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사회적성과 분석 및 정부지원금의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윤경옥,손희정,오웅락 한국세무학회 2018 세무와 회계저널 Vol.19 No.2

        This study has 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terprise’s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and analyzed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relationship of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depending on differences in firm size and authentication type. Additionally, we researched about what kinds of effects do social enterprise’s management performance have on government funds. To prove this, the study period is from 2007 to 2015, and analyzed 226 companies/yearly social enterprises as a sample. The major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firstly, we analyzed effects that social enterprise’s economic performance have on social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is, it represented that self employment rate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is low as debt ratio and the rate of government funds are high, but it was analyzed that self employment rate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is high as asset turnover ratio is high. On the other hand, it represented that the economic performance do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rate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sis of influence that difference of firm size and authentication type have on the economic performance’s relevance of social performance, it represented that both of them don’t have a big influence. Finally, as a result of analysis about the influence of social enterprise’s management performance on the government funds, it represented that self employment rate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gets low when debt ratio gets high, and self employment rate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gets high when sales growth rate and asset turnover ratio are high. The study has a meaning on showing the effects that social enterprise’s economic performance have on social performance and the influences which social enterprise’s management have on government funds by using the financial statements of social enterprises which are announced on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성과와 사회적성과의 관련성을 검증하였고, 기업규모와 인증유형의 차이에 따라 이러한 경제적성과와 사회적성과의 관련성에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사회적기업의 경영성과가 정부지원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연구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5년까지를 연구기간으로 하고 226개 기업/연도의 사회적기업을 표본으로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성과가 사회적성과에 미치는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채비율과 정부지원금비율이 높을수록 취약계층자체고용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자산회전율은 높을수록 취약계층자체고용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경제적성과는 취약계층고용비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규모와 인증유형의 차이가 경제적성과의 사회적성과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두 가지 모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기업의 경영성과가 정부지원금에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취약계층자체고용비율은 낮아지고 매출액증가율과 총자산회전율이 높을수록 취약계층자체고용비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공시된 사회적기업들의 실제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성과가 사회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과 사회적기업의 경영성과가 정부지원금에 미치는영향력을 보여준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가정신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적 자원 및 자원동원력의 매개효과

        박노윤,설현도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11

        사회적기업가정신이 사회적기업의 중요한 성장동력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 연구를 보면 사회적성과에 대한 사회적기업가정신의 긍정적인 영향은 대체로 일관성 있게 나타나고 있지만, 경제적 성과에 대해서는그렇지 않다. 그래서 조직성과, 특히 경제적 성과에 대해 사회적기업가정신이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규명할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최고경영자가 발휘하는 사회적기업가정신이 조직성과(경제적성과,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그리고 매개변수로 관계적 자원과 자원동원력을 도입하여사회적기업가정신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살펴본다. 본 연구를 위해 사회적가치연구원이 SPC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2021년에 시행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가정신은 사회적 성과뿐만 아니라 경제적 성과에도 긍정적인영향을 미쳤다. 둘째, 관계적 자원은 사회적기업가정신과 조직성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원동원력은 조직 내부의 관계적 자원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직 외부의 관계적 자원이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 매개하고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적기업가정신이 비즈니스를 통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보여준다. 또한 관계적 자원은 자원동원력을 통해 사회적기업의 경쟁력 확보에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기업 가치가 사회적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숙연 ( Kim Suk-yeon ) 한국세무회계학회 2016 세무회계연구 Vol.0 No.50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조직의 형태이므로,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측정하는 데에 있어서도 경제적 가치 이외에 사회적 가치를 함께 가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볼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의 가치인 공익적 가치, 윤리적 가치, 경제적 가치가 사회적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인증유형에 따른 사회적기업 가치가 사회적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2014년 성과 기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자율경영공시 인증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경실련 좋은사회적기업상 사회적기업 정량평가기업 중 재무자료 이용이 가능한 기업을 중심으로 표본을 선정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 가치인 공익적 가치, 윤리적 가치, 경제적 가치는 사회적기업 성과에 양의 관련성을 보인다. 사회적기업의 개별 가치와 사회적기업 성과와도 동일한 결과를 보이며, 사회적기업 가치가 높은 기업일수록 사회적기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기업 인증유형에 따른 사회적기업 가치가 사회적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기업의 사회서비스 제공형인 경우 사회적기업 가치가 사회적기업 성과에 양의 관련성으로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서비스 제공형의 경우 사회적기업 가치가 높은 기업일수록 사회적기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성과의 정량지표를 활용하여 사회적기업 가치와 사회적기업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Social Enterprise is a organization that pursue social and economic value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measure the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it need to analysis that social and economic value and values that affect the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on the effect of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in Social Enterprise Values. And also it is to analyse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type. For this analysis, Social Enterprise quantity estimation index is used, and included 99 firms observation among the top 100 companies of the good social enterprises award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ublic Value, Ethical Value and Economic Value of Social Enterprise Value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And also group with higher Social Enterprise Value of Social Enterprise Value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Second, in case of Providing Social Service, Public Value, Ethical Value and Economic Value of Social Enterprise Value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Group with higher Social Enterprise Value of Social Enterprise Value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Social Enterprise Value and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shall have a significant because analyses using quantitative indicators of performance.

