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무적 제언 : 통합적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이진용(Lee, Jinyong)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6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통합적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분석하여 논의를 수행하고 실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통합적 관점은 기업이 사회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면서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의 이익과 연결되어야 한다는 수단적 관점과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방적인 자선 활동과도 대비되는 접근방식이다. 이론적인 논의를 1) 통합적 관점과 수단적 관점의 비교, 2) 사회적 가치의 측정, 3)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관계, 4)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효율적 경계선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통합적 관점은 경제적 가치를 포기하지 않지만 사회적 가치와 긴장 관계를 신중하게 고려하여 분리와 통합 과정을 통하여 해결책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에 의미가 있기 때문에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것이 통합적 관점에서 더욱 중요한 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것은 결코 용이한 과업이 아니다. 사회적 가치를 추구할 때에 기업의 이익과 연결되어 경제적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을까에 대하여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통합적 관점에서는 특히 최근 들어 경제적, 사회적 가치의 긴장 관계를 중시하고 있다. 양자의 갈등이 자연스레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힘든 해결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적절한 해결과정을 거쳐서 몇 개의 대안적 프로그램이 남아 있을 때에는 효율적 경계선을 이용하여 경제적, 사회적 가치에 대하여 각각 일부를 양보해야 하는 적절한 선택을 수행해야 한다. 실무적 제언으로 1) 통합적 관점을 취하면서, 2) 의미가 있고 효과성 높으면서, 3) 기업의 전문성과 일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를 선별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4) 지속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고 목표를 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5) 체계적이면서 신중한 기업평판 관리를 통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관계를 호의적으로 유지하고 강화해야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takes an integrative perspective and analyz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theoretically. We also suggest some practical guidelines for CSR activities. The integrative perspective proposes that CSR programs need to seek social and economic values simultaneously. This approach distinguish itself from an instrumental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that social contributions ne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 value (e.g., firm’s financial performance) and from philanthropic donations without clear objectives. We analyze theoretically 1) comparisons between integrative and instrumental perspectives, 2) measurement of social value, 3)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economic values, 4) efficient frontiers on social and economic values. The measurement of social value is a prerequisites to the integrative perspective since this approach emphasizes ‘tensions’ between social and economic values and resolutions through separation and synthesis of values, although it is very difficult to measure social value. Many different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economic values. Recently, scholars in the integrative perspective believe there exist tensions between social and economic values. After resolution processes, there may remain some programs in trade-off relations of social and economic values. Relying on efficient frontiers, we may have to make a decision between social and economic values by giving up some values in each dimension. As practical suggestions, 1) taking the integrative perspectives, 2) effectively selecting CSR program areas, 3) choosing areas well matched with firm’s expertise, 4) continuous measurements and objective set-ups of social value, and 5) systematic management of corporate reputation as a final output of CSR activities are recommended.

      • KCI등재

        사회문제해결역량이 사회적기업과의 파트너십 형성에 미치는 영향

        유한나(Yoo, Han Na),민동권(Min, Dong Kwon)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1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1 No.1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부문 간 파트너십, 특히 사회적기업과의 파트너십이 증가하고 있다. 선행 연구는 사회적기업이 부족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파트너십을 수행한다는 데 주목하고 있으나 이는 사회적기업의 관점이므로 사회적기업 파트너십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사회적 기업과 관계를 맺는 영리 기업과 비영리 조직은 단지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서만 협력하지 않으며, 궁극적으로 협력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사업기회를 창출해 자조직의 성과를 직간접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파트너십 동기를 내부적 동기와 외부적 동기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사회문제해결역량 인식이 사회적기업과의 파트너십 형성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영리 기업과 비영리 조직 모두 ‘자조직의 사회문제해결역량’이 낮을수록 사회적기업 파트너십 형성 의도가 높았으며, ‘사회적기업의 사회문제해결역량’ 인식이 높을수록 사회적기업 파트너십 형성 의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사회문제해결역량의 개념을 규명하고 자원기반관점이론을 협력 조직의 관점에 적용해 사회적기업 파트너십을 탐구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Partnerships among sectors, in particular those with social enterprises (SE), have been increasing. Previous studies primarily focused on SEs establishing partnerships to offset their lack of resources. This study divides motivations for SE partnerships(SEPs) and analyzes how the recognition of social problem-solving capabilities (SPSC) affects the intention to establish partnerships with SEs. Consequently, in both for-profit and nonprofit organizations, the lower the “SPSC of self-organization,” the higher their intentions of forming partnerships with SEs. Moreover, higher recognition of the “SPSC of SE” leads to a higher intention of forming partnerships with SEs. Thus, this study clarifies the concept of the SPSC and implements a resource-based view to explore the SEP in detail.

