을 축소하면서 그 역할을 시장, 민간, 개인들에게 이전하는 것을 정당화하고 있었다. 그런 점에서 사회적 기업 성공담론은 국가, 시장, 민간, 개인 사이의 관계를 재설정하고자 하는 신자유주의의 사회재구조화 담론의 일반적 틀을 그대로 따르고 있었다. 셋째, 이 두 가지 분석 결과에 대해 진보의 담론과 보수의 담론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이는 진보의 사회적 기업 성공담론이 보수의 신자유주의 헤게모니에 대한 대항담론으로 역할하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신자유주의 헤게모니 담론에 포획된 채, 의도하지 않게 그것을 강화하는 것으로 귀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글은 담론적 차원에 한정하여 말할 때, 진보의 사회적 기업 성공담론이 원인분석이 아니라 문제해결의 문제설정 담론 구조를 취하고 있다는 점이 그와 같은 결과를 야기한 한 원인임을 논증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scursive structures of social enterprise’s success in Korea, and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os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analyzed occurrence frequencies of social and public interest-based vocabularies and the market-based ones, and network pattern among those vocabularies. Using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as heuristic tools, next, I analyzed discursive structures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success discour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social enterprise’s success discourses, the ‘success’ was represented as the ‘corporate success in the market.’ The social and public values and interests were marginalized or sometimes those were represented as barriers to the success. Second, social enterprise discourses justified the minimization of the government’s roles and the initiatives of the market, private sector, and individuals. In that sense, the social enterprise’s success discourses were structured on the basis of the neoliberal society-reorganization project, which pursues to reorgani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ate, the market, private sector, and individuals in new ways. Concerning those two general results of the analys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progressive presses and the conservative ones. It implies that the Korean progressive’s discourses of social enterprise’s success do not serve as a counter-hegemonic discourses against the Korean conservative’s neoliberal hegemonic discourses. The former are deeply captured into the neoliberal hegemonic discourses. Thus, the former are unintentionally allied with the latter, and reinforce the conservative’s neoliberal hegemony. I argue that this ironic condition is systematically caused by the fact that the Korean progressive’s discourses of social enterprise’s success are framed in the problematization of problem-solving, not cause-analysis.

      • 사회적 시장경제의 이해 : 독일의 경제질서 이념과현실체제에 관한 고찰

        황신준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3 신안보연구 Vol.- No.17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n analytical observation on the german economic system. To examine a possibility of adopting elements of the current german system, they should be analyzed regarding their ideolog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The basis of free market ideas was very weak after the World War II in Germany. This paper reviews the programmes of the conservative parties on the one side that advocated free market economy a la 'Social Market Economy', and the social democratic fraction on the other that fighted for nationalization of key industries and a sort of planned economy. In the end, the german system was basically designed by the idea of 'Social Market Econnomy' But sometimes, the german market system is misunderstood as somewhat socialistic or social democratic. This is to attribute to some factors of the german system : so called co-determination, expanded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system, unique cluster system of the german small and medium businesses. german vocational apprenticeship etc. These factors were in fact influenced by socialistic movements, or consequences of the german historic tradition. The contemporary german economic system is mixture of the free market elements a la Social Market Economy, social democratic elements and the traditional elements. And since 1970's, the elements were extended, that did not conform with Social Market Economy. Various reform policies were adopted in Germany in the 2000's, and their performances are remarkable. This is in turn to attribute to the political debates and social consensus in Germany,that proceeded around the idea of Social Market Economy. 본 논문은 최근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독일 경제체제에 관해 입체적인고찰을 시도한다 현재 . 독일에 정착된 경제체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의이념적 뿌리, 역사적 배경 등을 구명해야만, 그 요소들의 상호정합성또는 다른 나라나 사회의 수용가능성 등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2차대전 종전 후 자유시장경제 이념과 전통이 취약한 서독에서 ‘사회적 시장경제’를 표방하며 자유경쟁적 경제질서를 구축하려 했던 보수당 정파와 기간산업 국유화 및 통제경제적 체제를 추구하던 사회민주주의 정파의 정강정책을 살펴보고, 결국 기본적 경제체제는 ‘사회적 시장경제’ 이념이 실현되었음을 알아본다. 이 사회적 시장경제 이념은 독일 프라이부르크 학파의 ‘질서자유주의’ 사상을 기반으로 한다. 그런데 종종 독일의 시장경제질서는 사회주의적 또는 사회민주주의적 가치를 지향하는것으로 오인되기도 하는데, 이는 몇 가지 현실체제 요소에 기인한다. 공동결정제도, 다양하게 확산된 사회보장시스템, 중소기업의 클러스터네트워크 시스템, 수공업 및 도제제도식의 직업교육 시스템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독일의 사회주의운동의 영향을 받은 측면도 있고, 독일 제국시대부터 내려온 역사적 전통인 측면도 있다. 따라서 현대 독일의 경제시스템은 ‘사회적 시장경제’로 표방되었던 독일의 ‘질서자유주의’ 경제이념에 의해 이루어진 자유경쟁 시장시스템의 요소와 사회민주주의적 요소, 독일 제국의 전통적 요소 등이 혼재되어 있는 것이사실이다. 그리고 질서자유주의 이념과 배치되는 요소는 사회민주주의집권기 이후 점차 확산되어 갔으며, 독일 시장경제의 기능이 취약해져갔다. 2000년대 들어서 다시 시장기능의 회복을 위한 다양한 개혁작업과 그 성과는 독일이 ‘사회적 시장경제’ 이념을 중심으로 전개된 치열한정책적 토론을 통한 사회적 합의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독일의 현실 경제시스템의 여러 요소들을 벤치마킹하고 수용가능성을 검토할 때는, 반드시 그 시스템 요소 각각에 대해 이념적 정합성과 역사적 특수성에 관해 입체적인 고찰을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시설 평가제도의 융합모형