      • KCI등재

        사회적기업 창업성과 영향요인 연구

        김용태,박재환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경영교육연구 Vol.28 No.2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find the affecting factors for the social enterpris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lso this study were trying to expand to successful factors and models examining advanced foreign social enterprises. This study analyzed 185 domestic social enterprises that certified by government as a social enterprise. The factors of social enterprise were defined with 3 factors such as a social entrepreneurship, management competency, organizational culture, and 2 moderating factors, government assistant policy, social network.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Risk-Taking', 'Social Value Orientation' of social entrepreneurship dimensions affects the economic performance.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Social Value Orientation' of social entrepreneurship dimensions affects the social performance. Second, Social Entrepreneur's Competency dimensions are affects the economic performance. Competency of social entrepreneur affects profit performance directly. Third, the 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performance slightly that means today's social enterprise is weak in the systematic factors. Fourth, Government Assistance Policy and Social Network are moderating between social entrepreneurship, competency,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formance. Especially social network dimensions are major critical factor revealed in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Lastly, social enterprise's economic performances are affects meaningfully to social performance. It is found that to raise competency of social enterprise is more important than government support.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창업성과 영향요인인 사회적 창업가정신(social entrepreneurship), 경영역량, 조직문화 및 정부지원정책과 사회적 네트워크 등이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설정된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사회적기업 185개를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회적 창업가정신의 세부 요인인 혁신추구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등은 경제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위험감수성의 경우 사회적 성과 창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경영역량은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 바 있다. 셋째, 기업의 혁신지향, 과업지향 조직문화는 경제적 성과에, 혁신지향 및 관계지향 조직문화는 사회적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부지원정책과 사회적 네트워크는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 성과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정부지원정책의 활용도 및 사회적 네트워크가 높을수록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 성과가 증가하는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한 점이다. 본 연구결과 향후 사회적기업의 지속적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의 직접적 지원의 효율성을 높이고 기업의 내부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우선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부‧민간의 재정지원이 사회적 재투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기업 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창국,최미정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22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32 No.4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external financial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 on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reinvestment. We analysed 457 social enterprises data for three years from 2018 to 2020. From the results, we found four things: First, we identified the direct effects of government subsides and private grants on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but financial support had no effect on social performance. Second, government subsides and private grants increased social reinvestment of social enterprises. Specifically,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improved treatment of workers and the private financial support increased the other type reinvestment. Third,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had varied effects on social reinvestment. They increased reinvestment in job creation, social services, and treatment of workers. Fourth,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financial support and social reinvestment. Since the effect of financial support on social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 the media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This implies external financial aid is important that social enterprises increase economic performance and create social value by social reinvestment. 이 연구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부와 민간의 재정지원이 사회적기업의 성과와 사회적 재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구체적으로 정부‧민간의 재정지원이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를 통해 사회적 재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살펴보았다. 사회적기업 457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의 네 가지를 발견했다. 첫째, 정부‧민간의 재정지원은 경제적 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사회적 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정부의 재정지원은 경제적 성과와 부적 관계를 가졌고, 민간의 재정지원은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정부‧민간의 재정지원은 사회적 재투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정부의 지원이 많을수록 근로자처우개선을 위한 재투자가 증가했고, 민간의 지원이 많을수록 기타 재투자가 증가했다. 셋째,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사회적 성과는 사회적 재투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경제적 성과가 클수록 일자리창출 재투자, 사회서비스 재투자, 근로자처우개선 재투자와 지역재투자가 증가했다. 사회적 성과가 클수록 일자리 창출 재투자, 사회서비스 재투자와 근로자처우개선 재투자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정부와 민간의 재정지원이 직접적으로 사회적 재투자로 이어지기보다 경제적 성과를 통해 사회적 재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 KCI등재