      • KCI등재

        BSC를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과지표에 관한 연구

        오현탁(Hyun-Tak, Oh) 한국산업경제학회 2017 산업경제연구 Vol.30 No.6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연구모형과 변수를 설정하였고, 연구표본으로 ‘한국사회적기업 진흥원’이 인증한 기업 중 104개의 표본을 분석하여 실증모형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BSC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연구설계한 4개의 관점별 성과지표와 분석결과의 관점별 성과지표가 상이하게 나타났고, 회귀분석 결과도 분석결과의 4가지 관점요인 모두 유의적 결과를 보여 BSC를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과지표 개발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보였다. 분석결과의 내용을 보면, 재무적 관점요인에 ‘정부(지자체)의 지원상태’외에 “정부(지지체)의 시행사업과 연관성‘ ’취약계층의 고용 및 교감상태‘의 성과지표가 들어가 있는데 이는 사회적기업이 일반기업과는 달리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과 시행사업의 관련성이 높다는 점과 이 외에도 취약계층의 고용 및 교감상태의 성과변수가 재무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시회적기업의 사회적 책임 또는 윤리경영에 대한 인식이 기업에 대한 호감과 평판을 높혀 수익성에 바로 연결된다는 해석을 할 수 도 있다. 또한 고객(이해관계자관점)에 IT기반시스템과 거래처 관리상태의 성과지표가, 학습과 성장 관점에 ‘CEO와 종업원의 역량과 참여도’의 작용이 포함된다는 점을 볼 때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역량과 지배구조로 대변되는 기업의 경제민주화를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BSC의 4가지 관점 변수 중 영향을 주는 정도는 학습과 성장의 요인변수가 가장 컸는데 학습과 성장 요인변수가 경제적 성과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다른 관점요인보다 오히려 CEO의 리더쉽과 경영마인드, 종업원의 참여도나 역량·멤버쉽이라는 인적(人的)요인이 경제적 성과에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고 할 수 있다. 부언 하자면 비록 한국 사회적기업의 실정이 아직은 정부 및 지자체와 밀접히 관련이 되어 있지만 기업을 성공으로 이끄는 저변에 사회적 책임과 윤리경영의 사고 및 인적요소의 열정과 역량 그리고 기업민주화의 의미가 저변에 깔려있다는 점을 간과하지 말고 이러한 신선한 싹을 새로운 성과지표개발에 담아내야 할 것이다. In Korean social enterprises are criticism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such as the fact that the social enterprises depend only on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because of the problem of the uniform support method and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centered on labor costs. Therefore, it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ppropriate performance indicators for social enterprises and the effective policies that follow. This study set up research models and variables based on BSC model (Kaplan and Norton, 2001) and the previous studies of Social Firms which are UK (2006), Bull (2007), and Lee Young Tak (2009) and so on. As a result of the survey among the companies registered as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104 samples were obtained which were relatively go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ur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analysis result were different from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perspectives based on the BSC precedent research previous indicators. Regression analysis also showed significant results for all four BSC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conomic performance index is not sufficiently reflected on the side of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mprehensive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over them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전통적 기업과 사회적 기업의 연계전략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박정윤(Park Jeong Yun),권영철(Kwon Yung Chul)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0 로고스경영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전통적 기업의 사회 공헌활동과 사회적기업이 상호 윈-윈 할 수 있도록 협력하고 연계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고 실행 가능한 전략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 기업의 목적과 사회적 기업의 목적을 정리하고 이 두 종류의 기업 목적에는 중복되는 부분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이명박 정부의 사회적 기업의 육성정책을 통하여 전통적 기업과 사회적 기업이 제도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사회적 책임과 사회적 기업에 대한 성경의 관점을 정리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전통적 기업과 사회적 기업이 전략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연계 전략 모델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 형태는 전통적 기업 내 사회적 기업 창업 모델이다. 두 번째 형태는 전통적 기업과 사회적 기업의 상호 협력을 통한 연계 모델이다. 세 번째 형태로 전통적 기업-정부-사회적 기업 삼자간의 협력 연계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통적 기업과 사회적 기업을 전략적으로 연계와 협력을 잘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정책적으로 뒷받침을 하는 것이 빈부격차의 심화 등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한국사회를 통합하는 길이 될 뿐만 아니라 한국정부와 국민이 열망하는 선진국으로 진입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earch strategic alternatives and to propose feasible options for traditional enterprises and social businesses to cooperate so that both parties may benefit. First, we arranged the purposes of traditional and social enterprises, and confirmed that some of them overlap. Next, we confirm the probability for both enterprises to cooperate based on the law of fostering social enterprises. Then, we described biblical viewpoints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social enterprises. Basically, we proposed three strategic cooperative models. The first model is to create a social enterprise within a traditional enterprise. The second model is to cooperate for a traditional enterprise and a social enterprise each other. The third model is to cooperate for three parties of a traditional enterprise, government, and a social enterprise each other. In conclusion, we argue that government's fostering policy for traditional and social enterprises to cooperate will be helpful not only to overcome the problems of capitalism such as widening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o integrate Korean societies, but also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entering an advanced country which Korean government and people aspire.