        송민석 한국융합학회 2015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6 No.5

        사회복지시설은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에 적합한 서비스의 자원개발과 전달체계를 국가로부터 위임받아 국 민에게 전문적인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해 시설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시설운영과 효과적인 서비스전달 등에 대한 사회적 책임의식을 가진다. 지금까지 사회복지사업법 규정에 의한 제5차에 걸친 평가는 사회복지시설 운영의 효율성과 책임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운영방향을 제시하여 사회복지시설의 균형적 발전과 선진 화를 위한 중요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사회복지시설 평가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평가체계가 갖추어야 할 기준 과 개선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시설이용자들의 복지를 통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융합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trusted by the government for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welfare services and their delivery systems. They aim to provide people with professional social welfare services and, for this purpose, they develop ways to effectively operate facilities and to deliver the services efficiently. So far, the five consecutive evaluations based on the Social Services Act have suggested the effective and systematic ways of operating social welfare facilities. Through these efforts, they established an important basis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and further advance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Nevertheless, people have continually pointed out problems concerning the evaluation system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ccordingly, these problems have the necessity of investigation for reformed directions by means of effective control and evaluation system for the opera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convergence models for improving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evaluation system.

      • KCI등재

        소비자의 공감반응을 끌어낼 수 있는 사회적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관한연구 - 친숙성과 진정성을 중심으로 -

        윤대홍,엄성원 대한경영정보학회 2014 경영과 정보연구 Vol.33 No.5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적기업에 대 한 기업 측면과 제품 측면으로 접근해보았다. 기업측면의 경우 소비자의 친숙성과 진정성 지각에 어떤 영 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연구결과 사회공헌활동 공성성은 친숙성과 진정성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1, 가설 2). 사회공헌활동 호혜성의 경우 친숙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가설 3)으로 나타났으나 진정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4). 제품측면에 대한 친숙성과 진정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매력성과 친숙성(가설 5), 독특성과 진정성(가설 8)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매력성과 진정성(가설 6), 독특성과 친숙성(가설7)은 통 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친숙성과 진정성 그리고 공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친숙성의 경우 진정 성(가설 9)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소비자 공감(가설 10)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정성의 경우 소비자 공감(가설 11)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사회적기업에 대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구매를 촉진하고 공감을 높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관계를 이어갈 수 있는 통합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역할을 통한 소비자의 공감을 끌어낼 수 있는 사회적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has analyzed on affecting factors of the customer's empathy toward the corporate philanthropic activities in terms of corporates and their products. From the corporate perspective, we have checked how the activities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customer familiarity and authenticity. Study shows that the fairness of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have an impact on both the familiarity and the authenticity (hypothesis 1, hypothesis 2). Social contributions reciprocity has been shown to influence familiarity (hypothesis 3) and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authenticity (hypothesis 4).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iarity and authenticity from the product side, charm and familiarity (hypothesis 5), uniqueness and authenticity (hypothesis 8) showed that the impact on the definition. On the other hand charm and authenticity (hypothesis 6), uniqueness and familiarity (hypothesis 7) appeared to b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iarity, authenticity and empathy is as follows. First, the familiarity was found that it is affecting the authenticity (hypothesis 9) and for the consumer sympathetic (hypothesis 10) appeared to b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authenticity was found having a defined effect on the consumer sympathetic (hypothesis 11). It is really far more important to suggest an integrated approach to continue a sustainable and stable relationship by increasing consumer purchasing and empathy for the products and services of social enterprise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rketing strategies of social enterprises, which can draw the consumer sympathy through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social enterprise.