        사회적 기업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김동철(Dongchul Kim),김정원(Jung-Won Kim) 한국경영학회 2016 Korea Business Review Vol.20 No.2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사회적 성과를 평가하고, 사회적 기업의 특성과 지역 등에 따른 성과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주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 기업의 이윤과 사회적 공공성의 추구에 대한 의의와 정부의 관련 지원정책 및 사회적․경제적 성과평가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하였다. 실제 성과분석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의 2015년 경영공시 자료를 바탕으로 경제적 성과로서 성장성, 수익성 및 안정성을, 사회적 성과로서 고용창출효과 및 이윤의 사회적 재투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성과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일정 수준의 경제적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사회적 성과로서 고용창출 및 사회적 재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인건비에 대한 정부 지원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기업의 특성 및 지역에 따른 성과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으로서 성과 지표 확대 방향 및 정부 지원 정책의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사회 내 일자리 창출 및 사회공헌을 확대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conomical and social achievements of social enterprise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achievements according to the features and regions of social enterprises. For this, theoretical reviews were made on the significance of pursuing profits for social enterprises and social fairness, as well as for the support policies of the government and social and economical achievement assessment. The actual achievement analysis was made focused on growth, profitability and safety for economic achievements and job creation effects and social re-investments of profits for social achievements based on the 2015 management data of the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The overall achievement analysis results showed a level of economic achievement, but for social achievements, while there were job creation and social re-investments, it was found to have high dependency on government support for wages. Furthermore,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features and regions of social enterprises.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ions on the direction of expanding performance indices and improvement plans of government support policies. Through this, policy plans were examined to promote regional economies, create jobs within communities, and to expand social contribution.

      • KCI등재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혼합가치 지향성이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유한나,정의범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벤처창업연구 Vol.17 No.1

        사회적 가치 창출과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회적 기업가정신에 관한 연구가 최근 국내외에서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연구자들은 사회적 기업의 성과 향상에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주요한 요인이라는 점에 주목해 다수의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 사회적 기업의 성과를 기업가의 주관적 인식에 기초하여 측정하고 있어 동일방법편의의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 기업가정신이라는 기업가의 개인적 특성이 사회적 및 경제적 성과라는 특수한 이중적 목표 달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실증적 증거도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변수 간의 실증 규명을 위한 성과 측정의 객관성을 높이고, 사회적·경제적 성과를 단일한 것으로 보는 특성인 혼합가치 지향성을 포함하여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재검증한다.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혼합가치 지향성이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및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SK의 사회성과인센티브(SPC)에 참여한 국내 사회적 기업의 인식조사와 객관적인 성과 자료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하위 요인인 위험감수성이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대해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 기업가정신은 혼합가치 지향성을 향상시키며, 혼합가치 지향성은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혼합가치 지향성이 성과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규명하였으며, 선행 연구에서의 주관성 측정과 동일방법편의의 극복을 시도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Recently, research on social entrepreneurship, which simultaneously pursues social value creation and economic sustainability has increased rapidly. Researchers conducted several empirical studies, noting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is a major factor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usually have limitations in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based o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entrepreneurs, which implies the limitations of the common method bias.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evidence that can explain the specific process in which the personal characteristic of an entrepreneur, social entrepreneurship, affects the achievement of dual goals.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ocial entrepreneurship on performance increasing the objectivity of performance measurement and including blended value orientation(BVO), a characteristic of viewing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as a single th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BVO on the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We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survey of social enterprises in South Korea and objective performance data. As a result, risk-taking, a sub-factor of social entrepreneu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at a significant level.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improves BVO, and it affects social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and BVO have a discriminatory effect on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respective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overcome the common method bias as measuring subjectivity performance.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조직역량이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 경제적 성과의 조절효과 분석