      • KCI등재

        사회적 공감능력 함양을 위한 초등 사회과 수업의 구안 및 적용

        한성범(Seong Beom Han)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3 사회과수업연구 Vol.11 No.2

        Modern society is living in an era of "unsympathetic" that has become insensitive to other people's sens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empathy-based social studies classes to cultivate students' social empathy skills based on the need for social empathy and to change students' cognitive, behavioral, and affective aspects. In particular, the approach to social empathy beyond personal empathy can lead to a three-dimensional and multifaceted approach to unequal social structures and vulnerable groups in marginalized societies beyo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cultivate the proper social empathy ability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ety and develop the qualities of a democratic empathy citizen who creatively and reasonably solve modern society's problems. Accordingly,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analyzed, and social studies classes were organized and implemented for fifth-grade students based on a social empathy-based model. After applying social studies classes,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paired sample t-test to measure the cultivation of students' social empathy skills. In addition, student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hanges were observed and analyzed using methods such as pre- and post-test papers, impressions, diaries, class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social empathy skills through this clas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현대 사회인들은 타인의 감각에 무감각해진 ‘공감 불능’ 시대에 살고 있다. 공감의 부재는 각종 폭력과 증오범죄, 집단 간 혐오,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 등 타인에 대한 공감 부재를 넘어 아픔에 공감하는 사람들을 비난하거나 혐오하기에 이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공감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사회적 공감 능력을 함양하고 학생들의 인지·행동·정의적 측면의 변화를 위해 공감기반 사회과 수업을 제안한다. 특히 개인적 공감을 넘어선 사회적 공감으로의 접근은 타인을 향한 이해와 배려의 차원을 넘어 불평등한 사회 구조와 소외된 사회의 취약계층에 대한 입체적이고 다면적 접근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 올바른 사회적 공감 능력을 함양하여 사회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현대사회의 문제를 창의적이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민주적 공감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길러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사회적 공감 능력 함양을 위한 보다 체계적인 초등 사회과 수업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개인적 공감에서 나아가 사회적 공감 능력 함양을 위한 사회과 수업을 구성하고 실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사회적 공감 기반 모형에 근거하여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과 수업을 구성하여 실행하였다. 사회과 수업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사회적 공감 능력 함양을 측정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양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사전·사후 검사지, 소감문, 일기, 수업 관찰, 심층면접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에서의 절적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양적·질적 분석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본 수업을 통해 사회적 공감 능력을 함양할 수 있었으며, 인지적·정서적·행동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생태주의 사상의 연대적 관점