      • KCI등재

        온라인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자 특성, 토론효과 및 학습효과 인식,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권성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3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다양한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온라인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사이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실재감, 토론효과인식, 전체적인 학습효과 인식,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을 (동료)학습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과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으로 구분하여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자의 학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기가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간의 상관분석 결과 모든 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성과 변인과의 상관에 있어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에 비해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 모두 토론효과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력이 조금 더 크게 나타났다. 넷째, 전체적인 학습효과 인식에 대해서는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만이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설명력은 토론효과 인식보다 낮았다. 마지막으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논의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social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learners' characteristics. Therefore, social presence, perception of discussion effect, and overall perceived learning were surveyed among cyber graduate school students in Korea. Specifically, the construct of social presence was divided into learner social presence and teacher social presence. Relationships with other variables were then analyzed separately. Research results show that, first,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learners' year (grade) in school. That is, higher grade students perceived social presence highly. Second, the correlations among all of the variables were significant; the relationships of teacher social presence with other outcome variables were stronger than those of learner social presence. Third, learner social presence and teacher social prese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erceived effect of discussion, but the effect of teacher social presence was only slightly stronger than that of learner social presence. Fourth, teacher social presence was a significant factor in perceived learning overall but learner social presence was not. Similarily, only teacher social presence accounted for some of the variability of satisfaction, while learner social presence did not account for the vari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role of the online teacher and strategies for enhancing social presence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유아사회교육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이경실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through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n the definition, objective and teaching & learning method of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eachers' perception on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ve teacher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the kindergartens where the teachers work, and the length of interview was between 1 hour and 30 minutes to 2 hours and 10 minutes depending on the teacher. The study result revealed that first, the teachers defined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as relationship. As for the objective of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they responded as ‘cultivating personal qualification’ and ‘forming relationship with the world’. Second, as for the contents on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that need to be dealt, they responded as ‘honesty & attitude’ and ‘conceding’ in sociality contents, ‘geography/ history/economy’ and ‘current affairs’ as social science contents. Third, as for the teaching strategy for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they responded as ‘hugging’, ‘guiding according to situation’, ‘complimenting and highlighting’, ‘making a strenuous effort’, ‘setting example’ in sociality teaching strategy, and as ‘informing basic things’ in social science teaching strategy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사회교육의 정의와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통해 유아사회교육 교육과정과 교수내용지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5명의 교사를 면담하였다. 면담은 교사가 근무하는 유치원에서 이루어졌으며, 면담 시간은 교사별로 1시간 30분~2시간 10분이었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사회교육의 정의로는 ‘관계’가 유아사회교육의 목표로는 ‘개인의 자질 기르기’, ‘사회와의 관계 맺기’가 분석되었다. 둘째, 유아사회교육 내용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에 대한 교사의 의견은 사회화의 내용으로 ‘정직과 태도’, ‘양보’가 분석되었고, 사회과학의 내용으로 ‘역사․지리․경제’, ‘사회적 시사’가 분석되었다. 셋째, 유아사회교육의 교수전략에 대한 교사의 의견은 사회성 지도 방법으로 ‘안아주기’, ‘상황마다 지도하기’, ‘칭찬과 부각시키기’, ‘공들이기’, ‘본보이기’, ‘예화 들려주기’가, 사회과학 지도방법으로는 ‘기초적인 것 알려주기’가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