        전현수,최균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20 사회적기업연구 Vol.13 No.3

        The aim of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organization capacity(socialentrepreneurship, network capacity, financial capacity, innovation capacity) ofsocial enterprise in social service on social and economic outcome, and analyzethe moderation effect of economic outcome on social outcome. As a result, network capacity, innovation capacity positively influenced socialoutcome of social enterprise, and financial capacity influenced economicoutcome of social enterprise. There is no moderation effect of economicoutcome on social outcome, and it means trade-off relation between socialoutcome and economical outcome. Conclusionally, It needs balanced support program of government for socialenterprise to raise the level of social outcome, because the direction of policyof social enterprise support is focused on economical independence and marketcompetence. 본 연구는 조직역량이 사회서비스 업종 사회적 기업에도 적용할 수 있는 성과요인인지를 밝히고, 이들 요인이 경제적 성과에 따라 사회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사회적기업의 조직역량은자원기반이론에 기초하여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네트워크역량, 재무역량, 혁신역량으로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네트워크역량과 혁신역량은 사회적 성과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경제적 성과에는 재무역량만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는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에 각기 다른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사회적 성과에 대한 조직역량의 영향에서 경제적 성과의 조절효과는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 간에 영향요인이 상이하고, 경제적 성과가 사회적 성과에 대한 조절효과가 없다는 점을 통해 이들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 정책 방향이 경제적 자립과 시장경쟁력 확보에 초점이 맞춰진 상황에서사회적 성과를 함께 고려하는 균형적인 지원 정책 확대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기업가 정신이 제주지역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문실 ( Moon Sil Kang ),양성국 ( Sung Kuk Yang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가정신에 대해 알아보고,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조직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에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사회적기업 근로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하였고,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수간의 인과효과,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하위요인인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사회가치지향성 요인이 조직성과 하위요인인 사회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하위요인인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사회가치지향성 요인이 조직성과 하위요인인 경제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는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하위요인인 혁신성, 진취성, 사회적가치지향성과 조직성과 하위요인인 사회적성과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뢰는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하위요인인 진취성, 사회적가치지향성과 조직성과의 하위요인인 경제적성과에 있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사회적기업가들은 도전적인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조직구성원들에게 독려하며 근로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조직성과간의 작용하는 조절 매커니즘을 밝혀 향후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ocial entrepreneurship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trepreneu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proactiveness, innovativeness, risk-taking,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affect on social performance. Second, innovativeness, risk-taking,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proactiveness affected economic perform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of CEOs can increase favorable attitudes towards social enterprises and promot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rd, the moderating effects of trust was clear with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but not with risk-taking. Fourth, proactiveness,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had the moderating effects of trust, but innovativeness and risk-taking did not. This study only focused on the social enterprises located in Jeju area, and thus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Nonethel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a strategy that can upgrade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 KCI등재