        강수택(Kang, Sootaek) 한국이론사회학회 2021 사회와 이론 Vol.39 No.-

        이 논문은 현대 생태주의 사상의 연대적 관점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대적 관점은 연대적 인식을 바탕으로 연대 정신 혹은 연대 가치를 중시하는 관점이다. 연대적 인식은 인간 사이의 관계 혹은 인간과 자연 사이의 관계를 협력, 지원, 결속, 공생, 상호의존 등의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다. 생태주의 사상의 연대적 관점을 고찰하는 것은 생태적 관점과 연대적 관점이 함께 매우 중요할 뿐 아니라 서로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 논문은 현대 생태주의를 대표하는 심층생태주의, 사회생태주의, 생태사회주의, 생태여성주의를 중심으로 이들의 연대적 관점을 고찰한다. 그 결과 심층생태주의는 생태적 연대 인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비해 사회생태주의와 생태여성주의는 생태연대적 인식과 사회연대적 인식에 함께 기초해 있다. 그러면서 사회적 생태주의는 생태사회주의와 함께 사회적 연대론을 적극 전개한다. 한편 생태여성주의는 남성 중심의 근대 이원론적 세계관을 남성의 여성 지배와 인간의 자연 지배의 공통 원인으로 간주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해 비인간 자연과 인간 사이의 생태적 연대 인식의 회복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이처럼 생태주의 입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연대 인식을 드러내지만 공통적으로 연대적 관점을 매우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at exploring the solidarity perspectives in contemporary ecological thoughts. The solidarity perspective means the perspective stressing the value of solidarity, based on the solidarity awareness. Exploring the solidarity perspectives in ecological thoughts is to show that the solidarity perspective and the ecological perspective are interdependent as well as that both perspectives are fundamentally important. According to the exploration, deep ecology focuses on the eco-solidarity, while social ecology as well as eco-feminism are commonly based on both the eco-solidarity awareness and the social solidarity awareness. The social ecology as well as the eco-socialism presents the theories on social solidarity very actively. The eco-feminism regards the androcentric modern dualism as the cause of both male dominance over female and human dominance over nature, and stresses that it is necessary to recover the awareness of eco-solidarity between non-human nature and human being, in order to overcome the dualistic world view. However, ecological thoughts commonly regard the solidarity perspective as very important, though they show different awareness of solidarity, depending on the viewpoint of ecological thoughts.

      • KCI등재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기업의 사회적 책임 모델

        이요섭 한국실천신학회 2008 신학과 실천 Vol.0 No.15

        본고는 현대 사회에서 널리 언급되고 또한 강조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루는 일반이론과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본 성경적 규범을 함께 언급하였다. 크리스천 경영인들이 실천해야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경제학과 경영학 에서 언급하고 있는 윤리 이론만으로는 신앙의 실천과 적용이라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가 없다. 따라서 본고는 기업이 추구하는 경제적 가치와 이익을 달성하는 과정을 평가하는 고전적 모델과 경제・사회적 모델을 비교 한 후,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기독교적 이념을 경제제도, 사유재산제도, 이윤추구, 권력, 동기와 가치, 소명의식, 수입의 분배와 같은 분야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끝으로 기독교적인 이념에 근거하여 기독교 경영인이 신앙인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원칙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원칙들은 기업을 운영하거나 기업에 종사하는 크리스천들이 기업 활동을 통하여 하나님의 뜻을 실현할 수 있는 실천적 기준이 될 것이다. The need to address the ethical issues involved in economic life is becoming increasingly urgent. Many members of the public argue strongly that managers must consider the impact of their decisions and actions on society as a whole by assuming responsibility for their activities. Managers must consider economic duty and legal obligation, but responsibility towards a community extends beyond the economy and the law.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s an organization's obligation to engage in activities that protect and contribute to the betterment of society. The doctrine of CSR rests upon the idea that business should be conducted with concern for the effects of business operation upon the attainment of valued social goals. The following are the economic goals toward which businessmen should orient themselves: high standard living, economic progress, personal security, the realization of justice and freedom,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person, community improvement and national security. In seeking these goals, CSR is evaluated by two opposing schools of thought: classical and social-economic. Classical economist, Milton Friedman argues that earning profits for owners and enhancing social welfare are incompatible and will lead to the demise of business. Social-economists propose that corporations have a responsibility to return to society a value for what is taken. This paper briefly discusses the seven important aspects of economic elements of capitalism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First, Christian thinkers deny that any particular economic system is ordained by God's will. The church and Christian individuals have a duty to work for a better social order that contributes to the realization of God's words. Second, Christian views donot provide unqualified support for private property. Property is not an absolute or inherent right, and it can only be justified to the extent that the welfare of society is served by permitting material things to be owned and administered. Third, the Bible does not view profit or profit taking as an evil act. Acquiring profit is recognized as an outcome of commercial practice as long as Christians are activated by a service motive than by a profit motive. Fourth, closely connected with the Christian view of property is the attitude toward power. In general, Christian thinkers distrust power because it is regarded as a source of injustice. Fifth, in the Christian view of capitalist system, the harshest criticism is directed toward material motivation and values, where the material takes precedence over the spiritual, and the motive of selfish gain predominates over the motive of service to society. Sixth, one of the great needs of modern life is to restore the sense of vocation so that one's job is not a mere means to survive but a God-given calling to devote. Seventh, while Christian thinkers do not argue for the equality of income, they consider that the distribution of income should be determined primarily on the basis of justice. At the end, from those Christian considerations of CSR, definite recommendations and principles to guide Christian business people are offered though without detail. But the idea is helpful in clarifying the Christian perspectives of CSR and is implicit in practice for Christian business people.

      • KCI등재

        고프먼 관점에 따른 자아의 유형화와 커뮤니케이션적 함의

        장현미(Hyunmi Jang)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2

        이 글은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자아가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나는가를 구체화하기 위한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했다. 인터넷 환경에서의 자아를 유형화할 수 있는 이론적 관점을 제시한 연구는 아직 찾아보기 힘들다면, 이 연구는 어빙 고프먼(Erving Goffman)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자아에 대한 관점들을 토대로 자아의 유형화를 시도하고 그 커뮤니케이션적 함의를 파악하고자 했다. 고프먼에 따르면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연극적 자아에는 서로 다른 자아의 모습들이 나타난다. 이 연구는 고프먼의 관점을 토대로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자아를 ‘자아추구적 자아’, ‘상호작용 의례적 자아’, ‘자기관리적 자아’로 구분하고 그 특징들을 설명했다. 또한 이런 자아의 유형화가 어떠한 커뮤니케이션적 함의를 가지며, 인터넷 공간에서의 소통적 자아에는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해 파악해 보았다. 이를 통해 21세기 인터넷의 새로운 상호작용 환경에서 개개인의 자아가 결정하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행위와 그 효과에 관한 연구를 확장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로서 고프먼 관점에 따른 자아의 유형화가 갖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self in Internet communication environment. Following Goffman’s perspective on self in social interaction, this study classified self into three types: self-pursuing, interaction-ritualistic, and self-managing self. Futhermore, this study discussed the communicational implication of the types of self following Goffman’s perspective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self on Internet. The finding of the study reported here provides theoretical bases for classifying different types of self-presentation on Internet and investigating their distinct effects, for future subsequent research.