        사회적기업 특성과 CEO의 경영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평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기철 ( Kim Kwi-chul ),서병덕 ( Suh Byung-duk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7 유라시아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특성과 CEO의 경영역량이 기업의 평판을 매개로 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과 가설검증을 위한 설문지는 총 41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변수들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은 Likert 5점 평점 척도방식으로 등간척도로 구성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에 소재한 사회적기업과 예비사회적기업의 CEO를 포함한 재직자를 대상으로 총 785부를 배부하여 170부를 회수(21.7%)하였으며 그 중 답변이 부실한 6부를 제외한 164부를 통계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서는 측정모형의 검증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검사를 위해서는 Cronbach`s Alpha를 사용하였다. 가설검증에는 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 Sobel테스트방법을 사용하였다. 가설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 특성과 CEO의 경영역량이 사회적기업 평판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68.3%, 73.5%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으며, 그 순위는 영업활동에 의한 수익실현, 인증제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기업 평판이 사회적 성과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52.0%, 50.8%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으며, 그 순위는 정부의 재정지원정책, 사회적 목적추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기업 특성이 사회적 성과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50.8%, 46.8%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으며, 그 순위는 정부재정지원정책, 정부판로지원정책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CEO의 경영역량이 사회적 성과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50.2%, 42.1%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으며, 그 순위는 기업가정신, 리더십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독립변수인 사회적기업 특성, CEO의 경영역량이 사회적기업 평판을 매개로 종속변수인 경영성과(사회적 성과,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순위는 사회적 목적추구활동, 정부판로지원정책 순이다. 본 연구결과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검증결과 변수간의 설명력(R<sup>2</sup>)과 하위요인별 상대적 영향력(β값)을 기준하여 그 순위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관련 기관에서 정부사업 우선순위 결정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사회적기업 특성 하위변인 중 이해관계자 참여방법에 의한 의사결정구조는 사회적기업 평판과 경영성과(사회적성과, 재무성과), 매개효과 모두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거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기업의 사회성과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매개변수인 사회적기업의 평판은 독립변수(사회적기업 특성, CEO경영역량)와 종속변수(경영성과)와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사회적기업의 평판의 중요성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고객이 지각하는 사회적기업의 평판을 높일 수 있는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혁신과 마케팅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a social enterprise and its CEO`s management capability on the business performance with the enterprise`s reputation as the mediator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he questionnaire that was created to verify the study model and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comprised of 41 questions, and the questions for measuring variables were designed in interval scale using the 5-point Likert Scal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785 current and prospective social enterprise CEOs and incumbents, 170 of whom completed and returned the questionnaire(21.7%), and 164 of the total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after disregarding 6 of them for inadequate answer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Cronbach`s Alpha was used for testing reliability. For hypothesis verification, regression analysis,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Sobel test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echnique were used. A summary of the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n the impact of a social enterprise`s characteristics and CEO`s management capability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68.3% and 73.5%, respectively. Second, an analysis on the impact of a social enterprise`s reputation on its social and financial performance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52.0% and 50.8%, respectively, in the order of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pursuit of social purpose, and the government`s marketing support. Third, an analysis on the impact of a social enterprise`s characteristics on its social and financial performance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50.8% and 46.8%, respectively, in the order of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and marketing support. Fourth, an analysis on the impact of a social enterprise CEO`s management capability on the enterprise`s social and financial performance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50.2% and 42.1%, respectively, in the order of entrepreneurship and leadership. Fifth, an analysis on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a social enterprise and the CEO`s managerial capacity(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 business performance(social and financial performance) with the enterprise`s reputation as a mediator showed that the reputation of a social enterpris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in the order of pursuit of social purpose and the government`s marketing support. The implications draw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verification, this study has ranked the variables based on their explanatory power(R<sup>2</sup>) and relative impact per subfactor(β value).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by a government- affiliated organization to determine a priority list for government projects.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the characteristics of a social enterprise, the impact of the decision structure with the stakeholder`s participation on a social enterprise`s reputation, its business performance( social and financial performance) and mediating effects appeared to be negative(-) or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us, a need for training on the sociality and entrepreneurship of a social enterprise on its members has been brought to attention. Third, the reputation of a social enterprise, a mediating factor, seem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characteristics of a social enterprise and CEO`s managerial capacity) and dependent variables(business performance), validating the reputation`s importance. Thus, a need for innovating and marketing products and services that can raise social enterprises` reputation of which consumers are aware has been brought to at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