      • 정보개념에 대한 컬쳐의 영향 연구: 기호학적, 인지적, 사회적 관점에서의 분석을 중심으로

        김지현 ( Ji Hyun Kim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현대사회과학연구 Vol.18 No.-

        이 연구는 정보개념에 대한 컬쳐의 영향을 기호학적, 인지적, 사회적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기호학적 관점에서는 정보는 개개인의 정보생산자와 사용자에 의존할 뿐아니라 문맥적인 걸쳐, 역사적이고 집단적인 의미에 의존한다고 설명하였다. 인지적 관점에서는 그동안의 정보학에서 컬쳐에 대한 부분을 무시하고 정보와 관련된 이용자의 관계에만 연구되었던 점을 논의하였다. 사회적 관점에서는 정보요구가 때때로 개인의 사회적인 정체성에 영향을 받음을 설명하다. 이러한 세가지 관점(기호학적, 인지적, 사회적)의 설명은 우리가 정보개념에 대한 컬쳐의 영향을 보다 잘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a.Iltural effects on information cxmcept<; using the semiotic, cognitive, and social perspectives. nus study explains that information depends not on individual producers or users, but on the contextualizing cuIture, historica.l, and collective meanings with semiotic perspective. In cognitive (metaphor) peIllpective, this study discusses that the dominant tradition in infonnation science has neglected such cultural aspects and just tried to study generalized usersl relation to something termed information. In social perspective, it is explains infonnation needs are sometimes influenced by individuals`` social identities. Three perspectives (semiotic, cognitive, and social) help us to better unden;tand the effects of culture on infonnation concepts.

      • KCI등재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전략과 텍스트 분석

        김누리 ( Nu Ri Kim ) 한국독서학회 2015 독서연구 Vol.0 No.35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비판적 읽기의 한계를 보완하고, 사회적 관점에서 비판적 읽기의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현재 비판적 읽기는 텍스트 내적 기준에 의거하여 제시된 내용의 타당성, 신뢰성, 표현의 적절성 등을 평가하는 기능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텍스트 내적인 논리적인 논증이나 수사학적인 표현의 적절성 평가뿐 아니라, 텍스트를 둘러싼 사회ㆍ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텍스트 이면에 전제되어 있는 사회적 가정(假定)이나 이데올로기 등을 인식하며 판단하는 읽기 능력이 필요하다는 데서 본연구는 시작되었다. 이에 본고는 비판적 담화 분석에 이론적 토대를 두어읽기 단계를 추출하고, 대표적인 읽기 전략을 설계하였다. 또한 이를 적용하여 텍스트 분석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먼저 비판적 담화분석 이론을 페어클럽의 담화분석의 세 가지 차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것이 읽기에 주는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적 맥락 파악하기, 이데올로기 설명하기, 사회적 실천하기를 핵심 요소로 읽기 단계를 설계하였다. 또한 각 읽기 단계별 ‘다양한 관점 고려하기’,‘부각 및 배제된 관점 파악하기’, ‘자신의 관점과 행동 취하기’의 읽기 전략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CDA를 활용한 단계별 읽기 전략을 적용하여 신문사설 텍스트의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 과정을 제시하였다. 결국 비판적 읽기는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텍스트와 사회적 관련성을 고려하여 내재된 이데올로기를 인식하고, 이를 주체적으로 판단하는 사회적 행위로서의 읽기가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ensate the limitations of critical reading, and to look for critical reading methods from a social perspective. Current critical reading stops at a functional level, judging the given content``s validity, credibility, and the appropriateness of expression in accordance to the text``s internal standards. Not only logical demonstration of the inner text and judging of the appropriateness of rhetorical expressions but also considering the socialㆍcultural context surrounding the text and recognizing the prerequisite social assumptions or ideology hidden in the text are what brought to view the need to study reading abilities. Thus this paper extracted reading steps from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ith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built representative reading strategies. Also a specific text analysis process of this usage is provided. First a close look at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ory was taken centering on the 3 levels of Fairclough``s discourse analysis and then the implication that was brought by this was analyzed. Through this the key points, understanding social context, ideological explanation, social practice, were used to build reading steps. Also for each respective reading step ``considering from various perspectives``, ``grasping magnified and excluded perspectives``, and ``one``s own perspective and taking action`` were the proposed reading strategies. Lastly each step for reading strategies using CDA was used to provide a specific process of text analysis of a newspaper editorial text. In conclusion through critical reading one should be able to make reading a social act considering the text in social cultural context and its social relation, and perceive the hidden ideology, using this to make independent judg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